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067B1 - 직교 접촉 아암 및 옵셋 접촉 영역을 갖는 전기 접촉자 - Google Patents

직교 접촉 아암 및 옵셋 접촉 영역을 갖는 전기 접촉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067B1
KR100666067B1 KR1020000083678A KR20000083678A KR100666067B1 KR 100666067 B1 KR100666067 B1 KR 100666067B1 KR 1020000083678 A KR1020000083678 A KR 1020000083678A KR 20000083678 A KR20000083678 A KR 20000083678A KR 100666067 B1 KR100666067 B1 KR 100666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rms
electrical
mal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3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809A (en
Inventor
빌만티모씨비.
Original Assignee
커넥터 시스템즈 테크놀로지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커넥터 시스템즈 테크놀로지 엔.브이. filed Critical 커넥터 시스템즈 테크놀로지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10062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2End pieces terminating in a spring c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6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6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 H01R13/6587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for mounting on PCB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서 사용되며, 제1 접촉 영역을 가진 제1 접촉 아암과 제2 접촉 영역을 가진 제2 접촉 아암을 포함하는 전기 접촉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아암 사이에는 수형(male) 접촉부 수납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아암은 통상 상호 직교하고, 제1 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제1 접촉 아암의 비교적 좁은 측부 모서리는 제2 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접촉 아암의 비교적 넓은 측면에 면향되어 있다.
전기 접촉자, 전기 커넥터, 접촉 영역, 접촉 아암, 접촉부 수납 영역

Description

직교 접촉 아암 및 옵셋 접촉 영역을 갖는 전기 접촉자{ELECTRICAL CONTACT WITH ORTHOGONAL CONTACT ARMS AND OFFSET CONTACT AREAS}
도1은 본 발명의 특징을 구체화하는 전기 접촉자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상기 전기 접촉자의 일단부의 확대 사시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상기 전기 접촉자의 전방 단부의 측면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상기 전기 접촉자의 정면도.
도5는 수형 접촉부가 2개의 접촉 아암들 사이에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3에 도시된 상기 전기 접촉자의 전방 단부의 측면도.
도6은 도1에 도시된 상기 전기 접촉자의 단부를 선 6-6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7은 도1에 도시된 상기 전기 접촉자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8a 및 도8b는 도1에 도시된 전기 접촉자를 가지고 도7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모듈의 사시도.
도8c는 도8a 및 8b에 도시된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8d는 도8a 및 도8b에 도시된 모듈의 한 코너의 부분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촉자
12 : 제1 접속부
16 : 중간부
18,20 : 접촉 아암
22 : 기부
28 : 모서리
52 : 하부면
104 : 모듈 조립체
본 발명은 전기 접촉자,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교 접촉 아암과 옵셋 접촉 영역을 갖는 전기 접촉자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5,711,690호에는 2개의 수직으로 굴곡된 접촉 아암과 상기 2개의 아암들 사이의 옵셋 접촉 영역을 갖는 전기 접촉자를 구비한 카드 모서리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607,907호에는 통상 평행하지만, 2개의 접촉 영역들 사이의 수형 핀의 삽입 통로에 겹쳐진 옵셋 접촉부를 갖는 전기 접촉자가 개시되어 있다. 정합 수형 접촉부를 수납하도록 고안된 종래의 전기 접촉자에서는 접촉부들 사이의 매우 작은 공간이나 피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서 접촉 아암의 편향이 너무 변화되어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매우 작은 접촉 피치 커넥터에서 2개의 접촉 아암들 사이의 수형 접촉부의 삽입력은 상 기 접촉부에 손상을 줄 수 있어서 너무 크면 안되지만, 접촉부들 사이의 접촉 와이프(wipe)와 접촉부들 사이의 접촉력은 상기 접촉부들 사이의 양호한 전기적 결합을 위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양호한 접촉 와이프 특성, 비교적 낮은 결합력 및 정합 수형 접촉부와의 양호한 전기적 접촉을 갖는 매우 작은 접촉 피치 커넥터에 사용될 수 있는 전기 접촉자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촉 영역을 가진 제1 접촉 아암과 제2 접촉 영역을 가진 제2 접촉 아암을 포함하는 전기 접촉자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아암들 사이에는 수형 접촉부 수납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아암들은 통상 상호 직교하며, 제1 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제1 접촉 아암의 비교적 좁은 측부 모서리는 제2 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접촉 아암의 비교적 넓은 측면에 면향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기 부품에 대한 접속용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에 접속되고 제2 전기 부품에 대한 접속용 제2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 접촉자가 제공된다. 상기 제2 접속부는 2개의 접촉 아암들을 가지며, 상기 접촉 아암들 사이에는 수형 접촉부 수납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접촉 아암들은 각각 상기 수형 접촉부가 삽입 통로를 따라 접촉부 수납 영역으로 안내되도록 상호 종방향으로 옵셋하는 수형 접촉부 접촉 영역을 갖고 있다. 상기 수형 접촉부가 상기 접촉부 수용 영역 안으로 삽입되기 전에는, 2개의 접촉 영역들은 수형 접촉부의 삽입 통로를 통해 상호 겹쳐진다.
본 발명의 한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전기 접촉자를 제조하는 방법은 2개의 접촉 아암들을 가진 제1 부분을 갖는 1부품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접촉 아암들의 제1 아암의 비교적 좁은 제1 면 상에 제1 접촉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 아암들의 제2 아암의 비교적 넓은 제2 면 상에 제2 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면을 상호 대향 배치하고 그 사이에 수형 접촉부 수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2개의 접촉 아암들을 통상 상호 직교 위치하도록 상기 일부품 부재를 굴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특징을 구체화하는 전기 접촉자(1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기술되지만, 본 발명은 다른 많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요소 또는 재료의 다른 적절한 크기, 형상 또는 형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접촉자(10)는 통상 제1 접속부 또는 장착부(12), 제2 접속부 또는 장착부(14) 및 이들 사이의 중간부(1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촉자(10)는 양호하게는, 구리 합금 시트 같은 평면 전도성 부재로 스탬프 형성된 1부품 부재이다. 그러나, 상기 접촉자는 하나 이상의 부재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적절한 방법 및/또는 적절한 스톡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속부(12)는 압입(press-fit) 관통구 솔더 테일(solder tail)이다. 그러나, 표면 장착 솔더 테일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제1 접속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16)는 임의의 적절한 길이 및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부(16)는 직각 형 커넥터에 사용되는 우회전 형태를 취하도록 일련의 각진 부분을 갖지만, 수직 또는 직선형 커넥터를 위한 직선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부(16)는 커넥터의 다른 인접 접촉자(10)의 중간부(16)로부터 선택된 거리만큼 중간부(16)에 위치시키는 완곡부(17)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제1 접속부(12)와 중간부(16)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접속부(14)는 통상 기부(22)에 의해 상호 접속된 2개의 접촉 아암(18, 20)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접속부는 2개 이상의 접촉 아암들을 갖는다. 또한, 상기 기부(22)는 상기 접촉 아암이 중간부(16)로부터 직접적으로 돌출할 때와 같은 경우에는 제공될 필요가 없다. 또한,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부(22)는 통상 "L"자형의 단면을 갖고, 2개의 부분(24, 26)은 90°굽힘부 또는 모서리(28)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제1 부분(24)은 양호하게는 중간부(16)와 평행하고 중간부로부터 직접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부분(26) 및/또는 모서리(28)가 중간부로부터 직접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굽힘부(28)는 90°보다 크거나 작을 수도 있다. 또한, 도3, 도4 및 도6을 참조하면, 2개의 접촉 아암(18, 20)이 일반적인 외팔보식으로 기부(22)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제1 접촉 아암(18)은 통상 기부(22)의 제1 부분으로 부터 연장하는 부분(30), 굴곡부(32) 및 정면 접촉부(34)를 차례로 포함한다. 상기 제2 접촉 아암(20)은 통상 기부(22)의 제2 부분(26)으로부터 연장하는 부분(36), 굴곡부(38), 부분(40) 및 전방 접촉부(42)를 차례로 포함한다. 상기 제1 아암(18)의 굴곡부(32)는 제1 접촉 아암의 전방 접촉부(34)를 부분(40) 및 제2 접촉 아암(20)의 전방 접촉부(42)의 바로 아래에 위치시킨다. 상기 제1 아암의 전방 접촉부(34)는 통상 돌출부(46)와 도입면(48; lead-in surface)을 가진 상측부(44)를 포함한다. 경사면은 수형 접촉부를 상기 돌출부(46) 상의 접촉 영역(50)으로 유도한다. 접촉자(10)를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시트 금속과 같은) 스톡 재료의 납작한 특성 때문에 제1 아암의 전방 접촉부(34)는 비교적 좁은 폭(W1)과 비교적 높은 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 아암(20)은 90°굽힘부(28) 때문에 비교적 넓은 폭(W)과 비교적 낮은 높이(H)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H는 W1과 같다.
제2 접촉 아암(20)의 굴곡부(38)는 상기 부분(40)을 돌출부(46) 쪽으로 기울인다. 제2 아암의 전방 접촉부(42)는 통상 수형 접촉부의 접촉 영역(54)을 가지는 하부면(52)과 굽은 형상을 취하고 있다. 하부면(52)의 전방 단부(53)의 만곡부는 정합 수형 접촉부와 상호 작용하도록 캠 표면을 형성한다. 2개의 접촉 영역(50, 54)들은 접촉자(10)의 전방 단부를 통해 수형 접촉부의 삽입 통로에 대해 길이(L)만큼 상호 옵셋되어 있다. 제2 접촉 아암(20)의 굴곡부(38)는 양호하게는 제2 접촉 아암(20)을 제1 접촉 아암(18)에 대해 편향시키거나, 예비 로딩시킨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 비로딩을 시킬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에서,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최초(home) 상태에서의 접촉 아암(18, 20)에서, 제2 접촉 아암(20)의 하부면(52)은 제1 접촉 아암(18)의 상부면(44)과 경사면(48) 상에서 접촉한다. 그러나, 임의의 적절한 접점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아암(18, 20)들은 최 초 상태에서 상호 접촉될 필요는 없다.
또한, 도5를 참조하면, 상기 2개의 접촉 아암(18, 20)들이 핀 같은 정합 수형 접촉부(P)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핀(P)은 종방향 삽입 통로 또는 방향(I)으로 2개의 아암(18, 20)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핀(P)은 D2만큼의 높이 또는 폭을 갖는다. 상기 핀(P)이 상기 접촉자(10)의 전방 단부를 통해 삽입되면, 핀(P)은 표면(48, 53)들과 접촉하고 핀(P)이 2개의 접촉 영역(54, 50)들 사이에서 미끄질 수 있을 때까지 아암(18, 20)들을 캠 분리 시킨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촉 아암의 전방 접촉 영역(42)의 만곡부와 제1 접촉 아암(18) 상의 돌출부(46) 및 경사면(48)은 상기 접촉 영역(54)이 접촉 아암(50) 아래에 위치하는 중첩 거리(D1)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2개의 접촉 영역들은 2개의 접촉 아암들 사이의 수형 접촉부(P)의 소정의 삽입 통로(I)를 통해 상호 중첩된다. 상기 수형 접촉부(P)가 상기 2개의 아암(18, 20)들 사이에 삽입되면, 상기 아암(18, 20)들은 상호 D1 및 D2의 거리의 합만큼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형 접촉부의 폭(D2)보다 더 증가된 비임 또는 아암 편향을 제공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암(18, 20)들은 수형 접촉부(P)의 대향 측부와 맞닿는다.
또한, 수형 접촉부(P)가 삽입될 때, 아암 또는 비임의 보다 예측 가능한 편향을 위해 아암(18, 20)들의 직교 배열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접촉 아암(18)의 높이(H1)는 비교적 제2 접촉 아암(20)의 높이(H2)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제2 접촉 아암(20)은 수형 접촉부(P)가 삽입될 때 제1 아암(18)보다 더 편향된다. 제1 아암(18)의 높이(H1)는 제1 아암(18)이 2개의 아암(18, 20)들 사이의 임의의 적절한 편향차를 제공하도록 초기에 스탬프 형성될 때 쉽게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아암(18)은 수형 접촉부(P)가 삽입될 때, 거의 편향되지 않는 크기 및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H1은 H2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그러나, W1와 H2는 양호하게는 스톡 재료의 두께에 기하여 일정하다. 따라서, 2개의 아암(18, 20)들 사이에서의 수형 접촉부(P)의 위치 설정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으므로, 1 mm 이하의 비교적 작은 접촉 피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장점을 제공한다. 접촉 영역(50)을 형성하도록 제1 접촉 아암(18)의 비교적 좁은 측부 모서리(44)를 사용함으로써, 달리 넓은 측면(45)에 의해 가해지는 것보다 수형 접촉부 상의 보다 작은 영역에 보다 큰 작용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영역(50)에는 만곡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영역(50)은 횡단면이 납작할 수도 있다. 그러나, 훨씬 높은 접촉력이 요망되는 경우에는 상기 영역(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영역(54)은 또한, 필요한 경우, 접촉 만곡부를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서리(44)는 절단 또는 스탬프된 모서리이다. 따라서, 아암(18)이 스탬프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모서리(44)를 임의의 적절한 수형 접촉부 접촉 표면 또는 형상으로 비교적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아암(18, 20)들은 통상 단면이 "T"자 모양인 경계부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비임은 "스톡 엣지(edge of stock)" 모양인 반면, 상부 비임은 형성된 모양이다. 이러한 직교 접촉부 구성이 표준 이중 대향 비임 기술로부터는 거리가 있지만, 중첩되는 구조가 여분의 접점이 된다. D1 및 D2의 합은 접촉부 비임의 구조에 의해 발생된 증가된 편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편향 범위 및 대응 결합력은 비임/아암 구조를 변형시킴으로써 다른 적용예의 독특한 필요에 부합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아암(18, 20)들은 삽입된 수형 접촉부에 의한 아암에 대한 작용력이 상호 상쇄되도록 크기 및 모양을 갖을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가 장착된 커넥터 하우징 상에 작용하는 전체 작용력이 상쇄된다. 개별 접촉부 상의 작용력이 상호 상쇄되지 않는다면, 각 접촉부는 상기 "T"자 형상의 경계부가 대향 위치에 있도록 다른 접촉부와 상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래서, 결합력의 합은 상호 상쇄될 수 있다.
도7, 도8a, 도8b, 도8c 및 도8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구체화하는 전기 접촉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100)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셉터클(100)은 통상 하우징(102)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모듈 조립체(10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2)은 통상 제1 하우징 부재(106)와 제2 하우징 부재(108)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106, 108)들은 양호하게는 성형된 플래스틱 또는 폴리머 재료와 같은 유전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하우징 부재(106)는 상부(110), 배면(112), 2개의 측면(114), 통상 개방된 전방부, 통상 개방된 하부 및 수납 영역(120)을 포함한다. 상부(110)는 모듈 장착 구멍(124)을 포함한다. 후면(112)은 모듈 장착 구멍(124)을 포함한다. 전방부는 제2 하우징 부재(108)에 삽입되고 결합되기 위해 측면(114)으로부터의 연장부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 부재(108)는 정합 커넥터의 수형 핀의 전방 단부가 상기 커넥터(100) 안으로 삽입되도록 전방면(130)을 통한 구멍이나 도입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듈 조립체(104)는 통상 6개의 접촉 모듈(132; 그 중 하나는 도8a에 도시)들을 포함하며, 부가의 접지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6개 정도의 접촉 모듈이 제공될 수 있고, 1개 정도의 접지 부재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 모듈(132)은 양호하게는 상호 거울상인 2가지 형태의 접촉 모듈의 2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접지 부재는 상기 2세트 사이에 개재된다. 각 접촉 모듈(132)은 통상 프레임(140), 신호 접촉부(142) 및 접지 접촉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40)은 양호하게는 성형된 플래스틱 또는 폴리머와 같은 유전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40)은 상부(146), 하부(148), 후방부(150), 전방부(152) 및 2개의 측부(154, 156)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146)는 래치(158)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158)는 상기 접촉 모듈(132)을 제1 하우징 부재(106)에 결합하도록 모듈 장착 구멍(122) 중 하나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후방부(150)는 돌출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60)는 모듈(132)을 제1 하우징 부재(106)에 결합하도록, 모듈 장착 구멍(124) 중 하나에 삽입된다. 상기 프레임(140)은 접지 접촉부(144)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측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따르는 채널(162)을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140)은 신호 접촉부(142)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채널들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프레임(140)은 양호하게는 상기 신호 접촉부(142)의 일부에 오버-몰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40)은 부가적으로 접지 접촉부(144)의 일부에 오버-몰딩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40)의 전방부(152)는 포켓(164) 및 수납 영역(16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 접촉 모듈은 제1 형태의 신호 접촉부(142a) 3개 및 제2 형태의 신호 접촉부(142b) 3개로 구성된 총 6개의 신호 접촉부(142)를 갖는다. 상기 신호 접촉부(142) 각각은 제1 단부(166), 중간부(168) 및 제2 단부(170)를 갖는다. 상기 제1 단부(166)는 관통 구멍 솔더 테일을 갖지만, 표면 장착 솔더 테일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제1 단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중간부(168)는 모두 우회전 형태를 취하지만, 신호 접촉부가 동일한 열(row) 또는 공통 평면에 배열되도록 다른 길이 또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단부(170)는 각각 상호 90°옵셋되어 배향된 2개의 편향 가능한 아암(172, 174)들을 갖는다. 상기 제1 형태의 신호 접촉부(142a)의 아암(172, 174)들은 제2 형태의 신호 접촉부(142b)의 아암(172, 174)들의 거울상으로 배향되어 있다. 상기 신호 접촉부(142)는 통상 접촉자(10)의 특성을 구체화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단부(170)는 아암(172, 174)들이 아암(18, 20)에 대응하여 제2 접속부(14)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상기 신호 접촉부(142)는 제2 단부(170)의 상부 좌측 코너, 상부 우측 코너, 하부 좌측 코너 또는 하부 우측 코너에 모서리(28)를 가질 수 있다. 양호하게는, 아암[172; 아암(20)과 동일]은 제2 단부(170)의 상부 또는 하부 상에만 위치되며(도8c에 도시), 아암[174; 아암(18)과 동일]은 6개의 접촉 모듈(132)들 중 아암이 있는 하나의 모듈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부터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단부의 다른 형태 또는 배향이 제공될 수 있다.
각 모듈(132)의 접지 접촉부(1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1부품 부재 또는 다중 부재로서 제공될 수 있다. 각 접지 접촉부(144)는 제1 단부(176), 중간부(178) 및 제2 단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부(176)는 관통 구멍 솔더 테일을 갖는다. 그러나, 표면 장착 솔더 테일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제1 단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178)는 통상 제1 부분(182) 및 제2 부분(18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분(182)은 접지 접촉부(144)를 프레임(140)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프레임(140)의 슬롯(162)에 위치된다. 상기 제2 부분(184)은 프레임(140)의 측면(154)을 따라 연장한다. 중간부(178)는 2개의 단부(176, 178)들이 상호 직교하도록 통상 우회전 형태를 취한다. 그러나,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중간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단부(180)는 3개의 다른 형태를 포함한다. 제1 형태의 제2 단부는 슬롯의 대향 측부 상의 상부 아암과 측부 아암을 갖는 코너의 슬롯을 갖는다. 편향 가능한 돌출부는 아암으로부터 연장된다. 제2 형태의 제2 단부는 통상 제1 형태의 거울상이다. 제3 형태는 상부 아암, 하부 아암 및 측부 아암을 갖는 2개의 코너에서 2개의 슬롯을 갖는다. 2개의 편향 가능한 돌출부가 제1 슬롯 안으로 연장하고, 2개의 편항 가능한 돌출부가 제2 슬롯 안으로 연장된다. 또한, 측부 아암은 제3 슬롯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임의의 적절한 제2 단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제 도8d를 참조하면, 모듈(132)들 중 하나의 전방 단부의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신호 접촉부(142)의 각 제2 단부(170)의 2개의 아암(172, 174)들 은 포켓(164)들 중 하나의 전방에 위치된다. 하우징의 도입부중 하나를 통해 삽입될 때 정합 커넥터로부터의 신호 핀은 2개의 아암(172, 174)들 사이에서 포켓(164) 안으로 연장한다. 상기 아암(172, 174)들은 탄성적으로 외향 편향된다. 상기 접지 접촉부(144)의 슬롯(186)은 모듈들의 프레임(140)의 수납 영역(165)에 위치된다. 정합 커넥터로부터의 접지 핀은 2개의 돌출부(192, 194) 사이의 수납 영역(165)과 슬롯(186) 안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모듈 조립체(104)가 조립되면, 접지 접촉부(144)와 접지 부재(134)는 신호 접촉부용 전자기 차폐부를 형성하도록 신호 접촉부를 효과적으로 둘러싸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접지 부재(134)는 정합 커넥터로부터 접지 핀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전방 단부를 갖는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예와 개조예가 고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의 그러한 모든 변형예, 개조예 및 수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본 발명은 양호한 접촉 와이프 특성, 비교적 낮은 결합력 및 결합 수형 접촉부와의 양호한 전기적 접촉을 갖는 매우 작은 접촉 피치 커넥터에 사용될 수 있는 전기 접촉자를 제공한다.

Claims (23)

  1. 제1 접촉 영역을 갖는 제1 접촉 아암과,
    제2 접촉 영역을 갖는 제2 접촉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아암은 그 사이에 수형 접촉부 수납 영역을 형성하고, 제1 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제1 접촉 아암의 비교적 좁은 측부 모서리가 제2 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제2 접촉 아암의 비교적 넓은 측면을 향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아암이 통상 상호 직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아암은 상호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납작한 전도성 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영역은 수형 접촉부가 수형 접촉부 수납 영역 안으로 삽입되는 통로를 따라서 상호 종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옵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영역은 상기 수형 접촉부의 삽입 통로를 따른 방향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아암은 수형 접촉부가 상기 수형 접촉부 수납 영역 안으로 삽입되기 전에는 제1 및 제2 접촉 영역에 인접한 단면이 통상 "T"자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제1 접촉 아암의 측부 모서리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아암은 제2 접촉 영역을 따라 굴곡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아암의 측부 모서리의 전방부는 상기 돌출부로 이어지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2 접촉 영역은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아암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폭을 갖는 수형 접촉부가 상기 수형 접촉부 수용 영역 안으로 삽입되는 것이 상기 접촉 영역을 상기 수형 접촉부의 폭보다 큰 간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크기와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아암은 통상 상호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1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청구항 1의 전기 접촉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1 전기 부품에 접속하기 위한 제1 접속부와,
    제2 전기 부품에 접속하기 위해 상기 제1 접속부에 연결된 제2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접속부는 그 사이에 수형 접촉부 수납 영역을 형성하는 2개의 접촉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접촉 아암 각각은 수형 접촉부가 접촉 수납 영역 안으로 삽입되는 통로를 따라 상호 종방향으로 옵셋되는 수형 접촉부 접촉 영역을 가지고, 상기 수형 접촉부가 수납 영역 안으로 삽입되기 전에는 2개의 접촉 영역이 수형 접촉부의 삽입 통로를 통해 상호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는 압입 삽입 관통 구멍 솔더 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접촉 아암은 통상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접촉 영역은 수형 접촉부가 수형 접촉부 수납 영역 안으로 삽입되는 통로를 따라 상호 종방향으로 옵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아암은 상호 일체로 연결되고, 납작한 전도성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아암은 수형 접촉부가 상기 수형 접촉부 수납 영역 안으로 삽입되기 전에는 그 접촉 영역에 인접한 단면이 통상 "T"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아암의 비교적 좁은 측부 모서리는 제1 접촉 아암을 위한 접촉 영역을 형성하고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아암은 제2 접촉 아암의 접촉 영역을 따라 굴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아암의 측부 모서리의 전방부는 상기 돌출부로 이어지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2 접촉 아암의 접촉 영역은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아암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폭을 갖는 수형 접촉부가 상기 수형 접촉부 수용 영역 안으로 삽입되는 것이 상기 접촉 영역을 상기 수형 접촉부의 폭보다 큰 간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크기 및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22. 2개의 접촉 아암을 갖는 제1 부분을 보유한 1부품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접촉 아암들 중 제1 아암의 비교적 좁은 제1 면 상에 제1 접촉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 아암들 중 제2 아암의 비교적 넓은 제2 면 상에 제2 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면을 상호 대향 배치하고 그 사이에 수형 접촉부 수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2개의 접촉 아암이 상호 통상 교차하는 위치로 배치하도록 상기 1부품 부재를 굴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제조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단계는 2개의 접촉 아암을 상호 통상 직교하는 위치로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자 제조 방법.
KR1020000083678A 1999-12-29 2000-12-28 직교 접촉 아암 및 옵셋 접촉 영역을 갖는 전기 접촉자 KR100666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73,771 1999-12-29
US09/473,771 US6224432B1 (en) 1999-12-29 1999-12-29 Electrical contact with orthogonal contact arms and offset contact area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809A KR20010062809A (en) 2001-07-07
KR100666067B1 true KR100666067B1 (ko) 2007-01-10

Family

ID=2388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3678A KR100666067B1 (ko) 1999-12-29 2000-12-28 직교 접촉 아암 및 옵셋 접촉 영역을 갖는 전기 접촉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24432B1 (ko)
EP (2) EP1398852B1 (ko)
JP (1) JP2001203027A (ko)
KR (1) KR100666067B1 (ko)
AT (1) ATE320092T1 (ko)
CA (1) CA2329669A1 (ko)
DE (1) DE6002662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30390C2 (de) * 1993-09-08 1995-10-26 Erni Elektroapp Einteilige, zweischenklige Kontaktfeder
JP2001102118A (ja) * 1999-10-01 2001-04-13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端子金具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端子金具の製造方法
DE10027125A1 (de) * 2000-05-31 2001-12-06 Wabco Gmbh & Co Ohg Elektrischer Steckkontakt
US6899566B2 (en) 2002-01-28 2005-05-31 Erni Elektroapparate Gmbh Connector assembly interface for L-shaped ground shields and differential contact pairs
DE10331229A1 (de) * 2003-07-10 2005-01-27 Robert Bosch Gmbh Kontaktanordnung bei einer elektrischen Steckverbindung
DE102005043692A1 (de) * 2005-09-14 2007-03-15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vorgespannten Kontaktlamellen
US7331802B2 (en) * 2005-11-02 2008-02-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Orthogonal connector
US7789708B2 (en) * 2007-06-20 2010-09-07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with bifurcated contact arms
US7811100B2 (en) * 2007-07-13 2010-10-1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system having a continuous ground at the mating interface thereof
US8764464B2 (en) 2008-02-29 2014-07-01 Fci Americas Technology Llc Cross talk reduction for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s
US7758385B2 (en) 2008-03-07 2010-07-2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Orthogonal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US7775802B2 (en) * 2008-12-05 2010-08-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8016616B2 (en) * 2008-12-05 2011-09-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7988456B2 (en) 2009-01-14 2011-08-0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Orthogonal connector system
US7883366B2 (en) 2009-02-02 2011-02-0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igh density connector assembly
US9277649B2 (en) 2009-02-26 2016-03-01 Fci Americas Technology Llc Cross talk reduction for high-speed electrical connectors
US8079847B2 (en) 2009-06-01 2011-12-2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Orthogonal connector system with power connection
US7771244B1 (en) * 2009-06-08 2010-08-10 Lotes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8267721B2 (en) 2009-10-28 2012-09-18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 plates and ground coupling bar
US8616919B2 (en) 2009-11-13 2013-12-31 Fci Americas Technology Llc Attachment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
TWI580122B (zh) * 2010-02-26 2017-04-21 太谷電子公司 電氣連接器系統
DE102012004833A1 (de) * 2012-03-13 2013-09-19 Lumberg Connect Gmbh Steckkontakt zur Anordnung an einem Kontaktträger
JP5700026B2 (ja) * 2012-11-28 2015-04-1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装品機器の端子装置
JP6059095B2 (ja) * 2013-06-26 2017-01-1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該端子金具を使用したコネクタ
US9246293B2 (en) 2013-10-31 2016-01-2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eadframe for a contact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16108069A1 (de) * 2016-05-02 2017-11-02 Valeo Systèmes d'Essuyage Kontaktelement zur Ausbildung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 mit einem Gegenelement, elektrische Verbindung und Scheibenwischermotor
CN105958245B (zh) * 2016-06-08 2018-10-12 欧品电子(昆山)有限公司 高速连接器组件、插座连接器及其插座端子
CN105914503B (zh) * 2016-06-13 2018-10-12 欧品电子(昆山)有限公司 高速连接器组件、插座连接器及插头连接器
CN106410473A (zh) * 2016-06-22 2017-02-15 欧品电子(昆山)有限公司 高速连接器组件、插座连接器及其插座端子
JP6765243B2 (ja) * 2016-07-14 2020-10-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6058544B (zh) * 2016-08-03 2018-11-30 欧品电子(昆山)有限公司 高速连接器组件、插座连接器及插头连接器
US10826205B2 (en) * 2018-04-12 2020-11-03 Panduit Corp. Double wiping blade contact
TWD199071S (zh) * 2018-07-05 2019-08-11 大陸商歐品電子(昆山)有&#x9 具有一卡口的差分訊號端子
CN108963510A (zh) * 2018-07-05 2018-12-07 欧品电子(昆山)有限公司 高速连接器组件、插座连接器及其插座端子
TWD199072S (zh) * 2018-07-05 2019-08-11 大陸商歐品電子(昆山)有&#x9 具有兩個不等長不共面的分支的差分訊號端子
US10601195B2 (en) * 2018-07-30 2020-03-24 Lotes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ensuring terminal positioning effect
CN109119793A (zh) * 2018-08-17 2019-01-01 安费诺(常州)高端连接器有限公司 低串扰双接触高速背板连接器
US20220294141A1 (en) * 2021-03-11 2022-09-15 Oupiin Electronic (Kunshan) Co., Ltd. High-speed signal terminal, differential signal terminal pair and high-speed connector assembly
CN112886300A (zh) * 2021-03-11 2021-06-01 欧品电子(昆山)有限公司 高速信号端子、差分信号端子对及高速连接器组合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4740A (en) * 1968-03-04 1970-05-26 John Richard Filson Wire-end connector structure
US3555493A (en) 1968-03-25 1971-01-12 Molex Products Co Right angle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GB1226935A (ko) * 1968-09-23 1971-03-31
US3862792A (en) * 1973-10-03 1975-01-28 Gte Sylvania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RE30277E (en) * 1974-05-03 1980-05-20 Amp Incorporated Electrical tab receptacle
DE2515813A1 (de) 1975-04-11 1976-10-21 Bunker Ramo Verfahren zum automatischen montieren und bestuecken von steckverbindern und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 steckverbinder
US4004845A (en) * 1975-04-17 1977-01-25 Elco Corporatio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employing male blade with offset portions
US4175821A (en) 1978-05-15 1979-11-27 Teradyne, Inc. Electrical connector
DE3028809C2 (de) * 1980-07-30 1982-10-21 Hermann Stribel KG, 7443 Frickenhausen Steckeranordnung zur Aufnahme eines Flachsteckers
US4379611A (en) 1980-11-03 1983-04-12 Hughes Aircraft Company Connector with low force socket contact having an integral hood
US4557548A (en) 1983-12-14 1985-12-10 Amp Incorporated Edge connector for chip carrier
US4591230A (en) * 1984-06-29 1986-05-27 Frank Roldan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US4607907A (en) 1984-08-24 1986-08-26 Burnd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requiring low mating force
US4776651A (en) * 1985-12-06 1988-10-11 Amp Incorporated Socket contacts
US4973273A (en) 1989-09-22 1990-11-27 Robinson Nugent, Inc. Dual-beam receptacle socket contact
JPH0731510Y2 (ja) * 1990-05-16 1995-07-19 矢崎総業株式会社 雌端子金具
JPH0748385B2 (ja) 1990-07-13 1995-05-24 山一電機工業株式会社 三方向挟接形コンタクト
US5082459A (en) 1990-08-23 1992-01-21 Amp Incorporated Dual readout simm socket
AU6402290A (en) 1990-09-12 1992-03-30 Thomas & Betts, France Female connector with double-strip contacts
US5030107A (en) * 1990-11-08 1991-07-09 Molex Incorporated LCD cluster connector
US5060372A (en) * 1990-11-20 1991-10-29 Capp Randolph E Connector assembly and contacts with severed webs
JPH0636261U (ja) * 1992-10-12 1994-05-13 ホシデン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側多極コネクタ
JP2672450B2 (ja) 1993-06-30 1997-11-05 山一電機株式会社 電気接触子
US5435757A (en) * 1993-07-27 1995-07-25 The Whitaker Corporation Contact and alignment feature
DE4400702C2 (de) * 1994-01-12 2000-08-10 Grote & Hartmann Einstückige Steckervorrichtung
US5480316A (en) 1994-06-23 1996-01-02 The Whitaker Corporation Low insertion force card edge connector
JP3067545B2 (ja) * 1994-09-09 2000-07-17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US5672084A (en) 1995-03-29 1997-09-30 Elco Corporation High density connector receptacle
DE19541953A1 (de) 1995-11-10 1997-05-15 Harting Elektronik Gmbh Kontaktfeder
US5676570A (en) 1996-03-15 1997-10-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 port interface connector
JP3099111B2 (ja) * 1996-05-31 2000-10-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リセプタクルコンタクトおよびリセプタクルコンタクトストリップ並びにリセプタクルコンタクトの製造方法
US5711690A (en) 1996-10-18 1998-01-27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227882B1 (en) * 1997-10-01 2001-05-08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for electrical isolation in a condensed area
EP1939989B1 (en) 1998-08-12 2011-09-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nect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29669A1 (en) 2001-06-29
US6224432B1 (en) 2001-05-01
ATE320092T1 (de) 2006-03-15
EP1113531A3 (en) 2002-04-17
DE60026625T2 (de) 2006-09-21
EP1113531A2 (en) 2001-07-04
EP1398852B1 (en) 2006-03-08
JP2001203027A (ja) 2001-07-27
DE60026625D1 (de) 2006-05-04
EP1398852A1 (en) 2004-03-17
KR20010062809A (en)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067B1 (ko) 직교 접촉 아암 및 옵셋 접촉 영역을 갖는 전기 접촉자
US6695627B2 (en) Profiled header ground pin
US7059919B2 (en) Power connector
JP4881461B2 (ja) 高速、高密度電気コネクタ
US10193260B1 (en) Multi-contact connector
US10498082B2 (en) Terminal structure that supports movement between two housings
EP0365179B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CN110277678B (zh) 连接器
KR100279193B1 (ko) 고접촉력핀수용전기단자
JP2019071184A (ja) コネクタ
US20090124140A1 (en) Utca-compliant power contacts
KR100416432B1 (ko) 전기커넥터및커넥터어셈블리
US6997752B2 (en) Connector
EP0455367B1 (en) Right angle impedance matched electrical connector
EP0806813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with improved retention means
JP3784450B2 (ja) リセプタクル型端子
EP0981103A1 (en) Smart card connector for different thickness cards
EP1401055B1 (en) Matable electrical connectors having signal and power capabilities
EP1605550A1 (en) Matable electrical connectors having signal and power cap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