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557B1 -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557B1
KR100669557B1 KR1020040115335A KR20040115335A KR100669557B1 KR 100669557 B1 KR100669557 B1 KR 100669557B1 KR 1020040115335 A KR1020040115335 A KR 1020040115335A KR 20040115335 A KR20040115335 A KR 20040115335A KR 100669557 B1 KR100669557 B1 KR 100669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rming
pad nitride
active reg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5954A (ko
Inventor
정중택
남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40115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557B1/ko
Publication of KR20060075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234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 H01L29/66325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controlled by field-effect, e.g.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IGBT]
    • H01L29/66333Vertical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 H01L29/66348Vertical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with a recessed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2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 H01L21/225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using diffusion into or out of a solid from or into a solid phase, e.g. a doped oxide layer
    • H01L21/2251Diffusion into or out of group IV semiconductors
    • H01L21/2254Diffusion into or out of group IV semiconductors from or through or into an applied layer, e.g. photoresist, 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2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 H01L21/225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using diffusion into or out of a solid from or into a solid phase, e.g. a doped oxide layer
    • H01L21/2251Diffusion into or out of group IV semiconductors
    • H01L21/2254Diffusion into or out of group IV semiconductors from or through or into an applied layer, e.g. photoresist, nitrides
    • H01L21/2255Diffusion into or out of group IV semiconductors from or through or into an applied layer, e.g. photoresist, nitrides the applied layer comprising oxides only, e.g. P2O5, PSG, H3BO3, doped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63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 H01L21/67075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for wet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7813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trench gate electrode, e.g. UMOS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자 분리막 형성시 패드 질화막의 두께를 종래보다 두껍게 형성하고 상기 활성 영역 및 소자 분리막을 리세스시키는 공정에서 활성 영역의 실리콘층 및 소자 분리막의 HDP 산화막의 식각비를 동일하게 하여 혼(Horn)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접합 누설전류를 억제하고 전기장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METHOD FOR FORMING RECESS GATE OF SEMICONDUCTOR DEVICE}
도 1a 및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식각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자 분리막 형성시 패드 질화막의 두께를 종래보다 두껍게 형성하고 상기 활성 영역 및 소자 분리막을 리세스시키는 공정에서 활성 영역의 실리콘층 및 소자 분리막의 HDP 산화막의 식각비를 동일하게 하여 혼(Horn)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접합 누설전류를 억제하고 전기장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나타낸다.
현재 집적 기술이 100nm 이하의 DRAM 소자의 경우 리프레쉬 타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접합내의 채널 길이를 증가시키고자 저장 전극 콘택홀 접합이 형성되는 부분의 반도체 기판을 일정 두께 리세스 시킴으로써 인위적으로 채널 길이를 증가 시키는 공정을 수행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식각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 상부에 패드 산화막(30) 및 패드 질화막(40)의 적층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적층구조를 식각하여 트렌치(미도시)를 형성한다. 다음에 HDP 산화막(20)으로 상기 트렌치(미도시)를 매립한다. 여기서, 패드 질화막(40)은 500 내지 6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b를 참조하면, 패드 질화막(40)을 제거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소자 분리막(20) 및 반도체 기판의 활성 영역(10) 상부에 반사방지막(50)을 형성한다.
도 1d를 참조하면, 반사 방지막(50) 및 패드 산화막(30)을 제거한다.
이때, 반도체 기판의 활성 영역(10)이 노출되고 소자 분리 영역의 HDP 산화막(20)이 일부 식각된다. 여기서, 반도체 기판(10)의 실리콘층 식각시 HDP 산화막(20)의 과도한 식각을 방지하기 위하여 HDP 산화막(20) 대비 실리콘층(10)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 것은 공정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인해 상기 'A'와 같이 소자 분리막(20)과 활성 영역(10)의 경계면에 혼(Horn)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은 HDP 산화막 대비 실리콘층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 공정을 사용하여 소자 분리막과 활성 영역 경계면에 혼(Horn)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혼(Horn)의 날카로움으로 인하여 접합 누설 전류 및 비정상적인 전기장을 형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자 분리막 형성시 패드 질화막의 두께를 종래보다 두껍게 형성하고 상기 활성 영역 및 소자 분리막을 리세스시키는 공정에서 활성 영역의 실리콘층 및 소자 분리막의 HDP 산화막의 식각비를 동일하게 하여 혼(Horn)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접합 누설전류를 억제하고 전기장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부에 패드 산화막 및 패드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드 질화막 및 패드 산화막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트렌치를 매립하는 HDP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드 질화막이 노출될때까지 평탄화 식각하고, 상기 패드 질화막을 제거하는 단계와,
습식 식각 공정으로 상기 패드 산화막을 제거하여 반도체 기판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활성 영역의 실리콘층 및 소자 분리 영역의 HDP 산화막을 동일한 비율로 리세스시켜 리세스 게이트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부에 패드 산화막(120) 및 패드 질화막(130)을 형성하고, 패드 질화막(130) 및 패드 산화막(120)을 식각하여 트렌치(미도시)를 형성한다. 이때, 패드 질화막(130)은 종래보다 두꺼운 650 내지 10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 트렌치(미도시)를 매립하는 HDP 산화막(110)을 형성하고 패드 질화막(130)이 노출될때까지 평탄화 식각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패드 질화막(130)을 제거한다. 이때, 패드 질화막(130)을 종래보다 두껍게 형성했기 때문에 소자 분리 영역에 남겨진 HDP 산화막(110)의 두께 역시 종래보다 두꺼운 두께로 남게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전체 표면에 반사방지막(140)을 형성한다.
도 2d를 참조하면, 습식 식각 공정으로 패드 산화막(120) 및 반사 방지막(140)을 제거하여 반도체 기판(100)을 노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습식 식각 공정은 BOE 또는 HF 의 세정 용액을 사용하는 등방성 식각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패드 산화막(120) 제거시 HDP 산화막(110)도 동일한 두께로 식각되며 등방성 형태를 가지면서 반도체 기판(100)이 노출되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혼(Horn)이 형성되던 HDP 산화막(110) 측면의 소자 분리막 및 활성 영역의 경계면까지 노출되도록한다.
도 2e를 참조하면, 활성 영역의 실리콘층(100) 및 소자 분리 영역의 HDP 산 화막(110)을 동일한 비율로 리세스시켜 리세스 게이트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리세스 공정이 1 : 1의 식각률을 가지므로 활성 영역의 실리콘층(100)보다 상부에 HDP 산화막(110)이 형성되는 것은 유지하면서 종래 기술에 따른 혼(Horn) 발생은 방지되어 안정적인 리세스 게이트 프로파일이 형성된다.
여기서, 활성 영역의 실리콘층(100)을 리세스 시키는 공정은 CF4가스를 20 내지 100 sccm 및 O2 가스를 5 내지 30sccm의 유량으로 첨가하며, 200 내지 700W의 RF 플라즈마 파워 및 25 내지 350 mT의 챔버 압력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은 소자 분리막 형성시 패드 질화막의 두께를 종래보다 두껍게 형성하고 상기 활성 영역 및 소자 분리막을 리세스시키는 공정에서 활성 영역의 실리콘층 및 소자 분리막의 HDP 산화막의 식각비를 동일하게 하여 혼(Horn)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접합 누설전류를 억제하고 전기장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반도체 기판 상부에 패드 산화막 및 패드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드 질화막 및 패드 산화막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를 매립하는 HDP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드 질화막이 노출될때까지 평탄화 식각하고, 상기 패드 질화막을 제거하는 단계;
    습식 식각 공정으로 상기 패드 산화막을 제거하여 반도체 기판을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활성 영역의 실리콘층 및 소자 분리 영역의 HDP 산화막을 동일한 비율로 리세스시키는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질화막은 650 내지 10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식각 공정은 BOE 또는 HF 용액을 사용하는 등방성 식각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영역의 실리콘층을 리세스 시키는 공정은 CF4가스를 20 내지 100 sccm 및 O2 가스를 5 내지 30sccm의 유량으로 첨가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공정은 200 내지 700W의 RF 플라즈마 파워 및 25 내지 350 mT의 챔버 압력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
KR1020040115335A 2004-12-29 2004-12-29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 KR100669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335A KR100669557B1 (ko) 2004-12-29 2004-12-29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335A KR100669557B1 (ko) 2004-12-29 2004-12-29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954A KR20060075954A (ko) 2006-07-04
KR100669557B1 true KR100669557B1 (ko) 2007-01-15

Family

ID=3716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335A KR100669557B1 (ko) 2004-12-29 2004-12-29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95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954A (ko) 200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08994B (zh) 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KR20070077386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N107785315B (zh) 半导体结构的形成方法
CN107293545B (zh) 半导体存储器件及其制造方法
CN106952816B (zh) 鳍式晶体管的形成方法
CN107039272B (zh) 鳍式晶体管的形成方法
KR100487657B1 (ko) 리세스된 게이트를 갖는 모스 트렌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95621A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KR100683490B1 (ko) 수직 채널을 갖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CN108573862B (zh)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
CN112786524B (zh) 半导体器件的形成方法
KR100669557B1 (ko)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 방법
CN113903666A (zh)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
KR100403316B1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절연막 형성방법
CN107170685B (zh) 鳍式晶体管的形成方法
KR10076310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003489B1 (ko) 리세스 게이트를 갖는 매몰 채널형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10091298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70161B1 (ko) 트렌치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분리막 제조 방법
KR100670748B1 (ko) 리세스 게이트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60075402A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KR20040002241A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00629694B1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20070021386A (ko) 리세스채널 및 텅스텐게이트구조를 갖는 반도체소자 및 그제조방법
KR100792357B1 (ko) 반도체소자의 리세스게이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