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122B1 -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 Google Patents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122B1
KR100815122B1 KR1020080008388A KR20080008388A KR100815122B1 KR 100815122 B1 KR100815122 B1 KR 100815122B1 KR 1020080008388 A KR1020080008388 A KR 1020080008388A KR 20080008388 A KR20080008388 A KR 20080008388A KR 100815122 B1 KR100815122 B1 KR 100815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late
center
right elastic
fastener
transmiss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Priority to KR1020080008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02G7/125Damping spac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철탑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송전 가공 선로 간의 상하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스에 있어서; 상하로 양분된 선로를 감싸는 원형관체로, 내측면에는 길이가 긴 절연재질인 장반원부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에는 길이가 짧은 절연재질인 단반원부로 이루어져 원형을 이루되 일측단은 힌지핀에 의해 축고정되고 타측단은 고정핀에 의해 고정결합되며 장반원부 내측 외주면 중심에는 호형상으로 양측단에 걸림홈을 갖는 슬라이딩홈을 이루는 고정쇠가 형성되고, 일단은 고정쇠의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양측단이 걸림홈에 각각 삽입되는 걸림바를 갖고 타단은 외측으로 연장되어 선로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봉을 갖는 슬라이딩걸림쇠가 형성되는 상하측선로고정구와; 탄성판체로 중심에는 핀공이 형성되고, 상하부 중심에는 상기 상하측선로고정구의 슬라이딩걸림쇠가 삽입되어 걸림고정되고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상하부장공이 각각 형성되어 중심측이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되는 좌측탄성판과; 탄성판체로 중심에는 핀공이 형성되고, 핀공 부변에는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하부에는 상하단부에서 중심측으로 상기 좌측탄성판의 상하부가 위치되어 탄성되는 상하측삽입공간이 형성되되 중심측이 좌측탄성판과는 반대측의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되어 상하단이 상기 상하측선로고정구의 장반원부 하상측에 각각 위치되는 우측탄성판과; 상기 좌우측탄성판의 핀공을 관통하는 축핀을 갖고, 축핀 양단에는 이탈방지볼이 각각 체결고정되며, 이탈방지볼과 상기 좌우측탄성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하측선로고정구에 고정된 상하측선로의 처짐 발생시 상기 좌우측탄성판을 탄성으로 밀어 상하측선로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스프링을 갖는 처짐방지구를 구비하는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송전 철탑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송전 가공 선로 간의 상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기후적 요인에 의해 송전 가공 선로가 흔들려 상호 접촉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누전 및 합선 등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송전 가공 선로의 장력 변화에 따른 늘어짐 현상에 대응할 수 있어 유지 관리상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상하측선로고정구, 좌측탄성판, 우측탄성판, 처짐방지구

Description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Power cable space for power transmission tower}
본 발명은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 철탑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송전 가공 선로 간의 상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기후적 요인에 의해 송전 가공 선로가 흔들려 상호 접촉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누전 및 합선 등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송전 가공 선로의 장력 변화에 따른 늘어짐 현상에 대응할 수 있어 유지 관리상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켜 주는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선의 지지물로 사용되는 철탑의 형태는 선로(線路)의 송전전력, 전압, 지형 등에 따라 다르며, 높이는 60m나 되는 것도 있다. 주재료는 단면이 L형인 강재(鋼材)이다. 수평단면이 정사각형인 것이 많고, 따라서 기초도 정사각형의 정점(頂點)에 콘크리트로 굳혀서 만든다.
송전선의 철탑은 보통 3상 2회선, 즉 6개의 전선을 애자(碍子)로 지지하고 있다. 철탑 사이의 거리는 20~30 m이고, 철탑에 가설한 전선의 지표(地表)로부터의 최저 높이는 전기 설비 기술에 의해 정해져 있으며, 예를 들면 15만 V의 선로일 경우는 6 m이다.
보통 선로가 넓은 강이나 깊은 계곡을 건널 경우에는 경간이 길고, 따라서 전선의 장력이 커지므로 특히 강한 구조가 필요하다.
송전선일지라도 규모가 작은 것, 또는 배전선이나 전화선의 지지물로서 단일기초(單一基礎) 위에 세우는 철주가 있다.
이러한 송전선로용 철탑은 상호 간에 다수의 송전선을 연결하고 있으며, 이러한 송전선들은 고공에 설치되는 특성상 바람이나 눈 비등의 기후적인 영향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진동 혹은 진폭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하에 설치된다.
특히, 강한 바람이 불 경우 상기 송전선들이 상,하로 심하게 흔들려서 상호간에 마찰을 빗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것은 합선이나 단전 유발등 대형 안전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송전선의 일정간격마다 구형상의 웨이트, 즉 무게 추를 설치하여 기후의 영향으로 송전선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설치의 간편함을 기대할 수 있는 것임에는 분명하나 이는 언급한 바와 같이 단순히 송전선마다 개별적으로 웨이트를 매달아 구성함에 따라 송전선 상호간의 상,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송전선들에 연결되는 절첩 클램프와, 상기 절첩 클램프 사이에 연결 지지되는 봉체와, 상기 봉체에 부착되는 절연관 및 다수개의 날개판들로 구성된 상간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송전선들 간의 부딪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발명은 실 사용시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는바, 첫째, 외형 구조상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도록 설계되어 있어 심한 흔들림 현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바람과 날개판 간에 심한 저항 현상이 초래되기 때문이다.
둘째, 다소 고하중의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어 송전선의 장력 변화를 초래하여 송전선의 늘어짐 현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술한 스페이스 기능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전혀 없어 제작 비용에 비해 경제적인 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전 철탑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송전 가공 선로 간의 상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기후적 요인에 의해 송전 가공 선로가 흔들려 상호 접촉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누전 및 합선 등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송전 가공 선로의 장력 변화에 따른 늘어짐 현상에 대응할 수 있어 유지 관리상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켜 주는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송전철탑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송전 가공 선로 간의 상하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스에 있어서;
상하로 양분된 선로를 감싸는 원형관체로, 내측면에는 길이가 긴 절연재질인 장반원부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에는 길이가 짧은 절연재질인 단반원부로 이루어져 원형을 이루되 일측단은 힌지핀에 의해 축고정되고 타측단은 고정핀에 의해 고정결합되며 장반원부 내측 외주면 중심에는 호형상으로 양측단에 걸림홈을 갖는 슬라이딩홈을 이루는 고정쇠가 형성되고, 일단은 고정쇠의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양측단이 걸림홈에 각각 삽입되는 걸림바를 갖고 타단은 외측으로 연장되어 선로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봉을 갖는 슬라이딩걸림쇠가 형성되는 상하측선로고정구와;
탄성판체로 중심에는 핀공이 형성되고, 상하부 중심에는 상기 상하측선로고 정구의 슬라이딩걸림쇠가 삽입되어 걸림고정되고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상하부장공이 각각 형성되어 중심측이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되는 좌측탄성판과;
탄성판체로 중심에는 핀공이 형성되고, 핀공 부변에는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하부에는 상하단부에서 중심측으로 상기 좌측탄성판의 상하부가 위치되어 탄성되는 상하측삽입공간이 형성되되 중심측이 좌측탄성판과는 반대측의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되어 상하단이 상기 상하측선로고정구의 장반원부 하상측에 각각 위치되는 우측탄성판과;
상기 좌우측탄성판의 핀공을 관통하는 축핀을 갖고, 축핀 양단에는 이탈방지볼이 각각 체결고정되며, 이탈방지볼과 상기 좌우측탄성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하측선로고정구에 고정된 상하측선로의 처짐 발생시 상기 좌우측탄성판을 탄성으로 밀어 상하측선로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스프링을 갖는 처짐방지구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송전 철탑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송전 가공 선로 간의 상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기후적 요인에 의해 송전 가공 선로가 흔들려 상호 접촉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누전 및 합선 등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송전 가공 선로의 장력 변화에 따른 늘어짐 현상에 대응할 수 있어 유지 관리상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의 작동모습을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의 작동후 모습을 보인 정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는, 송전철탑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송전 가공 선로인 상하측선로(50,50a) 간의 상하간격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 상하측선로(50,50a) 외면에 각각 고정되는 상하측선로고정구(10,10a)와, 양단부에 상하측선로고정구(10,10a)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좌측으로 탄 발시키는 좌측탄성판(20)과, 우측으로 만곡되어 상하측선로고정구(10,10a)를 우측으로 탄발시키는 우측탄성판(30)과, 좌우측탄성판(20,30)을 중심측으로 스프링 탄성으로 밀어 상하측선로(50,50a)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구(40)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측선로고정구(10,10a)는 상하로 양분되어 상하측선로(50,50a)를 각각 감싸는 원형관체로, 내측면에는 길이가 긴 절연재질인 장반원부(12)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에는 길이가 짧은 절연재질인 단반원부(13)로 이루어져 원형을 이루되 일측단은 힌지핀(14)에 의해 축고정되고 타측단은 고정핀(14a)에 의해 고정결합되며 장반원부(12) 내측 외주면 중심에는 호형상으로 양측단에 걸림홈(12b)을 갖는 슬라이딩홈(12a)을 이루는 고정쇠(11)가 형성되고, 일단은 고정쇠(11)의 슬라이딩홈(12a)에 삽입되어 양측단이 걸림홈(12b)에 각각 삽입되는 걸림바(15b)를 갖고 타단은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하측선로(50,50a)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봉(15a)을 갖는 슬라이딩걸림쇠(15)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탄성판(20)는 양단부에 상하측선로고정구(10,10a)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좌측으로 탄발시키는 탄성판체로, 중심에는 핀공(21)이 형성되고, 상하부 중심에는 상기 상하측선로고정구(10,10a)의 슬라이딩걸림쇠(15)가 삽입되어 걸림고정되고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상하부장공(22,22a)이 각각 형성되어 중심측이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형성된다.
상기 우측탄성판(30)은 우측으로 만곡되어 상하측선로고정구(10,10a)를 우측으로 탄발시키는 탄성판체로, 중심에는 핀공(31)이 형성되고, 핀공(31) 부변에는 다수 개의 통공(32)이 형성되며, 상하부에는 상하단부에서 중심측으로 상기 좌측탄 성판(20)의 상하부가 위치되어 탄성되는 상하측삽입공간(33,33a)이 각각 형성되되 중심측이 좌측탄성판(20)과는 반대측의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되어 상하단이 상기 상하측선로고정구(10,10a)의 장반원부(12) 하상측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처짐방지구(40)는 좌우측탄성판(20,30)을 중심측으로 스프링 탄성으로 밀어 상하측선로(50,50a) 간의 처짐을 방지하는 장치로, 상기 좌우측탄성판(20,30)의 핀공(21,31)을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축핀(41)을 갖고, 축핀(41) 양단에는 이탈방지볼(42,42a)이 각각 체결고정되며, 이탈방지볼(42,42a)과 상기 좌우측탄성판(20,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하측선로고정구(10,10a)에 고정된 상하측선로(50,50a) 간의 처짐 발생시 상기 좌우측탄성판(20,30)을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밀어 상하측선로(50,50a) 간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스프링(43,43a)을 각각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처짐방지구(40)의 처짐방지스프링(43,43a)의 탄성에 의해서 좌우측탄성판(20,30)이 각각 적당한 탄성으로 상하측고정구(10,10a)에 의해 고정된 상하측선로(50,50a) 간의 간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의 작동모습을 보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의 작동후 모습을 보인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 상하측선로고정구 11 : 고정쇠
12 : 장반원부 12a : 슬라이딩홈
12b : 걸림홈 13 : 단반원부
14 : 힌지핀 14a : 고정핀
15 : 슬라이딩걸림쇠 15a : 걸림봉
15b : 걸림바
20 : 좌측탄성판 21 : 핀공
22,22a : 상하부장공
30 : 우측탄성판 31 : 핀공
32 : 통공 33,33a : 상하측삽입공간
40 : 처짐방지구 41 : 축핀
42,42a : 이탈방지볼 43,43a : 처짐방지스프링
50,50a : 상하측선로

Claims (1)

  1. 송전철탑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송전 가공 선로 간의 상하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스에 있어서;
    상하로 양분된 선로를 감싸는 원형관체로, 내측면에는 길이가 긴 절연재질인 장반원부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에는 길이가 짧은 절연재질인 단반원부로 이루어져 원형을 이루되 일측단은 힌지핀에 의해 축고정되고 타측단은 고정핀에 의해 고정결합되며 장반원부 내측 외주면 중심에는 호형상으로 양측단에 걸림홈을 갖는 슬라이딩홈을 이루는 고정쇠가 형성되고, 일단은 고정쇠의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양측단이 걸림홈에 각각 삽입되는 걸림바를 갖고 타단은 외측으로 연장되어 선로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봉을 갖는 슬라이딩걸림쇠가 형성되는 상하측선로고정구와;
    탄성판체로 중심에는 핀공이 형성되고, 상하부 중심에는 상기 상하측선로고정구의 슬라이딩걸림쇠가 삽입되어 걸림고정되고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상하부장공이 각각 형성되어 중심측이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되는 좌측탄성판과;
    탄성판체로 중심에는 핀공이 형성되고, 핀공 부변에는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하부에는 상하단부에서 중심측으로 상기 좌측탄성판의 상하부가 위치되어 탄성되는 상하측삽입공간이 형성되되 중심측이 좌측탄성판과는 반대측의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되어 상하단이 상기 상하측선로고정구의 장반원부 하상측에 각각 위치되는 우측탄성판과;
    상기 좌우측탄성판의 핀공을 관통하는 축핀을 갖고, 축핀 양단에는 이탈방지볼이 각각 체결고정되며, 이탈방지볼과 상기 좌우측탄성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하측선로고정구에 고정된 상하측선로의 처짐 발생시 상기 좌우측탄성판을 탄성으로 밀어 상하측선로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스프링을 갖는 처짐방지구를 구비하는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20080008388A 2008-01-28 2008-01-28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0815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388A KR100815122B1 (ko) 2008-01-28 2008-01-28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388A KR100815122B1 (ko) 2008-01-28 2008-01-28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122B1 true KR100815122B1 (ko) 2008-03-20

Family

ID=3941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388A KR100815122B1 (ko) 2008-01-28 2008-01-28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1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689B1 (ko) 2009-07-22 2009-11-17 한양전설(주) 송전가공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2110384B1 (ko) * 2020-01-31 2020-05-13 (주)첨단엔지니어링 배전 케이블 스페이스 유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2733A (ko) * 2004-12-09 2005-01-10 (주)씨에스티개발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
KR100514720B1 (ko) 2005-02-07 2005-09-1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2733A (ko) * 2004-12-09 2005-01-10 (주)씨에스티개발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
KR100514720B1 (ko) 2005-02-07 2005-09-1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689B1 (ko) 2009-07-22 2009-11-17 한양전설(주) 송전가공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2110384B1 (ko) * 2020-01-31 2020-05-13 (주)첨단엔지니어링 배전 케이블 스페이스 유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184B1 (ko) 송전가공 선로형 상간 스페이서
KR100904199B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
KR100514720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0503024B1 (ko) 송전 철탑용 선로 장력 유지장치
KR100519934B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 애자
KR100851432B1 (ko) 송·배전용 철탑의 현수애자
KR100783808B1 (ko) 송·배전용 철탑의 현수 애자
KR100880880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0815122B1 (ko)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CN108512177B (zh) 一种应用于悬垂绝缘子串的风偏角控制装置
KR101801158B1 (ko) 송배전용 가공전선의 철탑내 고정구조
KR101901806B1 (ko) 가공배전용 피뢰장치
KR101955308B1 (ko)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
KR100865074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0861132B1 (ko) 송,배전선의 스페이서
KR100682530B1 (ko)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KR100750182B1 (ko)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1799446B1 (ko) 가공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 구조
KR100672749B1 (ko)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구조
KR100926647B1 (ko) 송전선 처짐 방지장치
JP2019208134A (ja) アンテナ固定架台、基地局、及び、基地局の設置方法
KR100818556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KR100926689B1 (ko) 송전가공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200379386Y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 애자
TR201807657T4 (tr) Elektrikli olarak tahrik edilen motorlu araçlara yönelik hava hattı direği ve hava hattı siste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