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530B1 -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530B1
KR100682530B1 KR1020060091450A KR20060091450A KR100682530B1 KR 100682530 B1 KR100682530 B1 KR 100682530B1 KR 1020060091450 A KR1020060091450 A KR 1020060091450A KR 20060091450 A KR20060091450 A KR 20060091450A KR 100682530 B1 KR100682530 B1 KR 100682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ipe
clamping member
pipe body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1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보
Priority to KR1020060091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02G7/125Damping spac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서로 끼워져 슬라이딩 유동되는 복수개의 파이프들과,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위치되어, 그 양단이 상기 파이프들에 탄지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파이프들 각각의 일단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유동되는 선로 클램프부재 및 상기 파이프들 각각의 내부에 위치되어, 일정 온도가 되면 상기 선로 클램프부재들 각각을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전선로용 스페이서{SPACER FOR A ELECTRICITY ROUTE}
도 1은 종래의 송전선로에 사용되는 스페이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용 스페이서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 Ⅱ-Ⅱ'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제 1파이프 120 : 제 1선로 클램핑부재
141, 241 : 구름부재 150, 250 : 이동가이드부재
160 : 스프링 200 : 제 2파이프
220 : 제 2선로 클램핑부재 300 : 탄성부재
본 발명은 송전선로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선로 철탑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송전선들간의 상,하간격을 다양한 기후적인 요인에 대응되도록 하여 일정한 장력으로 유지할 수 있는 송전선로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선의 지지물로 사용되는 철탑의 형태는 선로(線路)의 송전전력 ·전압 ·지형 등에 따라 다르며, 높이는 60m나 되는 것도 있다. 주재료는 단면이 L형인 강재(鋼材)이다. 수평단면이 정사각형인 것이 많고, 따라서 기초도 정사각형의 정점(頂點)에 콘크리트로 굳혀서 만든다.
송전선의 철탑은 보통 3상 2회선, 즉 6개의 전선을 애자(碍子)로 지지하고 있다. 통상, 상기 철탑 사이의 거리는 20~30 m이고, 철탑에 가설한 전선의 지표(地表)로부터의 최저 높이는 전기 설비 기술에 의해 정해져 있으며, 예를 들면 15만 V의 선로일 경우는 6 m이다.
보통 선로가 넓은 강이나 깊은 계곡을 건널 경우에는 경간이 길고, 따라서 전선의 장력이 커지므로 특히 강한 구조가 필요하다. 송전선일지라도 규모가 작은 것, 또는 배전선이나 전화선의 지지물로서 단일기초(單一基礎) 위에 세우는 철주가 있다.
이러한 송전선로용 철탑은 상호간에 다수의 송전선을 연결하고 있으며, 이러한 송전선들은 고공에 설치되는 특성상 바람이나 눈 비등의 기후적인 영향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진동 혹은 진폭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하에 설치된다.
특히, 강한 바람이 불 경우 상기 송전선들이 상,하로 심하게 흔들려서 상호 간에 마찰을 빗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것은 합선이나 단전 유발등 대형 안전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송전선의 일정간격마다 구형상의 웨이트, 즉 무게 추를 설치하여 기후의 영향으로 송전선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설치의 간편함을 기대할 수 있는 것임에는 분명하나 이는 언급한 바와 같이 단순히 송전선 마다 개별적으로 웨이트를 매달아 구성함에 따라 송전선 상호간의 상,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선들(2a,2b)에 연결되는 클램프(4a,4b)와, 상기 클램프(4a,4b) 사이에 연결 지지되는 봉체(12)와, 상기 봉체(12)에 부착되는 절연관(14) 및 다수개의 날개판(16)들로 구성된 상간 스페이스(10)를 이용하여 송전선들간의 부딪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발명은 실사용시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첫째, 외형 구조상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도록 설계되어 있어 심한 흔들림 현상을 초래하였다. 즉, 바람과 날개판이 심한 저항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둘째, 다소 고하중의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어 송전선의 장력 변화를 초래하여 송전선의 늘어짐 현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송전선로가 흔들리는 경우에, 클램프 양단에서의 송전선로가 각이 지 어 휨으로써 선로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외부로부터의 기후등과 같은 변화에 대응되어 송전선로들 간의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고온의 기후등과 같은 외부의 영향에 의하여, 일정 온도 이상이 되어 송전선로가 늘어나는 경우에, 이에 따른 송전선로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종래의 고하중을 갖는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를 지양하고, 그 하중을 줄임을 통하여 스페이서 자체 하중으로 인한 송전선로의 늘어남을 방지할 수 있는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상기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는 서로 끼워져 슬라이딩 유동되는 복수개의 파이프들과,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위치되어, 그 양단이 상기 파이프들에 탄지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파이프들 각각의 일단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유동되는 선로 클램프부재 및 상기 파이프들 각각의 내부에 위치되어, 일정 온도가 되면 상기 선로 클램프부재들 각각을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들 각각은 원통형상의 파이프몸체와, 일단에 상기 선로 클램핑부재의 일단이 걸치어지는 제 1걸림돌기와, 상기 제 1걸림돌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파이프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제 2걸림돌기를 구비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2걸림돌기들을 서로 탄지하도록 상기 파이프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가이드부재는 상기 제 1걸림돌기와 상기 제 2걸림돌기의 사이에 위치되어, 그 일면이 상기 선로클램핑부재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파이프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반형상의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그 주변의 온도가 일정온도가 되면, 상기 선로클램핌부재를 밀어올리도록 형상이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이프몸체들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선로클램핑부재의 일단과 상기 이동가이드부재의 일면을 서로 탄지하는 스프링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선로클램핑부재는 상기 제 1걸림돌기에 일단이 걸치어지고 선로가 끼워지는 선로홈이 형성된 클램핑부재몸체와, 상기 클램핑부재몸체의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설로홈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탄성클램핑부재몸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상기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는 연결애자와, 상기 연결애자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체결되는 연결파이프들과, 상기 연결파이프들 각각의 일단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동파이프들과, 상기 연결파이프와 상기 가동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어, 그 양단이 상기 연결파이프와 상기 가동파이프를 서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동파이프들의 일단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유동되는 선로 클램핑부재들 및 상기 가동파이프들 각각의 내부에 배치되어, 일정 온도가 되면 상기 선로 클램프부재들 각각을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동파이프는 원통형상의 제 1파이프몸체와, 일단에 상기 선로 클램핑부재의 일단이 걸치어지는 제 1걸림돌기와, 상기 제 1걸림돌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파이프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제 2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파이프는 상기 제 1파이프몸체의 일단이 끼워져 걸치어지는 원통형상의 제 2파이프몸체와, 일단에 상기 선로 클램핑부재의 일단이 걸치어지는 제 1'걸림돌기와, 상기 제 1'걸림돌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파이프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제 2걸림돌기'를 구비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2걸림돌기들과 상기 제 2'걸림돌기들을 서로 탄지하도록 상기 연결파이프 및 상기 가동파이프몸체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재는 상기 제 1걸림돌기와 상기 제 2걸림돌기 및 상기 제 1'걸림돌기와 상기 제 2'걸림돌기의 사이에 위치되어, 그 일면이 상기 선로클램핑부재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제 1파이프몸체 및 상기 제 2파이프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반형상의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그 주변의 온도가 일정온도가 되면, 상기 선로클램핑부재를 밀어올리도록 형상이 복귀되며,
상기 제 1 및 2파이프몸체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선로 클램핑부재의 일단과 상기 이동가이드부재의 일면을 서로 탄지하는 스프링이 더 설치되되,
상기 선로 클램핑부재는 상기 제 1 및 1'걸림돌기에 일단이 걸치어지고 선로가 끼워지는 선로홈이 형성된 클램핑부재몸체와, 상기 클램핑부재몸체의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선로홈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탄성클램핑부재몸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용 스페이서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 Ⅱ-Ⅱ'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는 원통형의 일정 길이를 갖는 제 1파이프(10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파이프(100)는 원통형의 제 1파이프몸체(110)와, 상기 파이프몸체(110)의 상단부 내측으로 돌출된 제 1걸림돌기(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 1파이프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걸 림돌기(111)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제 2걸림돌기(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파이프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걸림돌기(111)와 상기 제 2걸림돌기(112)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는 이동가이드부재(150)가 마련된다. 상기 이동가이드부재(150)는 원반형상의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측단부가 상기 제 1파이프몸체(110)의 내면에 형성된 고정홈(110a)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일정의 고온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는 특성을 갖는다. 예컨대, 섭씨 35도 또는 40도 이상에 이르면 하방으로 휘어져 있던 중앙부가 상방으로 휘어져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제 1파이프몸체(110)는 그 상단부에 마련된 제 1걸림돌기(111)에 일단이 걸치어지어 수직으로 슬라이딩 유동되는 제 1선로클램핑부재(120)가 마련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선로클램핑부재(120)는 일단이 상기 제 1파이프몸체(110)의 상단부에 끼어져 상기 제 1걸림돌기(111)에 걸치어지고, 상기 유동되는 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 선로홈(121a)이 형성된 클램핑부재몸체(121)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핑부재몸체(121)의 양단에는 상기 선로홈(120a)과 연통되는 통공(130a)이 형성된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탄성클램핑부재몸체(130)가 고정된다. 상기 탄성클램핑부재몸체(130)는 우레탄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되되, 그 내부에는 철심(미도시)이 매쉬형상으로 내설될 수 있다. 상기 선로홈(121a)과 통공(130a)에는 일정 반경으로 이루어지는 송전선로(10)가 끼워지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 1파이프(100)는 그 일단이 끼어지어 슬라이딩 유동되는 제 2 파이프(200)가 구비된다. 상기 제 2파이프(200)는 상기 제 1파이프(100)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된 것이 좋다. 상기 제 1파이프(100)의 일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 1걸림턱(140)이 구비되고, 상기 제 2파이프(200)의 상단부 내측에는 상기 제 1걸림턱이 걸리는 제 2걸림턱(24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파이프(200)의 구성은 상기 제 1파이프(1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2파이프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된 제 2걸림돌기(212)와 상기 제 1파이프몸체(110)에 형성된 제 2걸림돌기(112) 사이에는 일정 길이의 탄성부재(300)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300)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프링의 양단은 각각의 상기 제 2걸림돌기들(112, 212)에 탄성 지지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 1파이프몸체(110)의 제 1걸림턱(140)의 외측단에는 상기 제 2파이프몸체(210)의 외면에 접촉되어 구름동작이 수행되는 구름부재들(141)이 다수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2파이프몸체(210)의 외면에는 상기 구름부재들(141)의 외면이 접촉되어 구름방향이 안내되는 안내홈(24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름부재들(141)은 상기 제 2파이프몸체(210)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241)은 상기 제 1파이프몸체(110)의 내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송전선로용 스페이서의 설치상태를 통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정 내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제 2파이프(200)가 준비된다. 제 2파이프몸체(2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 1걸림돌기(111)에 일단이 걸 치어지는 제 2선로 클램핑부재(22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2선로 클램핑부재(220)는 상하로의 슬라이딩 유동이 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 2파이프몸체(210)의 내벽에는 이동가이드부재(250)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가이드부재(250)의 외측단부는 제 1걸림돌기(211)와 제 2걸림돌기(212)의 사이에 형성된 고정홈(210a)에 끼워지어 고정된다. 이때의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이동가이드부재(250)는 상방으로 휘어진 상태의 원반형상이다. 상기 이동가이드부재(250)는 외부온도가 섭씨 35도 또는 40도 이상에 이르면, 하방으로 휘어지는 특성을 갖는 것이 좋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이동가이드부재(250)와 상기 제 2선로 클램핑부재(230)의 일단은 서로 스프링(26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다.
이어, 상기 제 2파이프몸체(210)의 제 2걸림돌기(212)에 일단이 탄지되는 탄성부재(30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제 2파이프몸체(210)의 내부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제 2파이프(200)의 직경보다 작은 제 1파이프(100)가 준비된다. 상기 제 1파이프(100)의 제 1파이프몸체(110)의 일단은 상기 제 2파이프몸체(210)의 제 1걸림돌기(211)에 걸치어지도록 삽입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00)의 타단은 상기 제 1파이프몸체(110)의 제 2걸림돌기(112)에 탄성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2파이프들(100, 200)은 서로 탄성복원력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파이프몸체(110)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 2선로 클램핑부재(22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 1선로 클램핑부재(1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파이프몸체(110)의 고정홈(110a)에는 외측단부가 끼워지어 고정된 이동가이드 부재(150)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가이드부재(150)는 상기 제 2파이프몸체(210)의 내부에 설치된 것과 동일하나, 하방으로 휘어지어 배치된 원반형상인 것과, 일정 온도가 되면 상방으로 휘어지어 원형으로 복귀되는 것이 다르다. 또한, 상기 이동가이드부재(150)와 상기 제 1선로 클램핑부재(120)의 일단은 서로 스프링(16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다.
한편, 상기 제 1파이프몸체(110)의 제 1걸림턱(140) 외측단에는 그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다수개의 구름부재들(141)은 그 외면이 제 2파이프몸체(210)의 외면에 형성된 안내홈(241)에 접촉되어, 상기 제 1,2파이프 각각(100, 200)은 상하로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이 가이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파이프들(100, 200) 사이에 구름부재들(141)이 설치되어, 파이프들(100, 200)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경우에도 상하로의 이동이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선로 클램핑부재(120,220)는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된다. 송전선로(10)는 각각 상기 제 1,2클램핑부재몸체(121,221)에 형성된 선로홈(120a,220a)에 끼워지어 고정된다. 이때, 송전선로(100)는 상기 제 1,2클램핑부재몸체(121,221)의 양단에 설치된 탄성클램핑부재몸체(130,230)의 통공(130a,230a)에 끼워지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1,2클램핑부재몸체(121,221)의 양단에 위치되는 송전선로(10)는 그 선로가 휘어지는 경우에 제 1,2클램핑부재몸체(121,221)의 양단에서 굽어지어 휘지 않고, 상기 탄성클램핑부재몸체(130,230)의 탄성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휘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송전선로(10)가 제 1,2클램핑부재몸체(121,221)의 양단에 걸리어 외면이 파손됨은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 설치된 본 발명은 실사용시 평상시에는 상,하부에 연결 고정된 송전선로들(10) 간의 이격 거리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후적인 외부 요인 예컨대 강풍에 의해 상기 송전선로들(10)이 흔들려 선로에 장력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 제 1,2파이프(100,200)가 탄성부재(300)에 의한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승강 동작이 되기 때문에, 상기 제 1,2파이프(100,200)는 서로 완충되고 이에 따라, 제 1,2파이프(100,200)의 끝단에 제 1,2선로 클램핑부재(120,220)에 의하여 고정된 송전선로들(10)이 동시에 흔들리게 되는 현상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 1,2선로 클램핑부재(120,220)에 각각 고정된 송전선로들(10)은 상기 제 1,2선로클램핑부재(120,220)가 제 1,2파이프몸체(110,210)의 각 끝단에서 그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160,260)에 의하여 탄성복원력이 작용되기 때문에 상기 선로(10)가 흔들리는 현상은 더욱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송전선로(10)에는 2가지의 탄성복원력이 작용된다. 첫째, 제 1,2파이프들(100,200)의 탄성부재(300)에 의한 탄성복원력과, 각 선로클램핑부재(120,220)의 스프링(160,260)에 의한 탄성복원력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 한편, 기후등의 요인 예컨대, 송전선로(10)의 주변에 형성되는 온도가 고온 섭씨 40도 이상이 형성되는 경우에, 제 1,2파이프몸체(110,210)의 내부에 마련된 이동가이드부재들(150,250)은 각각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된다.
즉, 제 1파이프몸체(110)에 설치된 이동가이드부재(150)는 상방으로 휘어지 어, 그 상면이 제 1선로클램핑부재(120)를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또한, 제 2파이프몸체(210)에 설치된 이동가이드부재(250)는 하방으로 휘어지어, 그 저면이 제 2선로클램핑부재(220)를 하방으로 밀어 내린다. 따라서, 기온이 고온으로 형성되어 송전선로(10)가 늘어나 느슨해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각 클램핑부재몸체(121,212)의 선로홈(120a,220a)에 끼워지어 고정된 송전선로(10)의 양단은 상기 클램핑부재몸체(121,212)의 양단에 설치된 탄성클램핑부재몸체(130,230)의 통공(130a,230a)에 끼워지어, 그 휘어짐이 보호된다. 즉, 상기 송전선로(10)의 양단이 일정 각도로 휘어질 경우에 상기 선로홈(120a,220a)의 양단에 걸치어지어 굽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외면이 파손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는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는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는 경질자기로 이루어지는 상기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는 연결애자(400)와, 상기 연결애자(40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체결구(S)를 통하여 스크류 체결되는 연결파이프들(200')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의 연결파이프들(200')의 일단부에 개별적으로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동파이프들(100)과, 상기 연결파이프(200')와 상기 가동파이프(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그 양단이 상기 연결파이프(200')와 상기 가동파이프(100)를 서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00)와, 상기 가동파이프들(100)의 일단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유동되는 선로 클램핑부재들(120) 및 상기 가동파이프들 각각(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일정 온도가 되면 상기 선로 클램프부재들(120)을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가이드부재(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S)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S1)와 볼트(S1)가 끼워져 스크류 체결되는 볼트구멍(S2)을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가동파이프(100)는 원통형상의 제 1파이프몸체(110)와, 일단에 상기 선로 클램핑부재(120)의 일단이 걸치어지는 제 1걸림돌기(111)와, 상기 제 1걸림돌기(11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제 1파이프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제 2걸림돌기(112)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파이프(200')는 상기 제 1파이프몸체(110)의 일단이 끼워져 걸치어지는 원통형상의 제 2파이프몸체(210')와, 상기 연결애자와 체결되는 체결구(S)와 상기 체결구(S)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제 2파이프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된 제 2'걸림돌기(212')를 구비하되,
상기 탄성부재(160)는 상기 제 2걸림돌기들(112)과 상기 제 2'걸림돌기들(212')을 서로 탄지하도록 상기 연결파이프(200') 및 상기 가동파이프(100)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재(150)는 상기 제 1파이프몸체(110)의 제 1걸림돌기(111)와 상기 제 2걸림돌기(112)의 사이에 위치되어, 그 일면이 상기 선로클램핑부재(120)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제 1파이프몸체(110)에 설치되는 원반형상의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그 주변의 온도가 일정온도가 되면, 상기 선로클램핑부 재(120)를 밀어올리도록 형상이 복귀되며,
상기 제 1파이프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선로 클램핑부재(120)의 일단과 상기 이동가이드부재(150)의 일면을 서로 탄지하는 스프링(160)이 더 설치되되,
상기 선로 클램핑부재(120)는 상기 제 1걸림돌기(111)에 일단이 걸치어지고 선로(10)가 끼워지는 선로홈(120a)이 형성된 클램핑부재몸체(121)와, 상기 클램핑부재몸체(121)의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선로홈(120a)과 연통되는 통공(130a)이 형성되는 탄성클램핑부재몸체(1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중앙에 경질 자기로 이루어진 연결 애자(400)를 위치시켜 절연 내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기후적 요인에 의해 송전선로(10)가 흔들려 상호 접촉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 현상에 의해 종종 발생되었던 누전 및 합선 등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송전 가공 선로의 장력 변화에 따른 늘어짐 현상에 대응을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관리상의 편리성과 안전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이외의, 상기 이동가이드부재(150)에 대한 효과는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상기 일 실시예에서의 이동가이드부재(150,250(도 3a 및도 3b 참조))효과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로 부터의 기후등과 같은 변화에 대응하여 송전선로들을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온의 기후등과 같은 외부의 영향에 의하여, 일정 온도 이상이 되어 송전선로가 늘어나는 경우에, 이에 따른 송전선로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전선로들을 서로 클램핑하는 경우에 클램핑되는 송전선로의 양단을 탄성력을 갖는 부재로 클램핑함으로써, 선로가 흔들리는 경우에도 클램핑된 위치에서 선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페이서 자체의 하중을 줄임을 통하여 상기 자체 하중으로 인한 송전선로의 늘어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서로 끼워져 슬라이딩 유동되는 복수개의 파이프들;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위치되어, 그 양단이 상기 파이프들에 탄지되는 탄성부재;
    상기 파이프들 각각의 일단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유동되는 선로 클램프부재; 및
    상기 파이프들 각각의 내부에 위치되어, 일정 온도가 되면 상기 선로 클램프부재들 각각을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들 각각은 원통형상의 파이프몸체와, 일단에 상기 선로클램핑부재의 일단이 걸치어지는 제 1걸림돌기와, 상기 제 1걸림돌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파이프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제 2걸림돌기를 구비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2걸림돌기들을 서로 탄지하도록 상기 파이프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부재는 상기 제 1걸림돌기와 상기 제 2걸림돌기의 사이에 위 치되어, 그 일면이 상기 선로클램핑부재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파이프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반형상의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그 주변의 온도가 일정온도가 되면, 상기 선로클램핌부재를 밀어올리도록 형상이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몸체들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선로클램핑부재의 일단과 상기 이동가이드부재의 일면을 서로 탄지하는 스프링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클램핑부재는 상기 제 1걸림돌기에 일단이 걸치어지고 선로가 끼워지는 선로홈이 형성된 클램핑부재몸체와, 상기 클램핑부재몸체의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설로홈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탄성클램핑부재몸체를 구비하는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연결애자;
    상기 연결애자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체결되는 연결파이프들;
    상기 연결파이프들 각각의 일단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동파이프들;
    상기 가동파이프들의 일단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유동되는 선로 클램핑부재들; 및
    상기 가동파이프들 각각의 내부에 배치되어, 일정 온도가 되면 상기 선로 클램프부재들 각각을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파이프는 원통형상의 제 1파이프몸체와, 일단에 상기 선로 클램핑부재의 일단이 걸치어지는 제 1걸림돌기와, 상기 제 1걸림돌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제 1파이프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제 2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파이프는 상기 제 1파이프몸체의 일단이 끼워져 걸치어지는 원통형상의 제 2파이프몸체와, 상기 연결애자와 체결되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제 2파이프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제 2'걸림돌기를 구비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2걸림돌기들과 상기 제 2'걸림돌기들을 서로 탄지하도록 상기 연결파이프 및 상기 가동파이프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재는 상기 제 1파이프몸체의 제 1걸림돌기와 상기 제 2걸림돌기의 사이에 위치되어, 그 일면이 상기 선로클램핑부재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제 1파이프몸체에 설치되는 원반형상의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그 주변의 온도가 일정온도가 되면, 상기 선로클램핑부재를 밀어올리도록 형상이 복귀되며,
    상기 제 1 및 2파이프몸체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선로 클램핑부재의 일단과 상기 이동가이드부재의 일면을 서로 탄지하는 스프링이 더 설치되되,
    상기 선로 클램핑부재는 상기 제 1걸림돌기에 일단이 걸치어지고 선로가 끼워지는 선로홈이 형성된 클램핑부재몸체와, 상기 클램핑부재몸체의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선로홈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탄성클램핑부재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KR1020060091450A 2006-09-20 2006-09-20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KR100682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450A KR100682530B1 (ko) 2006-09-20 2006-09-20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450A KR100682530B1 (ko) 2006-09-20 2006-09-20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530B1 true KR100682530B1 (ko) 2007-02-20

Family

ID=3810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450A KR100682530B1 (ko) 2006-09-20 2006-09-20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5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879B1 (ko) 2008-10-24 2009-01-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한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CN107069627A (zh) * 2017-06-12 2017-08-18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辽阳供电公司 一种弹簧式防舞动相间间隔棒
KR101829670B1 (ko) 2017-09-05 2018-02-19 대승전력기술 (주)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 덮개
CN110429544A (zh) * 2019-07-19 2019-11-08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大连供电公司 双分裂导线防舞动间隔棒软连接装置
KR102452094B1 (ko) * 2021-12-31 2022-10-07 주식회사 서우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8100A (ja) 2003-11-28 2005-06-23 Sumiden Asahi Industries Ltd 送電線用スペーサ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8100A (ja) 2003-11-28 2005-06-23 Sumiden Asahi Industries Ltd 送電線用スペーサ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879B1 (ko) 2008-10-24 2009-01-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한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CN107069627A (zh) * 2017-06-12 2017-08-18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辽阳供电公司 一种弹簧式防舞动相间间隔棒
CN107069627B (zh) * 2017-06-12 2019-03-12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辽阳供电公司 一种弹簧式防舞动相间间隔棒
KR101829670B1 (ko) 2017-09-05 2018-02-19 대승전력기술 (주)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 덮개
CN110429544A (zh) * 2019-07-19 2019-11-08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大连供电公司 双分裂导线防舞动间隔棒软连接装置
KR102452094B1 (ko) * 2021-12-31 2022-10-07 주식회사 서우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184B1 (ko) 송전가공 선로형 상간 스페이서
KR100682530B1 (ko)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KR100514720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1746372B1 (ko)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
KR100503024B1 (ko) 송전 철탑용 선로 장력 유지장치
KR101053514B1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KR100783808B1 (ko) 송·배전용 철탑의 현수 애자
US20200014185A1 (en) Snow/ice removal device for overhead lines
KR101082963B1 (ko) 특고압 송전선의 정렬상태유지를 위한 절연형 간격 유지대
IT1315899B1 (it) Tecnica di realizzazione e manutenzione di impianti aerei ditelecomunicazione mediante amarro mobile.
CN111193233B (zh) 一种用于电缆安装的电力安装设备
KR100847117B1 (ko) 기후 변화에 따른 간격 보정이 가능한 배전탑용 간격 보정유닛
US20040123408A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plane lattice typed cable structure
KR100861132B1 (ko) 송,배전선의 스페이서
KR100604177B1 (ko) 내진성능을 향상시킨 고압변전소
KR101024898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0815122B1 (ko)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0818556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KR100899161B1 (ko) 교량의 경관용 케이블의 완충정착 장치
CN110284752B (zh) 一种杆塔用的高强度电缆横担
KR200379386Y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 애자
KR101206495B1 (ko)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Kimoto et al. Insulator crossarms for 345-KV EHV transmission line
RU2667945C1 (ru) Двухцепная промежуточная опора и воздушная линия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с такой опорой
KR100926689B1 (ko) 송전가공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