KR100575447B1 -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447B1
KR100575447B1 KR1020040008544A KR20040008544A KR100575447B1 KR 100575447 B1 KR100575447 B1 KR 100575447B1 KR 1020040008544 A KR1020040008544 A KR 1020040008544A KR 20040008544 A KR20040008544 A KR 20040008544A KR 100575447 B1 KR100575447 B1 KR 100575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home
home appliance
us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3324A (ko
Inventor
김철
백승룡
위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레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레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레넷
Publication of KR20040073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댁내에 설치된 각 가전기기, 상기 가전기기들에 대한 고유의 식별코드를 발생하는 다수의 내부통신장치,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홈 서버와, 상기 홈 서버에 연결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유 코드로 각각의 생활영역이 구획된 주택 평면도나 실물의 사진을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내부통신장치로부터 접수한 식별코드로 해당 가전기기의 아이콘을 생성하여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며, 사용자 의도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아이콘이 주택 평면도 상에 안착되도록 하고, 이때 생활영역과 가전기기의 정보를 매칭시켜, 이후에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터치 스크린을 통해 선택할 때 터치한 아이콘이 지시하는 가전기기를 식별하고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제어대상의 실행된 결과는 미리 입력된 사진이나 기 설치된 카메라로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홈 오토메이션, 터치 스크린, 식별코드, 주택 평면도

Description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 electric home appliances for home auto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의 설치 상태를 보인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주택 평면도의 제1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제1 예시도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주택 평면도의 제2 예시도.
도 6은 도 5의 제2 예시도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주택 평면도의 제3 예시도.
도 8은 도 7의 제3 예시도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가전기기의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하는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를 참조로 한 설명 중에서 아이콘을 위치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요구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가전기기의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하는 실시예의 순서도.
본 발명은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댁내에 설치된 홈 네트워크용 가전기기들을 각각의 고유 식별정보를 가진 아이콘(icon)으로 주택 평면도와 더불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으로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댁내 설치된 가전기기들 즉, 조명기기, 에너지 장치, 전기장치, 보안장치, 가스장치 등 간의 홈 네트워크가 가능하게 되었고, 이들 가전기기들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통합적으로 제어, 관리할 수 있는 홈 오토메이션이 가능하게 되었다.
종래의 홈 오토메이션 방법은 일명 리모콘 방식으로서, 각 가전기기들에게 고유 키 코드를 부여하여, 부여된 키 코드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리모콘 수신장치(또는 이에 상응하는 장치)로 리모콘을 통해 키 코드를 제공하면 사용자가 원하 는 가전기기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리모콘 방식의 홈 오토메이션 방법은 사용자가 각 가전기기들의 고유 키 코드를 암기하고 있지 않으면 리모콘 수신장치를 통해 해당 키 코드를 확인하여야 하고, 키 코드 입력과 더불어 제어할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명령을 따로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새로운 가전기기를 설치하거나 제외시킬 때에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키 코드를 인위적으로 설정 또는 삭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전기기들의 설치 및 동작 상태를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표시된 화면을 사용자가 단순히 터치하는 것만으로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댁내 설치된 각 가전기기를 주택 평면도 특히,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쉽게 육안으로 확인하고, 상기 주택 평면도를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쉽게 해당 가전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홈 오토메이션을 달성하는 홈 서버의 화면으로 제공되고, 댁내 설치된 각 가전기기(가전제품, 방범/방재 장치, 조명장치 등)들은 각 가전기기들에 대한 고유의 식별코드를 발생하는 다수의 내부통신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내부통신장치와 상기 홈 서버 간에 데이터 교환이 달성될 때 하 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제1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주택 평면도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주택 평면도의 각 생활영역에 대한 영역정보 테이블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제1 단계, 상기 다수의 내부통신장치로부터 수집한 식별코드를 저장된 장치정보 테이블에 대비하여 각 가전기기에 대한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자동 생성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제2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아이콘을 사용자가 위치 이동시키면, 상기 아이콘이 안착된 해당 영역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한 영역 정보를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과 매칭시키는 제3 단계, 사용자가 상기 주택 평면도의 해당 아이콘을 터치하면, 터치한 아이콘의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를 파악하고, 파악한 아이콘의 좌표를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과 대비시켜 해당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식별한 해당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각 가전기기의 각 상태를 미리 설정해둔 사진이나 기 설치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제어대상의 상태를 서브 창에 디스플레이시켜 사용자가 제어대상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제2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주택 평면도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주택 평면도의 각 생활영역에 대한 영역정보 테이블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제1 단계, 상기 다수의 내부통신장치로부터 수집한 식별코드를 저장된 장치정보 테이블에 대비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의 대비를 통해 기 저장된 식별코드에 대해서 상기 장치정 보 테이블의 레코드에 따라 해당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단계의 대비를 통해 새로운 식별코드에 대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새로운 식별코드에 상응하는 아이콘이 결정되도록 하는 아이콘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 이후에,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 선택 서비스를 통해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아이콘이 나타내는 가전기기의 종류와 상기 아이콘이 위치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를 판단하는 제5 단계, 상기 아이콘의 좌표를 포함하는 영역코드를 상기 영역정보 테이블을 통해 파악하여, 파악한 영역정보와 상기 아이콘의 좌표, 가전기기의 종류, 상기 새로운 식별코드에 포함된 고유코드를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에 추가하는 제6 단계, 사용자가 상기 주택 평면도의 해당 아이콘을 터치하면, 터치한 아이콘의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를 파악하고, 파악한 아이콘의 좌표를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과 대비시켜 해당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식별한 해당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각 가전기기의 각 상태를 미리 설정해둔 사진이나 기 설치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제어대상의 상태를 서브 창에 디스플레이시켜 사용자가 제어대상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에 대한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홈 서버에 제공될 댁내 가전기기의 식별코드가 어떠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에 따라 크게 2가지 특징으로 분류된다. 제1 특징은 상기 가전기기의 식별코드를 가전기기의 종류정보, 가전기기의 동작상태 정보와, 가전기기의 고유식별정보로 구성하는 경우이고, 제2 특징은 상기 가전기기의 식별코드를 가전기기의 동작상태 정보와 가전기기의 고유식별정보로 구성하는 경우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과정을 보인 순서도로서, 홈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홈 서버의 화면에 사용자의 주택 평면도를 출력시키는 것으로 시작된다(S100).
홈 서버는 주택 평면도를 화면에 표시하면, 각 가전기기들로부터 고유 식별자(이하 '식별 코드'라 칭함)를 수집한 후 저장된 아이콘 정보에 따라 각 가전기기의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의 해당 위치에 표시한다. 이때, 홈 서버는 새로 설치된 가전기기가 있는지를 확인하게 되고, 새로 설치된 가전기기에 대한 아이콘(이하 '새로운 아이콘'이라 칭함)을 생성하여 상기 주택 평면도 이외의 화면에 표시한다(S101). 여기서 상기 화면은 터치 스크린인 것이 양호하며, 상기 아이콘은 각 가전기기의 종류를 알 수 있는 형태인 것이 양호하다.
상기와 같이 새로운 아이콘이 화면에 표시되면, 사용자가 손이나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아이콘을 해당 가전기기가 설치된 실제 위치(방 또는 거실 또는 주방 등의 주택 평면도의 해당 생활영역)로 이동 및 안착시키는 작업이 요구된 다(A1).
사용자에 의한 오프라인(off-line) 작업(A1)이 이루어지면, 홈 서버는 새로운 아이콘이 최종 안착된 화면상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한 위치에 따른 장치 추적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102).
과정(S102)을 마치면, 홈 서버의 화면에는 가전기기들의 실제 설치 영역에 부합하는 주택 평면도 상의 해당 영역에 해당 아이콘들이 표시되고, 홈 서버는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된 아이콘에 대한 추적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추적 정보를 통해 해당 아이콘이 가리키는 실제 가전기기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새로운 가전기기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면 홈 서버는 새로운 가전기기의 설치를 인식하게 되고(S103), 그에 따라 과정(S100 내지 S102)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과정(S100 내지 S102)은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준비 과정이다. 따라서, 상기 준비 과정이 끝나면 홈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가전기기 선택 입력을 대기한다.
이후, 사용자가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된 다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화면 입력을 통해 선택하면 즉, 화면을 터치하면(A2), 홈 서버는 선택한 아이콘의 화면상의 좌표를 기반으로 장치 추적 정보를 통해 해당 가전기기를 식별하고(S104), 사용자가 요구하는 제어 명령을 해당 가전기기에 전달한다.
전달받은 가전기기의 상태는 새로운 창으로 미리 입력된 사진이나 카메라로 동작상태를 볼 수 있다.
결국, 댁내 설치된 가전기기들은 사용자가 홈 서버의 화면을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가 의도하는 바대로 동작하게 된다(S105).
도 1을 참조로 한 설명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설명한 것이므로, 실제 구현함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하드웨어적 요소와 소프트웨어적 요소가 필요하다.
우선 하드웨어적 요소를 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댁내 설치된 텔레비전, 냉장고, 전자렌지, 보안장치, 전기밥통, 세탁기, 오디오, 방안등, 거실등, 가스밸브 등과 같은 가전기기(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가전기기(a)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제어하는 홈 서버(100)가 필요하며, 각 가전기기(a)의 종류, 동작 상태 등의 정보를 홈 서버(100)에 알리고 홈 서버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내부통신장치(200)가 필요하다.
상기 내부통신장치(200)는 가전기기별로 하나씩 설치되어 다른 가전기기와 구별되도록 하는 고유의 식별코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식별코드를 일정 주기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한다. 내부통신장치(200)는 가전기기(a)가 연결된 전원 스위치(switch) 또는 콘센트(concent) 등에 설치되어 전원 스위치 또는 콘덴서의 동작을 감시 및 제어하도록 하거나, 또는, 가스밸브, 방안등, 거실등과 같이 자체 프로세서(processor)를 가지지 않은 가전기기의 경우에 각 가전기기(a)가 연결된 전원 스위치 또는 콘덴서 등에 연결시키고, 냉장고, 에어컨, TV, 세탁기와 같이 자체 프로세서를 가진 가전기기의 경우에 각 가전기기(a)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된다.
내부통신장치(200)에서 발생하는 고유의 식별코드는 사람에 의해 인위적으로 부여된 고유코드와 장착된 가전기기(a)가 어떤 종류의 가전기기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종류정보코드, 그리고, 가전기기(a)의 동작상태를 알리는 상태 코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전기기(a)가 보안장치인 경우에 내부통신장치(200)의 상태 코드는 침입 여부를 알리는 정보인 것이 양호하다.
한편, 당업자는, 상기 고유식별코드에 가전기기의 제조사, 제품정보, 버전(version) 정보를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에서, 내부통신장치(200)는 홈 서버(100)와의 통신 방법에 따라 식별코드의 형태를 달리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통신장치(200)와 홈 서버(100) 간의 통신 방법으로는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방법과, RF(Radio Frequency)를 이용하는 방법과, 전력선을 이용하는 방법, 무선 랜 또는 유선 랜 또는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I).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경우에 내부통신장치(200)는 식별코드를 레이저광 신호로 발산하고 수신하는 장치이고, 이에 대응하여 홈 서버(100)에는 광 신호를 수신하고 해독하는 수광 장치와 레이저광 신호를 발산하는 발광 장치가 구비된다. II). RF를 이용하는 경우에 내부통신장치(200)는 식별코드를 RF로 전송하는 장치이고 이에 대응하여 홈 서버(100)에는 RF 신호를 수신하고 해독할 수 있는 안테나 및 신호처리부와, RF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장치가 구비된다.
III). 전력선을 이용하는 경우에 내부통신장치(200)는 전력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칩(chip)이고, 이에 대응하여 홈 서버(100) 내부 또는 홈 서버(100)와 내부통신장치(200) 사이에 전력선 상에 흐르는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전원전압과 분리하고 분리한 통신 신호를 전력선 통신 프로 토콜인 Z256으로 해독하며, 전력선을 통해 내부통신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전력선신호 처리장치가 구비된다. IV). 유, 무선 랜,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내부통신장치(200)는 유, 무선랜, 블루투스의 통신 규격에 부합하는 데이터 형식으로 가전기기에 할당된 IP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전송하는 장치이다. 유, 무선 랜,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내부통신장치는 각 가전기기 자체에 내장된 모뎀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IV) 방식은 자체 처리 프로세서를 가진 가전기기 장치에 한하여 이용된다.
한편, 홈 서버(1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110)를 구비하고, 내부에 메모리 장치(120), 인터넷을 통해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외부통신장치(140)와, CPU(13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홈 서버(100)는 통신 장치(140)를 인터넷에 연결시켜 외부에서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소프트웨어적 요소를 보면, 홈 서버(100)는 I). 상기 과정(S100)을 위해 그래픽 화면을 지원할 수 있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기능과, II). 상기 과정(S104)을 위해 LCD 모니터(110)의 화면을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 되도록 지원하는 기능과, III). 외부 정보 단말기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과, IV). 주택 평면도의 세부 생활영역(즉, 각 방, 각 주방, 각 거실 등)을 고유영역코드로 관리하고 사용자 요구에 따라 가전기기의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에 안착시키며 안착된 아이콘의 위치에 따라 상기 고유영역코드를 포함하는 하기 표 1의 영역 정보와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하기 표 2의 장치정보를 매칭(matching)시키는 기능을 기본 기능으로서 요구된다. 이러한 기본 기능들은 홈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홈 오토메이션 프로그램에서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영역정보와 상기 장치정보를 매칭시키는 기능에 의해 추적 정보가 생성되는데, 여기서 장치 추적 정보란 매칭된 영역정보와 장치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
영역코드 영역명 범 위
x1 x2 y1 y2
1001 방 1 0 100 0 100
1002 방 2 102 190 0 90
1003 거실 0 160 102 300
... ... ... ... ... ...
삭제
삭제
식별코드 영역코드 제품명 상태 위 치
x1 x2 y1 y2
0003 1003 오디오 1 5 15 120 130
0004 1002 안방등 0 135 140 60 65
... ... ... ... ... ... ... ...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표 1과 표 2는 메모리 장치(120)에 저장된다. 표 1은 주택 평면도 상에 존재하는 각 생활영역(즉, 영역명)의 정보를 표기한 테이블 값이고, 표 2는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된 각 가전기기의 아이콘의 정보를 표기한 테이블 값이다. 그리고, 표 1과 표 2의 범위 및 위치는 해당 생활영역 또는 아이콘이 화면을 차지하는 좌표값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태는 가전기기의 현재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1은 켜짐, 0은 꺼짐을 나타낸다.
홈 서버(100)는 상기 표 1과 표 2의 영역 정보와 가전기기 정보를 혼용함으로써 추적 정보로 이용한다. 일 예를 들면, 사용자가 화면상에 나타난 주택 평면도상의 소정 아이콘을 눌렀다고 하자. 이때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가 x=6, y= 7이면, 홈 서버는 좌표값을 표 1과 표 2에 대응시켜 좌표값 (6, 7)이 어느 영역과 어떤 장치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실제 표 1과 표 2에 대응시키면 터치한 아이콘은 영역코드 1001(방1)에 설치된 식별코드 0001인 TV이라고 추적이 가능해 진다.
한편, 홈 서버(100)는 일반적인 컴퓨터와 같은 서버의 기능을 모두 구비하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도 1에 도시된 각 과정(S100 내지 S105)을 구현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3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여 도 1에 도시된 과정(S100)을 구현하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주택 평면도의 제1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 예시도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즉, 제1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방, 다수의 거실, 다수의 화장실, 다수의 주방, 다수의 베란다로 구획된 텍스트 형식의 주택 평면도를 사용자의 개입없이 제공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로 하여 제1 실시예의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홈 서버를 구동하면, 홈 서버는 홈 오토메이션 메인프로그램을 실행시켜(S410), 메모리장치에 저장된 주택 평면도 정보를 읽어들이고(S420), 읽어들인 주택 평면도를 터치스크린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S430). 여기서, 화면에 출력되는 주택 평면도는 도 3과 같은 텍스트 형식의 주택 평면도이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주택 평면도의 제2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2 예시도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예시도에 따르면, 홈 서버는 사용자의 그리기 작업에 의해 결정된 방, 거실, 발코니 등의 생활영역에 대한 고유영역코드를 생성하고, 표 1의 영역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홈서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리기 작업 툴을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의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홈 서버를 구동하면, 홈 서버는 홈 오토메이션 메인프로그램을 실행시켜(S610) 초기화면을 터치스크린에 출력한다(S611). 사용자가 파일 불러오기 기능 등을 통해 기저장된 주택 평면도를 요구하면(S612), 홈 서버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메모리장치에 저장된 사용자의 주택 평면도를 읽어들여 화면에 출력한다(S613).
그러나, 사용자가 주택 평면도를 요구하지 않으면(S612), 홈 서버는 사용자가 그리기 작업 툴을 이용하는 지 판단한다(S614). 사용자가 그리기 작업 툴을 이용한다는 것은 기저장된 주택 평면도가 없거나 이미 작성한 주택 평면도가 마음에 들지 않은 경우가 될 것이다.
여기서, 홈 서버(100)는 초기 창이 뜰 때 사용자가 저장한 주택 평면도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있으면 저장된 주택 평면도를 사용자의 의도에 관계없이 즉시 읽어들여 터치 스크린(110) 상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홈 서버(100)는 사용자가 그리기 작업을 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그리기 작업 툴(T1)의 도구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도구가 목표하는 그리기 작업을 수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게 된다. 이때, 홈 서버(100)는 사용자의 그리기 작업에 의해 방, 거실 발코니 등의 생활영역이 결정되면, 해당 영역의 범위를 파악하고 고유영역코드를 생성하여 표 1과 같은 영역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영역의 영역명을 입력하면 이를 표 1의 영역정보 테이블에 더한다(S615, S616).
이후, 홈 서버(100)는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그리기 작업을 하게 되면 상기 과정(S614 내지 S616) 과정을 반복하며, 사용자가 현재 상태를 저장하면(S617), 이에 부응하여 현재까지 작성한 표 1과 같은 영역정보 테이블을 세팅하여 저장한다(S618).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주택 평면도의 제3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3 예시도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즉, 제3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건설사나 주택 설계회사 또는 공 공기관 등에서 작성한 주택 평면도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선택에 의해 터치 스크린(110)에 나타나게 하는 것이다. 제3 실시예를 위해 홈 서버(100)는 건설사 또는, 일반 설계회사 또는 공공기관 등에서 작성한 다수의 주택 평면도의 정보를 메모리 장치(120)에 저장하고, 사용자 요구에 따라 저장된 정보들을 총괄적으로 제공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주택 평면도를 터치 스크린(110)에 나타나게 한다. 이때, 홈 서버(100)는 각 주택 평면도에 대한 표 1과 같은 영역 정보를 가지지 않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생활 영역을 정의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8을 참조로 하여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홈 서버(100)를 구동하면, 홈 서버(100)는 홈 오토메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S81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범위 설정이 가능하게 하는 작업 바를 가지는 윈도우 창을 초기 창으로 터치 스크린(110)에 출력한다(S811). 도 7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이때까지는 주택 평면도가 터치 스크린(110)에 출력되지 않는다.
홈 서버(100)는 초기 창을 터치 스크린(110)에 출력하는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주택 평면도가 있는지를 파악하여(S812), 사용자가 설정한 주택 평면도가 있으면 메모리 장치(120)에 저장된 다수의 주택 평면도 중에서 해당 주택 평면도를 읽어들여 터치 스크린(110)에 출력한다(S813).
상기 과정(S812)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주택 평면도가 없으면, 홈 서버(100)는 주택 평면도 선택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사용자가 쉽게 자신이 원하는 주택 평면도를 찾을 수 있게 한다(S814). 여기서, 주택 평면도 선택 프로그램의 실행 예를 설명하면, 사용자에게 주택 평수, 방, 거실, 부엌, 화장실, 베란다 등의 개수를 기입하게 하는 창을 제공하거나, 아파트와 같이 공지된 주택 평면도가 제공된 경우에는 건설회사, 평형, 타입, 아파트 주소 등을 기입할 수 있는 창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아울러, 평형별, 구조별 주택 평면도의 종류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주택 평면도를 선택하면(S814), 홈 서버는 이를 입력으로 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주택 평면도를 메모리 장치에서 찾아서 터치 스크린 화면에 출력한다(S815). 이 터치 스크린 화면에 출력된 주택 평면도는 표 1과 같은 생활영역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생활영역을 구획할 필요가 있다.
홈 서버는 사용자가 설정한 생활영역의 범위를 판단하여 좌표값을 파악하고(S816), 사용자가 지정한 생활영역 범위에 고유영역코드를 부여하고 고유영역코드와 좌표값으로 표 1과 같은 영역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S817).
또한 사용자가 자신이 구획한 생활영역에 대해 영역명을 입력하면, 홈 서버는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생활영역의 영역명을 영역범위에 부합되게 영역정보 테이블에 기입한다(S818).
모든 영역에 대한 범위 설정이 완료될 때까지 S816 내지 S818을 반복 수행하고, 모든 영역에 대한 범위 설정이 완료되면(S819), 홈 서버는 현재 작성된 영역정보 테이블을 세팅값으로 메모리 장치에 저장한다(S820).
도 9는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가전기기의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하는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즉, 도 9에는 도 1에 도시된 과정(S101)과 과정(S102)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가 개시된다.
각 가전기기(a)에 장착된 내부통신장치(200)는 일정 주기마다 식별코드를 브로드캐스팅한다. 홈 서버는 일정 주기마다 각 가전기기의 내부통신장치로부터 식별코드를 수집한다(S910).
홈 서버는 수집한 식별코드를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장치정보 테이블과 비교하여(S911), 새로운 식별코드가 수집되었는지를 판단한다(S912).
새로운 식별코드는 장치정보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식별코드로서, 사용자가 새로운 가전기기를 댁내에 설치하면 홈 서버(100)에 수집된다.
상기 판단과정(S911)에서, 홈 서버(100)는 새로운 식별코드가 수집되지 않으면 장치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정보에 따라 각 가전기기별로 아이콘들을 해당 위치 정보(화면상의 좌표)를 기반으로 터치 스크린(110)상의 주택 평면도에 표시한다(S916).
반면에, 상기 판단과정(S911)에서 홈 서버(100)는 새로운 식별코드가 수집되면 새로운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가전기기의 종류, 동작 상태 및 고유 코드를 파악하고(S913), 파악한 정보를 버퍼와 같은 임시메모리에 저장시킨다(S914).
그런 다음, 홈 서버(100)는 상기 과정(S913)에서 파악한 가전기기의 종류 정보에 따라 새로운 아이콘을 생성하고(S915), 새로운 아이콘을 터치 스크린(110) 상에 표시한다(S916). 이때, 새로운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되지 않게 하며, 더욱 양호하게는 새로운 아이콘이 생성되었음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결국, 터치 스크린(110)에는 기 설치된 가전기기의 아이콘이 표시된 주택 평면도와, 새로운 아이콘이 표시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새로 설치된 가전기기의 실제 설치 위치에 해당하는 주택 평면도 상의 생활영역에 새로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위치시키는 오프라인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오프라인 작업을 위해 홈 서버(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오프라인 작업을 요청한다.
이후, 사용자가 새로운 아이콘을 선택하고 위치 이동시키면, 홈 서버(100)는 사용자가 새로운 아이콘을 선택하였음을 판단하고(S917), 사용자가 새로운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의 해당 위치로 이동시켜 안착시키면 새로운 아이콘이 안착된 지점에 대한 터치 스크린(110) 상의 좌표값을 파악한다(S918, S919).
그런 다음, 파악한 좌표값을 저장된 영역정보 테이블과 비교하여(S920), 새로운 아이콘이 안착된 지점이 어느 생활영역에 속하는지를 파악한다(S921). 그리고, 파악한 생활영역의 영역코드와 상기 임시 저장한 정보를 매칭시켜(S922), 장치정보 테이블의 레코드 값으로 추가한 후 저장한다(S923).
이때, 장치정보 테이블의 저장은 사용자 요구에 따르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도 9를 참조로 한 설명에서, 도 1에 도시된 과정(S102)에 해당하는 과정은 S917 내지 S923인데, 상기 과정(S917 내지 S923)은 두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는 사용자가 새로운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에 위치시키는 제1 경우와, 사용자가 이미 주택 평면도 상의 해당 지점에 고정 표시된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의 다른 지점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2 경우이다.
상기 제1 경우는 상술한 도 9를 참조로 한 실시예에 해당된다.
첨부한 도 10을 참조로 하여 상기 제2 경우를 구현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도 9를 참조로 한 설명 중에서 아이콘을 위치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된 주택 평면도 상의 아이콘은 실수에 의한 위치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비활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주택 평면도 상의 아이콘을 위치 변경시키기 위해 초기창의 해당 메뉴를 선택하여 위치 변경 요구 명령을 홈 서버(100)에 제공하고, 이에 홈 서버(100)는 아이콘 위치 변경 명령을 입력한다(S1001).
홈 서버(100)는 아이콘 위치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된 모든 아이콘들을 활성화시키고(S1002),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한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아이콘이 활성화된 것을 확인하면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고, 선택한 아이콘을 위치 변경지점으로 옮긴다. 이때, 홈 서버(100)는 사용자가 터치한 터치 스크린(110) 상의 지점을 좌표값으로 파악하고, 파악한 좌표값을 장치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위치'값에 대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에 해당하는 장치정보 테이블의 레코드 주소(또는 식별코드)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을 확인한다(S1003).
사용자가 손이나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아이콘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S1004), 아이콘 위치이동 완료를 확인하면(S1005), 홈 서버는 위치이동 완료가 확인된 시점의 아이콘 위치의 좌표값을 파악한 후(S1006), 파악된 좌표값을 영역정보 테이블에 대비하여 위치 변경된 아이콘이 위치 이동된 지점의 영역코드를 확인한다(S1007). 그리고, 이 위치 변경된 아이콘의 영역코드 정보를 단계 S1007에서 확인된 영역코드로 변경 설정하여 저장한다(S1008).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요구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즉, 도 11에는 도 1에 도시된 과정(S104)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가 개시된다.
상술한 과정들을 통해 주택 평면도와, 가전기기들이 실제 설치된 영역에 부합하는 주택 평면도 상의 생활영역에 그 가전기기에 해당하는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홈 서버는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된 아이콘에 대한 추적정보가 저장하는데, 이 추적정보를 통해 해당 아이콘이 가리키는 실제 가전기기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된 다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화면 입력을 통해 선택하면 즉, 화면을 터치하면, 홈 서버는 선택한 아이콘의 화면상의 좌표를 기반으로 해당 가전기기를 식별하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제어명령을 해당 가전기기에게 전달한다.
이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된 주택 평면도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자신이 제어하고자 하는 아이콘을 손이나 마우스 등으로 터치하여 선택한다(S1101).
이에 홈 서버는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의 좌표를 파악하고(S1102), 파악한 좌표값을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가전기기 정보 테이블에 적용하여 파악한 좌표값에 대응하는 식별코드와 영역코드 및 상태를 파악한다(S1103).
그런 다음, 홈 서버는 파악한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가전기기의 식별코드를 발생하는 내부통신장치에게 가전기기의 현재 상태를 가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104). 이에 해당 가전기기의 내부통신장치는 이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로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차단 또는 공급) 한다(S1105).
해당 가전기기의 내부통신장치는 해당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를 가변시킨 식별코드를 발생시켜 홈 서버에게 제공한다(S1106). 이때, 내부통신장치는 통상적으로 브로드캐스팅 방법을 이용한다.
홈 서버는 내부통신장치에서 전송한 식별코드로부터 해당 가전기기의 상태를 파악하여 가전기기 정보 테이블의 내용을 갱신한다(S1107). 그리고, 홈 서버는 갱신한 상태정보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의 아이콘을 가전기기 상태 가변에 부합되도록 그 표시상태를 가변시킨다(S1108).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제1 특징을 도시한 도 1과 제2 특징을 도시한 도 12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전반적으로 제1 특징과 유사하나, 가전기기에 대한 아이콘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생성된다는 것이 제1 특징과 다른 점이다. 결국,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제1 특징을 도시한 도 1의 과정 중에서 S101에 해당하는 과정만 다르다.
부연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식별코드에 가전기기의 종류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홈 서버는 내부통신장치로부터 수집한 식별코드로부터 해당 가전기기의 종류를 파악하고 그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자동 생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식별코드에 가전기기의 종류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홈 서버는 내부통신장치로부터 식별코드를 수집하더라도 해당 가전기기의 종류를 파악할 수 없으며 이럴 때 사용자에 의해 해당 식별코드에 상응하는 아이콘이 결정되도록 하는 아이콘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2 특징이 제1 특징과 다른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통신장치(200)가 가진 식별코드가 제1 특징의 식별코드와 다르기 때문이다. 즉, 제2 특징의 내부통신 장치(200)의 식별코드에는 가전기기의 종류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1 특징에 따른 내부통신장치는 제조시 가전기기의 종류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부여한 후 출시하고, 제2 특징에 따른 내부통신장치는 제조시 가전기기의 종류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식별코드를 부여한 후 출시한다.
제1 특징과 제2 특징의 차이는 식별코드의 차이에 따른 제2 특징의 과정을 구현하는 아래의 도 13과 함께 설명되는 실시예를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가전기기의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하는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서버(100)는 일정 주기 시간마다 브로드 캐스팅하는 식별코드를 수집하고(S1301), 수집한 식별코드를 저장된 장치정보 테이블의 레코드와 비교한다(S1302).
상기 비교과정(S1302)을 통해 홈 서버(100)는 수집한 식별코드 중에서 새로운 식별코드의 수집 여부를 판단하여(S1303), 새로운 식별코드가 수집되지 않으면 장치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장치 종류 정보에 따라 아이콘을 생성하여 주택 평면도 상의 각각의 위치에 표시한다(S1304).
그러나, 상기 판단(S1303) 결과, 새로운 식별코드가 수집되면 홈 서버는 새로운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와 고유코드를 파악하고(S1035), 파악한 상기 동작 상태와 고유코드를 임시 저장한다(S1306).
그런 다음, 홈 서버(100)는 새로운 식별코드에 대한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아이콘 선택창을 터치 스크린(110) 상에 나타낸다(S1307). 이때, 터 치 스크린 상에는 기 설치된 가전기기에 대한 아이콘들이 표시된 주택 평면도가 나타나 있는 상태이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10)에 아이콘 선택창이 표시되면 새로운 가전기기에 대한 아이콘 선택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설치된 가전기기의 종류에 부합하는 아이콘을 아이콘 선택창에 표시된 다수의 아이콘들 중에서 선택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선택 동작은 아이콘 선택창에서 초기창(주택 평면도가 표시된 창)으로 이동시키는 것 또는, 아이콘 선택창에 표시된 해당 아이콘을 클릭(double click) 또는 메뉴창에서 선택 버튼을 클릭하는 것으로 달성된다(S1308).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아이콘 선택창은 홈 서버(100)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사라지게 된다(S1309). 이렇게 사용자가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게 되면, 홈 서버(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이 나타내는 가전기기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판단한다(S1310). 여기서, 아이콘은 가전기기 종류별로 구분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홈 서버(100)는 판단한 가전기기의 종류 정보를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와 고유코드와 함께 임시 저장한다(S1311). 이후, 사용자는 도 9를 참조로 한 설명(S917 내지 S923)과 같이 아이콘을 위치 이동시켜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당업자라면 사용자가 아이콘 선택창을 통해 선택한 아이콘을 바로 주택 평면도 상의 해당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아이콘 선택창이 아닌 다른 수단, 즉, 설정된 초기 아이콘(가전기기의 종류를 표시하지 않는 아이콘)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초기 아이콘을 원하는 아이콘으로 변경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부가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간략히 설명한다.
I). 현재, 텔레비전,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전자레인지 등과 같이 내부에 CPU 및 메모리 등을 내장하여 다양한 세부 기능을 수행하는 가전기기들(이하, '신세대 가전기기'라 칭한다)은 홈 오토메이션을 위해서 제조사, 기기의 종류, 제품의 종류, 버전, 기능의 종류에 해당하는 제품정보코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삼성에서 생산된 냉장고의 경우에 제조사인 삼성을 알리는 코드, 제품 종류인 냉장고를 알리는 코드, 냉장고의 제품 번호를 알리는 코드, 해당 제품의 버전을 알리는 코드, 냉장고가 가진 각 기능을 구별할 수 있는 기능별 코드는 홈 서버(100)의 메모리 장치(110)에 저장하고 있으며, 또는 삼성의 가전사가 관리하는 인터넷 서버에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홈 서버(100)는 댁내 설치된 가전기기가 신세대 가전기기이면, 상기 신세대 가전기기에 저장된 제품정보코드를 신세대 가전기기로부터 제공받아 메모리 장치(120)에 저장하고, 상기 제품정보코드를 초기 창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러고, 홈 서버(100)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신세대 가전기기를 선택하면, 선택한 가전기기에 대한 제품정보코드를 터치 스크린 상에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기능을 판단하여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댁내에서 홈 서버가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으로서, 원하는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다.
II).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외부통신장치(140)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이 외부통신장치(140)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것은 홈 서버(100)가 인터넷 서버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여, 메모리 장치(120)에 저장된 주택 평면도의 정보(아이콘 정보 포함)를 인터넷에 연결된 외부의 정보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은 주택 평면도 정보와 더불어, 표 1의 영역 정보 테이블 또는/및, 표 2의 가전기기 정보 테이블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단말기는 컴퓨터, PDA,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 등이다.
상기와 같이, 홈 서버(100)에 저장된 주택 평면도 정보가 외부의 정보 단말기에 제공되면, 정보 단말기의 화면에는 홈 서버(100)의 터치 스크린(110)과 동일한 주택 평면도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정보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난 주택 평면도 상의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의 좌표 정보를 정보 단말기가 홈 서버(100)로 제공하여, 홈 서버(100)가 사용자가 의도하는 바대로 해당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결과는 새로운 창에 실제 사진이나 카메라로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실시간(real time)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홈 서버(100)는 인터넷 통신 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가공하여 정보 단말기에 제공하지만, 정보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이 다르므로 정보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제공할 데이터의 형식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즉, 홈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주택 평면도는 그래픽 데이터 형식이다. 그러나, 핸드폰 등과 같이 GUI(Graphical User Interface)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정보 단말기의 경우에는 그래픽 데이터 형식으로 주택 평면도를 제공할 경우에 해당 정보 단말기가 수용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홈 서버(100)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 시도하는 정보 단말기가 GUI 기능이 제공되는 종류인지를 확인한 후에, GUI 기능이 제공되는 정보 단말기에게는 그래픽 형식의 주택 평면도를 제공하고, GUI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정보 단말기에게는 텍스트 형식으로 가공된 주택 평면도를 제공한다.
III). 한편 PDA,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에는 마우스나 터치 펜(touch pen) 등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주택 평면도상의 아이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나, 핸드폰의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화면상의 소정 지점을 좌표값으로 표현하지 못하므로, 홈 서버(100)는 각 아이콘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휴대폰의 입력 키 조작으로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IV). 컴퓨터와 노트북 컴퓨터를 제외한 정보 단말기의 화면은 그 사이즈가 홈 서버(100)의 터치 스크린의 사이즈에 비해 상당히 작으므로, 홈 서버(100)가 제공한 주택 평면도를 한 화면으로 나타내는 것이 어려우며, 한 화면으로 나타내더라도 육안으로 보기 불편한 정도가 된다. 그러므로, 홈 서버(100)는 부분 확대 기능 을 정보 단말기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 영역을 확대시켜 볼 수 있게 한다. 다른 일 예로서 홈 서버(100)는 주택 평면도를 생활영역별로 나누어 화면에 표시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V).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부통신장치(200)는 댁내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 또는 창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댁내에 설치된 적외선 장치, 차량에 설치된 도난경보 장치 등과 같은 보안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내부통신장치(200)는 보안장치에 의해 외부인 침입이 감지되면, 보안장치로부터 외부침입 감지 정보 즉, 경고 이벤트를 제공받는다. 이에 따라 내부통신장치(200)는 식별코드에 경고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홈 서버(100)에 제공한다. 상기 경고 이벤트는 식별코드의 동작 상태 정보에 의해 표현된다. 또한, 상태정보는 새로운 창에 미리 입력된 사진이나 카메라로 연동해서 볼 수 있다.
따라서, 홈 서버(100)는 경고 이벤트를 파악하면,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된 보안장치의 아이콘을 사용자가 경고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게 표시하거나, 경고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 창을 터치 스크린(110) 상에 표시하거나, 또는 보안장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생활영역 전체를 경고 이벤트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표시한다. 더불어, 홈 서버(100)는 외부의 정보 단말기에 주택 평면도 및 아이콘 정보를 제공할 때 보안장치의 감시 결과를 아이콘으로 표시 또는, 텍스트 정보로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당업자라면 상기 내부통신장치를 차량의 ECU(Engine Control Unit)에 연결시켜 홈 서버(100)의 터치 스크린(100)을 통해 시동, 윈도우 개폐 등을 제 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VI). 홈 서버(100)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외부의 정보 단말기에게 신세대 가전기기의 제품정보코드를 가전기기의 종류에 부합되도록 제공하여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댁내에 설치된 신세대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VII). 본 발명의 식별코드에는 굳이 가전기기의 종류 코드가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식별코드에 포함된 가전기기의 종류 코드는 설계자에 의해 미리 부여된 코드로서, 홈 서버(100)가 장착된 가전기기의 종류를 판별하여 해당 가전기기의 아이콘을 자동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내부통신장치(200)에서 가전기기의 종류 코드를 제외한 고유코드와 상태 코드를 발생시키고, 홈 서버(100)가 이를 파악하면 새로운 가전기기가 설치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 사용자가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으로 홈 서버(100)가 해당 가전기기의 종류를 파악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홈 서버(100)는 사용자가 가전기기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설치하고 주택 평면도상에 위치시키게 되면,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영역 정보 테이블 및 가전기기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술한 경고 상태 즉, 내부통신장치(200)가 오작동하거나 설치된 가전기기가 제거되는 등의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가전기기 정보 테이블의 식별코드로서 충분히 어떤 가전기기에 대하여 경고 상태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본 발명은 홈 서버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가전기기들의 실제 설치 위치를 표시한 주택 평면도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주택 평면도를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실제 가전기기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댁내 가전기기들을 원격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원격 조정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홈 서버의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주택 평면도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여, 외부에서도 주택 평면도 정보를 통해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제어 또한 댁내 터치 스크린 상과 같은 정보를 최소한의 데이터로 똑같은 정보를 공유하여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댁내에 설치된 각 가전기기, 상기 가전기기들에 대한 고유의 식별코드를 발생하는 다수의 내부통신장치,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홈 서버와, 상기 홈 서버에 연결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주택 평면도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주택 평면도의 각 생활영역에 대한 영역정보 테이블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제1 단계;
    상기 다수의 내부통신장치로부터 수집한 식별코드를 저장된 장치정보 테이블에 대비하여 각 가전기기에 대한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자동 생성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제2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아이콘을 사용자가 위치 이동시키면, 상기 아이콘이 안착된 해당 영역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한 영역 정보를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과 매칭시키는 제3 단계;
    사용자가 상기 주택 평면도의 해당 아이콘을 터치하면, 터치한 아이콘의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를 파악하고, 파악한 아이콘의 좌표를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과 대비시켜 해당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식별한 해당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2. 댁내에 설치된 각 가전기기, 상기 가전기기들에 대한 고유의 식별코드를 발생하는 다수의 내부통신장치,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홈 서버와, 상기 홈 서버에 연결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주택 평면도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주택 평면도의 각 생활영역에 대한 영역정보 테이블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제1 단계;
    상기 다수의 내부통신장치로부터 수집한 식별코드를 저장된 장치정보 테이블에 대비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의 대비를 통해 기 저장된 식별코드에 대해서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의 레코드에 따라 해당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단계의 대비를 통해 새로운 식별코드에 대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새로운 식별코드에 상응하는 아이콘이 결정되도록 하는 아이콘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 이후에,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 선택 서비스를 통해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아이콘이 나타내는 가전기기의 종류와 상기 아이콘이 위치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를 판단하는 제5 단계;
    상기 아이콘의 좌표를 포함하는 영역코드를 상기 영역정보 테이블을 통해 파악하여, 파악한 영역정보와 상기 아이콘의 좌표, 가전기기의 종류, 상기 새로운 식별코드에 포함된 고유코드를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에 추가하는 제6 단계;
    사용자가 상기 주택 평면도의 해당 아이콘을 터치하면, 터치한 아이콘의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를 파악하고, 파악한 아이콘의 좌표를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과 대비시켜 해당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식별한 해당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통신장치에서 발생된 식별코드는 가전기기의 종류 정보, 가전기기의 동작상태 정보 및 해당 가전기기에 부여된 고유코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통신장치에서 발생된 식별코드는 가전기기의 동작상태 정보 및 해당 가전기기에 부여된 고유코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정보 테이블은 각 생활영역에 대한 영역코드, 영역명, 영역 범위를 나타내는 좌표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은 가전기기의 고유코드, 가전기기의 제품명,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 해당 아이콘이 상기 주택 평면도상에 위치하는 지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아이콘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영역정보 테이블의 상기 영역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기 설정된 주택 평면도를 제공하며, 이때 상기 영역정보 테이블에는 상기 주택 평면도의 각 생활영역에 대한 영역정보가 설정 정보로 저장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그리기 작업 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그리기 작업 툴을 통해 직접 주택 평면도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상기 영역정 보 테이블은 사용자가 상기 그리기 작업 툴로 주택 평면도의 생활영역이 구획할 때마다 구획된 생활영역에 대한 영역코드를 부여하고 영역범위를 파악하며, 사용자로부터 해당 생활영역의 영역명을 제공받아 작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이미 공개된 주택 평면도 정보들을 보유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택 평면도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화면 출력하고, 상기 화면 출력한 주택 평면도의 각 생활영역의 범위를 사용자가 지정하도록 요구하며, 이때, 상기 영역정보 테이블은 사용자가 상기 주택 평면도의 각 생활영역의 범위를 지정하면 상기 지정한 생활영역의 범위를 판단하고 해당 영역코드를 부여하며,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영역명으로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내부통신장치의 상기 식별코드를 일정 주기 시간마다 발생됨에 따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수집한 식별코드의 정보를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에 대비하여 새로운 식별코드가 수집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정보에 따라 기 설치된 가전기기에 대한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새로운 식별코드가 있을 경우에, 상기 새로운 식별코드로부터 판단되는 가전기기의 종류와 동작 상태를 반영한 제1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주택 평면도 외의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으로 위치 이동시키면, 위치 이동된 상기 제1 아이콘이 안착된 지점의 좌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제1 아이콘의 좌표를 상기 영역정보 테이블에 대비하여 상기 제1 아이콘의 좌표를 포함하는 상기 영역코드를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한 영역 코드와, 상기 제1 아이콘의 좌표, 제1 아이콘이 나타내는 가전기기의 종류 및 동작 상태와, 가전기기의 고유코드를 새로 설치된 가전기기의 레코 드로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에 추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된 아이콘들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 즉, 제2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주택 평면도 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 아이콘이 안착된 지점의 좌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제2 아이콘의 좌표를 상기 영역정보 테이블에 대비하여 상기 제2 아이콘의 좌표를 포함하는 상기 영역코드를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한 영역 코드와, 상기 제2 아이콘의 좌표로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에 저장된 상기 제2 아이콘이 나타내는 가전기기의 레코드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의 아이콘 선택 서비스는 가전기기 종류별 아이콘이 표시된 아이콘 선택창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여, 표시된 다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선택 서비스는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 선택창을 통해 선택한 아이콘을 사용자 요구에 따라 상기 주택 평면도 이외의 터치 스크린 상에 이동시킨 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주택 평면도 상에 위치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15. 제13항3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선택 서비스는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 선택창을 통해 선택한 아이콘을 사용자 요구에 따라 상기 주택 평면도 상에 바로 위치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16. 제2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아이콘을 사용자가 위치 이동시키면, 상기 아이콘이 안착된 지점의 좌표를 파악하고, 파악한 좌표를 포함하는 영역 코드를 상기 영역정보 테이블로부터 찾아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의 해당 레코드를 갱신하는 제8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1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중 보안장치가 경고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상기 보안장치에 연결된 상기 내부통신장치의 식별코드로부터 경고 이벤트를 파악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경고 이벤트를 표시하는 보안경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경고 단계는
    상기 보안장치에 연결된 상기 내부통신장치의 식별코드로부터 경고 이벤트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경고 이벤트에 따라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보안장치의 아이콘을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파악한 보안장치의 아이콘을 사용자가 경고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경고 단계는
    상기 보안장치에 연결된 상기 내부통신장치의 식별코드로부터 경고 이벤트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경고 이벤트에 따라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과 상기 영역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보안장치가 설치된 생활영역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에서 파악한 생활영역을 사용자가 경고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경고 단계는
    상기 경고 이벤트를 알리는 경고 창을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21.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버에 인터넷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홈 서버를 인터넷에 연결시켜 인터넷 서버로 동작하게 하는 단계,
    인터넷을 통해 상기 홈 서버에 접속한 외부 정보 단말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외부 정보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 외부 정보 단말기가 처리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아이콘이 표시된 상기 주택 평면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정보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전기기의 각 상태를 미리 설정해둔 사진이나 기 설치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제어대상의 상태를 서브 창에 디스플레이시켜 사용자가 상기 제어대상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23. 컴퓨터에,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주택 평면도를 홈 서버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주택 평면도의 각 생활영역에 대한 영역정보 테이블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제1 단계;
    댁내 설치된 각 가전기기의 내부통신장치로부터 수집한 식별코드를 저장된 장치정보 테이블에 대비하여 각 가전기기에 대한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자동 생성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제2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아이콘을 사용자가 위치 이동시키면, 상기 아이콘이 안착된 해당 영역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한 영역 정보를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과 매칭시키는 제3 단계;
    사용자가 상기 주택 평면도의 해당 아이콘을 터치하면, 터치한 아이콘의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를 파악하고, 파악한 아이콘의 좌표를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과 대비시켜 해당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식별한 해당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5 단계를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
  24. 컴퓨터에,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주택 평면도를 홈 서버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주택 평면도의 각 생활영역에 대한 영역정보 테이블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제1 단계;
    댁내 설치된 각 가전기기의 내부통신장치로부터 수집한 식별코드를 저장된 장치정보 테이블에 대비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의 대비를 통해 기 저장된 식별코드에 대해서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의 레코드에 따라 해당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단계의 대비를 통해 새로운 식별코드에 대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새로운 식별코드에 상응하는 아이콘이 결정되도록 하는 아이콘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 이후에,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 선택 서비스를 통해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아이콘이 나타내는 가전기기의 종류와 상기 아이콘이 위치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를 판단하는 제5 단계;
    상기 아이콘의 좌표를 포함하는 영역코드를 상기 영역정보 테이블을 통해 파악하여, 파악한 영역정보와 상기 아이콘의 좌표, 가전기기의 종류, 상기 새로운 식별코드에 포함된 고유코드를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에 추가하는 제6 단계;
    사용자가 상기 주택 평면도의 해당 아이콘을 터치하면, 터치한 아이콘의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를 파악하고, 파악한 아이콘의 좌표를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과 대비시켜 해당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식별한 해당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8 단계를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40008544A 2003-02-11 2004-02-10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KR100575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614 2003-02-11
KR20030008614 2003-0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324A KR20040073324A (ko) 2004-08-19
KR100575447B1 true KR100575447B1 (ko) 2006-05-03

Family

ID=3736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544A KR100575447B1 (ko) 2003-02-11 2004-02-10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4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416B1 (ko) * 2008-10-23 2011-03-15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터치형 모니터를 이용한 인텔리전트 주방 시스템
KR101397453B1 (ko) 2013-12-24 2014-05-20 렉스젠(주)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0156B1 (ko) * 2016-02-23 2017-08-23 주식회사 네비웍스 사물인터넷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24228A (ko) 2017-08-31 2019-03-0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실시간 실내 영상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158B1 (ko) * 2004-12-20 2007-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홈 네트워크의 홈 맵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 방법
KR100912367B1 (ko) * 2007-09-19 2009-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의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895971B2 (en) * 2017-05-12 2021-01-19 Irobot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pping, controlling, and displaying device status
KR102584588B1 (ko) * 2019-01-21 2023-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12311633B (zh) * 2019-07-31 2024-02-0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配网控制方法、配网控制装置、家电设备和存储介质
CN114740749A (zh) * 2022-05-24 2022-07-12 广东顺德胜上智能家居有限公司 智能家居控制系统
CN117812655A (zh) * 2022-09-30 2024-04-02 华为技术有限公司 设备的接入切换方法及电子设备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416B1 (ko) * 2008-10-23 2011-03-15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터치형 모니터를 이용한 인텔리전트 주방 시스템
KR101397453B1 (ko) 2013-12-24 2014-05-20 렉스젠(주)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0156B1 (ko) * 2016-02-23 2017-08-23 주식회사 네비웍스 사물인터넷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24228A (ko) 2017-08-31 2019-03-0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실시간 실내 영상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US10742440B2 (en) 2017-08-31 2020-08-11 Hanwha Techwin Co., Ltd.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device using real-time indoor image
KR20220079807A (ko) 2017-08-31 2022-06-1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실시간 실내 영상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US11444799B2 (en) 2017-08-31 2022-09-13 Hanwha Techwin Co., Ltd.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device using real-time indoor image
US11671275B2 (en) 2017-08-31 2023-06-06 Hanwha Techwin Co., Ltd.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device using real-time indoor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324A (ko) 200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7726B2 (en) Arrangement for manag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10404483B2 (en)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2959707C (en) Home automation control using context sensitive menus
US1006766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958902B1 (ko) 전자기기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EP29084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issioning wireless building system devices
CN102194306B (zh) 控制由与建筑物相联系的多个家用自动装备项目构成的设施的方法及可编程遥控器
US859498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template model view generation for home monitoring and control
US2015026142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P2839679B1 (en) Configuration interface for a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CN109413515B (zh) 设备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服务器
JP4612619B2 (ja) デバイス対応付け設定方法、自動デバイス設定システム、記録媒体
KR100575447B1 (ko)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US9524174B2 (en) Configuration assistant for a control system within an operational environment
EP320046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70322699A1 (en)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2290606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機器の選択方法
JP2017199962A (ja) 機器制御システム、管理装置、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2291039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機器の選択方法
CN114826805A (zh) 计算机可读存储介质、移动终端、智能家居控制方法
JP2003235086A (ja) 遠隔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245481B1 (ja) 機器管理システム、モバイル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91738B1 (ko)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JP2023005074A (ja) 登録作業支援方法、及び、登録作業支援システム
KR101729845B1 (ko)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