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537B1 -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 - Google Patents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537B1
KR101863537B1 KR1020170031066A KR20170031066A KR101863537B1 KR 101863537 B1 KR101863537 B1 KR 101863537B1 KR 1020170031066 A KR1020170031066 A KR 1020170031066A KR 20170031066 A KR20170031066 A KR 20170031066A KR 101863537 B1 KR101863537 B1 KR 101863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diaphragms
band
ring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현
천승우
Original Assignee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1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음의 생성을 위한 고음역대 진동판과 저음의 생성을 위한 저음역대 진동판을 포함하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음역대별 진동이 이웃하는 음역대별 진동판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 사이에 진동판구획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에서 동시 또는 별개로 생성되는 음역대별 음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SPEAKER HAVING MULTI VIBRATING PLATE}
본 발명은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음의 생성을 위한 고음역대 진동판과 저음의 생성을 위한 저음역대 진동판을 포함하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음역대별 진동이 이웃하는 음역대별 진동판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 사이에 진동판구획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에서 동시 또는 별개로 생성되는 음역대별 음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 스피커는 스마트 폰과 같은 개인휴대전화기 및 이어폰과 같은 소형음향기기에는 사용되어 전기적 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마이크로 스피커는 통상, 프레임, 요크, 영구자석, 플레이트(상부플레이트 및/또는 하부플레이트), 진동판, 보이스 코일 및 프로텍터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하나의 프레임 내부에 2개의 진동판을 동시에 설치하여 서로 다른 음역대의 음을 생성하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는, 하나의 프레임 내부에 2개 이상의 진동판을 설치하여 두 개 이상의 음역대별 음을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의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03169호에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닛(10)은 프레임(13)의 일측에는 소정 크기의 호출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부(11)를 설치하고, 타 측에는 소정 크기의 통화음을 출력하는 리시버부(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3)에는 통기공(18)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3)의 내부 공간에는 상하로 환형의 탑플레이트(14, 28)가 접착된 하나의 환형 영구자석(15) 및 통합 자기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요크(16) 및 상기 요크(16)를 탑플레이트(14, 28)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단(17)이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부(11) 및 리시버부(12)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PCB(23)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통합 자기회로를 통해 자기회로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2개의 발음체를 하나로 일체화시킬 수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음역대별 음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프레임(13)의 일 측에 스피커부(11)를 설치하고, 타 측에 리시버부(12)를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스피커부(11)와 리시버부(12)에서 방사되는 음역대별 음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방사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에서 생성되는 소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방사되면 마이크로 스피커를 설치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고 스테레오 기능은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자기회로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진동판을 설치하되, 두 개의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음이 동일한 방향으로 방출되도록 음방출통로를 형성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9517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는, 상부플레이트(13)와 요크(12)의 상측에는 제1 진동판(33)을 설치하고, 하부플레이트(14)와 요크(12)의 하측에는 제2 진동판(52)을 설치하되, 상기 외부프레임(10)과 마그넷(11) 사이에는 제2 진동판(52)에서 발생하는 음을 방출하기 위한 음방출통로(22)를 설치한다. 따라서 제2 진동판(52)에서 생성되는 제2의 음이 상기 음방출통로(22)를 통해서 제1 진동판에서 생성된 음과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되게 함으로써 스피커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스테레오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진동판을 설치하면, 2개의 진동판에서 생성된 음이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반드시 음방출통로가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마이크로 스피커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두꺼워져서 마이크로 스피커의 슬림화에 불리하다. 또한, 음방출통로가 좁고 구부러지기 때문에 음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03169호 (공개일: 2002.01.1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5175호 (등록일: 2016.02.11)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에서 생성되는 음역대별 음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으로 이루어진 진동판을 프레임의 일단에만 설치하여, 마이크로 스피커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또 진동판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마이크로 스피커의 슬림화에 유리한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 사이에 이웃하는 음역대별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진동판구획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에서 서로 다른 음역대별 음을 동시에 생성하거나 또는 별개로 생성할 수 있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공극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자기회로부와;
상기 다수의 공극에 각각 위치하는 다수의 보이스 코일과;
상기 다수의 보이스 코일의 상단에 각각 부착되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으로 이루어지는 진동판과;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 사이에서 설치되고 이웃하는 진동판 사이에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진동판구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음역대별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음역대별 음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으로 이루어지는 진동판은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만 설치되어 마이크로 스피커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슬림화에 유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은 각 음역대별 진동판의 가장자리를 서로 접착하여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은 어느 하나의 음역대별 진동판의 하면에 다른 음역대별 진동판을 접합하여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은 서로 분리되고 각 음역대별 진동판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는 상기 진동판구획수단에 의해서 고정된다.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서로 다른 평면을 갖도록 계단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판구획수단은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 사이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는 하부구획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진동판구획수단은,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 사이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고 상기 하부구획링과 대응되게 설치되는 상부구획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부를 포함하는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기회로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구획링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으로 이루어진 진동판의 상부에는 프로텍터가 더 설치되고;
상기 프로텍터에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에서 생성되는 음역대별 음을 외부로 방사하기 위한 음역대별 방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구획링은 상기 프로텍터의 하면에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구획링은 상기 프로텍터에 형성된 음역대별 방출구 사이의 일부를 하방으로 구부려서 아래로 돌출되게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자기회로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가운데에 설치되는 요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요크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원주부와 상기 원주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요크플랜지로 이루어져, 상기 요크의 원주부와 상기 원주부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마그넷 사이에는 고음역대 공극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과 상기 프레임의 수직부 사이에는 저음역대 공극이 형성된다.
상기 자기회로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가운데에 설치되는 원형 마그넷을 더 포함하되, 상기 원형 마그넷과 상기 원형 마그넷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링형 마그넷 사이에는 고음역대 공극이 형성되고, 상기 링형 마그넷과 상기 프레임의 수직부 사이에는 저음역대 공극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다수의 보이스 코일에 전기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이 더 설치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하부구획링에는 그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의 리드 선이 관통하는 절개 통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음역대의 음을 발생하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 사이에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음역대별 진동이 이웃하는 음역대별 진동판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진동판구획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에서 동시 또는 별개로 발생하는 음역대별 음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진동판을 프레임의 일단에만 설치하고, 별도의 음방출통로가 없이도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음역대별 음을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하여 음질을 향상시키고, 마이크로 스피커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며 진동판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마이크로 스피커의 슬림화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에 적용되는 진동판의 다양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에 적용되는 진동판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에 적용되는 진동판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에서 보이스 코일의 리드 선을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의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상부, 하부, 고음역대, 저음역대, 제1, 제2 등의 용어는 실제로 물리적인 크기, 방향, 순서 등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1)는, 고음의 생성을 위한 고음역대 진동판(31)과 저음의 생성을 위한 저음역대 진동판(32)을 포함하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에서 발생하는 음역대별 진동이 이웃하는 음역대별 진동판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 사이에 진동판구획수단(40)을 설치하여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41)(42)에서 동시 또는 별개로 생성되는 음역대별 음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1)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두 개의 공극(24)(25)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자기회로부(20)와, 상기 두 개의 공극(24)(25)에 각각 위치하는 두 개의 보이스 코일(27)(28)과, 상기 두 개의 보이스 코일(27)(28)의 상단이 각각 부착되는 두 개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을 포함하는 진동판(30)과, 상기 두 개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 사이에 설치되어 두 개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이웃하는 음역대별 진동판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진동판구획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는 두 개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두 개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에서 발생하는 음역대별 음이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한다. 즉,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원판 형상의 진동판(30)은, 상기 프레임(10)의 가운데에 설치되고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음역대 진동판(31)과,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의 외측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그 가장자리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고정되는 저음역대 진동판(3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두 개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진동판(3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으로 이루어진 진동판(30)의 상부에는 프로텍터(60)가 설치된다. 상기 프로텍터(60)는 상기 진동판(30)을 보호할 수 있도록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에서 생성되는 고음을 외부로 방출되는 고음방출구(62)와 상기 저음역대 진동판(32)에서 생성되는 저음을 외부로 방출되는 저음방출구(6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의 하면에는 두 개의 보이스 코일(27)(28)이 부착된다. 즉, 고음역대 진동판(31)의 하면에는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이 부착되고, 저음역대 진동판(32)의 하면에는 저음역대 보이스 코일(28)이 부착된다. 상기 보이스 코일(27)(28)은 다수의 와이어를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보이스 코일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두 개의 보이스 코일(27)(28)은 상기 자기회로부(20)에 형성된 두 개의 공극(24)(25)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은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음역대 공극(24)에 위치하고, 상기 저음역대 보이스 코일(28)은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저음역대 공극(25)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고음역대 공극(24)이 내측에 형성되고 저음역대 공극(25)이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반드시 본 실시 예에 따라서 음역대별 공극의 위치나 음역대별 진동판의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진동판구획수단(40)은 두 개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 사이의 하면이나 상면을 지지함으로써 두 개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이웃하는 진동판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음역대별 진동판(31)(32)은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음역대의 음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은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유무에 따라서 동시에 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별개로 음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각각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은 독립적으로 진동하여 독립적으로 음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동판구획수단(40)은 두 개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 사이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구획링(41)과, 두 개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 사이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구획링(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부구획링(41)의 진동판(30)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부구획부(42)는 진동판(30)의 상면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하부구획링(41)과 상부구획링(42)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대응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1)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을 수평방향으로 배치하되,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 사이에 두 개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이웃하는 진동판으로 진달 되지 않게 차단하는 진동판구획수단(4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음역대별 진동판(31)(32)에서 동시에 또는 별개로 발생하는 음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으로 이루어진 진동판(30)을 프레임(10)의 상단에만 설치하여 마이크로 스피커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두께를 최소화하여 마이크로 스피커의 슬림화에 유리하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1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속소재로 이루어지고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원통체(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체(11)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수직부(11a)와 상기 수직부(11a)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1b)와, 상기 수평부(11b)의 외측에는 상부로 일정 높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1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수평부(11b) 외측에는 진동판(30)의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단턱(12)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수직부(11a) 하단에는 내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바닥(14)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14)의 가운데에는 원형의 개구부(13)가 형성되어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닥(14)에는 상기 진동판(30)이 진동할 때 발생하는 음압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음압방출홀(15)과 상기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의 리드 선(27a)이 관통하는 절개 홀(16)이 형성된다.
이어 상기 자기회로부(20)는, 요크(21)와 마그넷(22), 그리고 상기 마그넷(22)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요크(21)는 가운데에는 수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원주부(121a)와 상기 원주부(121a)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요크플랜지(121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원주부(121a)의 중심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중공(121c)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0)의 가운데에 요크(21)를 설치하면, 상기 원주부(121a)가 프레임(10)의 가운데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요크플랜지(121b)는 상기 프레임(10)의 바닥(14)에 형성된 개구부(13)에 삽입된다. 그리고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마그넷(22)을 상기 요크(21)의 원주부(121a)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또한, 상기 마그넷(22)의 상면에는 링 형의 상부플레이트(23)를 설치한다. 그러면, 상기 요크(21)의 원주부(121a)와 마그넷(22)의 내측면 사이에는 고음역대 공극(24)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22)의 외측면과 상기 프레임(10)의 수직부(11a) 사이에는 저음역대 공극(25)이 형성된다.
이어, 상기 고음역대용 공극(24)에는 고음역대용 보이스 코일(27)이 설치되고, 상기 저음역대용 공극(25)에는 저음역대용 보이스 코일(28)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음 보이스 코일(27)의 상단은 고음역대 진동판(31)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저음역대 보이스 코일(28)의 상단은 저음역대 진동판(32)의 하면에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과 저음역대 진동판(32) 사이에는 하부구획링(41)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구획링(41)은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과 저음역대 진동판(32) 사이의 하면을 지지하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구획링(41)의 상기 상부플레이트(23)의 상면에서 설치된다. 이와 같이, 고음역대 진동판(31)과 저음역대 진동판(32) 사이의 하면에 하부구획링(41)이 설치되면,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과 저음역대 진동판(32)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과 저음역대 진동판(32)은 각각 서로 다른 음역대의 음을 독립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진동판(30)의 상부에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로텍터(60)가 설치된다. 상기 프로텍터(60)의 가장자리에는 저음역대 진동판(32)의 가장자리를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6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텍터(60)의 가운데에는 고음역대 진동판(31)에서 생성되는 고음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고음방출구(62)가 형성되고, 그 바깥쪽 둘레에는 상기 저음역대 진동판(32)에서 생성되는 저음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저음방출구(6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텍터(60)의 고음방출구(62)와 저음방출구(63) 사이에는 상부구획링(42)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구획링(42)은 고음역대 진동판(31)과 저음역대 진동판(32) 사이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원형 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프로텍터(60)를 상기 진동판(30)의 상부에 설치하면, 상기 상부구획링(42)이 고음역대 진동판(31)과 저음역대 진동판(32) 사이의 상면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과 저음역대 진동판(32)에서 각각 서로 다른 음역대의 음을 독립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구획링(41)과 상부구획링(42)은 고음역대 진동판(31)과 저음역대 진동판(32) 사이에 위치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구획링(42)은 프로텍터(60)의 하면에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구획링(41)은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원형 링을 상부플레이트(23)의 상면에 부착하거나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구획링(42)은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원형 링을 상기 프로텍터(60)의 하면에 부착하거나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구획링(42)은 상기 프로텍터(60)의 고음방출구(62)와 저음방출구(63) 사이의 상판(61)의 일부를 하방으로 구부려서 V자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텍터(60)는 하나의 상판(61)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음 프로텍터(60a)와 상기 저음역대 진동판(32)의 상부에 설치되는 저음 프로텍터(60b)가 분리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고음역대 프로텍터(60a)는 고음역대 진동판(31)의 상부에 설치되고 저음역대 프로텍터(60b)는 고음 프로텍터(60a)의 바깥쪽 둘레에 설치되어 저음역대 진동판(3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텍터(60)의 상면에는 스크린 댐퍼(6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댐퍼(65)는 고음방출구(62)와 저음방출구(63)에서 방사되는 음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크린 댐퍼(65)는 하나로 이루어져서 고음방출구(62)와 저음방출구(63)에 동시에 설치되거나 고음역대 프로텍터(60a)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음 스크린 댐퍼와 저음역대 프로텍터(60b)의 상면에 설치되는 저음 스크린 댐퍼로 각각 분리되어 고음방출구(62)와 저음방출구(63)을 따로 커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요크(21)의 하면에는 상기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 및 저음역대 보이스 코일(28)에 전기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68)이 더 설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68)의 가운데에는 상기 진동판(30)의 진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음압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관통구멍(69)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멍(69)은 상기 요크(21)의 원주부(121a)에 형성된 중공(121c)과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과 저음역대 보이스 코일(28)의 리드 선(27a)(28a)은 인쇄회로기판(6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구획링(41)에는 상기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의 리드 선(27a)이 통과하는 절개 통로(44)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은 하부구획링(41)의 안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의 리드 선(27a)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상기 하부구획링(41)의 일측에 상기 절개 통로(44)를 반드시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절개 통로(44)는 리드 선(27a)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절개 통로(44)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구획링(41)의 일부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23)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의 리드 선(27a)이 통과하도록 절개 홈(1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바닥(14)에는 상기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의 리드 선(27a)이 관통하는 절개 홀(1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의 리드 선(27a)은 상기 절개 통로(44), 절개 홈(123) 및 절개 홀(16)을 통해서 인쇄회로기판(6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으로 이루어진 진동판(30)의 다양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먼저, 도 4a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이 일체로 형성된 진동판(30)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b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의 가장자리가 서로 접착되어 일체로 결합한 진동판(30)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4c는 어느 하나의 음역대별 진동판의 하면에 다른 음역대별 진동판이 접합하여 이루어진 진동판(30)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d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진동판(30)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4a는 고음역대 진동판(31)과 저음역대 진동판(33)이 일체로 형성된 진동판(30)을 보여준다. 즉, 본 실시 예의 진동판(30)은 고음역대 진동판(31)과 저음역대 진동판(33)이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동판(30)의 가운데에는 고음역대 진동판(31)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은 가운데에 형성되는 센터 돔(31a)과, 상기 센터 돔(31a)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이 부착될 수 있도록 수평으로 형성된 내측 코일부착면(31b)과, 상기 내측 코일부착면(31b)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돔(31c)과, 상기 제2 돔(31c)의 외측 가장자리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또는 하부구획링(41)(42)이 고정되는 구획링부착면(31d)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의 외측에는 링 형상의 저음역대 진동판(32)이 형성되는데, 상기 저음역대 진동판(32)은 내측에 형성되는 제3 돔(32a)과 상기 제3 돔(32a)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4 돔(32c)을 포함하되, 상기 제3 돔(32a)과 제4 돔(32c) 사이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음역대 보이스 코일(28)이 부착되는 외측 코일부착면(32b)과, 상기 제4 돔(32c)의 외측 가장자리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의 단턱(12)의 상면에 위치되는 고정링고정면(32d)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내측 코일부착면(31b)의 하면에는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이 부착되고, 상기 외측 코일부착면(32b)의 하면에는 저음역대 보이스 코일(28)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링부착면(31d)의 하면은 상기 상부플레이트(23)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구획링(41)이 설치되고, 상기 구획링부착면(31d)의 상면에는 상기 프로텍터(5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구획링(42)이 설치되게 된다.
이어, 도 4b는 고음역대 진동판(31)과 저음역대 진동판(33)의 가장자리가 서로 접합 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진동판(30)의 일 예를 보여준다. 즉,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음역대 진동판(32)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의 외측 가장자리와 저음역대 진동판(32)의 내측 가장자리가 서로 접착되어 일체로 결합한다. 이때,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의 외측 가장자리는 저음역대 진동판(33)의 내측 가장자리의 상면에 접착되거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c는 저음역대 진동판(32)의 상면이나 하면에 고음역대 진동판(31)이 접합 되어 이루어진 진동판(30)의 일례를 보여준다. 즉, 원판 형태의 저음역대 진동판(32)의 상면이나 하면의 가운데에 상기 저음역대 진동판(3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갖는 고음역대 진동판(31)을 접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4d는 고음역대 진동판(31)과 저음역대 진동판(33)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진동판(30)의 일례를 보여준다. 즉,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은 가운데에는 센터 돔(31a)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 돔(31a)의 가장자리에는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이 부착되는 내측 코일부착면(31b)이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 코일부착면(31b)의 외측에는 제2 돔(31c)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돔(31)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내측 구획링부착면(131d)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일정한 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반면에 상기 저음역대 진동판(32)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에는 제3 돔(32a)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제4 돔(32c)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돔(32a)과 제4 돔(32c)의 사이에 저음역대 보이스 코일(28)이 부착되는 외측 코일부착면(32b)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돔(32a)의 내측 가장자리에 외측 구획링부착면(132d)이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4 돔(32c)의 외측 가장자리에 고정링고정면(32d)이 수평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이 부착된 고음역대 진동판(31)은 프레임(10)의 가운데에 설치되고, 상기 저음역대 보이스 코일(28)이 부착된 저음역대 진동판(31)은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의 내측 구획링부착면(131d)과 저음역대 진동판(32)의 외측 구획링부착면(132d)은 상기 하부구획링(41)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며, 소정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게 된다. 즉 본 실시 예의 진동판(30)은 고음역대 진동판(31)과 저음역대 진동판(33)이 서로 분리되되, 그 가장자리를 상기 하부구획링(41)의 상면에 접착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세 개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3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진동판(30)과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1)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판(30)은 가운데의 고음역대 진동판(31)과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의 외측에 차례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 저음역대 진동판(32)(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저음역대 진동판(32)(33)은 동일한 주파수의 음을 발생하거나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을 발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10)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원통체(11)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통체(11)는 원통으로 이루어진 제1 수직부(11a)와 상기 제1 수직부(11a)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1b), 그리고 상기 수평부(11b)의 외측에서 상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2 수직부(11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수평부(11b) 외측에는 진동판(30)의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단턱(12)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12)에는 고정링(19)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제1 수직부(11a)의 하단에는 바닥(14)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바닥(14)은 가운데에는 원형의 개구부(13)가 형성되어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판(30)이 진동할 때 발생하는 음압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다수의 음압방출홀(15)과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의 요크플랜지(27a)가 관통하는 절개 홀(16)이 형성된다.
이어, 프레임(10)의 내부에는 자기회로부(20)가 설치된다. 상기 자기회로부(20)는, 가운데에 설치되는 원형 마그넷(22a)과, 상기 원형 마그넷(22a)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차례로 설치되는 두 개의 링형 마그넷(22b)(22c)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원형 마그넷(22a) 및 두 개의 링형 마그넷(22b)(22c)의 상면에는 각각 상부플레이트(23a)(23b)(23c)가 설치되고, 또 상기 마그넷(22a)(22a)(22b)의 하면에는 하부플레이트(124)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플레이트(124)는 상기 바닥(14)의 가운데에 형성된 개구부(13)에 삽입되고, 상기 진동판(30)이 진동할 때 발생하는 음압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 홀(1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원형 마그넷(22a)과 제1 링형 마그넷(22b) 사이에는 고음역대 공극(2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링형 마그넷(22b)과 제2 링형 마그넷(22c) 사이에는 제1 저음역대 공극(25)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링형 마그넷(22c)과 상기 프레임(10)의 수직부(11a) 사이에는 제2 저음역대 공극(26)이 각각 형성된다.
이어, 상기 고음역대 공극(24)에는 고음역대용 보이스 코일(27)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저음역대용 공극(25)에는 제1 저음역대용 보이스 코일(28)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저음역대용 공극(26)에는 제2 저음역대용 보이스 코일(29)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음 보이스 코일(27)의 상단에는 고음역대 진동판(31)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저음역대 보이스 코일(28)의 상단에는 제1 저음역대 진동판(32)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저음역대 보이스 코일(29)의 상단에는 제2 저음역대 진동판(33)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32)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23b)(23c)의 상부에는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32) 사이에서 음역대별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진동판구획수단(40)을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플레이트(23b)의 상면 가운데에는 제1 하부구획링(41a)을 설치하고, 상기 제3 플레이트(23c)의 상면 가운데에는 제2 하부구획링(41a)을 설치한다. 상기 제1 및 제2 하부구획링(41a)(41b)은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하부구획링(41a)(41b)은 제2 및 제3 플레이트(23b)(23c)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23b)(23c)를 제조할 때 제1 및 제2 하부구획링(41a)(41b)을 일체로 형성한다.
이어, 상기 하부플레이트(124)의 하면에는 인쇄회로기판(68)을 더 설치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68)은 상기 다수의 보이스 코일(27)(28)(29)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단자 및 전기회로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68)에는 상기 진동판(30)이 진동할 때 발생하는 음압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관통구멍(69)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보이스 코일(27)(28)(29)의 요크플랜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6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과 제1 저음역대 보이스 코일(28)의 리드 선(27a)(28a)을 인쇄회로기판(68)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하부구획링(41a)(41b)에 일정한 크기의 절개 통로(44a)(44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3 상부플레이트(23b)(23c)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의 리드 선(27a)과 제1 저음역대 보이스 코일(28)의 리드 선(28a)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 홈(123a)(123b)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바닥에는 상기 제2 저음역대 보이스 코일(29)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절개 홀(16)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음역대별 보이스 코일(27)(28)(29)은 절개 통로(44a)(44b), 절개 홈(124a)(124b) 및 절개 홀(16)을 통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6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진동판(30)의 상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프로텍터(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로텍터(60)는 고음역대 진동판(31)에서 생성되는 고음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고음방출구와, 상기 제1 및 제2 저음역대 진동판(32)(33)에서 생성 되는 저음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다수의 저음방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텍터(60)의 하면에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33) 사이의 상면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상부구획링으로 이루어진 진동판구획수단(4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텍터(60)의 상면에는 상기 고음방출구와 저음방출구에서 방사되는 음을 제어하기 위해서 도시되지 않는 스크린 댐퍼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33)이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33)이 서로 다른 평면을 갖도록 계단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음역대별 진동판(31)(32)(33)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구획링(41)은 이웃하는 음역대별 진동판을 계단식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1)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33)이 수평으로 배열된 진동판(10)을 상기 프레임(10)의 한쪽에만 설치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스피커의 구조가 단순하고 두께가 얇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33) 사이의 하면에 다수의 하부구획링(41a)(41b)으로 이루어진 진동판구획수단(40)을 설치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33)에서 음역대별 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진동판구획수단(40)이 이웃하는 진동판 사이의 진동을 차단함으로써 이웃하는 진동판의 진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33)에서 서로 다른 음역대의 음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1)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33)이 수평으로 배열하고, 상기 음역대별 진동판(31)(32)(33) 사이의 진동판구획수단(4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음역대별 진동판(31)(32)(33)에서 동시 또는 별개로 발생하는 음역대별 음을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68)을 통해서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과 저음역대 보이스 코일(26)에 각각 외부의 전기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보이스 코일(27)(28)에 형성되는 전기력이 상기 자기회로부(20)의 공극(25(26)에 형성되는 자기력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과 저음역대 보이스 코일(28)이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과 저음역대 보이스 코일(28)이 상하로 진동하면, 그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고음역대 진동판(31)과 저음역대 진동판(32)이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과 저음역대 진동판(32) 사이에는 상기 음역대별 진동판(31)(32)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이웃하는 음역대별 진동판(31)(32)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진동판구획수단(40)이 설치되므로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에서는 고음이 생성되고 상기 저음역대 진동판(32)에서는 저음이 별개로 생성된다. 즉,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과 저음역대 진동판(32)은 고음역대 보이스 코일(27)과 저음역대 보이스 코일(28)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동시에 음을 생성하기도 하고 별개로 음을 생성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고음역대 진동판(31)에서 생성되는 고음은 프로텍터(60)의 가운데에 형성된 고음방출구(62)를 통해서 외부로 방사되고, 상기 저음역대 진동판(32)에서 생성되는 저음은 프로텍터(60)에 형성된 저음방출구(63)를 통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1)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 사이에 진동판구획수단(40)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31)(32)에서 생성되는 다수의 음역대별 음이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 마이크로 스피커 10: 프레임
11: 원통체 11a: 수직부
11b: 수평부 11c: 제2 수직부
12: 단턱 13: 개구부
14: 바닥 15: 음압방출홀
16: 관통 홀 20: 자기회로부
21: 요크 22: 마그넷
23: 상부플레이트 24, 25, 26: 공극
27, 28, 29: 보이스 코일 30: 진동판
31. 32. 33: 음역대별 진동판 40: 진동판구획수단
41: 하부구획링 42: 상부구획링
60: 프로텍터 62: 고음방출구
63: 저음방출구 64: 요크플랜지
124: 하부플레이트

Claims (16)

  1. 원통체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다수의 공극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자기회로부와;
    상기 다수의 공극에 각각 위치하는 다수의 보이스 코일과;
    상기 다수의 보이스 코일의 상단에 각각 부착되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으로 이루어지는 진동판과;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 사이에서 설치되고 이웃하는 진동판 사이에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진동판구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진동판구획수단은,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 사이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는 하부구획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음역대별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음역대별 음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서로 다른 평면을 갖도록 계단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구획수단은,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 사이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고 상기 하부구획링과 대응되게 설치되는 상부구획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
  11. 삭제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으로 이루어진 진동판의 상부에는 프로텍터가 더 설치되고;
    상기 프로텍터에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에서 생성되는 음역대별 음을 외부로 방사하기 위한 음역대별 방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구획링은 상기 프로텍터의 하면에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획링은 상기 프로텍터에 형성된 음역대별 방출구 사이의 일부를 하방으로 구부려서 아래로 돌출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가운데에 설치되는 요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요크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원주부와 상기 원주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요크플랜지로 이루어져, 상기 요크의 원주부와 상기 원주부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마그넷 사이에는 고음역대 공극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과 상기 프레임의 수직부 사이에는 저음역대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가운데에 설치되는 원형 마그넷을 더 포함하되, 상기 원형 마그넷과 상기 원형 마그넷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링형 마그넷 사이에는 고음역대 공극이 형성되고, 상기 링형 마그넷과 상기 프레임의 수직부 사이에는 저음역대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다수의 보이스 코일에 전기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이 더 설치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하부구획링에는 그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의 리드 선이 관통하는 절개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
KR1020170031066A 2017-03-13 2017-03-13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 KR101863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066A KR101863537B1 (ko) 2017-03-13 2017-03-13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066A KR101863537B1 (ko) 2017-03-13 2017-03-13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537B1 true KR101863537B1 (ko) 2018-06-01

Family

ID=6263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066A KR101863537B1 (ko) 2017-03-13 2017-03-13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3663A (zh) * 2019-03-26 2019-05-10 珠海宏声科技有限公司 一种双调音喇叭及耳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169A (ko) 2001-11-30 2002-01-10 황상문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KR20050082885A (ko) * 2004-02-20 2005-08-24 주식회사 진영음향 일채널 투웨이 스피커
KR20060089937A (ko) * 2005-02-03 2006-08-10 이진성 스피커
KR200443212Y1 (ko) * 2007-01-30 2009-01-23 지디텍 주식회사 이중코일구조를 갖는 골 전도 스피커
KR101595175B1 (ko) 2014-03-06 2016-02-17 부전전자 주식회사 이중 구동부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169A (ko) 2001-11-30 2002-01-10 황상문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KR20050082885A (ko) * 2004-02-20 2005-08-24 주식회사 진영음향 일채널 투웨이 스피커
KR20060089937A (ko) * 2005-02-03 2006-08-10 이진성 스피커
KR200443212Y1 (ko) * 2007-01-30 2009-01-23 지디텍 주식회사 이중코일구조를 갖는 골 전도 스피커
KR101595175B1 (ko) 2014-03-06 2016-02-17 부전전자 주식회사 이중 구동부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3663A (zh) * 2019-03-26 2019-05-10 珠海宏声科技有限公司 一种双调音喇叭及耳机
CN109743663B (zh) * 2019-03-26 2023-11-14 珠海解放者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双调音喇叭及耳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261B1 (ko) 동축 이중 진동판 스피커
US9532133B2 (en) Dual-frequency coaxial earphone
KR101587069B1 (ko) 전기 음향 변환 장치 및 전자 기기
US6785395B1 (en) Speaker configuration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177322B1 (ko) 크로스오버 이중 스피커
KR20040031662A (ko) 사운드 발생기
JP2003111194A (ja) スピーカおよび携帯端末装置
CN213126461U (zh) 发声单体、扬声器及电子终端
KR20090048452A (ko) 고 주파수 다이어프램 및 음성 코일 어셈블리
KR20220065138A (ko)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KR101423841B1 (ko) 내부 공명 챔버가 구비된 마이크로스피커
KR100665637B1 (ko) 사운드 발생기
KR101863537B1 (ko) 다수의 음역대별 진동판을 구비한 마이크로 스피커
KR101595175B1 (ko) 이중 구동부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KR2002000316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US20020057819A1 (en) High frequency compression drivers
KR100413374B1 (ko) 스피커 일체형 리시버
KR101045613B1 (ko) 마이크로 스피커
KR100676422B1 (ko) 다점 구동형 멀티웨이 슬림 평판 스피커 시스템
WO2022062047A1 (zh) 发声单体及扬声器
US8141675B2 (en) Micro-speaker
KR100769885B1 (ko) 전자음향변환기
US10149027B2 (en) Speaker box
CN111371930A (zh) 屏幕发声装置和电子设备
KR101913157B1 (ko)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한 복합형 동축 마이크로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