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457B1 - 실린더의 센서 취부구조 및 취부방법 - Google Patents

실린더의 센서 취부구조 및 취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457B1
KR100671457B1 KR20030062285A KR20030062285A KR100671457B1 KR 100671457 B1 KR100671457 B1 KR 100671457B1 KR 20030062285 A KR20030062285 A KR 20030062285A KR 20030062285 A KR20030062285 A KR 20030062285A KR 100671457 B1 KR100671457 B1 KR 100671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member
male screw
sensor
long groove
sens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62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632A (ko
Inventor
와타나베토시유키
이시이기미오
Original Assignee
다이요 텍코 가부시키 가이샤
구로다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요 텍코 가부시키 가이샤, 구로다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요 텍코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8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8Mean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e.g. end of stroke
    • F15B15/2892Mean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e.g. end of strok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Abstract

종래예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센서케이스를 실린더본체의 장홈에 대해 안정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고, 또한 그 위치조정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센서케이스(2) 일단의 돌부(2d)에 암나사(7a)가 만들어지고, 이 암나사(7a)에 고정수단으로서 두부(8b)를 구비하는 수나사부재(8)가 나합되며, 그 두부(8b)는 센서케이스(2)의 돌부(2d)와 함께 실린더본체(1)의 장홈(3)내에 위치하고, 해당 두부(8b)가 장홈(3) 내면의 견부(3c)에 압접하는 상태가 되도록 수나사부재(8)를 반대로 조임으로써, 센서케이스(2)가 장홈(3)에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린더의 센서취부구조 및 취부방법{Structure for attaching sensor to cylinder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종래예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래예 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예 2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종래예 2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예 3의 축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종래예 3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예 4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실린더본체와 센서케이스 각각의 일례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9는, 센서케이스를 실린더본체의 장홈내에 내장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센서케이스측 구성의 실시예 1를 나타낸 축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센서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센서케이스의 측면도 이다.
도 13은, 도 10의 센서케이스의 저면도 이다.
도 14는, 도 12의 Ⅰ-Ⅰ선 단면도 이다.
도 15는 도 12의 정면도 이다.
도 16은 장홈내에 내장한 상태의 단면도 이다.
도 17은, 센서케이스측 구성의 실시예 2를 나타낸 축방향의 단면도 이다.
도 18은, 도 17의 센서케이스의 평면도 이다.
도 19는, 도 17의 센서케이스의 측면도 이다.
도 20은, 도 17의 센서케이스의 저면도 이다.
도 21은, 도 19의 Ⅱ-Ⅱ선 단면도 이다.
도 22는, 도 21의 정면도 이다.
도 23은, 장홈내에 내장한 상태의 단면도 이다.
도 24는 장홈내면 견부 높이나 형상이 다르게 되어 있어도 대응가능한 것을 실시예 2에 대해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단면도(端面圖), (B)는 단면도(斷面圖) 이다.
도 25는 도 24와 동일한 것을 나타내며, (A)는 단면도(端面圖), (B)는 단면도(斷面圖) 이다.
도 26은 도 24와 동일한 것을 나타내며, (A)는 단면도(端面圖), (B)는 단면도(斷面圖) 이다.
도 27은 두께가 두꺼운 너트로 바꾼 경우의 변형례를 나타내며, (A)는 단면도(端面圖), (B)는 단면도(斷面圖) 이다.
도 28은 두부가 큰 수나사부재로 바꾼 경우의 변형례를 나타내며, (A)는 단면도(端面圖), (B)는 단면도(斷面圖) 이다.
도 29는 두부가 원형의 수나사부재로 바꾼 경우의 변형례를 나타내며, (A)는 단면도(端面圖), (B)는 단면도(斷面圖) 이다.
도 30은 두부가 단면사각형의 수나사부재로 바꾼 경우의 변형례를 나타내고, (A)는 단면도(端面圖), (B)는 단면도(斷面圖)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부호의 설명*
1 실린더본체 2 센서케이스 2a 몸통부(胴部)
2b 하부 2c 상부 2d 돌부(突部)
2e 돌부의 상면 2f 몸통부의 상면 2g 돌부의 하면
2h 나사공 3 장홈 3a 개구부
3b 홈내부 3c 견부 4 유체공급포트
5 피스톤롯드 6 센서 7 통형너트
8 수나사부재 8a 수나사산 8b 두부
8c 마이너스홈 9 너트 9a 암나사
본 발명은, 유체압 실린더에 있어서, 그 피스톤 위치등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실린더 본체의 외면에 취부하는 센서 취부구조 및 센서 취부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센서의 취부위치를 실린더 본체의 축방향에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린더본체의 외면에 축방향으로 길게 만들어진 장홈에, 센서를 내장한 센서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슬라이드가능하게 감합시키고, 센서케이스를 장홈에 대해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센서 취부구조중 센서케이스를 장홈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수단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다음의 특허 문헌에 기재된 것이 있다.
①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280310호 공보)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예 1에서는, 센서케이스(100)를 실린더본체(101)의 장홈(102)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서, 수나사부재(103)와 사각형의 너트(104)를 사용한다. 센서케이스(100)의 일단에는, 상면이 평평한 돌부(100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부(100a)의 상측은 절삭부(欠如部)로 되어 있으므로, 돌부(100a)의 높이는 센서소자(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한 몸통부(100b)보다 단차(段差)를 두어 낮게 되어 있다. 돌부(100a)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105)이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재(103)는 수나사산(103a)과 이보다 작은 지름이고 수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축부(103b)로 되어 있다. 너트(104)는 나사부재(103)의 수나사산(103a)에 나합하는 암나사(104a)를 구비한다.
한편, 장홈(102)은 개구부(102a)와 이보다 폭이 양측으로 넓고 바닥면이 원호를 이루는 단면이 U자형인 홈내부(102b)로 이루어지고, 홈내부(102b)의 상단양측에 수평한 견부(102c)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104)는 이 홈내부(102b)의 폭에 들어맞는 폭으로 되어 있다.
수나사부재(103)의 축부(103b)는 관통공(105)에 삽입되고, 너트(104)는 수나사부재(103)의 수나사산(103a)에 나합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 센서케이스(100)자체는 장홈(10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감합되고, 수나사부재(103)를 일정한 방향으로 돌려 그 축부(103b)의 선단이 장홈(102)의 바닥면에 압접함과 동시에 너트(104)가 장홈(102)의 견부(102c)에 압접하는 상태로 함으로써 센서케이스(100)는 장홈(102)에 대해 슬라이드하지 않게 고정된다.
② 특허 문헌 2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2592877호 공보)
도 3 및 도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예 2에서는 센서케이스(200)를 실린더본체(201)의 장홈(202)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서 수나사부재(203)와 암나사부재(204)를 사용한다. 센서케이스(200)의 일단에는 하측이 절삭부(200a)로 된 돌부(200b)가 일체로 만들어져 있다. 이 돌부(200b)상면에는 센서소자(도시 하지 않음)를 내장한 몸통부(200c)에 이어서, 경사진 양측 견부(200d)가 형성되어 있다. 돌부(200b)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205)이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재(203)는 그 전장(全長)에 걸쳐 있는 수나사산(203a)을 구비한다. 암나사부재(204)는 수나사부재(203)의 수나사산(203a)에 나합하는 암나사(204a)를 구비한다.
한편, 장홈(202)은 개구부(202a)와 이보다 폭이 양측으로 넓어 저면이 원호를 이루는 단면이 U자형인 홈내부(202b)로 이루어지고, 홈내부(202b)의 상단양측에 경사진 견부(202c)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재(204)는 돌부(200b)의 하측에 배치되고, 수나사부재(203)는 돌부(200b)의 관통공(205)에 관통시켜 수나사부재(203)의 수나사산(203a)에 나합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 센서케이스(200)자체는 장홈(20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감합되고, 수나사부재(203)를 일정한 방향으로 돌리고, 그 선단이 장홈(202)의 바닥면에 압접함과 동시에 돌부(200b)가 암나사부재(204)로 밀어 올려져 견부(200d)가 장홈(202)의 견부(200c)에 압접하는 상태로 함으로써, 센서케이스(200)는 장홈(202)에 대해 슬라이드 되지 않게 고정된다.
③ 특허 문헌 3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평6-50643호 공보)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종래예 3에서는 센서케이스(300)를 실린더 본체(301)의 장홈(302)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서, 수나사부재(303)와 고정판(304)을 사용한다. 센서케이스(300) 일단의 돌부(300a)는 센서소자(305)를 내장한 몸통부(300b)로부터 그대로 돌출되어 있고, 이 돌부(300a)에는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사각형의 관통공(300c)과, 이 관통공(300c)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공(300d)이 만들어져 있다.
수나사부재(303)는 그 전장에 걸쳐 있는 수나사산(303a)을 구비한다. 고정판(304)에는 센서케이스(300)의 사각형 관통공(300c)에 적합하게 관통하는 단면형상 및 사이즈로 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나사공(30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장홈(302)은 개구부(302a)와 이보다 폭이 양측으로 넓고 바닥면이 대형(臺形)으로 이루어진 홈(溝)내부(302b)로 이루어지고, 홈내부(302b)의 상단양측에 수평한 견부(302b)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304)은 센서케이스(300) 횡방향의 관통공(300c)에 삽입되고, 수나사부재(303)는 센서케이스(300) 종방향의 관통공(300d)을 통해 고정판(304)의 나사공(306)에 나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 센서케이스(300)자체는 장홈(30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감합되고, 나사부재(303)를 일정한 방향으로 돌려 그 선단이 장홈(302)의 바닥면에 압접함과 동시에 고정판(304)이 장홈(302)의 견부(302c)에 압접하는 상태로 함으로써, 센서케이스(300)는 장홈(302)에 대해 슬라이드되지 않게 고정된다.
④ 특허 문헌 4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평6-50644호 공보)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종래예 4에서는 센서케이스(400)를 실린더본체(401)의 장홈(402)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서, 수나사부재(403)와 너트(404)를 사용한다. 센서케이스(400)의 양측면에는 그 전장에 걸쳐 있는 철부(凸部)(400a)가 만들어지고, 또한, 센서케이스(400)의 일단부에는 하면에 요부(凹部)(400b)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요부(400b)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공(404c)이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재(403)는 그 전장에 걸쳐 있는 수나사산(403a)을 구비한다. 너트(404)는 수나사부재(403)의 수나사산(403a)에 나합하는 암나사(404a)를 구비한다.
한편, 장홈(402)은 종래예 3의 경우와 동일하게 개구부(402a)와 이보다 폭이 양측으로 넓고 저면이 대형(臺形)을 이루는 홈(溝)내부(402b)로 이루어져 있고, 홈(溝)내부(402b)의 상단양측에 수평한 견부(402c)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404)는 센서케이스(400)의 요부(凹部)(400b)에 감합되고, 수나사부재(403)는 관통공(404c)을 통해 너트(404)의 암나사(404a)에 나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 센서케이스(400)자체는 장홈(40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감합되고, 수나사부재(403)를 일정한 방향으로 돌리고, 그 선단이 장홈(402)의 바닥면에 압접함과 동시에 센서케이스(400)의 철부(凸部)(400a)가 장홈(402)의 견부(402c)에 압접하는 상태로 함으로써, 센서케이스(400)는 장홈(402)에 대해 슬라이드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280310호 공보(4 페이지, 도 5)
특허문헌 2: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92877 호 공보(4 페이지, 도 2, 도 3)
특허문헌 3: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평6-50643호 공보(2 페이지, 도 1, 도 2)
특허문헌 4: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평6-50644호 공보(2 페이지, 도 2)
그러나, 종래예 1∼종래예 4에 따르면 각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예 1>
수나사부재(103)의 축부(103b)를 센서케이스(100)의 관통공(105)에 삽입시키고, 다시 수나사부재(103)의 수나사산(103a)에 너트(104)를 나합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조립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센서케이스(100)를 장홈(102)에 대해 고정상태로 하였을 때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너트(104)는 반드시 장홈(102)에 적합하게 해야 하므로 장홈(102)의 단면형상이 다른 경우, 예를 들어 장홈의 견부가 도 4와 같이 경사져 있기만 해도 적용할 수 없다.
<종래예 2>
센서케이스(200)자체의 견부(200d)를 장홈(202)의 견부(202c)에 압접시켜 고정하기 때문에, 센서케이스(200)와 장홈(202)을 반드시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장홈(202)의 단면형상이 다를 경우, 각각에 맞춘 센서케이스가 필요하게 된다. 암나사부재(204)를 센서케이스(200)의 돌부(200b)의 하측에 배치하고, 수나사부재(203)를 돌부(200b)의 관통공(205)에 관통시켜 암나사부재(204)의 암나사부(204a)에 나합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조립이 복잡하다.
<종래예 3>
센서케이스(300)에 사각형의 횡방향 관통공(300c)과 원형의 종방향 관통공(300d)을 만들어야만 하기 때문에, 센서케이스(300)의 제조가 복잡하다. 횡방향 관통공(300c)에 고정판(304)을 삽입하고, 그 나사공(306)과 종방향 관통공(300d)을 일치시켜 두고, 종방향 관통공(300d)을 통해 수나사부재(303)를 나사공(306)에 나합시켜지 않으면 안되므로 조립이 복잡하다.
<종래예 4>
센서케이스(400)에 철부(凸部)(400a), 요부(凹部)(400b), 관통공(404c)을 만들어야만 하므로, 센서케이스(400)의 제조가 복잡하다. 센서케이스(400)의 요부(凹部)(400b)에 너트(404)를 감합시키고, 수나사부재(403)를 관통공(404c)을 통해 너트(404)의 암나사부(404a)에 나합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조립이 복잡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예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센서케이스를 실린더본체의 장홈에 대해 안정된 상태로 고정 할 수 있고, 더욱이 그 위치조정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센서 취부구조 및 취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센서 취부구조에서는 센서케이스 일단의 돌부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에 고정수단으로서 두부(頭部)를 구비하는 수나사부재가 나합되며, 그 두부는 센서케이스의 돌부와 함께 실린더 본체의 장홈내에 위치하고, 그 두부가 장홈 내면의 견부에 압접하는 상태로 되도록 수나사부재를 반대로 조임으로써, 센서케이스가 장홈에 고정되어 있다.
그 바람직한 형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된다.
센서케이스의 돌부는 센서를 내장하고 있는 몸통부보다 높이가 낮고, 나사부재의 두부는 장홈 내면의 견부에 압접한 상태로서, 센서케이스 돌부의 상면과 몸통부의 상면의 중간 높이로 된다.
수나사부재의 두부는 장홈 내면의 견부에 압접한 상태로소 장홈의 개구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은 크기로 되어 있다.
수나사부재의 두부가 장홈 내면의 견부에 압접하였을 때 센서케이스 돌부의 하면이 장홈의 바닥면과 밀착한다.
수나사부재의 두부를 원추대형상으로 하면, 각종 장홈에 대한 적용성이 높다.
센서케이스의 돌부에 통형너트가 매설되고, 수나사부재는 이 너트의 암나사에 나합되어 있다.
그 경우, 센서케이스는 수지제, 수나사부재 및 통형너트는 금속제로 한다.
또한, 그 외의 형태로는 센서케이스의 돌부에 나사공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돌부위에 너트가 고정되어 그 암나사와 나사공이 연속하고, 이들에 수나사부재가 나합되어 있다.
그 경우, 센서케이스는 수지제, 수나사부재 및 통형너트 금속제로 한다.
본 발명의 센서 취부방법은 센서케이스 일단의 돌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고정수단으로서 두부를 구비하는 수나사부재를 나합하는 단계와, 그 수나사부재의 두부가 센서케이스의 돌부와 함께 실린더본체의 장홈내에 위치하도록 센서케이스의 일부분을 장홈에 대해 그 일단에서 감합시키는 단계와, 수나사부재의 두부가 장홈 내면의 견부에 압접하는 상태로 되도록 수나사부재를 반대로 조여 센서케이스를 장홈에 고정하는 단계를 가진다.
그 바람직한 구체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다.
센서케이스의 돌부에 매설된 통형너트의 암나사에 수나사부재를 나합시킨다.
장홈의 깊이나 단면의 형태가 다른 경우, 장홈의 견부에서 바닥면까지 깊이의 대소에 따른 크기의 두부를 가지는 수나사부재를 사용하여, 그 수나사부재를 통형너트인 암나사에 나합시킨다.
센서케이스의 나사공을 구비하는 돌부위에 너트를 고착하고 그 너트의 암나사 및 센서케이스 돌부의 나사공에 수나사부재를 나합시킨다.
장홈의 깊이나 단면의 형상이 다른 경우, 장홈의 견부에서 바닥면까지 깊이의 대소에 따른 두께의 너트를 사용하여, 그 너트를 센서케이스의 돌부위에 고착하 여 대응한다. 또한, 장홈의 견부에서 바닥면까지 깊이의 대소에 따른 크기의 두부를 가지는 수나사부재를 사용하여, 그 나사부재를 너트인 암나사 및 센서 케이스 돌부의 나사공에 나합시켜 대응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실린더본체(1)와 센서케이스(2) 각각의 일예 전체의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실린더본체(1)는 사각형이고, 상하좌우 4면 각각에 그 양단에 걸친 축방향으로 긴 장홈(3)이 각각 2개씩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본체(1)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피스톤이 자유자재로 슬라이드하게 감합장착되어 있고, 실린더본체(1)의 예를 들어 상면에 설치된 한쌍의 유체공급포트(4)로부터 유체압력을 공급함으로써, 피스톤이 피스톤 로드(5)와 일체로 작동된다.
센서케이스(2)는 중공의 몸통부(2a)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실린더본체(1)내의 피스톤을 실린더본체(1)밖에서 검출할 수 있는 자기(磁氣)센서(자기근접스위치)등의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센서케이스(2)는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린더본체(1)의 설치상황등에 따른 임의의 장홈(3)에 감합되고, 실린더본체(1)내의 피스톤을 검출하는 소망의 위치에서 후술하는 바와같이 장홈(3)에 고정된다.
각 장홈(3)은 개구부(3a), 그리고 이보다 폭이 양측으로 넓고 저면이 원호를 이루는 단면이 U자형의 홈내부(溝內部)(3b)로 이루어지고, 홈내부(3b)의 상단양측 에 견부(肩部)(3c)가 형성되어 있다. 도 9의 예에서는 이 견부(3c)가 홈내부(3b)의 중심으로부터 볼때 수평으로 되어 있다.
도 10∼도 15에 센서케이스(2)측 구성의 실시예 1을 나타내었다. 이 센서케이스(2)는 수지로 일체 성형되고, 그 옆으로 길게 뻗은 중공(中空)의 몸통부(2a)는 원형의 상부를 수평으로 커트한 단면형상(D자형 단면)의 하부(2b)와, 그 수평커트면에 올려놓은 것과 같은 사각형 단면의 상부(2c)로 이루어지고, 상부(2c)의 폭은 하부(2b) 원형단면의 직경보다 작다. 몸통부(2a)내에는 센서(6)가 내장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이 센서(6)로서 자기 근접 스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몸통부(2a)의 일단에는 그 하부(2b)로부터 이와 동일한 폭으로 일체로 돌출하는 D자형 단면의 돌부(2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부(2d)의 사각형의 상면(2e)은 몸통부(2a)의 하부(2b)와 상부(2c)의 경계높이 보다 낮은 부분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고, 이 상면(2e)과 몸통부(2a)의 수평한 상면(2f) 사이에 높이(H)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돌부(2d)의 중앙에는 그 수평한 상면(2e)으로부터 원호를 이루는 하면(2g)까지 걸쳐 있는 금속제의 통형 너트(7)가 매설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통형 너트(7)의 암나사(7a)에 수나사부재(8)가 나합되어 있다. 수나사부재(8)는 수나사산(8a)과 이 외경(外徑)보다 큰 두부(8b)를 구비한 소위, 작은 나사(machine screw)이고, 두부(8b)는 원추대형상을 이루고, 그 수평한 정상면(頂面)에는 마이너스홈(8c)이 형성되어 있다. 두부(8b)의 최대외경은 돌부(2d)의 폭 및 길이를 넘지않는 사이즈로 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센서케이스(2)는 실린더본체(1)의 장홈(3)에 다음과 같이 세트된다.
센서케이스(2)의 전체를 수나사부재(8)의 두부(8b)와 동시에 장홈(3)에 대해 그 일단으로부터 감합시키고, 장홈(3)내를 목적으로 한 위치(피스톤 검출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키면 수나사부재(8)의 마이너스홈(8c)에 드라이버를 걸어 수나사부재(8)를 통형너트(7)에 대해 역방향, 즉 두부(8b)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드라이버를 돌려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센서케이스(2) 돌부(2d)의 하면(2g)이 장홈(3)의 바닥면에 밀착한 채로 두부(8b)의 경사면이 장홈(3) 양측의 견부(3c)에 압접하도록 나사부재(8)를 반대로 조인다.
이에 따라 센서케이스(2)는 장홈(3)에 대해 슬라이드 되지 않도록 그 내부에 고정된다. 이 때, 수나사부재(8)의 두부(8b)는 장홈(3)의 개구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센서케이스(2) 몸통부(2a)의 상면(2f)의 높이를 넘지 않고, 그와 돌부(2d)의 상면(2e)과의 단차의 높이(H)의 범위내에 수납된다. 이 때문에 두부(8b)에 외부로부터 물질이 닿아 수나사부재(8)가 풀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7∼도 22에 센서케이스(2)측 구성인 실시예 2를 나타내었다. 이 센서케이스(2)에서는 실시예 1의 통형너트(7) 대신 센서케이스(2) 돌부(2d)에 상하면으로 관통하는 나사공(2h)이 만들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돌부(2d)의 사각형 상면에 동일한 형태의 너트(9)가 접착제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그 너트(9)의 암나사(9a)는 나사공(2h)과 일련으로 연속하고 이들 암나사(9a) 및 나사공(2h)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수나사부재(8)가 나합되어 있다. 센서케이스(2)는 수지제, 수나사부재(8) 및 너트(9)는 금속제이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2의 센서케이스(2)를 실린더본체(1)의 장홈(3)에 셋트하는 경우, 센서케이스(2)의 본체를 수나사부재(8)의 두부(8b)와 함께, 장홈(3)에 대해 그 일단으로부터 감합시키고, 장홈(3)내를 목적으로 하는 위치(피스톤의 검출위치)까지 슬라이드 시키고 나서 수나사부재(8)의 마이너스 홈(8c)에 드라이버를 걸어, 수나사부재(8)를 너트(9) 및 나사공(2h)에 대해 역방향, 즉, 두부(8b)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드라이버를 돌리고, 도 23에 나타난 바와같이, 센서케이스(2)의 돌부(2d)의 하면(2g)이 장홈(3)의 바닥면에 밀착한채로, 두부(8b)의 경사면이 장홈(3)의 양측 견부(3c)에 압접하도록 나사부재(8)를 반대로 조인다.
수나사부재(8)의 두부(8b)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모두 원추대형상이므로, 장홈(3)의 단면형상 특히 그 내면의 견부(3c)의 높이나 형상이 다르다 하더라도 대응할 수 있다. 도 24∼도 26에 실시예 2의 경우를 예로 들어 그것을 나타내었다.
도 24의 경우 장홈(3)은 사각형단면의 개구부(3a)와 원형의 상부가 절결된 단면이 C자형인 홈내부(3b)로 이루어지고, 이 홈내부(3b)의 양측상단부분이 견부(3c)로 되어 있고, 이 견부(3c)에 수나사부재(8)의 두부(8b)의 경사면이 압접한다.
도 25의 경우, 장홈(3)은 사각형단면의 개구부(3a)와 단면이 U자형인 홈내부(3b)로 이루어지고, 이 홈내부(3b)의 양측상단에 그 중심으로부터 보아 수평한 견부(3c)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견부(3c)에 수나사부재(8) 두부(8b)의 경사면이 압접한다.
도 26의 경우, 장홈(3)은 도 24의 경우와 동일하게 사각형단면의 개구부(3a)와 단면이 C자형인 홈내부(3d)로 이루어지고, 이 홈내부(3d)의 양측상단부분이 원호의 일부분인 견부(3c)로 되어 있으나, 도 24의 경우보다 홈내부(3d)가 크고 견부(3c)의 높이가 높기 때문에 수나사부재(8) 두부(8b)의 높이를 높여 견부(3c)에 압접시킨다.
장홈(3)의 내면의 견부(3c)의 높이가 더욱 높아지면, 수나사부재(8)의 두부(8b)를 견부(3c)에 압접시키게 되고, 수나사부재(8)의 수나사산(8a)과 너트(9)의 암나사(9a)와의 필요한 나합길이가 부족하게 되나, 이 경우는 도 2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24∼도 26의 경우보다 두께가 두꺼운 너트(9)를 센서케이스(2) 돌부(2d)의 상면에 고착함으로써 대응 가능하다. 도 27의 경우, 견부(3c)는 경사져 있다.
또한, 도 2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너트(9)는 변함 없이 두부(8b)의 크기가 큰 수나사부재(8)를 사용하는 것으로도 대응 가능하다. 두부(8b)의 크기가 다른 수나사부재(8)를 사용하여 장홈(3)을 다르게 대응시키는 것은 통형너트(7)를 매설한 실시예 1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나사부재(8)의 두부(8b)는 원추대형상으로 하는것이 여러가지 장홈(3)에 대한 적응성이 높아서 좋으나, 도 2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홈(3)이 사각형단면의 개구부(3a)와 단면이 C자형인 홈내부(3d)로 되어 있고, 이 홈내부(3d)의 양측상단부분이 원호의 일부분인 견부(3c)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나사부재(8)의 두부(8b)는 원형이어도 좋다. 또한, 도 3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 홈(3)의 견부(3c)가 홈내부(3b)의 중심에서 보아 수평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두부(8b)는 단면이 사각형이어도 좋다. 더욱이, 마이너스홈(8c)대신 플러스홈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케이스 일단의 돌부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에 고정수단으로서 두부를 구비하는 수나사부재가 나합되며, 그 두부는 센서케이스의 돌부와 함께 실린더본체의 장홈내에 위치하고, 해당 두부는 장홈 내면의 견부에 압접하는 상태로 되도록 수나사부재를 반대로 조임으로써, 센서케이스가 장홈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종래예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센서케이스를 실린더본체의 장홈에 대해 안정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고, 더욱이, 그 위치 조정도 간단히 할 수 있다.

Claims (15)

  1. 실린더 본체의 외면에 축방향으로 길게 만들어진 장홈에 센서 소자를 내장한 센서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슬라이드가능하게 감합시키고, 센서케이스를 장홈에 대해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는 실린더의 센서 취부구조로서, 상기 센서케이스 일단의 돌부(突部)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에 상기 고정수단으로서 두부(頭部)를 가지는 수나사부재가 나합되며, 그 두부는 센서케이스의 돌부와 함께 상기 장홈내에 위치하고, 그 두부가 장홈 내면의 견부(肩部)에 압접하는 상태가 되도록 수나사부재를 반대로 조임으로써, 센서케이스가 장홈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실린더의 센서취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센서케이스의 돌부(突部)는 센서를 내장하고 있는 몸통부(胴部)보다 높이가 낮고, 수나사부재의 두부는 장홈 내면의 견부에 압접한 상태에서, 센서케이스 돌부의 상면과 몸통부 상면과의 중간 높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취부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수나사부재의 두부는 장홈 내면의 견부에 압접한 상태에서, 장홈의 개구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취부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나사부재의 두부가 장홈 내면의 견부에 압접하였을 때, 센서케이스 돌부의 하면이 장홈의 저면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센서취부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수나사부재의 두부가 원추대형상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센서 취부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센서케이스의 돌부에 통형너트가 매설되고, 그 너트의 암나사에 수나사부재가 나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취부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센서케이스가 수지제, 수나사부재 및 통형너트가 금속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취부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센서케이스의 돌부에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돌부위에 너트가 고정되어 그 암나사와 상기 나사공이 연속하고, 여기에 수나사부재가 나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취부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센서케이스가 수지제, 수나사부재 및 너트가 금속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취부구조.
  10. 실린더본체의 외면에 축방향으로 길게 만들어진 장홈에, 센서 소자를 내장한 센서케이스의 일부분을 슬라이드가능하게 감합시키고, 센서케이스를 장홈에 대해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는 실린더의 센서 취부방법에 있어서, 센서케이스 일단의 돌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상기 고정수단으로서 두부를 가지는 수나사부재를 나합하는 단계와, 그 수나사부재의 두부가 센서케이스의 돌부와 함께 상기 장홈내에 위치하도록 센서케이스의 일부분을 장홈에 대해 그 일단으로부터 감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나사부재의 두부가 장홈 내면의 견부에 압접하는 상태가 되도록 수나사부재를 반대로 조여 센서케이스를 장홈에 고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의 센서 취부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센서케이스의 돌부에 매설된 통형 너트의 암나사에 수나사부재를 나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취부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장홈의 견부로부터 바닥면까지의 깊이의 대소에 대응한 크기의 두부를 구비하는 수나사부재를 사용하여, 그 수나사 부재를 통형 너트의 암나사에 나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취부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센서케이스의 나사공을 가지는 돌부위에 너트를 고착하 고, 그 너트의 암나사 및 센서케이스 돌부의 나사공에 수나사부재를 나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취부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장홈의 견부로부터 바닥면까지의 깊이의 대소에 대응한 두께의 너트를 사용하여, 그 너트를 센서케이스의 돌부위에 고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취부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장홈의 견부로부터 바닥면까지의 깊이의 대소에 대응한 크기의 두부를 구비하는 수나사부재를 사용하여, 그 수나사 부재를 너트의 암나사 및 센서케이스의 돌부의 나사공에 나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취부방법.
KR20030062285A 2002-10-30 2003-09-05 실린더의 센서 취부구조 및 취부방법 KR100671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16002 2002-10-30
JP2002316002A JP3785538B2 (ja) 2002-10-30 2002-10-30 シリンダにおけるセンサ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632A KR20040038632A (ko) 2004-05-08
KR100671457B1 true KR100671457B1 (ko) 2007-01-18

Family

ID=3245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62285A KR100671457B1 (ko) 2002-10-30 2003-09-05 실린더의 센서 취부구조 및 취부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785538B2 (ko)
KR (1) KR100671457B1 (ko)
CN (1) CN100402868C (ko)
TW (1) TWI2828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0968864Y (zh) * 2006-06-13 2007-10-31 林锦松 一种传感器的固定结构
JP4374584B2 (ja) 2006-07-28 2009-12-02 Smc株式会社 位置検出センサ
JP5190656B2 (ja) * 2009-04-01 2013-04-24 Smc株式会社 流体圧機器における位置検出スイッチ取付機構
JP5190657B2 (ja) * 2009-04-10 2013-04-24 Smc株式会社 流体圧機器における位置検出スイッチ取付機構
EP2484923B1 (en) * 2009-10-02 2020-05-13 Nippon Aleph Corporation Fixing member, proximity sensor, proximity sensor attaching structure, and rotational connection structure and rotational connection structure producing method
DE102011083953A1 (de) * 2011-10-04 2013-04-04 Tyco Electronics Amp Gmbh Fixier- und Überwachungsvorrichtung
BR112018007008A2 (pt) * 2015-10-08 2018-10-16 Smc Corporation ferramenta de montagem de sensor
KR101876682B1 (ko) * 2017-07-21 2018-07-10 김경호 전동 엑추에이터의 센서 장착장치
JP6965052B2 (ja) * 2017-07-24 2021-11-10 アサ電子工業株式会社 取付装置
CN209894195U (zh) * 2019-07-12 2020-01-03 东莞爱里富科技有限公司 一种易置入的磁性开关传感器及其安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643Y2 (ja) * 1989-09-14 1994-12-21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シリンダにおけるセンサ装着機構
SE463684B (sv) * 1989-12-22 1991-01-07 Mecman Ab Haallaranordning foer kolvlaegesavkaennare
JP3249745B2 (ja) * 1996-07-19 2002-01-21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における位置検出センサの取付構造及び流体圧シリンダ用位置検出センサ
JP3295619B2 (ja) * 1997-07-16 2002-06-24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におけるセンサ取付具
JPH1151011A (ja) * 1997-07-30 1999-02-23 Smc Corp 流体圧シリンダにおける位置検出センサ取付具
JP2001280310A (ja) * 2000-03-31 2001-10-10 Nok Corp 空気圧機器におけるセンサ取付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632A (ko) 2004-05-08
CN100402868C (zh) 2008-07-16
JP3785538B2 (ja) 2006-06-14
JP2004150517A (ja) 2004-05-27
CN1499089A (zh) 2004-05-26
TW200409868A (en) 2004-06-16
TWI282834B (en)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457B1 (ko) 실린더의 센서 취부구조 및 취부방법
US11480210B2 (en) Thermal concrete wing nut anchor
SE9904709D0 (sv) Tool tip and tool body assembly
DE50105841D1 (de) Verbindungselement
CA2308662A1 (en) Screw with an improved head structure and punch for forming same
CA2355455A1 (en) Bolt
US20140090524A1 (en) Hand tool
US20110005359A1 (en) Tool with adjustable working angle
US20030177872A1 (en) Ratchet tool having a flat pawl switch member
WO2004029465A3 (de) Verbindungseinrichtung für zwei werkstücke, insbesondere für strangartige hohlprofile
JP3930172B2 (ja) アクチュエータ付帯部材用の取付具
KR20170121949A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JPH0589642U (ja) 鉄筋接合装置
JPH021523Y2 (ko)
US10022772B1 (en) Quick positioning tube expander
JPH021524Y2 (ko)
CN210509894U (zh) 一种快锁式螺母
JP3629660B2 (ja) 緩み防止ナット
JPH11200579A (ja) 手すり本体と取付用ブラケットとの結合構造、および手すり取付用ブラケット
CN106837929B (zh) 位置检测传感器
JP2601918Y2 (ja) 流体圧シリンダの位置検出装置
CA2320522A1 (en) Adjustable wrench
JP2592877Y2 (ja) 流体圧シリンダの位置検出装置
EP0535085A1 (en) FIXING DEVICE FOR PISTON POSITION DETECTOR WITH CLAMPING DEVICE.
KR200266362Y1 (ko) 쉬운 나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