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637B1 - 사운드 발생기 - Google Patents

사운드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637B1
KR100665637B1 KR1020030069546A KR20030069546A KR100665637B1 KR 100665637 B1 KR100665637 B1 KR 100665637B1 KR 1020030069546 A KR1020030069546 A KR 1020030069546A KR 20030069546 A KR20030069546 A KR 20030069546A KR 100665637 B1 KR100665637 B1 KR 100665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iaphragm
frame
sound
back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1663A (ko
Inventor
후루야마사히토
구와바라히로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 덴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 덴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 덴시
Publication of KR20040031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6Transducers having separately controllable opposing diaphragms, e.g. for ring-tone and vo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정보 기구를 장착하는 하나의 케이스가 제공되고, 이 케이스에는 프레임이 장착된다. 또한, 이 프레임에는 스피커와 수화기가 제공된다. 이 스피커에는 제1 백 챔버(back chamber)가 형성되고, 수화기에는 제2 백 챔버가 형성된다. 제1 백 챔버와 제2 백 챔버를 서로 분리하기 위하여, 프레임과 일체로 격벽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사운드 발생기{SOUND GEN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 전화기의 케이스에 장착되는 복합 사운드 발생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휴대 전화기의 케이스에 장착되는 종래의 복합 사운드 발생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용 통신 기기의 복합 사운드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그 휴대 전화기에는 호출 신호를 사운드로 변환하는 스피커와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로 변환하는 수화기가 있다. 그 전화기 근처에 있는 사용자의 귀에는 수화기로부터 발생된 사운드가 들리고, 사용자의 귀에서 떨어져 있는 전화기에는 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가 들린다. 따라서, 스피커는 수화기보다 큰 볼륨의 사운드를 발생시킨다.
도 2는 종래의 복합 사운드 발생기의 단면도이다.
이 복합 사운드 발생기는 편평한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실질적으로 박스 형 상을 갖는 케이스(20)에 하우징된다. 이 케이스(20)에는 사운드 발생기의 다양한 부품들이 장착되는 합성 수지로 만든 환형 프레임(1)이 제공되고, 이 프레임(1)에는 자성체로 만들어진 공통 요크(2)가 장착된다.
이 요크(2)는 하부(2c)가 마련된 실린더 부분(2b)의 상부 주변부에 형성된 프렌지(2a)를 포함한다. 환형의 제1 자석(3)은 프렌지(2a)의 아래쪽에 고정되고, 디스크 형상을 갖는 제2 자석(8)은 요크(2)의 하부(2c)에 고정된다. 자성체로 만들어진 환형의 제1 상판(4)은 제1 자석(3)의 아래쪽에 고정되고, 디스크 형상을 갖는 제2 상판(9)은 제2 자석(8)의 상판에 고정된다.
환형 프레임(1)의 아래쪽에는 제1 격판(6)이 고정되고, 이에 따라 격판(6)과 요크(2) 사이에는 비교적 작은 백 챔버(back chamber)(22a)를 형성한다. 환형 프레임 (1)의 상면에는 제2 격판이 고정되며, 이에 따라 격판(11)과 요크(2) 사이에는 비교적 작은 백 챔버(22b)를 형성한다. 이 제1 격판(6)과 제2 격판(11)의 내면에는 각각 제1 보이스 코일(5)과 제2 보이스 코일(10)이 고정된다. 제1 격판(6)과 제1 보이스 코일(5)은 스피커와 같은 제1 사운드 발생 장치를 구성하고, 제2 격판(11)과 제2 보이스 코일(10)은 수화기로서 제2 사운드 발생 장치를 구성한다. 디스크 형상을 갖고 금속 박판으로 만들어지는 보호 장치(7, 12)는 격판(6, 11)을 보호하기 위하여 프레임(1)의 아래쪽 및 상면에 고정된다.
보호 장치(7)에는 사운드 배출 구멍(7a)이 있고, 보호 장치(12)에는 사운드 배출 구멍(12a)이 있다.
보호 장치(7)와 격판(6)의 외부 주변부는 프레임(1)의 하부 돌기(1a)에 형성 된 환형 리세스(recess)에 삽입 및 압착 고정된다. 보호 장치(12)와 격판(11)의 외부 주변부는 프레임(1)의 상부 돌기(1b)에 형성된 환형 리세스에 삽입 및 압착 고정된다.
사운드 발생기는 다른 부품을 갖는 케이스(20)에 어셈블링된다. 환형 스페이서(21)는 사운드 배출 구멍(7a, 12a)의 외부에 있는 각각의 보호 장치(7, 12)와 케이스(20) 사이에 배치된다.
이 케이스(20)에는 이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사운드 배출 구멍 (20a)과 이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사운드 배출 구멍(20b)이 마련된다.
격판(11)에 의해 발생된 사운드는 화살표(a)로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배출 구멍(12a)을 통해서, 또한 사운드 배출 구멍(20b)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유사하게, 격판(6)에 의해 발생되는 사운드는 화살표(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배출 구멍(7a)을 통하여 배출되고, 또한 사운드 배출 구멍(20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백 챔버(22a, 22b)로부터 방출된 사운드와 사운드 배출 구멍(7a, 12a)을 통하여 방출된 사운드의 혼합이 예방된다. 스페이서(21)는 기밀성(air-tig htness)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며, 이에 따라 사운드들이 서로 분리한다.
격판의 진동을 허용하고, 음량 및 음질 등의 음향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백 챔버(22a, 22b)는 대기와 통해있다. 즉, 화살표(c, d)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백 챔버(22b) 안의 공기는 돌기(1b)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구멍(1d)을 통하여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으로 흐른다. 백 챔버(22a)의 공기는 화살표(e, f)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의 어깨 부분에 형성된 공기 통로(1c)를 통하여 케이스 (20)의 내부 공간으로 흐른다.
종래의 사운드 발생기에 있어서, 백 챔버(22a, 22b)는 케이스(20)의 전체 내부 공간과 통해져 있다. 따라서, 백 챔버(22b, 22a) 중 하나로부터의 일부의 공기 흐름은 화살표(g, h)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개구(1d) 또는 통로(1c)를 통하여 다른 백 챔버로 흐를 수 있다. 나아가서, 스피커용 격판(6)이 진동하는 경우에, 그 발생된 사운드에 의해 기압이 변하며, 이에 따라 수화기로부터 사운드가 방출되도록 수화기용 격판(11)을 진동시킨다. 수화기로부터 큰 사운드가 방출되는 경우, 사용자는 귀를 다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전화 대화는 누출될 수도 있고, 수화기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들려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화기와 스피커 중 하나의 격판에 의해 발생되는 사운드가 누출되어, 다른 격판을 진동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복합 사운드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기구용 사운드 발생기가 제공되고, 이 기구에 대한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장착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제공된 제1 격판을 갖는 스피커 및 제2 격판을 갖는 수화기와, 그 스피커의 제1 격판 뒤에 있는 제1 백 챔버 및 수화기의 제2 격판 뒤에 있는 제2 백 챔버와, 제1 및 제2 백 챔버를 서로 분리하기 위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한다.
이 격벽은 수화기의 제2 격판의 외면을 둘러싸고, 수화기의 제2 백 챔버와 통하도록 환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스피커의 제1 백 챔버는 격벽의 외부벽과 케이스의 내부벽 사이의 공간에 개방된다.
스피커의 제1 백 챔버 및 수화기의 제2 백 챔버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개구와 다른 위치에 있는 케이스의 외측으로 개방된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및 기타 목적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이후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전화기의 케이스에 장착되는 복합 사운드 발생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복합 사운드 발생기는 타원형 케이스(50)에 하우징된다. 이 케이스(50)에는 사운드 발생기의 다양한 부품들이 장착되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프레임(31)이 제공되고, 이 프레임(31)에는 자성체로 만들어지는 공통 요크(32)가 장착된다.
이 요크(32)는 하부(32c)가 마련된 실린더 부분(32b)의 상부 주변부에 형성된 프렌지(32a)를 포함한다. 환형의 제1 자석(33)은 프렌지(32a)의 아래쪽에 접착제로 고정되고, 디스크 형상의 제2 자석(38)은 요크(32)의 하부(32c)에 고정된다. 자성체로 만들어진 환형의 제1 상판(34)은 제1 자석(33)의 아래쪽에 고정되고, 디스크 형상을 갖는 제2 상판(39)은 제2 자석(38)의 상판에 고정된다.
프레임(31)의 아래쪽에는 제1 격판(36)이 고정되며, 이에 따라 격판(36)과 요크(32) 사이에 백 챔버(43a)를 형성한다. 프레임(31)의 상판에는 제2 격판(41)이 고정되며, 이에 따라 격판(41)과 요크(32) 사이에 백 챔버(43b)를 형성한다. 제1 격판은 케이스(50)의 외주에 근사한 큰 사이즈를 갖고, 제2 격판은 케이스(50)의 타원의 단축의 길이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이 제1 격판(36)과 제2 격판(41)의 내측면에 제1 보이스 코일(35)과 제2 보이스 코일(40)이 각각 고정된다. 제1 격판 (36)과 제1 보이스 코일(35)은 제1 사운드 발생 장치를 스피커로서 구성하고, 제2 격판(41)과 제2 보이스 코일(40)은 제2 사운드 발생 장치를 수화기로서 구성한다. 각각 디스크 형상을 갖고 금속 박판으로 만들어진 제1 보호 장치(37) 및 제2 보호 장치(42)는 격판(36, 41)을 보호하기 위하여 프레임(31)의 아래쪽 및 상면에 고정된다.
제1 보호 장치(37)는 제1 격판(36)에 의해 발생된 사운드를 아래쪽 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사운드 배출 구멍(37a)을 갖는다. 제2 보호 장치(42)는 제2 격판 (41)에 의해 발생된 사운드를 위쪽 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사운드 배출 구멍(42a)을 갖는다.
프레임(31)은 하부 돌기(31a)와 상부 돌기(31b)를 갖는다. 하부 돌기(31a)에서, 환형 리세스는 보호 장치(37)와 격판(36)의 외부 주변부가 삽입되고 압착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부 돌기(31b)에 있어서, 환형 리세스는 보호 장치(42)와 격판 (41)의 외부 주변부가 삽입되고 압착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프레임(31)의 어깨부 (31c)에는 공기 통로(31d)가 형성된다. 한 쌍의 개구(31e)는 상부 돌기(31b)의 하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31)은 또한 격판(41)을 둘러싸기 위해서 상부 돌기(31b)의 외측에서 위쪽으로 연장하는 환형 격벽(31f)을 갖는다.
사운드 발생기는 케이스(50)에 다른 부품과 함께 어셈블링된다. 환형 스페이서(51)는 각각의 보호 장치(37, 42)와 케이스(50) 사이에 배치된다. 환형 스페이서 (54)는 격벽(31f)의 상단부와 케이스(50) 사이에 배치된다.
이 케이스(50)는 스페이서(51) 내측의 일부분에 있는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사운드 배출 구멍(50a)과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사운드 배출 구멍 (50b)을 갖는다.
격판(41)에 의해 발생되는 사운드는 화살표(a)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보호 장치(42)의 사운드 배출 구멍(42a)을 통하여 배출되고, 또한 사운드 배출 구멍(50b)을 통하여 케이스(50)의 밖으로 배출된다. 유사하게, 격판(36)에 의해 발생된 사운드는 화살표(b)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보호 장치(37)의 사운드 배출 구멍(37a)을 통하여 배출되고, 또한 사운드 배출 구멍(50a)을 통하여 케이스 밖으로 배출된다.
화살표(c)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백 챔버(43b)의 공기는 돌기(31b)에 형성된 구멍(31e)을 통하여 격벽(31f)과, 돌기(31b) 및 스페이서(51, 54)로 형성된 환형 공간으로 흐른다. 따라서, 환형 공간의 체적을 부가함으로써, 백 챔버(43b)의 체적은 사실상 증가된다고 말할 수 있다. 격벽(31f)의 외주가 최대의 제1 격판(36)의 외주와 실질적으로 동일해질 수 있고, 제2 격판(41)의 외주가 제1 격판(36)의 외주보다 작기 때문에, 격벽(31f)과 격판(41)의 외부 주변부 사이의 환형 공간이 큰 체적을 갖는다. 따라서, 격판(41) 진동의 후방 저항과 나아가서 음향 임피던스가 줄어들어, 음향 특성이 개선된다.
백 챔버(43a) 안의 공기는 화살표(e)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1)의 어깨부(31c)에 형성된 공기 통로(31d)를 통하여 케이스(30)의 내부 공간으로 흐른다. 이 케이스(50)의 내부 공간은 격벽(31f) 안쪽의 환형 공간의 외측에 형성되어, 백 챔버(43b)와 통로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즉, 백 챔버(43a, 43b)는 서로 통하지 않기 때문에, 챔버 중 하나의 공기가 케이스(50)의 공간을 통하여 다른 챔버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종래의 사운드 발생기에 있어서, 백 챔버(22b)는 챔버의 실제 용량이 커지도록 케이스의 내부 공간과 통해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백 챔버(43b)의 실제 용량이 훨씬 작아지더라도, 충분한 음향 특성이 유지된다. 동시에, 백 챔버(43a, 43b)가 효율적으로 분리되는 이점이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스피커로부터의 사운드는 사운드 배출 구멍(50a)으로부터만 방출되고, 수화기로부터의 사운드는 사운드 배출 구멍(50b)으로부터만 방출된다. 따라서, 귀의 손상 및 대화 누출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격벽(31f)의 외주는 제1 격판(36)의 외주보다 커질 수 있다. 격벽(31f)과 보호 장치(42) 사이의 환형 공간은 유일하게 형성된 사운드 배출 구멍을 통하여 대기와 연결되어, 격판 (41)의 진동의 음향 임피던스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음향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하나밖에 없는 사운드 배출 구멍은 바람직하게는 수화기의 사운드 배출 구멍(50b)에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거나, 케이스의 측벽 등의 다른 벽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스피커의 백 챔버는 대기와 통해질 수 있다. 격벽의 구조와, 공기 통로와 음향 분리 방법과, 그 재료의 다양한 수정도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각 스피커와 수화기의 백 챔버들이 격벽을 제공하는 간단하고 저렴한 수단에 의해 서로 효율적으로 분리되는 복합 사운드 발생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귀의 손상 및 대화 누출이 예방된다.
또한, 수화기의 백 챔버를 이 챔버를 둘러싸는 환형 공간과 통하게 하고, 스피커의 백 챔버를 그 환형 공간의 외측에 있는 케이스의 내부 공간과 통하게 함으로써, 수화기의 백 챔버의 용량이 실제로 증가되어, 음향 특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더우기, 백 챔버 중 하나가 대기와 통해지는 경우에, 그 용량은 또한 증가되어, 음향 임피던스를 줄이고, 나아가서 음향 특성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와 결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는 동안, 이 설명의 목적은 예시적인 것이며, 후속하는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5)

  1. 정보 기구용의 복합 사운드 발생기로서,
    내면을 갖춘, 상기 정보 기구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마련되는, 제1 격판을 갖는 스피커 및 제2 격판을 갖는 수화기와,
    각각 사운드 배출 구멍을 갖추고, 각각 상기 제1 격판과 제2 격판을 보호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 보호 장치와,
    상기 스피커의 제1 격판 뒤에 있는 제1 백 챔버 및 상기 수화기의 제2 격판 뒤에 있는 제2 백 챔버와,
    상기 제1 및 제2 보호 장치의 사운드 배출 구멍을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제1 보호 장치의 외면 사이 및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제2 보호 장치의 외면 사이에 마련되는 환형 스페이서들과,
    상기 제1 및 제2 백 챔버로부터의 공기가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에 방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백 챔버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게 상기 프레임 내에 마련되는 구멍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스피커용의 제1 공간과 상기 수화기용의 제2 공간으로 분할하고, 이로써 하나의 백 챔버로부터의 공기가 다른 하나의 백 챔버로부터의 공기와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프레임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 격벽
    을 포함하는 복합 사운드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격벽은 상기 수화기의 제2 보호 장치의 외측을 둘러싸고 상기 수화기의 제2 백 챔버과 통하도록 환형 공간을 형성하게 마련되는 것인 복합 사운드 발생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격벽은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복합 사운드 발생기.
KR1020030069546A 2002-10-07 2003-10-07 사운드 발생기 KR100665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94328A JP3946118B2 (ja) 2002-10-07 2002-10-07 発音体の構造
JPJP-P-2002-00294328 2002-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663A KR20040031663A (ko) 2004-04-13
KR100665637B1 true KR100665637B1 (ko) 2007-01-10

Family

ID=32025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546A KR100665637B1 (ko) 2002-10-07 2003-10-07 사운드 발생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62050B2 (ko)
JP (1) JP3946118B2 (ko)
KR (1) KR100665637B1 (ko)
CN (1) CN1242645C (ko)
DE (1) DE1034659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7680B2 (en) * 2004-10-29 2009-07-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ual-diaphragm speaker assemblies with acoustic passageways and mobile terminals including the same
JP2006191213A (ja) * 2004-12-28 2006-07-20 Citizen Electronics Co Ltd 電気音響変換器及び携帯端末装置
EP1880575A1 (en) * 2005-05-09 2008-01-23 Knowles Electronics, LLC Conjoined receiver and microphone assembly
WO2007093903A1 (en) * 2006-02-16 2007-08-23 Bang & Olufsen Icepower A/S A micro-transducer with improved perceived sound quality
WO2007135740A1 (ja) * 2006-05-24 2007-11-29 Panasonic Corporation 電気機械音響変換器の実装構造
JP4817142B2 (ja) * 2007-04-27 2011-11-16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及び携帯機器
US8189841B2 (en) * 2008-03-27 2012-05-29 Bose Corporation Acoustic passive radiating
EP2119598B1 (en) * 2008-05-09 2010-09-22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Speaker assembly arrangement and method of mounting a speaker
US8913738B2 (en) * 2009-06-30 2014-12-1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with wideband earpiece response
US8692635B2 (en) * 2012-04-18 2014-04-08 Nokia Corporation Sound generating apparatus
ITUA20163268A1 (it) * 2015-05-22 2017-11-09 Ask Ind Spa Gruppo trasduttore elettro-acustico inerziale.
CN108391188B (zh) 2018-02-11 2020-02-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扬声器组件及电子设备
CN108513230B (zh) * 2018-06-25 2024-02-09 歌尔股份有限公司 发声器件及便携终端
JP6663974B1 (ja) * 2018-12-26 2020-03-13 有限会社ゾルゾ スピー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7574A (en) * 1994-12-22 1996-05-14 Motorola, Inc. Dual function transducer housing
DE19734120A1 (de) * 1997-08-07 1999-02-18 Nokia Deutschland Gmbh Tonwiedergabeanordnung
JP4106119B2 (ja) * 1997-12-26 2008-06-25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ダイナミックマイクロホン
GB2336499B (en) * 1998-03-18 2002-06-12 Nokia Mobile Phones Ltd Audio diaphragm mounting arrangements in radio telephone handsets
KR100401000B1 (ko) 2000-06-27 2003-10-08 황상문 리시버가 결합된 스피커
JP3946117B2 (ja) * 2002-10-07 2007-07-18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発音体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98025A (zh) 2004-05-19
US7162050B2 (en) 2007-01-09
JP2004129171A (ja) 2004-04-22
DE10346592A1 (de) 2004-04-15
KR20040031663A (ko) 2004-04-13
US20040071309A1 (en) 2004-04-15
CN1242645C (zh) 2006-02-15
JP3946118B2 (ja) 2007-07-18
DE10346592B4 (de) 200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636B1 (ko) 사운드 발생기
US638914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moving armature transducers
US11109159B2 (en) Speaker box
KR100665637B1 (ko) 사운드 발생기
US4852177A (en) High fidelity earphone and hearing aid
JP4337078B2 (ja) スピーカ装置
US6785395B1 (en) Speaker configuration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335017B1 (ko) 주위소음을감소시키는전화헤드셋장치
JPH08111705A (ja) 送話器
KR100540678B1 (ko)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전기 음향 변환기
US6374120B1 (en) Acoustic guide for audio transducers
US9807210B2 (en) Cordless phone
JPH07312633A (ja) ラウドスピーカ組立体
KR940008333A (ko) 주변 잡음 감소 전화 송수화기
KR101595175B1 (ko) 이중 구동부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KR2002000316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JPH11252683A (ja) 電気・音響変換器
CN114846814B (zh) 具有声音后腔室通风口的耳机
KR101045613B1 (ko) 마이크로 스피커
EE04412B1 (et) Madalas sagedusalas tõstetud sageduskarakteristikuga telefon
CN110166906B (zh) 包括具有被动振动器的微型扬声器模块的颈带式扬声器
KR101863537B1 (ko)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
JP2000232505A (ja) 受話用電気音響変換装置
JP4126870B2 (ja) スピーカ
JP3099525U (ja) 受話器機能を有するスピ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