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507Y1 - 송전선용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송전선용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507Y1
KR200391507Y1 KR20-2005-0013799U KR20050013799U KR200391507Y1 KR 200391507 Y1 KR200391507 Y1 KR 200391507Y1 KR 20050013799 U KR20050013799 U KR 20050013799U KR 200391507 Y1 KR200391507 Y1 KR 200391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transmission line
bracket
brackets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홍준
Original Assignee
송홍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홍준 filed Critical 송홍준
Priority to KR20-2005-0013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5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5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02G7/125Damping spacer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구성] 중심부의 절연성 버팀봉(12)을 기준하여 일측으로는 송전선 고정금구(11)가 압착 고정되고 그 반대쪽에는 제2 금구(14)가 압착 고정되며, 상기 제2 금구(14)에는 후술하는 관절식 완충대의 금구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핀(15)이 조립되고, 상기 송전선 고정금구(11)와 제2 금구(14) 사이에는 절연애자(13)가 형성된 2개 1조의 대칭형 상간 연결대(10)와; 상기 상간 연결대(10)의 제2 금구(14)들과 요철식으로 조립되어 연결핀(15)으로 고정된 채 예각운동이 될 수 있도록 중심부의 제2 절연성 버팀봉(22) 좌우 단부에 대칭형으로 압착 고정되는 금구(21)와, 상기 금구(21)들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피복층(23)으로 된 관절식 완충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결코자 하는 과제]
완충작용이 없는 종래의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서를 완충식으로 대체하여 전기 케이블의 단락현상을 예방하고 전기 케이블의 피로도를 격감시키고자 함.
[산업상 이용 분야]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서 분야, 전선용 스페이서 분야

Description

송전선용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Cushion spacer for Electric cable}
본 고안은 송전선용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spacer)에 관한 것으로, 고압 전류가 흐르는 송전선 사이에 연결되어 스페이서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송전선들이 흔들릴 경우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송전선들의 단락현상을 예방함과 아울러 송전선의 피로도를 격감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고압 전류를 필요한 장소에 공급하기 위한 송전선은 다수의 철탑 사이사이에 연결된 채 고공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바람의 작용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여 흔들리게 되고, 동절기에 송전선에 쌓였던 눈이 결빙되었다가 해빙되면서 추락을 할 경우 발생되는 진동파에 의해 역시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보통 송전선을 연결하고 있는 철탑 사이의 거리가 수 백 미터에 이르기 때문에 충격을 받은 송전선은 맥동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처음은 진동이나 충격은 미미할 수 있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흔들리는 현상이 심화되어 큰 폭으로 흔들리게 된다. 그러므로 각 송전선들 끼리 부딪혀 단락현상이 발생되는 예가 있어 대형의 사고를 유발시키게 될 수 있으며 또한 심각한 민원이 재기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손실도 크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송전선의 중간 중간에 무게가 무거운 구(球) 형태의 추(weight)를 고정시켜서 송전선의 흔들림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송전선의 맥동현상을 억제시켜 송전선에 발생된 충격이나 진동파를 소멸시키고자 하고 있으나 이는 각 송전선들 끼리를 연결시킨 상태가 아니고 송전선 마다 개별적으로 추를 고정시킨 것이기 때문에 그 효과가 양호하지 못하다는 결론에 이르렀고, 이에 본 고안자는 각 송전선들 끼리를 절연애자가 고정되어 있는 바(bar) 형태의 스페이서로 연결시켜 흔들리는 송전선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강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안을 안출하여 실용신안등록 제339652호로 등록을 받은 사실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등록된 고안은 각 송전선들 끼리를 상기 스페이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지만 상기 스페이서는 일체형을 띤 바(bar) 형태를 취하고 있어 송전선들 사이에 완충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아 송전선의 피로도가 높아져서 송진전들의 내구성이 저하됨은 물론 각 송전선들을 연결시키고 있는 스페이서의 송전선 고정금구의 내구성 또한 저하되어 균열이 발생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고 급기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본 고안을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충격이나 진동이 작용하여 흔들릴 수 있는 송전선들 사이에 연결시켜 송전선들의 흔들림 현상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이때 각 송전선들 사이에 완충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송전선들의 피로도를 격감시킴과 아울러 스페이서의 송전선 고정금구의 내구성도 크게 상승시켜 종래의 스페이서에서 발생되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송전선용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를 제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중심부의 절연성 버팀봉(12)을 기준하여 일측으로는 송전선 고정금구(11)가 압착 고정되고 그 반대쪽에는 제2 금구(14)가 압착 고정되며, 상기 제2 공구(14)에는 후술하는 관절식 완충대의 금구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핀(15)이 조립되고, 상기 송전선 고정금구(11)와 제2 금구(14) 사이에는 절연애자(13)가 현성된 2개 1조의 대칭형 상간 연결대(10)와; 상기 상간 연결대(10)의 제2 금구(14)들과 요철식으로 조립되어 연결핀(15)으로 고정된 채 예각운동이 될 수 있도록 중심부의 제2 절연성 버팀봉(22) 좌우 단부에 대칭형으로 압착 고정되는 금구(21)와, 상기 금구(21)들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피복층(23)으로 된 관절식 완충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완성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중앙의 관절식 완충대(20)를 기준하여 좌우로 상간 연결대(10)가 대칭형으로 조립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관절식 완충대(20)는 본 고안의 요부 기술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좌우에 대칭형으로 금구(21)가 위치하는데, 상기 금구(21)는 FRP봉이나 기타 강력 프라스틱 등으로 된 제2 절연성 버팀봉(22)의 좌우에 삽입된 채 산업용 유압 그리퍼(gripper) 등을 이용하여 압착 고정이 된다. 이때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제2 절연성 버팀봉(22)의 좌우 단부에 너얼링을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좌우의 금구(21) 사이에는 실리콘이나 고무, EPDM 등의 재질을 가지는 절연피복층(23)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님을 밝힌다.
이어서 상간 연결대(10)는 역시 중심부의 절연성 버팀봉(12)을 기준하여 일측으로는 송전선에 고정되는 송전선 고정금구(11)가 압착 고정이 되고 그 반대쪽에는 관절식 완충대(20)의 금구(21)와 요철식으로 연결이 되는 제2 금구(14)가 압착 고정이 된다. 여기서 상기 금구(11)(14)들의 고정 요령과 절연성 버팀봉(12)의 재질은 상술한 관절식 완충대(20)의 예와 동일하다. 다음, 상기 금구(11)(14)들 사이에는 실리콘이나 고무, EPDM 등으로 된 절연애자(13)를 형성시킨다.
한편, 관절식 완충대(20)의 절연피복층(23)과 상간 연결대(10)의 절연애자(13)는 금형 안에 절연성 버팀봉(12)과 제2 절연성 버팀봉(22)을 각각 안착시킨 후 상술한 절연성 재질을 사출하여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데, 이러한 공법은 본 고안자의 다른 선 등록된 발명과 실용신안에 공개되어 있으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제작된 본 고안의 2개 1조의 대칭형 상간 스페이서(10)와 1개의 관절식 완충대(20)는 연결핀(15)에 의해 서로 조립이 되며 이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다. 이때 상간 연결대(10)의 제2 금구(14)와 관절식 완충대(20)의 금구(21)들은 도면과 같이 요철식으로 조립이 되며 특히 연결핀(15)에 의해 서로 조립이 되었을 때 상기 제2 금구(14)의 단부와 상기 금구(21)의 안쪽 면 사이에는 틈새(a)가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이와 같이 틈새(a)가 존재하여야만 도3과 같이 관절식 완충대(20)를 기준하여 그 좌우에 조립되어 있는 상간 스페이서(10)가 연결핀(15)을 회전중심축으로 한 상태에서 예각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고, 이렇게 예각운동이 대칭으로 될 수 있어야만 상간 연결대(10)가 송전선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송전선이 흔들리더라도 송전선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각 송전선들 사이에 발생된 충격파는 완충되어 자연스럽게 상쇄·소멸이 되고 동시에 송전선 고정금구(11) 역시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파손되거나 균열이 발생되는 예가 거의 소멸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틈새(a)의 거리는 일정하게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상간 연결대(10)가 좌우 30도의 각도 범위 안에서 예각운동을 할 수 있을 정도이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관절식 완충대를 적용한 상간 스페이서를 제공함으로서 송전선이 흔들리거나 충격을 받아 흔들림 현상과 맥동현상이 발생되어도 그 힘을 완충시켜 상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송전선들의 단락현상 방지는 물론 송전선 자체의 피로도를 격감시켜 내구성이 상승되도록 할 수 있고, 스페이서의 내구성 또한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송전선 고정금구의 내구성도 크게 상승되도록 하여 종래 일체형 상간 스페이서에서 발생되었던 문제를 양호하게 해결하여 종합적으로 큰 이점과 작용상의 진보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참고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간 연결대 20: 관절식 완충대
a: 틈새

Claims (1)

  1. 중심부의 절연성 버팀봉(12)을 기준하여 일측으로는 송전선 고정금구(11)가 압착 고정되고 그 반대쪽에는 제2 금구(14)가 압착 고정되며, 상기 제2 금구(14)에는 후술하는 관절식 완충대의 금구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핀(15)이 조립되고, 상기 송전선 고정금구(11)와 제2 금구(14) 사이에는 절연애자(13)가 형성된 2개 1조의 대칭형 상간 연결대(10)와;
    상기 상간 연결대(10)의 제2 금구(14)들과 요철식으로 조립되어 연결핀(15)으로 고정된 채 예각운동이 될 수 있도록 중심부의 제2 절연성 버팀봉(22) 좌우 단부에 대칭형으로 압착 고정되는 금구(21)와, 상기 금구(21)들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 피복층(23)으로 된 관절식 완충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
KR20-2005-0013799U 2005-05-13 2005-05-13 송전선용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 KR200391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799U KR200391507Y1 (ko) 2005-05-13 2005-05-13 송전선용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799U KR200391507Y1 (ko) 2005-05-13 2005-05-13 송전선용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507Y1 true KR200391507Y1 (ko) 2005-08-03

Family

ID=4369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799U KR200391507Y1 (ko) 2005-05-13 2005-05-13 송전선용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50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749B1 (ko) * 2006-09-05 2007-01-24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구조
KR100869365B1 (ko) 2008-03-05 2008-11-24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특고압 송전용 철탑의 완금구조
CN107528278A (zh) * 2017-09-29 2017-12-29 固力发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相间间隔棒
KR102360884B1 (ko) 2021-05-18 2022-02-09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749B1 (ko) * 2006-09-05 2007-01-24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구조
KR100869365B1 (ko) 2008-03-05 2008-11-24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특고압 송전용 철탑의 완금구조
CN107528278A (zh) * 2017-09-29 2017-12-29 固力发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相间间隔棒
KR102360884B1 (ko) 2021-05-18 2022-02-09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5710B2 (ja) 電力網送電線のための複合材送電鉄塔およびその複合材腕金構造体
CN107706871B (zh) 架空配电线路
KR200391507Y1 (ko) 송전선용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
CN102738747B (zh) 地、导线能量释放棒及地、导线间隔棒
CN104137367B (zh) 用于四导体线束的阻尼间隔棒
KR101746372B1 (ko)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
CN111999833A (zh) 一种抗风力空挂光缆
US7290748B2 (en) Breakaway support for overhead lines
CN205355741U (zh) 一种架空线路直拉型耐张金具
CN203480947U (zh) 改进型棒式复合绝缘子串及连接结构
CN204131064U (zh) 一种架空输电导线防震锤的连接结构
CN201490667U (zh) 导线防舞动相间间隔棒的铰链式联结金具
CN102054545B (zh) 750kV格构式复合横担绝缘子
CN202712794U (zh) 一种高强度钢芯铝合金绞线用预绞丝四分裂导线间隔棒
CN202996442U (zh) 支撑式复合绝缘子
CN203339620U (zh) 一种防舞动柔性复合相地间隔棒
CN210015814U (zh) 一种三相联动型刀闸固定结构
CN101997292A (zh) 导线防舞动相间间隔棒的铰链式联结金具
CN202772532U (zh) 地、导线能量释放棒及地、导线间隔棒
CN201532821U (zh) 750kV格构式复合横担绝缘子
WO2017027464A1 (en) Motion control device for overhead transmission lines
CN207977708U (zh) 一种输变电用线夹
CN111852156A (zh) 一种110kV鼓型双回路复合横担塔
CN205453068U (zh) 一种具有外侧稳定机构的穿墙型电缆终端接头
CN108462140A (zh) 一种输电线路的防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