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969B1 -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 - Google Patents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969B1
KR100513969B1 KR20040103320A KR20040103320A KR100513969B1 KR 100513969 B1 KR100513969 B1 KR 100513969B1 KR 20040103320 A KR20040103320 A KR 20040103320A KR 20040103320 A KR20040103320 A KR 20040103320A KR 100513969 B1 KR100513969 B1 KR 100513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space
frame
suppor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103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2733A (ko
Inventor
김길평
이창선
Original Assignee
대일이엔씨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일이엔씨기술(주) filed Critical 대일이엔씨기술(주)
Priority to KR20040103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969B1/ko
Publication of KR20050002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9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하부에는 송전선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클램프 덮개가 구비되어 있는 절연 지지체가 형성되어 있고, 정중앙에는 지지봉을 통해 상기 절연 지지체와 일정간격을 형성하고 있되, 양측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있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을 감싸고 있되, 외표면에 절연성이 우수한 절연 실리콘이 도포 처리된 매쉬망체로 이루어진 스페이스를 통해 송전선로 철탑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송전선간의 상,하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기후적 요인에 의해 송전선들이 흔들려 접촉하는 문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이러한 문제 현상에 의해 종종 발생되었던 누전 및 합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a power cable space for power transmission tower}
본 발명은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선로 철탑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송전선간의 상,하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기후적 요인에 의해 송전선들이 흔들려 접촉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 현상에 의해 종종 발생되었던 누전 및 합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선의 지지물로 사용되는 철탑의 형태는 선로(線路)의 송전전력 ·전압 ·지형 등에 따라 다르며, 높이는 60 m나 되는 것도 있다.
주재료는 단면이 L형인 강재(鋼材)이다.
수평단면이 정사각형인 것이 많고, 따라서 기초도 정사각형의 정점(頂點)에 콘크리트로 굳혀서 만든다.
송전선의 철탑은 보통 3상 2회선, 즉 6개의 전선을 애자(碍子)로 지지하고 있다.
철탑 사이의 거리는 20~30 m이고, 철탑에 가설한 전선의 지표(地表)로부터의 최저 높이는 전기 설비 기술에 의해 정해져 있으며, 예를 들면 15만 V의 선로일 경우는 6 m이다.
보통 선로가 넓은 강이나 깊은 계곡을 건널 경우에는 경간이 길고, 따라서 전선의 장력이 커지므로 특히 강한 구조가 필요하다.
송전선일지라도 규모가 작은 것, 또는 배전선이나 전화선의 지지물로서 단일기초(單一基礎) 위에 세우는 철주가 있다.
이러한 송전선로용 철탑은 상호간에 다수의 송전선을 연결하고 있으며, 이러한 송전선들은 고공에 설치되는 특성상 바람이나 눈 비등의 기후적인 영향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진동 혹은 진폭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하에 설치된다.
특히, 강한 바람이 불 경우 상기 송전선들이 상,하로 심하게 흔들려서 상호간에 마찰을 빗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것은 합선이나 단전 유발등 대형 안전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송전선의 일정간격마다 구형상의 웨이트, 즉 무게 추를 설치하여 기후의 영향으로 송전선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설치의 간편함을 기대할 수 있는 것임에는 분명하나 이는 언급한 바와 같이 단순히 송전선마다 개별적으로 웨이트를 매달아 구성함에 따라 송전선 상호간의 상,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선들(2a,2b)에 연결되는 클램프(4a,4b)와, 상기 클램프(4a,4b) 사이에 연결 지지되는 봉체(12)와, 상기 봉체(12)에 부착되는 절연관(14) 및 다수개의 날개판(16)들로 구성된 상간 스페이스(10)를 이용하여 송전선들간의 부딪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발명은 실사용시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첫째, 외형 구조상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도록 설계되어 있어 심한 흔들림 현상을 초래하였다.
즉, 바람과 날개판이 심한 저항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둘째, 다소 고하중의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어 송전선의 장력 변화를 초래하여 송전선의 늘어짐 현상을 야기하는 문제점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송전선로 철탑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송전선간의 상,하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기후적 요인에 의해 송전선들이 흔들려 접촉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 현상에 의해 종종 발생되었던 누전 및 합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상,하부에는 송전선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클램프 덮개가 구비되어 있는 절연 지지체가 형성되어 있고, 정중앙에는 지지봉을 통해 상기 절연 지지체와 일정간격을 형성하고 있되, 양측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있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을 감싸고 있되, 외표면에 절연성이 우수한 절연 실리콘이 도포 처리된 매쉬망체로 이루어진 스페이스가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의 보조 지지구 구성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분해 정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에는 송전선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클램프 덮게(12)가 구비되어 있는 절연 지지체(14)가 형성되어 있고, 정중앙에는 지지봉(16)을 통해 상기 절연 지지체(14)와 일정간격을 형성하고 있되, 양측에 나사공(18)을 형성하고 있는 연결부재(19)로 이루어진 프레임(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의 외측면에는 외표면에 절연성이 우수한 절연 실리콘(22)이 도포 처리된 매쉬망체(20)가 감싸져 이루어진 스페이스(10)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페이스(10)의 좌,우측에는 선택적으로 체결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되, 일측은 이 스페이스(10)를 구성하고 있는 프레임(11)의 연결부재(19) 나사공(18)에 체결을 이룰 수 있는 볼트부(3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위치가 서로 다른 양갈래로 벌어져 있되, 끝단에 보조 클램프(34)가 힌지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보조 지지구(30)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설치방법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프레임(11)과 매쉬망체(20)의 연결 조립을 취해 스페이스(10)를 완성한 후 이 상,하부에 위치한 클램프 덮게(12) 내에 송전선(2a),(2b)을 연결 고정하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보다 안정적인 이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선 상기 프레임(11)의 좌,우측에 별도의 보조 지지구(30)를 체결 고정한 후 상기 보조 지지구(30)에 형성된 보조 클램프(34)를 통해 상기 스페이스(10) 클램프 덮게(12)에 연결 고정된 송전선(2a),(2b)의 또다른 부위를 연결 고정하면 된다.
참고로 상기 보조 지지구(30)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송전선(2a),(2b)은 동일 직전상에 위치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본 발명은 송전선로 철탑(1a),(1b)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송전선(2a),(2b) 간의 상,하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기후적 요인에 의해 송전선(2a),(2b)들이 흔들려 접촉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 현상에 의해 종종 발생되었던 누전 및 합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체적인 외형 구조가 바람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되어 있어 실사용시 심한 흔들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페이스(10)의 경량화를 취해 하중에 의한 송전선의 장력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부에는 송전선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클램프 덮개가 구비되어 있는 절연 지지체가 형성되어 있고, 정중앙에는 지지봉을 통해 상기 절연 지지체와 일정간격을 형성하고 있되, 양측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있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을 감싸고 있되, 외표면에 절연성이 우수한 절연 실리콘이 도포 처리된 매쉬망체로 이루어진 스페이스를 통해 송전선로 철탑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송전선간의 상,하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기후적 요인에 의해 송전선들이 흔들려 접촉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 현상에 의해 종종 발생되었던 누전 및 합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체적인 외형 구조가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되어 있어 실사용시 심한 흔들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안전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페이스의 경량화를 취해 하중에 의한 송전선의 장력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음에 따른 설치상의 편리성과 안전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의 보조 지지구 구성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종래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 송전선로 철탑 2a,2b : 송전선
10 : 스페이스 11 : 프레임
12 : 클램프 덮게 14 : 절연 지지체
16 : 지지봉 18 : 나사공
19 : 연결부재 20 : 매쉬망체
22 : 절연 실리콘 30 : 보조 지지구
32 : 볼트부 34 : 보조 클램프

Claims (2)

  1. 송전선로 철탑(1a),(1b)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송전선(2a),(2b)간의 상,하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스에 있어서,
    상,하부에는 송전선(2a),(2b)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클램프 덮게(12)가 구비되어 있는 절연 지지체(14)가 형성되어 있고, 정중앙에는 지지봉(16)을 통해 상기 절연 지지체(14)와 일정간격을 형성하고 있되, 양측에 나사공(18)을 형성하고 있는 연결부재(19)로 이루어진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0)의 외측면을 감싸고 있되, 외표면에 절연성이 우수한 절연 실리콘(22)이 도포 처리된 매쉬망체(20)로 이루어진 스페이스(1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10)의 좌,우측에는 선택적으로 체결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되, 일측은 이 스페이스(10)를 구성하고 있는 프레임(11)의 연결부재(19) 나사공(18)에 체결을 이룰 수 있는 볼트부(3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위치가 서로 다른 양갈래로 벌어져 있되, 끝단에 보조 클램프(34)가 힌지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보조 지지구(3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
KR20040103320A 2004-12-09 2004-12-09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 KR100513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03320A KR100513969B1 (ko) 2004-12-09 2004-12-09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03320A KR100513969B1 (ko) 2004-12-09 2004-12-09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733A KR20050002733A (ko) 2005-01-10
KR100513969B1 true KR100513969B1 (ko) 2005-09-13

Family

ID=3721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103320A KR100513969B1 (ko) 2004-12-09 2004-12-09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122B1 (ko) * 2008-01-28 2008-03-20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733A (ko) 2005-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184B1 (ko) 송전가공 선로형 상간 스페이서
KR100514720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0519934B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 애자
US4458102A (en) Transmission line composite beam suspension assembly
KR102163507B1 (ko) 크로스 아암,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앵글 타워 및 텐션 타워
KR100513969B1 (ko)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
KR100503025B1 (ko) 가공 송전 선로 철탑용 점퍼선 고정장치
CN204754412U (zh) 一种单侧横担同时下两回电缆的终端杆
KR100865074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0861132B1 (ko) 송,배전선의 스페이서
KR100818556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KR100672749B1 (ko)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구조
CN209298858U (zh) ±1100kv直流线路耐张塔避雷器装置
CN106049959B (zh) 一种横担及耐张塔
KR100815122B1 (ko)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AU756198B2 (en) Adaptable, overhead line vibration damping/sag adjustment device
KR200379386Y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 애자
CN110374389A (zh) 一种转角塔
RU2099613C1 (ru) Аморти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3337677A (en) Overhead power line tower having auxiliary cross-arm
CN210768056U (zh) 一种转角塔
CN219918370U (zh) 应用于110kv钢管杆的地线横担
CN212604654U (zh) 电气化铁路接触网附加导线防舞装置
KR200339652Y1 (ko)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RU2340059C1 (ru) Изолирующая опорно-подвесная трехфазная подвеска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