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592B1 - 모발수복 및 스트레이트헤어화 방법 - Google Patents

모발수복 및 스트레이트헤어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592B1
KR100664592B1 KR1020007011052A KR20007011052A KR100664592B1 KR 100664592 B1 KR100664592 B1 KR 100664592B1 KR 1020007011052 A KR1020007011052 A KR 1020007011052A KR 20007011052 A KR20007011052 A KR 20007011052A KR 100664592 B1 KR100664592 B1 KR 100664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alkaline
straight
liquid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2567A (ko
Inventor
야마시타유코
Original Assignee
파일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일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일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2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7/00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 A45D7/06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combined chemical and therm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1Hair straightening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4Preparations for permanent waving or straighte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7/00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 A45D2007/002Processes of dressing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4Sequential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모발을 씻어 헹구고, 알칼리성의 스트레이트퍼머액을 도포하며, 구조적으로 탄성상태가 될 때까지 알칼리성의 스트레이트퍼머액을 모발에 잔존시키고, 모발로부터 알칼리성의 스트레이트퍼머액을 헹구어내어 모발을 구조적 탄성상태로 유지시키고, 또한 모발에 모발수복제를 도포하고, 모발을 가열하에서 압축하고, 모발구조에 산화전 셋트를 실시하고, 산성린스를 도포하며, 모발의 구조적 탄성상태를 해소하는데 충분한 시간동안 모발에 중화액체를 이용함으로써, 모발의 수복, 스타일링 및 스트레이트헤어화를 달성한다.
모발수복, 스트레이트헤어화, 알카리성 스트레이트퍼머액, 산성 린스, 모발수복액

Description

모발수복 및 스트레이트헤어화 방법{Improved hair repair and straightening process}
본 발명은 모발의 스트레이트헤어화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발과 스트레이트퍼머액의 최적의 반응점을 보다 정확히 제어하여 모니터링하는, 모발수복, 스타일링 및 스트레이트화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트레이트퍼머액은, 보다 완전하고 용이하게 모발로부터 헹구어낼 수 있도록 독자적인 젤리상의 점도를 갖고 있고, 스트레이트퍼머액과의 반응에 의해 모발이 탄성상태에 있는 동안에, 열 및 압축을 가함으로써, 독자적인 산화전(酸化前) 셋트를 모발에 실시하여 모발에 세밀한 스타일링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의 결과,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모발스트레이트헤어화의 방법에 비하여 모발의 광택 및 표면구조가 대폭 개선되게 된다.
종래, 고알칼리성, 영속적(永續的) 스트레이트퍼머액은, 헤어케어(hair care)의 분야에 있어서는 잘 알려져 있다. 이들의 고알칼리성 퍼머액은 모발에 도포되면, 모발을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분자의 분자결합을 변화시킨다. 이 변화한 상태에 있는 동안에 전형적으로는 빗으로 빗음 또는 로울에 감음에 의해 장력을 가하여 모발을 물리적으로 스트레이트헤어화한다. 게다가 곱슬머리카락과 갈라진 머리카락 등의 손상을 수복하기 위하여 모발과 결합시킬 목적으로 단백질콘디셔너를 도입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도입된 단백질은 모발의 촉감 및 광택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며, 이어서 모발을 산화하고, 분자적으로 변화하지 않은 상태로 되돌리지만, 대부분의 경우, 산화처리를 촉진하기 위하여, 산성의 중화제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같이 강한 화학물질을 이용하는 모발스트레이트헤어화의 방법은 다소 위험하며, 모발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고알칼리성의 액제는 두피에 대한 자극원이며, 두피에 접촉한 경우, 모발을 빗으로 빗어서 물리적으로 스트레이트헤어화하였을 때, 탈모를 초래하는 일이 있고, 대부분의 경우, 두피에 도포를 피할 수 있도록 알칼리성퍼머액은 일반적으로 경질의 크림 또는 페이스트의 형상으로 제공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들의 크림 또는 페이스트는 헹구어내기가 어렵고, 두피를 보호하기 위하여 유성물질을 수중유형(水中油型) 에멀션으로서 액제에 가하는 것도 있지만, 이와 같은 액제도 헹구어내기가 어렵다. 또한, 알칼리성퍼머액의 잔류물이 모발에 남아 있으면, 콘디셔닝에 의해 모발구조의 질을 개선하는 능력이 저하하는 문제가 남는다.
따라서, 종래 단백질의 결합을 강화시켜서 모발의 촉감 및 광택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보다 용이하고 완전하게 모발로부터 헹구어낼 수 있는 알칼리스트레이트퍼머액은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알칼리액 스트레이트퍼머액을 모발중에 잔존시키는 시간에도 문제가 있는 것을 알았다. 알칼리성 스트레이트퍼머액이 최적으로 모발과 반응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은 다수의 요인에 좌우되지만, 이들의 요인에는 모발섬유의 굵기, 퍼머액 pH의 세기, 모발과 퍼머액의 조합 온도 및 수분함유량 등이 있다. 처리중의 온도는 일정하지 않고, 바람직하지 않게 모발은 부분적으로 다른 속도로 퍼머액과 반응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모발의 일부는 다른 부분보다도 신속하게 건조해지므로, 이 불균일한 반응은 더욱 복잡하며, 이에 따라서 또한 퍼머액이 여러 부분과 반응하는 시간이 변화한다. 너무 빨리 모발을 물리적으로 스트레이트헤어화하면 모발을 손상시키거나, 모발이 끊어지는 원인이 되거나, 혹은 단지 질이 떨어지는 모발스트레이트퍼머처리가 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알칼리성 퍼머액을 필요이상으로 긴 시간, 모발에 잔존시켜 두면, 모발이 손상되는 원인이 될 수 있는 것도 알았다.
이들의 요인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것은 최선의 일관된 결과를 얻기 위하여 중요하지만, 이들의 요인을 모니터링 또는 관리하기 위하여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은 종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예를 들어, 모발이 충분하게 스트레이트퍼머액에 접하였는지 어떤지를 결정하는 것은, 이 결정이 대부분의 경우 스타일리스트의 주관적인 판단에 맡겨지고 있으므로, 당기술분야에서는 애매하다. 따라서, 알칼리성퍼머액과 모발의 반응속도 및 최적의 반응점을 보다 정확하고 한결같이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들 문제에 관계된 기술자는, 모발수복, 스트레이트헤어화 및 스타일링의 방법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있었지만, 해결수단은 발견되지 않았다.
모발의 스트레이트헤어화처리 중에, 모발에 자주 단백질콘디셔너가 도입되지 만, 이들의 단백질이 모발구조에 결합하고, 그에 따라서 모발의 표면이 개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미경으로 보면, 모발섬유는 서로 겹치는 플랩층이 되어 늘어나 있고, 알칼리스트레이드퍼머액 및 그 잔류물을 모발, 특히 모발의 플랩(flap)층의 사이로부터 보다 완전하게 헹구어낼 수 있다면, 단백질콘디셔너가 침투하여 플랩층을 결합하는 능력이 높아진다. 단백질콘디셔너에 의한 플랩층의 결합의 증가에 의해 모발의 촉감 및 광택이 상당히 개선된다.
따라서, 모발의 스트레이트헤어화처리중에 모발에 침투하는 단백질콘디셔너를 늘려서 모발의 플랩층을 결합시킴으로써 모발의 촉감 및 광택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기술의 이런 문제 및 그 외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모발의 수복, 스타일링 및 스트레이트헤어화처리의 넓은 범위에 걸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하에 기술하는 설명은, 몇 가지 응용예를 의미하고 있지만, 그 모두를 망라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교시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많은 용도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
(1) 모발을 영속적으로 스트레이트헤어화, 수복 및 스타일링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
(2) 보다 용이하고 보다 완전하게 모발로부터 헹구어낼 수 있는 알칼리스트 레이트퍼머액을 제공하는 것.
(3) 모발과 알칼리스트레이트퍼머액의 반응속도를 보다 정확하고 보다 한결같이 관리하는 것.
(4) 모발과 알칼리스트레이트퍼머액의 반응의 최적점이 언제 생기는지를 일관되고 정확하게 반복적으로 결정하는 것.
(5) 스트레이트헤어화처리중에 모발을 조밀하게 스타일링조정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것.
(6) 종래기술의 모발스트레이트헤어화의 방법에 비하여 각 모발의 구조적 상태가 현저하게 개선되는, 개량된 모발스트레이트헤어화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
본 발명에 의한 모발수복 및 스트레이트헤어화의 방법의 실시형태는, 모발을 씻어서 헹구고, 이어서 알칼리스트레이트퍼머액을 도포하는 것을 기본적 단계로 한다. 본 발명의 알칼리스트레이트퍼머액은 젤리상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젤리상의 점도를 갖는 액제라는 것은 요변성(thixotropic) 젤리인 액제이며, 이는 정지하고 있을 때는 전단응력에 견디고 정지하고 있지만, 흔들려고 하면 전단응력에 견디지 못하여 액체로서 움직이는 액제이다. 요변성이란 단순히 휘젓거나 흔들므로서 젤(Gel)이 유동성의 졸(Sol)로 변하고 이것을 방치하면 다시 젤로 돌아가는 성질을 말한다.
적량의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및 물을 포함하는 티오글리콜 알칼리성 액제가 요구되는 적절한 젤리상의 점도를 갖는다.
최초는 머리의 목덜미부분, 즉 귀에서 귀까지 미치는 목 근육의 바로 위, 모발의 하부 2인치(약 5.08cm)에는 액제를 도포하지 않는다. 모발과 액제의 반응속 도를 보다 정확하고 한결같이 관리하기 위하여, 이어서 모발을 플라스틱의 커버로 싼다. 독특한 것이지만, 모발이 액제와 반응하는 최적점을 약 5가닥정도의 모발섬유의 탄성인장시험에 의해 처음에 결정한다. 이들의 섬유가 약 25에서 50%의 범위에서 탄성적으로 늘어날 때 시간을 기록한다. 이 때, 최적점은 근접하고 있다.
다음으로, 목덜미부분의 모발부에 액제를 도포하고, 다시 모발을 플라스틱의 랩으로 덮고 상기 기록한 시간의 약 절반 동안 모발에 액제를 잔존시킨다. 이 시점에서 액제와의 반응의 최적점에 도달한다. 이어서 알칼리성액제를 헹구어냄으로써, 모발을 이 상태로 유지한다. 중요하게는 알칼리성액제는 젤리상의 점도이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다른 알칼리성 모발스트레이트헤어화 크림 또는 페이스트에 비하여, 이 액제는 보다 완전하고 용이하게 모발로부터 헹구어낼 수 있다. 보다 완전하게 알칼리성퍼머액을 헹구어낼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고 효과적으로 모발이 조정되며, 단백질의 침투 및 결합이 개선된다. 모발을 헹구어서 알칼리성액제의 잔류물이 모두 제거되면 모발수복액제를 모발에 도포하는데, 이 모발수복액제에 의해 모발에 침투하여 결합하는 단백질분자를 도입한다.
이어서 가열하에서 모발을 압축함으로써, 모발에 산화전 셋트를 실시한다. 이 산화전 셋트는 단백질분자의 모발표면으로의 결합을 현저하게 개선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개의 모발섬유의 서로 겹치는 플랩층의 결합을 개선하는 것이며, 산화전 셋트에 의해 압축 및 열을 가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모발을 구조적으로 셋트하고, 스트레이트헤어화한 모발을 예를 들어 완만한 웨이브와 같은 여러 형상으로 조밀하게 스타일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컬러와 로울 등의 사용에 의해 이 전에는 얻을 수 없었던 대단히 섬세한 스타일링조절을 모발에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발에 압축과 열을 가하기 위하여 약 180℃-130℃의 사이에서 작동하는 플랫헤어아이언(flat hair iron)을 이용하고, 보다 손상된 모발에는 보다 낮은 온도를 가한다. 모든 모발의 전장(全長)을 아이언(인두)으로 가열하에서 신중하게 압축한다. 가열하에서의 압축이 종래기술에 의한 인장력의 적용에 비하여 모발의 스트레이트헤어화 및 수복효과를 현저히 개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모발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중화액제의 사용에 대비하여 산성린스를 도포한다. 이어서, 중화액제를 도포하는데, 이 액제는 모발을 산화하고, 알칼리스트레이트퍼머액에 의해 야기된 모발의 탄성상태를 해소한다. 그 후, 모발을 헹구어서 중화액제를 제거하고 건조시킨다. 필요시에 2번째 압축 및 열을 가해도 좋다.
또한, 모발의 손상정도가 높을 때, 모발수복액제 또는 콘디셔너에 최소의, 예를 들어 카모마일(camomile)유 등의 오일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았다. 이 오일은 중화되기 전에 과도의 수분이 모발로부터 잃게되는 것을 방지하고, 심하게 손상한 모발의 처리에서 개선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모발스트레이트헤어화, 수복 및 스타일링의 방법에서는, 모발의 촉감 및 광택이 현저하게 향상한다. 전체적으로 스트레이트헤어인 모발에서도 통상 나타나는 곱슬머리카락이 스트레이트헤어화되며, 그 표면이 수복된다. 또한 대단히 정밀한 스타일링조절이 얻어진다. 이 방법에는 약 3시간 내지 4시간을 요하지만, 이 방법의 효과는 최대 약 6개월 계속된다.
의외로 이 방법의 이점이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모발스트레이트헤어화방법에 비하여 현저한 개선을 제공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모발수복 및 스트레이트화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그리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개시되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에 일치하는 넓이가 본 명세서 및 본 명세서에 첨부하는 청구의 범위에 주어지는 것을 출원인은 의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모발스트레이트헤어화, 수복 및 스타일링방법은, 최초의 세발 및 헹굼으로 시작한다. 모발을 씻는 주된 목적은, 두피에 배출된 오물을 제거하는 것이며, 반드시 모발의 오물을 떼어내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모발을 씻을 때에는, 두피의 오물이 확실하게 제거되도록 두피부로 향하여 모발의 완만한 맛사지를 행한다. 모든 적절한 헤어클린징샴푸를 이용하여도 좋지만 헹군 후에 향이 남지 않는 또는 다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샴푸가 좋다. 모발이 극단적으로 더러운 경우에는, 모발을 부드럽게 맛사지한 후, 샴푸를 적어도 1분간 모발에 잔존시키고 나서 헹군다. 수중에서 모발을 완전히 헹구고 나서 타올로 닦고, 여분의 수분을 제거한다. 모발로부터 약 50%의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판명되었다. 모발의 상태에 따라서 알칼리성 스트레이트퍼머액을 도포하기 전에, 단백질콘디셔너를 모발에 도입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알칼리스트레이트퍼머액은 젤리상의 점도를 갖는다. 적량의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및 물을 포함하는 티오글리콜알칼리성 액제가, 요구되는 적절한 젤리상의 점도, 즉 정치하고 있을 때는 전단응력에 견뎌 정지하고 있지만, 흔들려고 하면 전단응력에 견디지 못하고 액체로서 움직이는 점도를 제공한다. 두피 또는 모근에 도포를 피하도록 세심한 주의을 기울이고 이 액제를 몇 층이라도 모발에 도포한다.
본 액제의 젤리상의 점도는, 종래기술의 크림 또는 페이스트의 배합물과 마찬가지로, 액제가 두피로 옮겨져 버리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다. 액체의 점도를 갖는 알칼리성 퍼머액은, 도포하였을 때 두피로 이동하고, 피부의 자극 및 모표피의 손상을 일으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액제의 젤리상 점도는 유리하게도 종래기술의 크림 및 페이스트에 비하여 모발로부터 액제를 완전히 헹구어내는 것이 상당히 용이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피로의 접촉을 피하여 도포할 수 있다.
최초, 머리의 목덜미부분, 즉 목 근육의 바로 위의 양측 귀사이의, 모발의 하부 2인치(약 5.8cm)에는 액제를 도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 부분은 뇌로 흐르는 혈류 때문에 상당한 량의 열을 발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열에 의해 이 부분의 온도는 상승하고, 목덜미부분의 모발에 최초로 액제가 도포되면, 다른 부분의 모발에 비하여 훨씬 신속하게 액제와 화학적으로 반응한다. 이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불균일한 결과를 초래하고, 목덜미부분의 모발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모발에 알칼리스트레이트퍼머액을 도포할 때, 액제가 두피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극히 중요하다. 이는 다음의 순서로 달성된다. 모발을 블록으로 분 할하고, 각 블록별로 알칼리스트레이트퍼머액을 도포한다. 블록의 처리는 목덜미부분 위의, 머리의 하부의 블록으로부터 시작하여 머리의 정부를 향하여 진행한다. 각 블록은 조용히 머리로부터 외측으로 들어 올려 두피로부터 약 2cm 떨어진 곳에서부터 두발에 액제를 도포하기 시작한다. 하나의 블록을 처치하였으면 그 블록을 주의 깊게 내려놓고 다음의 블록을 처치하고, 이를 계속하여 목덜미부분을 제외하고 모든 모발을 처치한다.
이 순서를 취하면, 액제가 직접 두피에 접촉하였을 때에 일어나는 문제를 가능한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액제는 젤리상 점도를 가지므로, 액제가 액체의 점도를 갖는 경우에 일어나는 것 같은 액제의 두피로의 이동을 방지하고, 이와 같은 문제가 회피된다. 따라서, 액제의 젤리상의 점도는 모발로부터 가장 용이하고 완전하게 헹구어내는 액제를 제공하고, 동시에 액제의 두피로의 이동도 방지하는 최적의 절충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제를 모발에 주의 깊게 층을 이루어서 또는 블록에 도포하였으면, 모발을 투명한 플라스틱의 랩으로 덮는다. 이 플라스틱은 모발이 알칼리성퍼머액과 반응할 때에 모발의 온도를 보다 균일하게 조절하고, 동시에 모발의 건조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 플라스틱랩은 모발과 알칼리성퍼머액의 반응속도를 보다 정확하고 보다 일관되게 관리하는 작용을 한다. 이에 따라서, 본 모발스트레이트헤어화 및 수복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가 개선된다.
하기의 6개의 실시예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모발의 상태에 따라서 약 4분에서 20분의 동안에 플라스틱랩하의 모발에 액제를 잔존시킨 후, 탄성인장시험을 실 시한다. 이 탄성인장시험에 의해 스타일리스트는 모발과 알칼리스트레이트퍼머액의 반응최적점이 언제 발생하는지를 보다 일관하여 정확히 반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모발이 고도의 탄성상태로 이행할 때에 최적점이 생기는 것이 발견되었다. 약 5가닥정도의 모발섬유를 약 3cm 떼어서 쥐고 잡아당긴다. 이들의 섬유가 탄성적으로 약 4-4.5cm로 늘어나서 약 2cm 되돌아갈 수 있는, 즉 탄성적으로 약 25-50% 늘어날 수 있을 때, 최적점이 가까워지고 있다. 시험의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액제가 모발에 잔존하고 있었던 시간을 기억한다. 다음으로 알칼리성퍼머액을 목덜미부분의 모발에 도포하고, 다시 플라스틱랩으로 모발을 덮는다. 그 후, 앞에서 기록한 시간의 절반 동안 액체를 모발에 잔존시키고 이 때 최적점에 달한다.
알칼리성퍼머액을 헹구어냄으로써, 모발을 탄성상태로 유지시킨다.
액제의 독자적인 젤리상점도에 따라서, 다른 종래기술의 알칼리모발스트레이트헤어화 크림 또는 페이스트에 비하여 보다 용이하고 완전하게 모발로부터 액체를 헹구어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헹굼은 모발을 완만하게 맛사지하면서 낮은 저압하에서 미지근한 물로 행한다. 헹구는 동안 모발을 절단하거나 뽑거나 하지 않도록 모발의 취급에 주의를 요한다. 필요에 따라서, 이 단계에서 샴푸하고 헹구어도 좋다. 이어서 모발을 타올로 닦는다.
그 후, 단백질분자를 포함하는 모발수복액제 또는 콘디셔너를 모발에 도포한다. 이들의 분자가 모발에 결합하면, 모발의 촉감 및 광택이 개선된다. 예를 들어, 콜라겐, 케라틴, 엘라스틴 및 이들의 조합 등의 단백질을 소망에 따라서 이용할 수 있다. 모발수복액제를 도포한 후, 상당량의 수분을 모발로부터 제거한다. 빗으로 빗고 송풍건조하여 이를 행한다. 이상적으로는 모발의 총수분량의 70%를 제거하여야 하지만, 제거되는 량이 80%을 넘으면 안 된다. 필요이상으로 많은 수분이 제거된 경우, 모발에 정제수를 뿜어서 다시 빗으로 빗고 송풍건조할 필요가 있다.
각 모발섬유의 거의 전장을, 가열하에서 물리적으로 압축함으로써, 모발에 산화전 셋트를 실시한다. 이 산화전 셋트는 단백질분자의 존재하에서 압축력 및 열이 모발의 표면구조를 대폭으로 개선하는 점에서 독특하다. 압축 및 열은 단백질분자의 결합작용에 의해 모발이 서로 겹친 천연플랩층을 실질적으로 없앤다. 이는 빗으로 빗어서 장력을 가하는 종래기술의 모발스트레이트헤어화의 방법에서는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모발에 압축과 열을 가하기 위하여 플랫헤어아이언을 이용한다.
모발은 작은 모다발로서, 압축력에 의해 아이언으로 늘리지만 바람직하게는 모다발의 직경이 약 3/4cm이다. 아이언은 두피로부터 약 2cm의 위치에서 시작하여 모끝으로 향하여 외측으로 진행한다. 아이언에 의한 압축은 일부가 서로 겹치게 되는 방법으로 모다발의 전장에 걸쳐서 순환적으로 가한다. 이어서 새로운 모다발을 선택하고, 모발이 모두 아이언처리될 때까지 반복한다. 산화 전의 아이언단계는 모발의 길이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약 0.5시간에서 1.5시간 걸린다.
산화전 셋트는, 압축 및 열을 가함으로써, 모발을 일시적, 구조적으로 고정하고, 스트레이트헤어화한 모발을 소망에 따라서 예를 들어 완만한 웨이브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정밀하게 스타일링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발이 비할데 없고, 구조적으로 고정되므로, 커얼 또는 로울 등의 사용에 의해 본 발명 이전에는 얻을 수 없었던 대단히 섬세한 스타일링조절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만한 커얼은 산화전 셋트의 단계에서 아이언을 모발의 전장을 내려가면서 순환적으로 대었을 때에 모발을 조금 구부림으로써 간단하게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그 후, 모발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중화제의 사용에 대비하여 산성린스를 도포한다. 알칼리성 스트레이트퍼머액의 잔류물을 모두 제거하기 위하여 산성린스에 의해 모발의 pH값을 약 5.5로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성린스는 소망에 따라서 당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구연산, 사과산, 올레인산, 솔빈산, 인산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성린스는 펌프스프레이에 의해 모발에 제공한다.
이어서 알칼리스트레이트퍼머액을 도포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두피 및 모근에 액제를 도포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서 중화액제를 모발에 도포한다. 중화액제는 모발을 산화하고, 알칼리스트레이트퍼머액과의 반응에 의해 생긴 모발의 탄성상태를 해소한다. 유효성분으로서 취소산나트륨(sodium bromate)을 포함하는 중화액제가 모발의 탄성상태의 해소에 유효하게 작용하는 것을 알고 있다. 중화액제는, 모발의 탄성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약 10분간 모발에 잔존시킬 필요가 있다. 모발은 이어서 미지근한 물로 헹구어서 중화액제를 제거하고, 그 후 건조시킨다. 소망에 따라서 2번째의 압축 및 열을 가하여도 좋다.
이하의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는, 여러 상태의 가는 모발 및 굵은 모발에 이 용하는, 모발수복, 스타일링 및 스트레이트헤어화의 본 발명에 의한 개량된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손상되지 않은 가는 모발에 사용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모발은 갈라진 모 또는 곱슬모가 있다고 하여도 매우 적고, 이미 대체로 스트레이트한 상태의 경우도 있다. 전형적으로 이와 같은 모발은 이전에 퍼머 또는 모발염색처리되어 있지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발 및 두피로부터 오물을 제거하고, 단백질콘디셔너가 처리중에, 보다 효과적으로 침투하여 모발에 결합할 수 있도록 먼저 샴푸로 모발을 씻고 헹군다. 헹구어낸 후 모발을 타올로 닦고 여분의 수분을 제거한다.
이어서, 알칼리성의 스트레이트퍼머액을 보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발에 도포한다. 모근 및 두피에 액제가 접촉하는 것을 피하도록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된다. 도포하였으면 모발을 보다 균일한 온도로 유지하고, 그에 따라서 액제와 모발의 화학반응이 균일하게 행하여지도록, 보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의 랩으로 두발을 덮는다. 약 20분에서 18분의 동안에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발의 인장시험을 행하고, 모발이 언제 구조적으로 탄성상태로 이행하는지를 결정한다. 모발이 구조적으로 탄성상태로 이행하였다고 결정하였으면, 그 시간을 기록하고, 알칼리성퍼머액을 목덜미부분의 모발에 도포하고, 플라스틱의 랩으로 모발을 덮고, 기록한 시간의 약 절반의 동안 액제를 모발에 잔존시킨다. 이 시점에서 모발은 알칼리성퍼머액과의 반응최적점에 도달해 있고, 이어서 저수압하에 미지근한 물을 이용하여 모발을 헹굼으로써 모발을 이 상태로 유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성의 스트레이트퍼머액의 잔류물이 모두 확실하게 제거되도록 여기서 모발을 샴푸하고, 헹군다. 헹군 후에 모발을 타올로 닦는다.
모발이 구조적으로 탄성상태에 있는 동안, 모발수복제 또는 단백질콘디셔너를 스프레이에 의해 모발에 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발수복액제는 단백질의 엘라스틴, 케라틴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액체단백질 콘디셔너이다. 가수분해콜라겐, 가수분해엘라스틴 및 가수분해 케라틴단백질의 조합이 가는 모발을 처리하는 모발수복액제로 유효하게 작용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당업자라면 이해하듯이, 단백질의 그 외의 많은 조합을 이용하여 가는 모발용의 효과적인 단백질 콘디셔너를 만들 수 있다.
모발수복액제를 도포한 후, 상당량의 수분을 모발로부터 제거한다. 빗으로 빗고 송풍건조하여 이를 행한다. 이상적으로는 모발의 총수분량의 약 70%를 제거하여야 하지만, 제거되는 량이 80%를 넘어서는 안된다. 필요이상으로 많은 수분이 제거된 경우, 모발에 정제수를 내뿜고 다시 빗으로 빗고 송풍건조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산화전 셋트를 모발에 실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발을 가열하면서 압축함으로써 산화전 셋트를 행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플랫헤어아이언을 180℃에서 이용한다. 압축과 열의 조합은 모발을 스트레이트한 형상으로 고정하고, 모발수복액제의 단백질의 모발과의 결합을 현저하게 강화시키며, 모발의 구조적 탄성상태를 부분적으로 없애는 작용을 한다. 모발을 프레스하였으면 실온으로 냉각한다. 모발의 냉각을 빨리 하기 위하여 소망에 따라서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하여도 좋다.
산화전 셋트가 일반적으로 모발을 고정하는 작용을 하며, 그에 따라서 모발은 유리하게 원하는 대로 예를 들어 정밀한 부드러운 웨브로 스타일링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압축 및 열을 가함으로써, 모발표면의 매끈함에 현저한 개선이 얻어진다. 압축 및 열의 인가는 현미경레벨로 콘디셔닝단백질의 모발표면으로의 결합을 강하게 한다고 생각된다.
산화전 셋트 후, 모발에 산성린스를 도포한다. 산성린스는 모발에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는, 이전에 도포된 알칼리성의 스트레이트퍼머액의 잔류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산성린스는 중화액제의 도포에 앞서서 모발의 pH를 약 4.5-5.5의 범위로 저하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pH의 저하에 의해, 잔류하고 있는 알칼리성의 스트레이트퍼머액의 영향이 확실히 배제된다. 구연산의 산성린스가 유효하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지만, 그 외의 산 및 산의 조합을 이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사과산, 올레인산, 솔빈산, 인산 등을 이용하면 좋다. 바람직하게는 액제의 약 7/8은 정제수이다.
이어서 중화액제를 모발에 도포하고, 모발의 구조적 탄성상태를 해소하는데 충분한 시간 동안 모발에 잔류시킨다. 통상은, 모발이 중화되는데 액 10분 걸린다. 중화액제가 모근에 도포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근에 중화액제가 도포되면, 모발이 급속하게 산화되며, 모발손상의 원인이 되는 일이 있다. 그 때문에, 모근을 자연적으로 산화시키는 것이 대단히 요망된다.
중화액제의 도포에 의해 모발의 구조적 탄성상태가 해소된 후, 모발을 저수 압하에서 미지근한 물을 이용하여 헹구고, 중화액제 및 그 잔류물을 제거한다.
이 시점에서 모발의 스트레이트헤어화처리는 본질적으로 끝나있지만, 다음과 같은 보충적인 단계를 계속하면, 스트레이트헤어화된 모발의 표면구조의 보다 나은 개선을 달성할 수 있다. 이들의 최종단계는 모발의 광택을 향상시키고, 모발을 강화하므로, 이에 따라서 본 방법의 효과가 보다 길게 계속되며, 유지가 보다 용이하게 된다.
중화액제를 헹구어낸 후, 약 2.0%미만의 오일을 포함하는 다른 모발수복액제를 모발에 스프레이한다. 이 액제, 즉 헤어컨디셔너는 케라틴 및 콜라겐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소망에 따라서 다른 모발단백질을 이용하여도 좋다. 히드록시프로필트리암모늄가수분해케라틴, 가수분해콜라겐, 로진가수분해콜라겐 및 가수분해엘라스틴의 단백질의 조합, 정향유(clove oil) 및 카모마일유와 조합시켜 이용하면, 유효하게 작용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액제는 모발을 건조시켰을 때에 모발에 남으므로 투명한 액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발수복액제를 도포하였으면, 약 90%에서 95%의 수분이 제거될 때까지 모발을 건조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발을 타올로 닦고, 이어서 빗으로 빗고 송풍건조한다. 마지막으로 플랫헤어아이언을 산화전 셋트의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모발에 이용한다. 단백질 및 오일의 존재, 또한 헤어아이언의 압축 및 열을 가함으로써, 모발의 표면구조에 보다 나은 개선이 얻어진다. 모발의 원추형 플랩층은 아이언에 의해 상호 심하게 압축되며, 또한 단백질 및 열의 존재로 각 모발섬유의 플랫층은 결합하고, 한결같이 매끈한 모발표면을 만든다. 이에 따라서, 모발의 광택이 향상 하고, 모발이 강화되므로, 본 방법의 효과가 보다 오래 지속된다.
본 방법이 완료하였으면, 그 효과를 완전히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48시간 동안은 모발의 샴푸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손상되지 않은 굵은 모발에 사용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런 모발은 갈라진 모 또는 곱슬모가 있다고 해도 매우 적고, 이미 일반적으로 스트레이트한 상태에 있다. 통상 이와 같은 모발은 이전에 퍼머와 염색처리되지 않았다.
본 실시예의 단계는 실시예 1과 동일하지만, 다음과 같은 변경이 있다.
본 실시예에 이용되는 모발수복액제는, 단백질은 케라틴 및 콜라겐만을 함유하는 액체단백질콘디셔너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굵은 모발을 처리하는 모발수복액제에 있어서, 히드록시프로필트리암모늄가수분해케라틴, 이소스테아로일가수분해콜라겐, 히드록시프로필트리암모늄콜라겐의 단백질의 조합이 뛰어난 효과를 낸다. 이들의 단백질은 실시예 1의 모발수복제에 이용된 단백질에 비하여 굵은 모발에 보다 깊게 침투할 수 있는 작은 분자이다.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모발수복액제는 만족할 수 있는 효과를 초래하지만, 또한 대단히 많은 다른 단백질조합도 마찬가지로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조금 손상된 가는 모발에 사용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런 모발은 중간정도의 량의 갈라진 모 혹은 곱슬모를 가지며, 또는 이전에 퍼머 혹은 모발염색을 한 일이 있다.
본 실시예의 단계는 실시예 1과 동일하지만, 후술하는 하나의 추가단계 및 두 개의 변경이 있다.
최초의 세발 및 헹굼 후, 스트레이트퍼머액을 도포하기 전에 실시예 1의 모발수복액제를 모발에 도포한다. 이 앞당겨진 콘디셔닝처리는 조금 손상된 가는 모발과 단백질이 반응하여 결합하는 시간을 길게 하기 위하여, 이 방법의 훨씬 조기에 모발에 컨디셔너단백질을 도입한다.
실시예 1과 비교한 본 실시예의 2개의 변경은 조금 손상된 모발부분에 아이언을 이용할 때에 소망에 따라서 아이언의 온도를 약 160℃로 내려도 좋은 것, 알칼리성퍼머액을 모발에 도포한 후, 약 10분에서 16분의 동안에 최초로 인장시험을 행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의 손상이 증가함에 따라서 아이언의 온도를 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조금 손상된 굵은 모발에 사용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런 모발은 중간정도의 량의 갈라진 모 또는 곱슬모를 가지며, 혹은 이전에 퍼머 또는 염색처리를 한 일이 있다.
본 실시예 의 단계는 실시예 2와 동일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추가단계와 2개의 변경이 있다.
최초의 세발 및 헹굼 후, 다만 스트레이트퍼머액을 도포하기 전에, 실시예 2의 모발수복액제를 모발에 도포한다. 이 앞당겨진 컨디셔닝처리는 조금 손상된 굵 은 모발과 단백질이 반응하여 결합하는 시간을 길게 하기 위하여, 본 방법의 훨씬 조기에 모발에 컨디셔너단백질을 도입한다. 실시예 2와 비교한 본 실시예의 단 두 개의 변경점은, 조금 손상된 모발부분에 아이언을 이용할 때에, 소망에 따라서 아이언의 온도를 약 160℃로 내려도 좋은 것, 액제를 모발에 도포한 후, 약 10분에서 16분의 동안에 인장시험을 행하는 것이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상당히 손상된 가는 모발에 사용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모발은 상당량의 갈라진 모 또는 곱슬모를 가지며, 혹은 이전에 퍼머 또는 염색하거나 탈색한 일이 있다.
본 실시예의 단계는 실시예 3과 동일하지만, 다음과 같은 변경이 있다.
최초의 세발 및 헹굼 후, 다만 스트레이트퍼머액을 도포하기 전, 실시예 1의 모발수복액제를 모발에 도포할 때에 약 5%까지의 오일을 포함하는 모발수복액제를 더 모발에 도포한다. 이 앞당겨진 콘디셔닝처리는 본 방법의 훨씬 조기에 모발에 추가의 콘디셔너단백질을 도입할 뿐만 아니라 훨씬 조기에 모발에 오일을 도입하고, 처리중에 모발이 더욱 손상하는 것을 막는데 일조한다. 오일은 알칼리성의 스트레이트퍼머액의 영향에 의한 모발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베리어로서 작용하며, 모발의 가장 손상된 부분에 선택적으로 도포된다.
또한, 알칼리성의 스트레이트퍼머액의 잔류물을 모두 확실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모발을 샴푸하고, 헹군 후, 약 5%까지의 오일을 포함하는 모발수복액제를 다시 특히 모발의 가장 손상된 부분에 도포한다. 여기서도 역시 추가의 단백질 및 오일의 도입은 절단 등의 더욱 심한 손상으로부터 모발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 도포후, 모발을 타올로 닦는다.
실시예 3과 비교한 본 실시예의 다른 2개의 변경점은 상당히 손상된 모발부분에 아이언을 이용할 때에 소망에 따라서 아이언의 온도를 약 160℃에서 130℃로 내려도 좋은 것, 알칼리성퍼머액을 모발에 도포한 후, 약 4분에서 8분의 동안에 인장시험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6]
본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상당히 손상된 굵은 모발에 사용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모발은 상당량의 갈라진 모 또는 곱슬모를 가지며, 혹은 이전에 퍼머 또는 염색하거나 혹은 탈색한 일이 있다.
본 실시예의 단계는 실시예 4와 동일하지만, 다음과 같은 변경이 있다.
최초의 세발 및 헹굼후, 다만 스트레이트퍼머액을 도포하기 전, 실시예 2의 모발수복액제를 보발에 도포할 때에 약 5%까지 오일을 포함하는 모발수복액제를 추가하여 모발에 도포한다. 이 앞당겨진 콘디셔닝처리는 본 방법의 훨신 조기에 모발에 추가의 콘디셔너단백질을 도입할 뿐만 아니라 훨씬 조기에 모발에 오일을 도입한다. 오일은 처리중에 모발이 건조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며, 모발이 중화되기 전에 건조하는 것, 모발의 손상 및 절단이 생기는 것이므로 대단히 바람직하다.
또한, 알칼리성의 스트레이트퍼머액의 잔류물을 모두 확실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모발을 샴푸하고 헹군 후, 약 5%까지의 오일을 포함하는 모발수복액제를 다시 특히 모발의 가장 손상된 부분에 도포한다. 여기서도 역시 추가의 단백질 및 오일의 도입은 절단 등의 더욱 심한 손상으로부터 모발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 도포후, 모발을 타올로 닦는다.
실시예 4와 비교한 본 실시예의 새로운 2개의 변경점은 상당히 손상된 모발부분에 아이언을 이용할 때에 소망에 따라서 아이언의 온도를 약 160℃에서 130℃로 내려도 좋은 것, 알칼라성퍼머액을 모발에 도포한 후, 약 4분에서 8분의 동안에 인장시험을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모발을 영속적으로 스트레이터헤어화, 수복 및 스타일링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그리고 보다 완전하게 모발로부터 헹구어낼 수 있는 알칼리스트레이트퍼머액을 제공할 수 있으며, 모발과 알칼리스트레이트퍼머액과의 반응속도를 보다 정확하게 그리고 보다 한결같이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모발과 알칼리스트레이트퍼머액의 반응의 최적점이 언제 생기는지를 일관하여 정확히 반복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스트레이트헤어화처리 중에, 모발을 세밀하게 스타일링조정할 수 있는 능력이 발휘할 수 있으며, 종래기술의 모발스트레이트헤어화의 방법에 비하여 각 모발의 구조적 상태가 현저히 개선되는 개량된 모발스트레이트헤어화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스트레이트헤어화제는, 보다 완전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모발로부터 헹구어낼 수 있도록 독자적인 젤리상의 점도를 가지고 있으며, 모발이 탄성상태에 있는 동안에 열 및 압축을 가함으로써, 독자적인 산화전 셋트를 모발에 실시하여 모발에 세밀한 스타일링조정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손상된 모발의 스트 레이트헤어화, 스타일링 및 수복에서 대폭적인 개선이 이루어진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이하의 13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수복 및 스트레이트헤어화의 방법.
    (1) 모발을 씻고 헹구는 단계
    (2) 알칼리성의 젤리상 점도를 갖는 티오글리콜 스트레이트퍼머액을 모발에 도포하는 단계
    (3) 알칼리성의 스트레이트퍼머액이 모발에 잔존하고 있는 동안, 모발을 플라스틱랩으로 덮는 단계
    (4) 모발이 구조적 탄성상태로 이행할 때까지 알칼리성의 스트레이트퍼머액을 모발에 잔존시키는 단계로서, 모발이 25%-50%의 범위에서 탄성적으로 늘어날 때에 구조적 탄성상태로 확립되는 단계
    (5) 약 4가닥이상의 모발섬유를 3cm 간격으로 띠어서 쥐고 모발섬유를 잡아당김으로써, 구조적 탄성상태로 언제 이행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섬유가 4-4.5cm 탄성적으로 늘어날 때에 구조적탄성상태가 확립되는 단계
    (6) 구조적 탄성상태가 확립될 때까지 모발에 알칼리성의 스트레이트퍼머액이 잔존한 존속시간을 기록하는 단계
    (7) 플라스틱랩을 제거하고, 목덜미부분의 모발에 알칼리성의 스트레이트퍼머액을 도포하는 단계
    (8) 플라스틱랩을 다시 덮고, 지속시간의 반은 모발에 알칼리성의 스트레이트퍼머액을 잔존시키는 단계
    (9) 플라스틱랩을 제거하고 알칼리성의 스트레이트퍼머액을 모발로부터 헹구어냄으로써 구조적 탄성상태로 모발을 유보시키는 단계
    (10) 모발에 단백질분자를 포함하는 모발수복액제를 도포하는 단계
    (11) 모발을 스타일링하고, 단백질분자와 모발의 결합을 촉진하여 모발의 표면구조를 개선하기 위하여 플랫헤어아이언을 이용하여 가열하에서 축방향으로 모발을 압축함으로써, 모발구조에 산화전 셋트를 실시하는 단계
    (12) 알칼리스트레이트퍼머액의 모든 잔류물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모발에 산성린스를 도포하는 단계
    (13) 모발의 구조적 탄성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모발에 중화액제를 사용하는 단계
KR1020007011052A 1999-04-21 2000-01-11 모발수복 및 스트레이트헤어화 방법 KR100664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96,689 1999-04-21
US09/296,689 US6125856A (en) 1999-04-21 1999-04-21 Hair repair, styling, and straightening proc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567A KR20010072567A (ko) 2001-07-31
KR100664592B1 true KR100664592B1 (ko) 2007-01-04

Family

ID=2314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052A KR100664592B1 (ko) 1999-04-21 2000-01-11 모발수복 및 스트레이트헤어화 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125856A (ko)
EP (1) EP1099391B1 (ko)
JP (1) JP3340999B2 (ko)
KR (1) KR100664592B1 (ko)
CN (1) CN1167370C (ko)
AT (1) ATE476174T1 (ko)
AU (1) AU767056B2 (ko)
BR (1) BR0006078A (ko)
CA (1) CA2335770C (ko)
DE (1) DE60044770D1 (ko)
ES (1) ES2348027T3 (ko)
HU (1) HUP0105128A2 (ko)
ID (1) ID29775A (ko)
MX (1) MXPA00012750A (ko)
NO (1) NO20006528L (ko)
NZ (1) NZ509467A (ko)
PL (1) PL345326A1 (ko)
RU (1) RU2230473C2 (ko)
TR (1) TR200003901T1 (ko)
WO (1) WO20000642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1219B1 (en) * 2000-09-06 2003-02-18 Phild Co., Ltd. Method of repairing or restoring damaged or imperfect hair
US6723308B2 (en) * 2001-11-02 2004-04-20 Kenra, Llc Hair clarifying treatment
US6805136B2 (en) 2001-11-02 2004-10-19 Kenra, Llc Hair relaxer
KR100479366B1 (ko) * 2002-10-04 2005-03-28 장용석 두발에 물퍼머를 하는 방법
JP2004208821A (ja) * 2002-12-27 2004-07-29 Kazuo Kajizuka ストレートパーマ方法及び器具
US7638117B2 (en) * 2003-01-29 2009-12-29 Farouk Systems, Inc. Hair transformation method
US20040180018A1 (en) * 2003-03-10 2004-09-16 Scott Adrian O. Method and apparatus for hair care
US20060150344A1 (en) * 2003-08-13 2006-07-13 Burkhard Muller Method for smoothing fibers containing keratin
DE10338883A1 (de) * 2003-08-23 2005-03-24 Hans Schwarzkopf & Henkel Gmbh & Co. Kg Verfahren zur Glättung keratinhaltiger Fasern
US20050048018A1 (en) * 2003-08-29 2005-03-03 Natasha Fadeeva Methods for preventing reversion of relaxed keratinous fibers and for relaxing keratinous fibers
FR2881346B1 (fr) * 2005-01-28 2007-04-27 Oreal Procede de traitement capillaire et utilisation dudit procede
US7511234B1 (en) 2005-03-31 2009-03-31 Ebinger George E Automated waste scaling system and method of weighing and documenting waste data
US7635465B2 (en) * 2005-04-01 2009-12-22 Milbon Co., Ltd. Reducing agent for straightening curly hair and process for straightening curly hair
US20070048241A1 (en) * 2005-08-30 2007-03-01 Croda, Inc. Emulsifying system
US7820147B2 (en) * 2005-11-18 2010-10-26 Mata Michael T Hair restorativ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damaged hair and safely chemically treating hair
FR2901471B1 (fr) * 2006-05-24 2010-06-04 Oreal Procede de defrisage des fibres keratiniques avec un moyen de chauffage et un derive d'acide
CA2676561C (en) * 2008-08-23 2012-10-16 Farouk Systems, Inc. Hair iron
FR2950529B1 (fr) * 2009-09-29 2013-02-22 Oreal Procede de deformation permanente des cheveux au moyen d'un mercaptosiloxane, utilisation et composition
KR101439933B1 (ko) 2010-09-06 2014-09-15 이대범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CN103260595A (zh) * 2010-10-15 2013-08-21 库维公司 用于处理基于角蛋白的纤维的组合物和方法
JP5868066B2 (ja) * 2011-08-09 2016-02-24 株式会社アリミノ 毛髪処理方法
BR102014000718B1 (pt) * 2014-01-13 2022-05-17 Cor Brasil Industria E Comercio S/A Método de aplicação de um produto capilar
CN103783781B (zh) * 2014-02-25 2016-08-17 陆卫军 一种烫发方法
CN107073299B (zh) * 2014-09-12 2021-05-07 雅芳产品公司 用于角蛋白纤维的组合物
KR101511156B1 (ko) 2015-02-09 2015-04-10 조길수 손상모를 회복시켜 주는 펌 시술방법
CN107343698A (zh) * 2017-07-13 2017-11-14 上海望志化妆品有限公司 一种七维烫护方法
CN108056568A (zh) * 2017-11-28 2018-05-22 葛磊 一种新型水烫烫发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1157A (en) * 1979-03-05 1982-11-30 James Odie R Method of curling negroid hair without rollers
GB2090303A (en) 1980-12-29 1982-07-07 Maur La Inc Method for Relaxing and then imparting Controlled Curvature to Curly or Kinky Hair
CA1190857A (en) 1982-02-08 1985-07-23 Leszek J. Wolfram Hair waving or straightening process that simultaneously conditions hair and hair waving composition therefor
DE3206204A1 (de) * 1982-02-20 1983-09-01 Wella Ag, 6100 Darmstadt Schutzcreme fuer die kopfhaut und verfahren zur haarentkraeuselung
US4659566A (en) * 1984-08-21 1987-04-21 Petrow Henry 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ermanently waving or straightening hair
US4602648A (en) * 1984-10-30 1986-07-29 Soft Sheen Products, Inc. Pre-shampoo normalizer for a hair straightening system
US5294230A (en) * 1986-07-11 1994-03-15 The Gillette Company Method for permanent waving and straightening of hair
US5060680A (en) * 1987-09-10 1991-10-29 Johnson Products Co., Inc. Hair straightening method and texturing strengthener compositions therefor
DE69118323T3 (de) 1990-11-22 2003-04-17 Yanagita Co Dauerwellenbildungslotion sowie Verfahren zur ihren Verwendung
JP3179859B2 (ja) * 1992-05-12 2001-06-25 木俣 年博 ヘアの処理方法とその処理装置
US5476650A (en) * 1994-03-17 1995-12-19 Luster Products, Inc. Conditioning and straightening hair relaxer
US5562110A (en) * 1994-08-31 1996-10-08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Hair straightening and permanent waving composition
US5609859A (en) * 1995-01-13 1997-03-11 Carson Products Company Hair relax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JP3098931B2 (ja) * 1995-04-18 2000-10-16 ホーユー株式会社 ストレートパーマ剤
US5679327A (en) * 1995-08-25 1997-10-21 Johnson Products Co., Inc. Hair straightening emulsion
JPH09132515A (ja) 1995-11-09 1997-05-20 Seiji Maekawa 縮毛矯正方法
JPH1175927A (ja) * 1997-09-10 1999-03-23 Tominari Sonoda 頭髪整形用アイロン
JP2001213741A (ja) * 2000-02-01 2001-08-07 Hoyu Co Ltd 毛髪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25856A (en) 2000-10-03
AU1892300A (en) 2000-11-10
CA2335770C (en) 2008-01-08
AU767056B2 (en) 2003-10-30
PL345326A1 (en) 2001-12-17
HUP0105128A2 (en) 2002-06-29
MXPA00012750A (es) 2002-04-24
CN1167370C (zh) 2004-09-22
EP1099391A1 (en) 2001-05-16
NO20006528L (no) 2001-02-19
KR20010072567A (ko) 2001-07-31
JP3340999B2 (ja) 2002-11-05
ATE476174T1 (de) 2010-08-15
WO2000064298A1 (fr) 2000-11-02
NZ509467A (en) 2004-01-30
EP1099391A4 (en) 2003-06-18
ID29775A (id) 2001-10-11
ES2348027T3 (es) 2010-11-26
RU2230473C2 (ru) 2004-06-20
EP1099391B1 (en) 2010-08-04
TR200003901T1 (tr) 2001-06-21
CA2335770A1 (en) 2000-11-02
DE60044770D1 (de) 2010-09-16
BR0006078A (pt) 2001-03-20
NO20006528D0 (no) 2000-12-20
CN1297334A (zh) 2001-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592B1 (ko) 모발수복 및 스트레이트헤어화 방법
US6173717B1 (en) Hair shaping method using acidic aqueous intermediate rinse to prevent overcurling
AU2010257176A1 (en) Compostion and method for hair straightening and curling
JP3330581B2 (ja) 加温二浴式パーマ用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毛髪のパーマ処理方法
TWI802784B (zh) 毛髮處理方法
KR102106852B1 (ko) 모발 손상을 최소화하는 펌 시술방법
KR101433652B1 (ko) 펌제 또는 염색제의 도포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펌 또는 염색 방법
JP3623381B2 (ja) 数種の成分を含む酸化剤および該酸化剤を使用して永続的に毛髪の形を変える方法
US6103223A (en) Process and means for permanent hair-styling
JP4152528B2 (ja) 毛髪形状の処理方法とその処理装置
JP4197199B2 (ja) 還元工程のpH値を最初は高く、後に低くした毛髪のパーマネント加工法
JP6946136B2 (ja) 頭髪改善方法
JP2018522662A (ja) 毛髪繊維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
JP2017014175A (ja) 毛髪前処理方法及び毛髪前処理剤
Hair Hair
JP2009120543A (ja) 縮毛矯正施術方法
RU2704461C1 (ru) Способ долговременной укладки волос кератиновым составом
KR100691867B1 (ko) 퍼머액 및 이를 이용한 퍼머방법
CN114727935A (zh) 包含壳聚糖和羟丙基甲基纤维素的化妆品组合物及其用于改善毛发强度和相关性质的用途
JP4648492B1 (ja) パーマネントの処理方法
CN111511244A (zh) 用于处理头发纤维的方法
KR20050027842A (ko) 퍼머액 및 이를 이용한 퍼머방법
GB2081578A (en) A method of permanently waving hair
JPH1189624A (ja) パーマ等のヘア処理方法とその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