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015B1 - 2,4-디니트로톨루엔 수소화 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4-디니트로톨루엔 수소화 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015B1
KR100670015B1 KR20050044216A KR20050044216A KR100670015B1 KR 100670015 B1 KR100670015 B1 KR 100670015B1 KR 20050044216 A KR20050044216 A KR 20050044216A KR 20050044216 A KR20050044216 A KR 20050044216A KR 100670015 B1 KR100670015 B1 KR 100670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adium
catalyst
dinitrotoluene
niobium
hydroge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44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2170A (ko
Inventor
문상흡
이원경
안인영
유경근
한지현
김병철
Original Assignee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44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0015B1/ko
Publication of KR20060122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4Palla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20Vanadium, niobium or tantal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01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5/3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by dehydrogenation with formation of free hydrogen
    • C07C5/327Formation of non-aromatic carbon-to-carbon double bonds only
    • C07C5/333Catalytic processes
    • C07C5/3335Catalytic processes wi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 C07C25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noble metals
    • C07C25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C07C2523/44Pall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 C07C25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noble metals
    • C07C2523/54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noble metals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C07C2523/02 - C07C2523/36
    • C07C2523/56Platinum group metals
    • C07C2523/64Platinum group metals with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C07C2523/648Vanadium, niobium or tantal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팔라듐과 니오븀이 담지되어 상기 팔라듐의 표면이 개질됨으로써 촉매의 안정성이 증가하고 비활성화 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이를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에 적용하여 2,4-디아미노톨루엔 생성시 부반응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2,4-디아미노 톨루엔의 생성량 증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4-디니트로톨루엔, 수소화, 2,4-디아미노톨루엔, 팔라듐, 니오븀

Description

2,4-디니트로톨루엔 수소화 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Pd-Nb catalyst for hydrogenation of 2,4-dinitrotoluene and its preparing method}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 1∼ 3 에 따라 제조된 촉매의 환원온도에 따른 2,4-디아미노톨루엔의 생성 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 1 ∼ 3 에 따라 제조된 촉매를 사용하여 실험예 3의 조건으로 반응시킨 후 얻어진 2,4-디아미노톨루엔의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팔라듐과 니오븀이 담지되어 상기 팔라듐의 표면이 개질됨으로써 촉매의 안정성이 증가하고 비활성화 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이를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에 적용하여 2,4-디아미노톨루엔 생성시 부반응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2,4-디아미노 톨루엔의 생성량 증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2,4-디 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4-디아미노톨루엔은 2,4-디니트로톨루엔을 수소화하여 얻어지는 물질로서 폴리우레탄 제조시에 사용되는 물질이다.
이때 상기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반응시 비정상적인 부반응에 의하여 약 2 ∼ 3 중량% 정도의 부반응물이 생성되며, 이러한 부반응물은 촉매의 활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폴리우레탄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이유가 된다.
따라서 부반응물의 생성을 억제하고 촉매의 높은 전환률을 유지하면서 2,4-디니트로톨루엔을 2,4-디아미노톨루엔으로 전환시키는 것은 중요한 해결과제이다.
현재 상기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반응에는 금속 및 귀금속 촉매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팔라듐 촉매가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고압공정에서 이리듐 촉매를 사용한 예가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촉매의 반응성을 유지하면서 부반응물의 생성을 더욱 억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촉매들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새로운 조촉매를 담지하여 사용한 발명사례들이 계속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06,762,324 B2호에는 니트로기를 아민으로 수소화시키는 반응에서 촉매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니켈 담지 촉매에 팔라듐을 조촉매로 사용하고, 이러한 금속 촉매에 아연, 카드뮴, 구리, 은을 담체 무게의 0.1 ∼ 10 중량% 정도 담지하여 촉매의 성능을 개선시킨 사례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0-281631호, 독일특허 DE 19911865 A1 및 유럽특허 EP 1036784 A1에는 TDA를 생성하기 위한 DNT의 수소화 반응에서 이리듐 담지 촉매에 바나듐, 니켈, 망간, 철, 코발트, 구리, 백금을 소량 담지시켜서 선택도를 높이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2,4-디니트로톨루엔을 수소화하는 과정에서 비활성화 속도가 느리고, 부반응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최종 생성물인 2,4-디아미노톨루엔의 생성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수소화 촉매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팔라듐이 담지된 담체를 니오븀 용액에 함침시켜 이를 일정온도에서 소성처리할 경우 상기 팔라듐의 표면이 개질되어 촉매의 안정성이 증가하고 비활성화 속도가 느려지게 되며, 2,4-디아미노톨루엔 생성시 부반응물의 생성이 억제됨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니오븀으로 팔라듐의 표면이 개질된 2,4-디니트로톨루엔 수소화 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담체 팔라듐 3 ∼ 7 중량%와 니오븀 0.5 ∼ 2 중량%가 담지되어 있는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촉매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담체를 팔라듐 화합물 수용액에 함침시킨 후 건조 및 소성하여 팔라듐이 담지된 팔라듐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팔라듐 촉매를 니오븀 화합물 용액에 함침한 후 건조 및 소성하여 팔라듐-니오븀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팔라듐-니오븀 촉매를 불활성 기체를 흘려주어 산소가 제거된 수소기류 하에서 300 ∼ 350 ℃로 환원시켜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2,4-디니트로톨루엔 수소화 촉매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팔라듐과 니오븀을 담지함으로써 상기 팔라듐의 표면이 개질되어 촉매의 안정성이 증가하고 비활성화 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이를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에 적용할 경우 2,4-디아미노톨루엔 생성시 부반응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2,4-디아미노 톨루엔의 생성량 증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개선된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제조방법에 의거하여 각 단계별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며,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팔라듐-니오븀 촉매는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촉매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였다.
제 1 단계는 담체를 팔라듐 화합물 수용액에 함침시킨 후 건조 및 소성하여 팔라듐이 담지된 팔라듐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담체로는 다공성 담체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담체를 특별한 구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활성탄, 카본 블랙 및 흑연 카본 블랙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활성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팔라듐은 전구물질로서 팔라듐 화합물을 선택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나, 사용하기 적합한 화합물로는 질산염, 황산염, 할로겐화물, 카르복실화물, 팔라듐의 아민 복합체 등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팔라듐 담지량은 최종적으로 3 ∼ 7 중량%,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5 중량%가 되도록 한다. 이때, 팔라듐 담지량은 최종적으로 3 ∼ 7 중량%,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5 중량%가 되도록 한다. 상기 팔라듐 담지량이 3 중량% 미만인 경우 촉매의 활성이 너무 낮아지고, 7 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으로 담지된 팔라듐의 입자크기가 환원과정에서 소결현상으로 커지게 되고, 촉매의 활성은 크게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팔라듐의 손실만 생기게 된다.
상기 팔라듐 촉매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공지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담체(활성탄)를 팔라듐 화합물을 일정정도로 포함하는 수용액에 목적하는 팔라듐 담지량에 맞추어 조절 투입하고, pH 9 ∼ 10 을 유지하면서 70 ∼ 90 ℃에서 교반한 후, 포름알데히드로 주금속을 환원시킨다. 이후 증류수로 몇 차례 세척하여 촉매를 진공 건조 시키는데, 이때, 상온 ∼ 150 ℃, 바람직하게는 50 ∼ 150 ℃에서 3 ∼ 7 시간동안 건조시킨다. 건조가 완료되면 산소가 제거된 기체조건인 질소, 아르곤 등의 불활성 기류하에서 300 ∼ 350 ℃에서 3 ∼ 5시간 소성하여 팔라듐 촉매를 제조할 수 있다.
제 2 단계로서, 상기 팔라듐 촉매를 니오븀 화합물 용액에 함침한 후 건조 및 소성하여 팔라듐-니오븀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제조된 팔라듐 촉매에 니오븀을 담지시키는 공정으로 상기 니오븀의 전구물질로 사용되는 니오븀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니오븀을 포함하며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 유기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테트라키스 니오븀을 사용할 경우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테트라키스 니오븀을 이를테면 헥산 등의 유기용매에 용해한 용액 상태로 사용하며, 이러한 니오븀 화합물 용액에 팔라듐 촉매를 목적하는 팔라듐 및 니오븀의 함량에 맞도록 담지하고 일정시간동안 교반한 후 건조 및 소성한다. 상기 건조는 상온 ∼ 200 ℃, 바람직하게는 50 ∼ 150 ℃ 에서 수행하고, 소성은 질소, 아르곤 등의 불활성 기류 조건, 300 ∼ 350 ℃에서 3 ∼ 5 시간 동안 수행한다. 상기 소성에 의하여 화합물 상태의 니오븀이 분해되어 니오븀 금속이 팔라듐 촉매에 담지된다.
상기 조촉매로서 담지되는 니오븀은 300 ℃ 정도의 저온에서 환원시켜도 팔라듐과 강한 상호 작용을 일으키게 되어 촉매의 선택도가 높아진다.
상기 니오븀의 담지량은 최종적으로 0.5 ∼ 2 중량%가 되도록 한다. 이때, 니오븀의 담지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소량의 니오븀이 팔라듐 표면을 변형하기 어려워 촉매 성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고, 2 중량%를 초과하면 활성점인 팔라듐 표면을 과도하게 가리게 되어 촉매의 활성이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제 3 단계는, 상기 팔라듐-니오븀 촉매를 산소가 제거된 불활성 기체조건에서 300 ∼ 350 ℃ 환원시켜 활성화시키는 단계이다.
본 단계는 상기 2 단계에서 제조된 팔라듐-니오븀(Pd-Nb) 촉매를 환원시켜 활성화시키는 단계로서, 상온에서 질소, 아르곤 등의 불활성 기체를 흘려주며 산소를 제거한 뒤, 수소 기류 하에서 300 ∼ 350 ℃에서 1 ∼ 3시간 동안 수행된다. 이러한 조건의 환원 단계를 거치면 니오븀의 일부가 팔라듐 표면으로 이동하여 팔라듐 표면을 부분적으로 덮게 되어 촉매가 개질되는 것으로 해석되는데, 환원 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니오븀의 환원이 어려워 팔라듐 표면이 변형이 적절하게 일어나지 않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환원된 니오붐이 활성점인 팔라듐 표면을 지나치게 가리게 되어 촉매의 활성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촉매는 안정성이 증가하고 비활성화 속도가 느려지며,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반응에 적용시킬 경우 부반응물질의 생성을 억제하여 2,4-디아미노톨루엔의 생성량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팔라듐-니오븀 촉매(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촉매)하에서 바람직하기로는 40 ∼ 120 ℃ 및 수소압력 1 ∼ 5 bar 조건에서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반응 수행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바,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A. 팔라듐 촉매의 제조
팔라듐 촉매는 다음과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즉, 활성탄을 사염화팔라듐산 수용액(99 중량% 농도)에 투입하여 pH 10을 유지하면서 80 ℃에서 교반하여 상기 활성탄에 팔라듐을 담지시킨 후 120 ℃의 오븐에서 12 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킨 다음, 300 ℃의 질소 기류 하에서 3시간 동안 소성하여 최종 팔라듐 함량이 5 중량%인 팔라듐 촉매를 제조하였다.
B. 니오븀의 담지
테트라키스 니오븀이 용해된 헥산 용액에 상기 제조된 팔라듐 촉매를 넣은 후 3 시간 동안 교반하여 니오븀을 담지시킨 후 이를 120 ℃의 오븐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300 ℃의 질소 기류 하에서 3시간 동안 소성하여 팔라듐-니오븀 촉매를 제조하였다.
C. 활성화(환원)
상기 위에서 제조된 팔라듐-니오븀 촉매에 상온에서 질소를 흘려주며 산소를 제거하고, 수소 기류 조건으로 300 ℃에서 3시간 동안 환원시킨 결과, 니오븀/팔라듐 중량비가 1/5인 팔라듐-니오븀 촉매가 제조되었다.
비교예 1 ∼ 2
실시예의 A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팔라듐 촉매를 제조한 후, 니오븀을 담지시키지 않고 각각 300 ℃(비교예 1)와 400 ℃(비교예 2)의 수소 기류 하에서 3 시간 동안 환원시켜 팔라듐 촉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팔라듐-니오븀 촉매를 제조하되, 상기 C 과정의 환원공정을 400 ℃ 에서 수행하였다.
실험예 1 : 일산화탄소 흡착량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촉매에 수소를 흘려주어 환원시키고 진공을 걸어 흡착된 수소를 제거한 후, 35 ℃에서 일산화탄소 흡착량을 측정한 다음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촉매성분 환원온도 (℃) 일산화탄소 흡착량
비교예 1 Pd 300 13.81
비교예 2 Pd 400 12.97
실시예 1 Pd-Nb 300 9.51
비교예 3 Pd-Nb 400 8.12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팔라듐-니오븀 촉매(실시예 및 비교예 3)의 경우 동일 조건에서 환원시키더라도 팔라듐만 담지된 촉매(비교예 1 ∼ 2)보다 일산화탄소 흡착량이 급격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다.
환원 공정을 400 ℃에서 수행한 촉매(비교예 2 및 3)와 300 ℃에서 환원 공정을 수행한 촉매(실시예 및 비교예 1)에 비하여 일산화탄소 흡착량이 감소하는데, 이는 400 ℃에서 환원하는 경우 팔라듐 촉매 입자들의 뭉침 현상이 일어나 입자수는 줄어들고 그 크기는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동일한 온도조건인 300 ℃와 400 ℃에서 환원 공정을 각각 수행한 실시예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비교예 3을 비교할 경우, 니오븀이 사용된 실시예 및 비교예 3의 경우 일산화 일산화탄소 흡착량이 급격히 줄어드는데 이는 상기 환원 공정 중 팔라듐과 니오븀 사이에 상호 인력이 생기면서 니오븀의 일부가 팔라듐 표면으로 이동하여 팔라듐 표면을 부분적으로 덮어 팔라듐 촉매가 개질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니오븀을 조촉매로 사용한 실시예 및 비교예 3을 서로 비교할 경우에 300 ℃ 에서 환원 공정이 수행된 실시예의 경우에도 400 ℃에서 환원 공정이 수행된 비교예 3과 비교하여 일산화탄소 흡착량이 유사한 정도로 낮게 나타나는데, 이는 300 ℃에서 환원시킬 때도 팔라듐과 니오븀 사이에 상호 인력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경우에서와 같이 팔라듐 촉매에 니오븀을 담지할 경우 사용된 니오븀이 팔라듐의 개질제로 작용하여 낮은 환원온도에서도 충분히 팔라듐 촉매의 표면을 개질시켜 비활성화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수소화 촉매의 초기 활성능 측정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촉매를 사용하여 2,4-디니트로톨루엔 수소화 반응에서의 초기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간에 따른 2,4-디아미노톨루엔의 생성 속도를 조사하였다.
아닐린 80 ml, 2,4-디니트로톨루엔(순도 97 중량%) 20 g, 및 상기 실시예 1 ∼ 2와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촉매 0.08 g를 고압반응기에 장착하고 40 ℃까지 승온하였다. 750 rpm으로 교반을 시작하여, 반응은 5 bar 수소압력 하에서 수행하였으며, 교반을 시작한 시점부터 10 분, 20 분, 및 30 분에 각각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2,4-디아미노톨루엔의 생성량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그래프의 기울기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촉매성분 환원온도(℃) 기울기(× 10-3) (gmole/ min) 속도 상수(× 10-3) (gmole/ min·gcat.)
비교예 1 Pd 300 1.90 23.8
비교예 2 Pd 400 1.88 23.5
실시예 Pd-Nb 300 1.84 23.0
비교예 3 Pd-Nb 400 1.62 20.3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300 ℃에서 환원시켜 제조된 팔라듐-니오븀 촉매의 경우 비교예 3과 같이 400 ℃에서 환원시켜 제조된 팔라듐-니오븀 촉매와 달리 속도상수 및 반응활성이 기존의 팔라듐 촉매(비교예 1 및 2)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촉매의 환원 온도가 높아지면 팔라듐-니오븀 촉매(비교예 3)의 경우 팔라듐 입자의 뭉침 현상 이외에도 니오븀과 팔라듐 입자의 강한 상호작용에 의해 팔라듐 표면 일부가 덮이게 되어 반응활성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환원온도를 조절함으로써 팔라듐 입자의 표면이 효과적으로 변형되어 반응초기활성이 높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일산화탄소 흡착량 결과(표 1 참조)에서 제시된 것처럼 300 ℃에서 환원시킬 때도 팔라듐과 니오븀 사이에 상호 인력이 존재하지만, 그로 인한 팔라듐 표면의 개질이 반응 활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일어나도록 하였다.
실험예 3 : 2,4-디아미노톨루엔 생성량 측정
실시예 1과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촉매를 사용하여 부생성물이 많이 생겨나는 조건인 장시간의 가혹한 반응 조건에서 2,4-디니트로톨루엔 수소화 반응에 의한 2,4-디아미노톨루엔의 시간에 따른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아닐린 80 ml, 2,4-디니트로톨루엔(순도 97 중량%) 20 g, 그리고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 3에 의하여 제조된 촉매 0.08 g을 각 고압반응기에 장착하고 130 ℃까지 승온하고, 750 rpm으로 교반을 시작하여, 1.3 bar 수소압력 하에서 반응시켰다. 상기 교반을 시작한 시점부터 12 시간, 18 시간, 24 시간, 30 시간, 및 36 시간에 각각 시료를 채취하여 시간에 따른 2,4-디아미노톨루엔의 생성량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첨부도면 도 2에 나타내었다. 이미 부반응물이 많이 생성되는 가혹한 조건에서 반응을 수행할 경우에도 2,4-디아미노톨루엔이 많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내는 결과로서, 상기한 팔라듐-니오븀 촉매의 경우 기존의 팔라듐 촉매보다 부반응물 생성량이 적었음을 의미한다.
도 2에 의하면 팔라듐-니오븀 촉매(실시예 및 비교예 3)은 환원 온도와 관계없이 니오븀이 담지되지 않은 팔라듐 촉매(비교예 1 및 2)보다 동일한 시간에 대해 2,4-디아미노톨루엔의 생성량이 많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300 ℃에서 환원시킨 팔라듐-니오븀 촉매의 경우 2,4-디아미노톨루엔의 생성량이 보다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400 ℃ 에서 환원시킨 니오븀이 담지되지 않은 팔라듐 촉매(비교예 2)는 고온에서 팔라듐 뭉침 현상이 발생하여 팔라듐의 입자 크기가 증가하여 비활성화 실험에서 부반응물의 생성이 많아져서 적은 양의 2,4-디아미노톨루엔을 생성하였음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팔라듐-니오븀 촉매는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반응에 사용될 경우 기존의 팔라듐 촉매만큼 높은 초기 활성을 보이면서, 부반응에 의한 부생성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2,4-디아미노톨루엔의 생성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촉매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7)

  1. 담체에 팔라듐 3 ∼ 7 중량%와 니오븀 0.5 ∼ 2 중량%가 담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촉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활성탄, 카본 블랙 및 흑연 카본 블랙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촉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촉매는 300 ∼ 350 ℃ 조건에서 환원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촉매
  4. 1) 담체를 팔라듐 화합물 수용액에 함침시킨 후 건조 및 소성하여 팔라듐이 담지된 팔라듐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팔라듐 촉매를 니오븀 화합물 용액에 함침한 후 건조 및 소성하여 팔라듐-니오븀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팔라듐-니오븀 촉매를 불활성 기체를 흘려주어 산소가 제거된 수소기류 하에서 300 ∼ 350 ℃로 1 ∼ 3 시간동안 환원시켜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니오븀 화합물은 테트라키스니오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팔라듐 화합물은 질산염, 황산염, 할로겐화물, 카르복실화물, 팔라듐의 아민 복합체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7. 상기 청구항 1 내지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 중에서 선택된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촉매하에서, 40 ∼ 120 ℃ 및 수소압력 1 ∼ 5 bar 조건에서 2,4-디니트로톨루엔을 수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4-디니트로톨루엔의 수소화 방법.
KR20050044216A 2005-05-25 2005-05-25 2,4-디니트로톨루엔 수소화 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70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44216A KR100670015B1 (ko) 2005-05-25 2005-05-25 2,4-디니트로톨루엔 수소화 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44216A KR100670015B1 (ko) 2005-05-25 2005-05-25 2,4-디니트로톨루엔 수소화 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170A KR20060122170A (ko) 2006-11-30
KR100670015B1 true KR100670015B1 (ko) 2007-01-16

Family

ID=3770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44216A KR100670015B1 (ko) 2005-05-25 2005-05-25 2,4-디니트로톨루엔 수소화 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0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407B1 (ko) * 2017-09-12 2019-08-20 한국화학연구원 선택적 수소화용 촉매 및 그것을 이용하는 선택적 수소화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95A (ja) * 1995-03-08 1997-02-04 Mitsubishi Chem Corp 水素の選択的酸化触媒、水素の選択的酸化方法、及び炭化水素の脱水素方法
KR20040053160A (ko) * 2001-10-19 2004-06-23 아르코 케미컬 테크날러쥐. 엘.피. 니오븀-함유 지지체 상의 팔라듐을 이용한 직접에폭시화물 제조방법
KR20040084073A (ko) * 2003-03-26 2004-10-06 문상흡 아세틸렌의 선택적 수소화 반응에 사용되는 Pd-Nb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95A (ja) * 1995-03-08 1997-02-04 Mitsubishi Chem Corp 水素の選択的酸化触媒、水素の選択的酸化方法、及び炭化水素の脱水素方法
KR20040053160A (ko) * 2001-10-19 2004-06-23 아르코 케미컬 테크날러쥐. 엘.피. 니오븀-함유 지지체 상의 팔라듐을 이용한 직접에폭시화물 제조방법
KR20040084073A (ko) * 2003-03-26 2004-10-06 문상흡 아세틸렌의 선택적 수소화 반응에 사용되는 Pd-Nb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170A (ko)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019414B (zh) 一种加氢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667222B1 (ko) 카보닐화 반응에 의한 초산 제조용 Rh-C3N4 불균일 촉매
EP1358935B1 (en) Zinc modified Pd/Ni catalysts
KR20090031623A (ko) 탄화수소의 직접 아민화
CN108772087B (zh) 一种用于无溶剂体系下苯甲醇氧化合成苯甲醛的负载型Pd催化剂及其制备方法
JP5543150B2 (ja) 芳香族ニトロ化合物の選択的水素化触媒、その製造方法および再生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芳香族ニトロ化化合物の選択的水素化方法
CN1582199A (zh) 用于氢化硝基芳族化合物的负载催化剂
KR100670015B1 (ko) 2,4-디니트로톨루엔 수소화 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545239B (zh) 一种用于甘油氧化的固体催化剂及其制备方法
KR20090034772A (ko) 촉매
CN1232720A (zh) 天然气自热氧化重整制合成气催化剂及其制备方法
CN108997266B (zh) 一种2,2-二(2-呋喃基)丙烷加氢制2,2-二(2-四氢呋喃基)丙烷的方法
CN112191244B (zh) 一种活性炭负载的金基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在乙炔加氢中的应用
JPH08141399A (ja) アンモニア合成触媒およびその調製法
CN111167515B (zh) 单分子杂多酸镶嵌的蜂窝状炭材料负载的纳米金属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505526B1 (ko) 아세틸렌의 선택적 수소화 반응에 사용되는 Pd-Ti-K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117104A (ja) 炭素含有担体材料上の貴金属からなる触媒の製造方法
JPH09239272A (ja) アンモニア合成触媒の製造法
CN114471618B (zh) 一种硫掺杂碳负载的镍基催化剂、制备方法及应用
JP6929757B2 (ja) 高活性白金触媒の製造方法
CN114768799B (zh) 一种选择性催化氢化负载型金属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894131B (zh) 一种对苯二甲酸二甲酯(dmt)加氢催化剂及其制备方法
US7358211B2 (en) Catalyst for the production of 1,3-propanediol by catalytic hydrogenation of 3-hydroxypropanal
KR100478333B1 (ko) 아세틸렌의 선택적 수소화 반응에 사용되는 Pd-Nb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011431A (zh) 一种用于甲基环己烷的长寿命低铂双金属催化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