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749B1 -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구조 - Google Patents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749B1
KR100672749B1 KR1020060085389A KR20060085389A KR100672749B1 KR 100672749 B1 KR100672749 B1 KR 100672749B1 KR 1020060085389 A KR1020060085389 A KR 1020060085389A KR 20060085389 A KR20060085389 A KR 20060085389A KR 100672749 B1 KR100672749 B1 KR 100672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fixed
rod
hole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기
Original Assignee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5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12Special features of strain ins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 하 송전선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상간 스페이스의 애자에 통풍구를 형성하여 바람의 간섭을 줄이고, 애자가 회전하게 하여 바람이 불더라도 애자의 회전에 의해 바람의 영향이 줄어들게 하는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며,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원형의 봉상으로 형성된 절연중심봉(40); 곡면부(22)가 형성된 애자체(21)의 중앙에 형성된 홀(25) 내부에 부시(26)가 끼워져 고정되고, 애자체(21)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통풍구(23)가 상하를 관통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애자체(21) 상면에 다수개의 날개(24)가 형성되고, 부시(26)의 내부로 절연중심봉(40)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통풍애자(20); 오일이 함침된 절연체의 중앙에 중심홀(31)이 형성되고, 절연중심봉(40)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통풍애자(20) 사이사이에 위치하는 오일리스 절연베어링(30); 원통형몸체(51)에 상하를 관통하는 봉홀(52)이 형성되고, 원통형몸체(51)의 상면에 봉홀(52) 둘레로 다수개의 볼트홀(53)이 형성되며, 원통형몸체(51) 둘레 벽면에 고정볼트홀(54)이 봉홀(52)까지 관통되고, 절연중심봉(40)의 상하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원통체(50); 고정원통체(50) 상면에 볼트로 고정되는 원판 형태의 고정판(63)을 갖고, 고정판(63)에 연결봉(62) 일단이 고정되며, 연결봉(62)의 타단에 클램프(61)가 고정되고, 클램프(61)의 전선홀(64)에 송전선(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클램프(60)로 구성된 것이다.
송전선, 송전철탑, 애자, 상간 스페이스

Description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 구조{Structure of space using transmission tow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 구조의 회전애자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 구조의 통풍애자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송전선 10 : 회전애자체
20 : 통풍애자 21 : 애자체
22 : 곡면부 23 : 통풍구
24 : 날개 25 : 홀
26 : 부시 30 : 오일리스 절연베어링
31 : 중심홀 40 : 절연중심봉
50 : 고정원통체 51 : 원통형몸체
52 : 봉홀 53 : 볼트홀
54 : 고정볼트홀 55 : 고정볼트
60 : 고정클램프 61 : 클램프
62 : 연결봉 63 : 고정판
64 : 전선홀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 하 송전선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상간 스페이스의 애자에 통풍구를 형성하여 바람의 간섭을 줄이고, 애자가 회전하게 하여 바람이 불더라도 애자의 회전에 의해 바람의 영향이 줄어들게 하는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선의 지지물로 사용되는 철탑의 형태는 선로(線路)의 송전전력 ·전압 ·지형 등에 따라 다르며, 높이는 60m나 되는 것도 있고, 주재료는 단면 이 L형인 강재(鋼材)이다. 수평단면이 정사각형인 것이 많고, 따라서 기초도 정사각형의 정점(頂點)에 콘크리트로 굳혀서 만든다.
송전선의 철탑은 보통 3상 2회선, 즉 6개의 전선을 애자(碍子)로 지지하고 있다. 철탑 사이의 거리는 20~30 m이고, 철탑에 가설한 전선의 지표(地表)로부터의 최저 높이는 전기 설비 기술에 의해 정해져 있으며, 예를 들면 15만 V의 선로일 경우는 6 m이다.
보통 선로가 넓은 강이나 깊은 계곡을 건널 경우에는 경간이 길고, 따라서 전선의 장력이 커지므로 특히 강한 구조가 필요하다.
송전선일지라도 규모가 작은 것, 또는 배전선이나 전화선의 지지물로서 단일기초(單一基礎) 위에 세우는 철주가 있다.
이러한 송전선로용 철탑은 상호 간에 다수의 송전선을 연결하고 있으며, 이러한 송전선들은 고공에 설치되는 특성상 바람이나 눈 비등의 기후적인 영향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진동 혹은 진폭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하에 설치된다. 송전철탑은 산중이나 주위에 바람을 막을 만한 곳이 없는 곳에 설치되고, 송전철탑의 높이가 높아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특히, 강한 바람이 불 경우 상기 송전선들이 상,하로 심하게 흔들려서 상호간에 마찰을 빗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것은 합선이나 단전 유발등 대형 안전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송전선의 일정간격마다 구형상의 웨이트, 즉 무게 추를 설치하여 기후의 영향으로 송전선이 흔들리는 것을 방 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설치의 간편함을 기대할 수 있는 것임에는 분명하나 이는 언급한 바와 같이 단순히 송전선마다 개별적으로 웨이트를 매달아 구성함에 따라 송전선 상호간의 상,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송전선들에 연결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 사이에 연결 지지되는 봉체와, 상기 봉체에 부착되는 절연관 및 다수개의 애자들로 구성된 상간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송전선들 간의 부딪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발명은 실사용 시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첫째로 상하 전선의 전압차에 의한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애자의 외형 구조상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도록 설계되어 있어 심한 흔들림 현상을 초래하였다. 즉 바람과 애자가 심한 저항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둘째로 다소 고하중의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어 송전선의 장력 변화를 초래하여 송전선의 늘어짐 현상을 야기하는 문제점 있었다.
특히 애자가 바람에 간섭을 받아 송전선이 과다하게 흔들려 많은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송전철탑의 송전선 사이에 설치하는 상간 스페이스가 바람의 간섭을 받아 심하게 흔들 리게 되어 다른 전선과 접촉하게 되거나 다른 전선과의 방전거리 내로 들어가 방전을 일으키지 못하게 하도록 애자에 바람이 통하는 통풍구를 설치하고, 애자체가 바람의 영향을 받을때 회전하면서 바람의 간섭을 줄이게 한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원형의 봉상으로 형성된 절연중심봉; 곡면부가 형성된 애자체의 중앙에 형성된 홀 내부에 부시가 끼워져 고정되고, 애자체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통풍구가 상하를 관통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애자체 상면에 다수개의 날개가 형성되고, 부시의 내부로 절연중심봉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통풍애자; 오일이 함침된 절연체의 중앙에 중심홀이 형성되고, 절연중심봉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통풍애자 사이사이에 위치하는 오일리스 절연베어링; 원통형몸체에 상하를 관통하는 봉홀이 형성되고, 원통형몸체의 상면에 봉홀 둘레로 다수개의 볼트홀이 형성되며, 원통형몸체 둘레 벽면에 고정볼트홀이 봉홀까지 관통되고, 절연중심봉의 상하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원통체; 고정원통체 상면에 볼트로 고정되는 원판 형태의 고정판을 갖고, 고정판에 연결봉 일단이 고정되며, 연결봉의 타단에 클램프가 고정되고, 클램프의 전선홀에 송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클램프로 구성하여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송전선 사이에 상간 스페이스를 설치하되, 송전선(1)이 고정되는 고정클램프(60) 사이에 회전애자체(10)가 고정되어 이루어지고, 회전애자체(10)는 다수개의 통풍애자(20)와 오일리스 절연베어링(30)이 절연중심봉(40)에 끼워져 이루어지고, 통풍애자(20)는 애자체(21)에 통풍구(23)가 형성되어 바람이 통과할 수 있게 하며, 애자체(21) 상면에 날개(24)가 형성되어 바람을 맞으면 회전할 수 있게 하여 풍압이 해소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회전애자체(10)는 다수개의 통풍애자(20)가 오일리스 절연베어링(30)을 사이에 두고 절연중심봉(40)에 끼워지고, 상하단에 고정원통체(50)가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회전애자체(10)를 이루는 통풍애자(20)는 곡면부(22)가 형성된 애자체(21)의 중앙에 홀(25)이 형성되어 홀(25) 내부에 부시(26)가 끼워져 고정되고, 애자체(21)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통풍구(23)가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통풍구(23)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들어온 바람이 외측으로 빠져나가기 용이하게 형성된다.
통풍애자(20)의 애자체(21) 상면에 다수개의 날개(24)가 형성되고, 날개(24)는 통풍구(23)의 사이 사이에 형성된다. 날개(24)는 애자체(21) 상면에 유선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날개(24)에 바람이 부딪치면 통풍애자(20)를 회전시킨다.
통풍애자(20)의 홀(25)에 끼워지는 부시(26)의 내부로 절연중심봉(40)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오일리스 절연베어링(30)은 절연물질에 오일이 함침되어 오일이 필요없는 베어링으로서, 중앙에 중심홀(31)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통풍애자(20) 사이에 위치하여 절연중심봉(40)에 끼워진다.
절연중심봉(40)은 절연체를 원형의 봉상으로 형성하여 그 양단이 고정원통체(50)에 고정된다.
고정원통체(50)는 원통형몸체(51)에 상하를 관통하는 봉홀(5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원통형몸체(51)의 상면에 형성된 봉홀(52) 둘레로 다수개의 볼트홀(53)이 형성되어 고정클램프(60)의 고정판(63)이 고정된다.
그리고 원통형몸체(51) 둘레 벽면에 고정볼트홀(54)이 봉홀(52)까지 관통되어 수평으로 형성되고, 고정원통체(50)는 절연중심봉(40)에 통풍애자(20)와 오일리스 절연베어링(30)이 순차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단에 끼워져 고정된다. 고정볼트홀(54)을 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의 단부는 끼워진 절연중심봉(40)을 압박하여 고정하게 된다.
고정클램프(60)는 원판 형태의 고정판(63)이 고정원통체(50) 상면에 볼트로 고정되고, 고정판(63)에 연결봉(62) 일단이 고정되며, 연결봉(62)의 타단에 클램 프(61)가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클램프(61)는 두개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몸체에 반원형 홈이 형성되어 하나로 합쳐졌을 때 전선홀(64)이 된다. 이 전선홀(64)에 송전선(1)이 고정되어 고정클램프(60)가 지지되고, 고정클램프(60)가 고정되는 회전앵커체(10)가 고정된다.
따라서 통풍애자(20)는 절연중심봉(40)을 중심으로 바람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통풍구(23)를 통해 바람이 통과하게 되므로 풍압에 의한 간섭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하여 심하게 간섭받는 송전철탑 송전선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상간 스페이스에 있어서, 바람이 상간 스페이스의 회전애자체에 불게 되면, 회전애자체의 통풍애자에 형성된 통풍구를 통해 바람이 빠져나가게 되어 풍압이 해소되어 송전선의 흔들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풍애자에 바람이 불었을 때 날개에 의해 통풍애자가 회전하면서 풍압이 해소되어 송전선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통풍애자와 중심절연봉, 오일리스절연베어링이 모두 절연체로 이루어져 상하 송전선간의 전압차에 의한 방전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오일리스 절연베어링은 절연체 자체에 오일이 함침되어 있어 오일이 필요없이 통풍애자가 회전하는 것을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원형의 봉상으로 형성된 절연중심봉(40);
    곡면부(22)가 형성된 애자체(21)의 중앙에 형성된 홀(25) 내부에 부시(26)가 끼워져 고정되고, 애자체(21)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통풍구(23)가 상하를 관통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애자체(21) 상면에 다수개의 날개(24)가 형성되고, 부시(26)의 내부로 절연중심봉(40)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통풍애자(20);
    오일이 함침된 절연체의 중앙에 중심홀(31)이 형성되고, 절연중심봉(40)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통풍애자(20) 사이사이에 위치하는 오일리스 절연베어링(30);
    원통형몸체(51)에 상하를 관통하는 봉홀(52)이 형성되고, 원통형몸체(51)의 상면에 봉홀(52) 둘레로 다수개의 볼트홀(53)이 형성되며, 원통형몸체(51) 둘레 벽면에 고정볼트홀(54)이 봉홀(52)까지 관통되고, 절연중심봉(40)의 상하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원통체(50);
    고정원통체(50) 상면에 볼트로 고정되는 원판 형태의 고정판(63)을 갖고, 고정판(63)에 연결봉(62) 일단이 고정되며, 연결봉(62)의 타단에 클램프(61)가 고정되고, 클램프(61)의 전선홀(64)에 송전선(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클램프(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 구조.
KR1020060085389A 2006-09-05 2006-09-05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구조 KR100672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389A KR100672749B1 (ko) 2006-09-05 2006-09-05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389A KR100672749B1 (ko) 2006-09-05 2006-09-05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2749B1 true KR100672749B1 (ko) 2007-01-24

Family

ID=3801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389A KR100672749B1 (ko) 2006-09-05 2006-09-05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7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742B1 (ko) 2008-04-25 2008-11-13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전선의 파손을 방지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KR101234259B1 (ko) * 2012-05-15 2013-02-18 (주)일광종합기술단 송·배전용 철탑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
KR101810407B1 (ko) * 2017-05-15 2017-12-20 남도전기공업(주) 풀림방지 및 서지 전압 접지(Gronding)유도 구조를 갖는 절연애자용 상단 금구 취부구조
CN114883068A (zh) * 2022-04-19 2022-08-09 潘银辉 一种高压输电用方便缠绕安装的陶瓷绝缘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507Y1 (ko) * 2005-05-13 2005-08-03 송홍준 송전선용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
KR100514720B1 (ko) * 2005-02-07 2005-09-1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720B1 (ko) * 2005-02-07 2005-09-1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200391507Y1 (ko) * 2005-05-13 2005-08-03 송홍준 송전선용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742B1 (ko) 2008-04-25 2008-11-13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전선의 파손을 방지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KR101234259B1 (ko) * 2012-05-15 2013-02-18 (주)일광종합기술단 송·배전용 철탑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
KR101810407B1 (ko) * 2017-05-15 2017-12-20 남도전기공업(주) 풀림방지 및 서지 전압 접지(Gronding)유도 구조를 갖는 절연애자용 상단 금구 취부구조
CN114883068A (zh) * 2022-04-19 2022-08-09 潘银辉 一种高压输电用方便缠绕安装的陶瓷绝缘子
CN114883068B (zh) * 2022-04-19 2024-05-17 湖南省醴陵市黄沙电瓷电器有限公司 一种高压输电用方便缠绕安装的陶瓷绝缘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199B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
KR100899184B1 (ko) 송전가공 선로형 상간 스페이서
KR100672749B1 (ko)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구조
CA1181474A (en) Transmission line composite beam suspension assembly
EP2471153B1 (en) Lightning protection system
KR100514720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1304907B1 (ko) 케이블 보호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
US3439107A (en) Electrical transmission tower of arch shape
CN209823356U (zh) 一种导线可旋转的悬垂线夹
US3916083A (en) Method for suppressing galloping in electric transmission line conductors and conductor for effecting same
US3159709A (en) Cross catenary guy strain insulator construction
KR100228418B1 (ko) 스페이서 댐퍼
CN109741888B (zh) 一种防止灰尘堆积的绝缘子
KR100861132B1 (ko) 송,배전선의 스페이서
CA2385741C (en) Cross arm formed of insulator
Nielsen Analysis and design of masts and towers
KR100815122B1 (ko)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CN201278448Y (zh) 一种驱鸟器
KR100513969B1 (ko)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
CN103325499B (zh) 旋转式三防绝缘子
CN214273136U (zh) 一种绝缘横担
US1002051A (en) Signaling by electromagnetic waves.
CN219794860U (zh) 一种横担组件及输电塔
CN209823364U (zh) 一种弱转动阻力的防振锤的回转线夹
CN210685562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煤码头岸线送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