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259B1 - 송·배전용 철탑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 - Google Patents

송·배전용 철탑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259B1
KR101234259B1 KR1020120051670A KR20120051670A KR101234259B1 KR 101234259 B1 KR101234259 B1 KR 101234259B1 KR 1020120051670 A KR1020120051670 A KR 1020120051670A KR 20120051670 A KR20120051670 A KR 20120051670A KR 101234259 B1 KR101234259 B1 KR 10123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support rod
support
coupled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순희
Original Assignee
(주)일광종합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광종합기술단 filed Critical (주)일광종합기술단
Priority to KR1020120051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6Lead-in insulators; Lead-through insulators
    • H01B17/30Sea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4Chains; Multiple ch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01B17/10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by intermediate l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surfaces specially treated for preserving insulating properties, e.g. for protection against moisture, dirt,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배전용 철탑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애자에 해당되는 애자몸체를 연이어 연결시켜 필요한 길이만큼 선택적으로 그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도록 서로 길이가 다른 애자몸체 지지용 지지봉을 제공하고,
또 종래의 금구에 해당하는 지지봉이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나사선(A)을 제외한 나머지에 고강도의 피복측을 갖도록하면, 지지봉(11)이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애자몸체와 애자몸체의 사이에 실링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애자(10)의 애자몸체(8)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양끝에 나사선(A)이 형성된 지지봉(11)이 관통되는 관통공(12)과, 상기 복수의 애자몸체(8)에 형성한 관통공(12)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애자몸체(8)를 삽입시킨 지지봉(11)과, 상기 지지봉(11)의 선단에 케이블 연결되는 연결부(13)를 갖는 몸체(14)를 갖되, 상기 몸체(14) 후방에 상기 지지봉(11)선단이 나사선(A)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봉(11)이 결합하는 나선홈(16)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11)후방은 철탑에 지지되는 지지부재(17)를 갖는 몸체부(18)을 갖되 상기 지지봉(11)후방에 형성한 나사선(A)이 결합되는 나선홈(19)을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배전용 철탑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Suspension insulator for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pylon}
본 발명은 송·배전용 철탑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애자에 해당되는 애자몸체를 연이어 연결시켜 필요한 길이만큼 선택적으로 그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도록 서로 길이가 다른 애자몸체 지지용 지지봉을 제공하고, 또 종래의 금구에 해당하는 지지봉이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나사선(A)을 제외한 나머지에 고강도의 피복측을 갖도록하면, 지지봉(11)이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애자몸체와 애자몸체의 사이에 실링처리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 애자는 초고압 송전선로, 특고압 배전선로, 전차선로, 저압 배전가공전선로 등에 설치되어 전선을 전주에 연결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 및 절연을 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전기 기자재 중의 하나이다. 이처럼 특별고압전선과 같은 전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여야 함은 물론 절연성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현수 애자는 높은 인장강도와 함께 양호한 절연성이 요구되어진다.
이에 종래의 현수 애자는 절연체로 자기재를 사용하였으나, 자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자기 재질의 특성상 자체 중량이 무겁고, 설치 및 보수 작업시에 기계 및 전기적 충격에 쉽게 깨지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제작과 유지 및 취급 등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봉(FRP rod; fiber glass-reinforced plastic rod)과 같은 심봉에 고분자합성고무를 씌운 폴리머 현수애자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런 종래의 배전용 폴리머 현수 애자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FRP) 재질로 형성되는 심봉과, 상기 심봉의 양단부를 제외한 전체부위를 감싸면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애자날개를 갖도록 형성된 고분자합성고무로 이루어진 외피 및 상기 외피의 양단부와 심봉의 양단부에 결합 설치되는 두개의 금속연결구(이하 "금구"라 한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폴리머 현수 애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제작되고 있으며, 특히, 상기 금구의 형상에 따라 볼 소켓형 현수 애자와 크레비스형 현수 애자로 구분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작되는 종래의 배전용 폴리머 현수 애자는 응고시 수축되는 고분자합성고무로 이루어진 외피의 양단부위에 금구가 접착제를 통해 압착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 중에 접착제가 노화되거나 경화되면 외피와 금구의 연결부위에 틈이 형성될 우려가 높았다. 즉, 현수 애자는 항상 심한 전기적 응력(electrical stress)을 받으며, 특히 강우시나 오염된 대기환경 속에서는 지속적으로 방전하여 일차적으로 실링재가 침식되고, 그 결과 심봉과 금구 사이의 틈새로 수분이 침투하여 열적 팽창과 수축 및 심봉의 이차적인 침식에 의하여 심봉과 금구가 분리되는 문제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틈을 통해 외부로부터 습기가 침투해서 상기 심봉과 외피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반대편의 금구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두개의 금구의 사이의 절연이 파괴되어 통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 길이가 길어 보관과 이동에 불편하고, 습기가 금구의 내부를 부식시켜 강도를 약화시킴에 따라 특별고압전선의 인장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상기 금구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애자몸체(8)를 연이어 연결시켜 필요한 길이만큼 선택적으로 그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도록 서로 길이가 다른 애자몸체 지지용 지지봉을 제공하고,
또 종래의 금구에 해당하는 지지봉이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나사선(A)을 제외한 나머지에 고강도의 피복측을 갖는 구성을 더 제공한다.
또 더 나가, 지지봉(11)이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애자몸체와 애자몸체의 사이를 실링처리 하는 구성을 더 포함한 과제이다.
애자날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돌출부(4)와 삽입홈(6)을 형성한 애자몸체(8)를 연이여 연결시켜 조립한 복수의 애자몸체(8) 전방에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13)을 갖도록 하고 후방은 철탑에 연결되는 지지부재(17)을 갖는 애자(10)에 있어서,
상기 애자(10)의 애자몸체(8)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양끝에 나사선(A)이 형성된 지지봉(11)이 관통되도록 형성한 관통공(12)과, 상기 관통공(12)에 삽입되어 상기 애자몸체(8)를 복수(複數) 삽입시킨 지지봉(11)과, 상기 지지봉(11)의 선단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13)를 갖는 몸체(14)가 결합되되, 상기 몸체(14) 후방에 상기 지지봉(11)선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봉(11)의 나사선(A)이 결합하는 나선홈(16)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11)후방은 철탑에 지지되는 지지부재(17)를 갖는 몸체부(18)가 결합되되, 상기 몸체부(18)은 상기 지지봉(11)후방에 형성한 나사선(A)이 결합되는 나선홈(19)을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봉(11)의 나사선(A)과 결합된 몸체(14)와 몸체부(18)가 상기 지지봉(11)의 나사선과 별도의 조임도구를 이용해 조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4)와 몸체부(18)의 원주연에 별도의 조임도구의 일측이 착탈가능한 착탈홈(20)이 복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봉(11)은 애자몸체(8)의 수량만큼 애자의 길이가 달라지므로 그 달라진 길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지봉(11)을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11)은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지지봉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애자몸체(8)를 연이어 연결시켜 필요한 길이만큼 선택적으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길이가 다른 애자몸체 지지용 지지봉을 제공하함으로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또 하나의 지지봉을 이용하여 조립식 애자를 완성하므로 견고하다.
또 종래의 금구에 해당하는 지지봉이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나사선(A)을 제외한 나머지에 고강도의 피복측을 갖도록 함으로서 지지봉을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 지지봉이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애자몸체와 애자몸체의 사이를 실링처리함으로서 습기가 유입되지 않아 수명이 연장된다.
더욱 상세한 효과는 이어지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살펴보기 바란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송·배전용 철탑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의 애자몸체 사시도로서
가)는 평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나)는 저면을 본 사시도,
제 2도는 송·배전용 철탑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의 사시도,
제 3도는 송·배전용 철탑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의 사시도로서 애자몸체를 절개한 설명도,
제 4도는 송·배전용 철탑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의 분해 사시도,
제 5도는 송·배전용 철탑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의 지지봉을 나타낸 사시도,
제 6도는 송·배전용 철탑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를 조임도구를 이용해 조임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FRP)으로 성형가능하고, 애자날개(3) 전방에 복수의 애자몸체(8) 후방과 연이어 연결되도록 돌출부(4)가 있고, 상기 애자날개(3) 후방에 복수의 애자몸체(8)의 전방에 돌출된 돌출부(4)가 삽입되도록 형성한 삽입홈(6)을 형성시켰다.
그 후 상기 돌출부(4)를 상기 삽입홈(6)에 끼워지는 방법으로 복수의 애자몸체(8)을 연이여 연결시켜 애자(10)를 완성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애자몸체(8)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양끝에 나사선(A)이 형성된 지지봉(11)이 관통되는 관통공(12)을 형성한다.
그리고, 지지봉(11)에 복수의 애자몸체(8)을 끼운다. 그 끼움은 관통공(12)을 이용한다.
상기 지지봉(11)의 선단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13)를 갖는 몸체(14)를
연결하여 고정한다.
그 연결과 고정은, 지지봉(11)에 형성한 나사선(A)과 몸체(14)에 형성한 나선홈(16)의 나선과 결합한다.
그리고 지지봉(11)후방은 상기 지지봉(11)후방에 형성한 나사선(A)과 몸체부(18)의 나선홈(19)에 형성한 나선과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애자몸체(8)를 그 애자몸체(8)에 형성한 돌출부(4)와 삽입홈(6)이 서로 끼워지도록 연결한 후 지지봉(11)을 그 중앙을 관통시킨 후 그 지지봉(11)양단에서 몸체(14)와 몸체부(17)를 이용하여 나사결합하여 조립식 애자(10)가 완성한다.
만약, 복수의 애자몸체(8)을 연이어 연결시킨 후 각각의 애자몸체(8)와 애자몸체(8)의 고정을 각각의 나사선(미도시)에 의해 고정된다면, 그 발상은 대단히 위험한 발상이다.
여기서 참고로, 철탑에 지지되는 케이블은 애자에 의해 지지된다. 그래서 그 애자는 고강도의 인장력을 받는다.
그러므로 사출성형으로 제작되는 애자몸체(8)을 연이어 연결시켜 나사결합으로 고정한다면 나사결합부 파손이 불가피하다.
그로 인해 애자가 파손된다면, 그에 따른 손실을 감안하면, 애자몸체(8)와 애자몸체(8)의 결합은 나사결합으로 결합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지지봉(11)의 나사선(A)과 결합되는 몸체(14)와, 몸체부(18)은, 별도의 조임도구를 이용해 조임 할 경우 보다 더 완벽하게 조임된다.
상기와 같이 별도의 조임도구를 이용해서 조임되지 않는다면 견고하게 조임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그렇게 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착탈홈(20)을 형성하여 조임도구 일측을 끼운다음 상기 조임도구 타측을 이용자가 손으로 잡고서 회전하면 조임이 이루어진다.
그러기 위해, 몸체(14)와 몸체부(18)의 원주연(B)에 별도의 조임도구()가 착탈되는 착탈홈(20)을 복수게 형성하여야 한다. 그래서 착탈홈(20)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지지봉(11)은 애자몸체(8)의 수량만큼 애자의 길이가 달라지므로 그 달라진 길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지봉(11)을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11)은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지지봉(11)을 갖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지지봉을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애자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원가절감이 발생된다.
만약 길이가 짧은 애자가 필요하여도 선택의 여지가 없이 무조건 길이가 긴 애자를 이용한다면 불필요한 낭비이므로 이를 감안한 것이다.
그리고 지지봉이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나사선(A)을 제외한 나머지에 고강도의 피복측을 갖는다.
또 더 나아가, 지지봉(11)이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애자몸체와 애자몸체의 사이에 실링처리 된다.
4 : 돌출부 6 : 삽입홈
8 : 애자몸체 10 : 애자
11 : 지지봉 12 : 관통공
13 : 연결부 14 : 몸체
16 : 나선홈 17 : 지지부재
18 : 몸체부 19 : 나선홈
20 : 착탈홈 A : 나사선

Claims (3)

  1. 애자날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돌출부(4)와 삽입홈(6)을 형성한 애자몸체(8)를 연이여 연결시켜 조립한 복수의 애자몸체(8) 전방에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13)을 갖도록 하고, 후방은 철탑에 연결되는 지지부재(17)을 갖는 애자(10)에 있어서,
    상기 애자(10)의 애자몸체(8)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양끝에 나사선(A)이 형성된 지지봉(11)이 관통되도록 형성한 관통공(12)과, 상기 관통공(12)에 삽입되어 상기 애자몸체(8)를 복수(複數) 삽입시킨 지지봉(11)과, 상기 지지봉(11)의 선단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13)를 갖는 몸체(14)가 결합되되, 상기 몸체(14) 후방에 상기 지지봉(11)선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봉(11)의 나사선(A)이 결합하는 나선홈(16)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11)후방은 철탑에 지지되는 지지부재(17)를 갖는 몸체부(18)가 결합되되, 상기 몸체부(18)은 상기 지지봉(11)후방에 형성한 나사선(a)이 결합되는 나선홈(19)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되,
    상기 지지봉(11)의 나사선(A)과 결합된 몸체(14)와 몸체부(18)가 상기 지지봉(11)의 나사선과 별도의 조임도구를 이용해 조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4)와 몸체부(18)의 원주연에 별도의 조임도구의 일측이 착탈가능한 착탈홈(20)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11)은 애자몸체(8)의 수량만큼 애자의 길이가 달라지므로 그 달라진 길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지봉(11)을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11)은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지지봉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용 철탑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
  2. 삭제
  3. 삭제
KR1020120051670A 2012-05-15 2012-05-15 송·배전용 철탑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 KR101234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670A KR101234259B1 (ko) 2012-05-15 2012-05-15 송·배전용 철탑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670A KR101234259B1 (ko) 2012-05-15 2012-05-15 송·배전용 철탑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4259B1 true KR101234259B1 (ko) 2013-02-18

Family

ID=47899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670A KR101234259B1 (ko) 2012-05-15 2012-05-15 송·배전용 철탑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2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300B1 (ko) 2015-07-30 2015-10-29 주식회사 정우엔지니어링 송·배전용 철탑 현수 애자
CN112027324A (zh) * 2020-09-07 2020-12-04 吴国莲 一种运输时防止挤压、震荡的陶瓷绝缘子
KR20230132283A (ko) 2022-03-08 2023-09-15 송우현 수평형 애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749B1 (ko) * 2006-09-05 2007-01-24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구조
KR100778759B1 (ko) * 2007-09-14 2007-11-22 (주)상일전설 현수애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749B1 (ko) * 2006-09-05 2007-01-24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구조
KR100778759B1 (ko) * 2007-09-14 2007-11-22 (주)상일전설 현수애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300B1 (ko) 2015-07-30 2015-10-29 주식회사 정우엔지니어링 송·배전용 철탑 현수 애자
CN112027324A (zh) * 2020-09-07 2020-12-04 吴国莲 一种运输时防止挤压、震荡的陶瓷绝缘子
KR20230132283A (ko) 2022-03-08 2023-09-15 송우현 수평형 애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300B1 (ko) 송·배전용 철탑 현수 애자
KR100778759B1 (ko) 현수애자
CN107706871B (zh) 架空配电线路
US7799996B2 (en) Corrosion resistant automatic splice
KR101234259B1 (ko) 송·배전용 철탑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
KR101600293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애자 구조
US10968656B2 (en)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electrical power lines
KR101799855B1 (ko) 배전계통의 운용 관리 시스템
US6031186A (en) Solid polymer insulators with eye and clevis ends
US20210156511A1 (en) Gain Plate
US5986216A (en) Reinforced insulator
MX2008014363A (es) Terminacion de cable de energia electrica de alto voltaje.
US8618414B2 (en) Holding device for an overhead line and overhead line configuration
KR101480336B1 (ko) 초고압 전력케이블 절연접속함의 절연통
CN114188106A (zh) 一种高压线路用柱式瓷绝缘子
KR101134222B1 (ko) 초고압케이블 중간접속함의 에폭시유니트 전극과 도체 슬리브의 연결구조
US3585277A (en) Midspan electrical conductor spacer
KR101573004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CN107975287B (zh) 一种复合横担及输电杆
WO2009049377A1 (en) Cross arm
KR101255117B1 (ko) 저압 가선용 애자 일체형 랙크
CN207425714U (zh) 一种固封极柱与绝缘拉杆的连接结构
CN209217579U (zh) 一种快速安装的抢修用耐张杆
KR100731931B1 (ko) 조립식 현수애자
KR102639217B1 (ko) 가공선로의 전선 처짐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