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884B1 -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 Google Patents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884B1
KR102360884B1 KR1020210064390A KR20210064390A KR102360884B1 KR 102360884 B1 KR102360884 B1 KR 102360884B1 KR 1020210064390 A KR1020210064390 A KR 1020210064390A KR 20210064390 A KR20210064390 A KR 20210064390A KR 102360884 B1 KR102360884 B1 KR 102360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enter
side insulator
insulator
insul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기
Original Assignee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064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현장 여건과 송전선로의 배선 상태에 맞는 송전선로의 완충을 확보하고 또한 별도의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현장에서 송전선로를 완충없이 고정하여 지지하고 아울러 힌지연결부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는, 센터측 애자부(10)와; 상기 센터측 애자부의 길이방향 양쪽에 각각 제1,2힌지핀을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선로측 애자부(20,30)와; 상기 제1,2선로측 애자부에 각각 연결되며 선로에 각각 고정되는 제1,2클램프(40,50)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측 애자부는 원통형의 센터측 애자블록(11), 상기 센터측 애자블록의 길이방향 양쪽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1,2센터측 힌지연결부(12,13)를 포함하며, 상기 제1,2선로측 애자부는 원통형의 제1,2선로측 애자블록(21,31). 상기 제1,2선로측 애자블록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2힌지핀을 통해 상기 제1,2센터측 힌지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선로측 힌지연결부(23,33)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선로측 애자부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1,2힌지핀을 통해 상기 센터측 애자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유지시키거나 상기 제1,2선로측 애자부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센터측 애자부와 고정하여 직선으로 전환시키는 전환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A power cable space for power transmission tower}
본 발명은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 여건과 송전선로의 배선 상태에 맞는 송전선로의 완충을 확보하고 또한 별도의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현장에서 송전선로를 완충없이 고정하여 지지하는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철탑과 철탑 사이에 송전선이 연결된다.
이러한 송전선들은 고공에 설치되는 특성상 바람이나 눈 비등의 기후적인 영향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진동 혹은 진폭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하에 설치된다.
특히, 강한 바람이 불 경우 상기 송전선들이 상,하로 심하게 흔들려서 상호 간에 마찰을 빗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것은 합선이나 단전 유발 등 대형 안전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송전선의 일정간격마다 구형상의 웨이트, 즉 무게 추를 설치하여 기후의 영향으로 송전선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설치의 간편함을 기대할 수 있는 것임에는 분명하나 이는 언급한 바와 같이 단순히 송전선마다 개별적으로 웨이트를 매달아 구성함에 따라 송전선 상호 간의 상,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송전선로 간에 상간 스페이서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상간 스페이서는 이웃하는 송전선에 각각 고정되는 클램프, 클램프들을 연결하는 로드를 기본 구성으로 하며, 길이조절 기술, 완충(회동) 기술 등으로 발전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91507호는 중심부의 절연성 버팀봉)을 기준하여 일측으로는 송전선 고정금구가 압착 고정되고 그 반대쪽에는 제2 금구가 압착 고정되며, 상기 제2 금구에는 후술하는 관절식 완충대의 금구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핀이 조립되고, 상기 송전선 고정금구와 제2 금구 사이에는 절연애자가 형성된 2개 1조의 대칭형 상간 연결대와; 상기 상간 연결대의 제2 금구들과 요철식으로 조립되어 연결핀으로 고정된 채 예각운동이 될 수 있도록 중심부의 제2 절연성 버팀봉 좌우 단부에 대칭형으로 압착 고정되는 금구와, 상기 금구들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피복층으로 된 관절식 완충대로 구성된 송전선용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이며, 예각 운동을 통해 송전선의 흔들림과 맥동현상을 완충시키는 것이다.
종래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는 완충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송전선을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지 못한다. 즉, 종래의 상간 스페이서는 완충을 하지 않는 직선형의 상간 스페이서와 힌지 연결에 의한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로 구분되는데, 상기 상간 스페이서들은 각각의 기능만 수행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만을 현장에 가져간 경우 현장에서 송전선로의 완충이 필요없거나 완충보다는 고정이 필요한 조건일 때 완충을 막기 위한 방법이 없고 반대로 직선식 상간 스페이서만을 현장에 가져간 경우 현장에서 송전선로의 완충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을 때 완충을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직선식과 완충식 모두 이웃하는 송전선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라인만 완충이 필요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는 힌지연결부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이 힌지연결부는 구조적으로 취약하고 외부의 충돌 등으로 인하여 파손이 우려되지만 이를 보호할 방법이 없어 취급과 설치 중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9150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장 여건과 송전선로의 배선 상태에 맞는 송전선로의 완충을 확보하고 또한 별도의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현장에서 송전선로를 완충없이 고정하여 지지하는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간 스페이서의 힌지연결부를 보호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는, 센터측 애자부와; 상기 센터측 애자부의 길이방향 양쪽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선로측 애자부와; 상기 제1,2선로측 애자부에 각각 연결되며 선로에 각각 고정되는 제1,2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선로측 애자부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센터측 애자부에 직선으로 연결하거나 회동 가능하게 전환시키는 전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제1,2선로측 애자부에 삽입 내지 중첩되어 있다가 일측이 상기 센터측 애자부에 고정되는 직선전환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에 의하면, 이웃하는 송전선로의 지지를 위한 상간 스페이서가 힌지 연결에 의한 완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힌지거동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현장 여건에 맞춰 직선고정식으로 사용되거나 완충식으로 사용됨으로써 송전선로를 현장에 맞는 최적의 상태로 배선할 수 있고 배선작업도 매우 용이하고, 또한, 이웃하는 송전선로의 완충을 현장 여건에 맞춰 어느 하나만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송전선로를 더욱 최적의 상태로 배선함으로써 송전계통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간 스페이서를 직선으로 유지하는 직선전환로드를 이용하여 힌지연결부를 보호하여 외력으로 인한 파손을 줄임으로써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고 송전선로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의 작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에 적용된 제1,2직선전환로드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100)는, 센터측 애자부(10)와 센터측 애자부(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선로측 애자부(20,30) 및 제1,2클램프(40,50)를 기본 구성으로 하며, 제1,2선로측 애자부(20,30)를 센터측 애자부(10)와 직선을 유지시키는 전환수단을 포함하고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센터측 애자부(10)는 센터측 애자블록(11), 센터측 애자블록(11)의 길이방향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제1,2센터측 힌지연결부(12,13)를 구성으로 하고, 전환을 위한 구성으로 센터측 애자블록(11)의 길이방향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제1,2고정홈(14,15)을 더 포함한다.
센터측 애자블록(11)은 통상의 애자와 동일한 재질이며 제1,2고정홈(14,15)의 형성을 위하여 원통형의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2센터측 힌지연결부(12,13)는 센터측 애자블록(11)의 길이방향측 양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1,2선로측 애자부(20,3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2선로측 애자부(20,30)는 제1,2선로측 애자블록(21,31), 제1,2선로측 애자블록(21,3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제1,2센터측 힌지연결부(12,13)에 각각 제1,2힌지핀(22,32)을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선로측 힌지연결부(23,33)로 구성된다.
제1,2선로측 애자블록(21,31)은 바람직하게 원통형 구조이다.
제1,2클램프(40,50)는 제1,2선로측 애자부(20,30)의 길이방향 양측 중 제1,2선로측 힌지연결부(23,33)의 반대쪽에 연결되고 제1,2선로(1,2)에 각각 고정되며, 예를 들어 제1,2선로(1,2)를 감싸는 제1,2홀더(41,51), 제1,2홀더(41,51)에 나사 체결되어 제1,2홀더(41,51)와 제1,2선로(1,2)를 연결하는 제1,2고정볼트(42,52)로 구성된다.
상기 전환수단은 제1,2선로측 애자블록(21,31)에 연결되는 제1,2직선전환로드(24,34), 제1,2직선전환로드(24,34)를 제1,2고정홈(14,15)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하는 제1,2고정핀(25,35)을 포함한다.
제1,2직선전환로드(24,34)는 제1,2선로측 애자블록(21,3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일측이 제1,2고정홈(14,15)에 삽입된 후 제1,2고정핀(25,35)으로 고정되어 제1,2선로측 애자부(20,30)를 센터측 애자부(10)에 고정하여 이들이 제1,2힌지핀(22,32)에 의한 회동 구조이지만 직선을 유지하도록 전환시킨다.
바람직하게, 제1,2선로측 애자블록(21,31)은 제1,2직선전환로드(24,34)가 삽입되는 제1,2수납홈을 포함하여 제1,2직선전환로드(24,34)는 상기 제1,2수납홈에 슬라이드식으로 인출과 수납되도록 구성되며, 다른 방법으로 제1,2직선전환로드(24,34)는 제1,2선로측 애자블록(21,31)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2직선전환로드(24,34)는 제1,2고정핀(25,35)이 끼워지는 핀고정부(홈이나 구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핀고정부는 제1,2직선전환로드(24,34)가 인출되어 그 단부가 제1,2고정홈(14,24)에 삽입된 위치에서 제1,2고정핀(25,35)이 끼워지는 위치 그리고, 제1,2직선전환로드(24,34)가 제1,2수납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끼워지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2직선전환로드(24,34)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인출/삽입되는 수동식 또는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인출/삽입되는 전동식이 가능하다. 전동식의 경우 상기 모터와 제1,2직선전환로드(24,34)는 래크와 피니언으로 연결되고 상기 모터는 원거리의 관리자에 의해 조작되는 단말기와 통신하여 정/역회전 및 정지 제어되고 이 경우 제1,2고정핀(25,35)은 사용되지 않는다.
도면에는 제1,2직선전환로드(24,34)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1개로만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2개 이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1,2고정핀(25,35)은 예를 들어 볼트 형태이며 제1,2선로측 애자블록(21,31)의 너트부(제1,2선로측 애자블록(21,31)에 고정되는 너트 또는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어 제1,2고정홈(14,15) 안에 삽입된 제1,2직선전환로드(24,34)를 고정한다.
도 3은 센터측 애자부(10)와 제1,2선로측 애자부(20,30)의 선형을 보인 예를 도시한 것이다.
(A) 센터측 애자부(10)와 제1,2선로측 애자부(20,30) 모두 직선 상태.
제1,2직선전환로드(24,34)는 제1,2선로측 애자블록(21,31)에서 인출되어 센터측 애자블록(11)의 제1,2고정홈(14,15)에 각각 삽입된 후 제1,2고정핀(25,35)이 체결되어 센터측 애자블록(11)에 고정된다.
따라서, 센터측 애자부(10)와 제1,2선로측 애자부(20,30)는 제1,2힌지핀(22,32)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제1,2직선전환로드(24,34)에 의해 일직선을 유지한다. 따라서, 상간 스페이서(100)에 연결된 제1,2선로(1,2)는 완충없이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B) 센터측 애자부(10)와 제1선로측 애자부(20)만 직선 상태.
제1직선전환로드(24)는 전술한 것처럼, 센터측 애자블록(11)의 제1고정홈(14)에 삽입되어 제1고정핀(25)으로 고정되고 제2직선전환로드(34)는 제2선로측 애자블록(31)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제1선로측 애자부(20)와 센터측 애자부(10)는 직선을 유지하고 센터측 애자부(10)와 제2선로측 애자부(30)는 제2힌지핀(32)의 연결이 유지되어 센터측 애자부(10)와 제1선로측 애자부(20)가 제2선로(2)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회동 완충할 수 있다.
(C) 센터측 애자부(10)와 제2선로측 애자부(30)만 직선 상태.
제2직선전환로드(34)는 전술한 것처럼, 센터측 애자블록(11)의 제2고정홈(24)에 삽입되어 제2고정핀(35)으로 고정되고 제1직선전환로드(24)는 제1선로측 애자블록(21)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제2선로측 애자부(30)와 센터측 애자부(10)는 직선을 유지하고 센터측 애자부(10)와 제1선로측 애자부(20)는 제1힌지핀(22)의 연결이 유지되어 센터측 애자부(10)와 제2선로측 애자부(30)가 제1선로(1)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회동 완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B)와 (C)가 조합된 상태 즉, 제1,2직선전환로드(24,34) 모두가 제1,2선로측 애자블록(21,31)에 삽입되어 제1,2선로측 애자부(20,30) 모두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제1,2직선전환로드(24,34)를 이용하여 센터측 애자부(10)와 제1,2선로측 애자부(20,30)의 힌지연결부를 보호하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것도 포함된다.
제1,2직선전환로드(24,34)는 관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2고정홈(14,24)은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제1,2직선전환로드(24,34)는 제1,2고정핀(25,35)이 끼워지는 핀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핀고정부는 제1,2직선전환로드(24,34)가 상기 힌지연결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일부분만 인출된 위치에서 제1,2고정핀(25,35)이 끼워지는 위치에 더 형성된다.
제1,2선로측 애자부(20,30)의 제1,2선로측 힌지연결부(23,33)에는 고정홀이 포함된다.
제1,2직선전환로드(24,34)는 센터측 애자블록(11)의 제1,2고정홈(14,24)에 삽입되어 제1,2선로측 애자부(20,30)를 직선으로 전환시키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한편, 상기 힌지연결부의 보호를 위한 경우, 제1,2직선전환로드(24,34)는 힌지 거동을 간섭하지 않을 정도만 인출 즉, 제1,2힌지핀(22,32)을 덮지 않도록 인출되고 제1,2선로측 애자부(20,30)의 제1,2선로측 힌지연결부(23,33)에 체결되는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예를 들어, 제1,2선로측 애자블록(21,31)에 체결되어 제1,2직선전환로드(24,34)를 고정하는 제1,2고정핀(24,24) 가능하고, 즉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아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1,2직선전환로드(24,34)가 상기 힌지연결부를 덮기 때문에 외부의 충돌물에 의한 상기 힌지연결부의 손상을 막게 된다.
제1,2직선전환로드(24,34)는 제1,2힌지핀(22,32)을 덮지 않는 위치까지만 인출되어도 힌지연결부를 보호할 수 있지만, 이렇게 되면 보호할 수 있는 부분이 적은 단점이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직선전환로드(24)의 둘레부에는 절개부(24a)가 형성된다. 절개부(24a)는 제1힌지핀(22)에 연결된 제1센터측 힌지연결부(12)와 제1선로측 힌지연결부(23)의 힌지거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연결부가 삽입됨으로써 제1직선전환로드(24)가 힌지연결부의 더 많은 부분을 덮어 보호할 수 있다.
제2직선전환로드(34)도 동일한 절개부가 형성된다.
10 : 센터측 애자부, 11 : 센터측 애자블록
12,13 : 제1,2센터측 힌지연결부, 14,15 : 제1,2고정홈
20,30 : 제1,2선로측 애자부, 21,31 : 제1,2선로측 애자블록
22,32 : 제1,2힌지핀, 23,33 : 제1,2선로측 힌지연결부
24,34 : 제1,2직선전환로드, 25,35 : 제1,2고정핀
40,50 : 제1,2클램프,

Claims (4)

  1. 센터측 애자부(10)와;
    상기 센터측 애자부의 길이방향 양쪽에 각각 제1,2힌지핀을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선로측 애자부(20,30)와;
    상기 제1,2선로측 애자부에 각각 연결되며 선로에 각각 고정되는 제1,2클램프(40,50)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측 애자부는 원통형의 센터측 애자블록(11), 상기 센터측 애자블록의 길이방향 양쪽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1,2센터측 힌지연결부(12,13)를 포함하며,
    상기 제1,2선로측 애자부는 원통형의 제1,2선로측 애자블록(21,31). 상기 제1,2선로측 애자블록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2힌지핀을 통해 상기 제1,2센터측 힌지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선로측 힌지연결부(23,33)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선로측 애자부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1,2힌지핀을 통해 상기 센터측 애자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유지시키거나 상기 제1,2선로측 애자부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센터측 애자부와 고정하여 직선으로 전환시키는 전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센터측 애자블록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상기 제1,2선로측 애자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는 제1,2고정홈(14,15), 상기 제1,2선로측 애자부의 제1,2선로측 애자블록에 형성된 제1,2수납홈에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제1,2고정홈에 삽입되는 제1,2직선전환로드(24,34), 상기 제1,2선로측 애자블록에 나사 체결되며 상기 제1,2직선전환로드를 고정하는 제1,2고정핀(25,35)을 포함하며,
    상기 제1,2고정홈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제1,2직선전환로드는 관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선로측 애자블록에서 인출된 후 상기 제1,2고정핀으로 고정됨과 아울러 단부가 상기 제1,2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센터측 애자부와 제1,2선로측 애자부의 힌지연결부를 덮어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직선전환로드는 상기 힌지연결부가 삽입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20210064390A 2021-05-18 2021-05-18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2360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390A KR102360884B1 (ko) 2021-05-18 2021-05-18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390A KR102360884B1 (ko) 2021-05-18 2021-05-18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884B1 true KR102360884B1 (ko) 2022-02-09

Family

ID=8026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390A KR102360884B1 (ko) 2021-05-18 2021-05-18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8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507Y1 (ko) 2005-05-13 2005-08-03 송홍준 송전선용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
KR101995032B1 (ko) * 2019-01-31 2019-07-01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가공 및 지중 송전선로 고압케이블 고정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507Y1 (ko) 2005-05-13 2005-08-03 송홍준 송전선용 완충식 상간 스페이서
KR101995032B1 (ko) * 2019-01-31 2019-07-01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가공 및 지중 송전선로 고압케이블 고정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7103B1 (en) Transmission tower devices for reducing longitudinal shock loads
KR100899184B1 (ko) 송전가공 선로형 상간 스페이서
KR101422743B1 (ko)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대
KR101994674B1 (ko) 가공 송전선로의 복도체 연결장치
US11283254B2 (en) Cross arm and angle tower and tension tower comprising the same
US20140124234A1 (en) Antigalloping Device
KR101455281B1 (ko) 가공 송전선로용 복도체 고정장치
KR102360884B1 (ko) 가공 송전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1684662B1 (ko)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
JP6000372B2 (ja) 4導体束に用いるスペースダンパー
KR100503024B1 (ko) 송전 철탑용 선로 장력 유지장치
KR102076853B1 (ko) 안정기능이 향상된 가공 배전선로 연결애자
KR101024895B1 (ko) 송전선로의 점퍼지지대용 아킹 혼 장치
JP4822749B2 (ja) ルーズ式電線把持部
US9620947B2 (en) Antigalloping device
CN103606872A (zh) 一种防晕型六分裂导线间隔棒
KR100861132B1 (ko) 송,배전선의 스페이서
CN113315081B (zh) 易装式抗震避雷器装置
KR100865074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CN202712794U (zh) 一种高强度钢芯铝合金绞线用预绞丝四分裂导线间隔棒
KR101784352B1 (ko) 가공송전선로의 복도체 연결장치
CN211720182U (zh) 一种电力工程电缆抗振安装架
CN216980242U (zh) 角钢塔防风偏绝缘子安装装置
KR200433574Y1 (ko) 송·배전용 철탑의 현수 애자
CN217182094U (zh) 一种真空断路器用接线保护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