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652B1 - 펌제 또는 염색제의 도포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펌 또는 염색 방법 - Google Patents

펌제 또는 염색제의 도포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펌 또는 염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652B1
KR101433652B1 KR1020120041375A KR20120041375A KR101433652B1 KR 101433652 B1 KR101433652 B1 KR 101433652B1 KR 1020120041375 A KR1020120041375 A KR 1020120041375A KR 20120041375 A KR20120041375 A KR 20120041375A KR 101433652 B1 KR101433652 B1 KR 101433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applying
dye
agent
dye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8480A (ko
Inventor
이근태
Original Assignee
이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태 filed Critical 이근태
Priority to KR1020120041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65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7/00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 A45D7/04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chemic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66Coloring or blea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4Preparations for permanent waving or straighte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펌제 또는 염색제를 도포하는 방법은, 펌제 또는 염색제를 도포하기 전에 모발의 모류 방향을 확인하고, 모발의 모류 방향으로 펌제 또는 염색제를 도포하고, 모발을 손가락 사이에 끼워서 두피에서 모발 끝쪽으로 모발을 마사지하고, 모발에 펌제 또는 염색제가 흡수된 상태에 따라, 펌제 또는 염색제를 제거 또는 재도포함으로써, 펌 또는 염색 시술에서 펌제 또는 염색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면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펌제 또는 염색제의 도포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펌 또는 염색 방법{Applying method of permanent lotions or colouring products, and permanent or dye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발의 펌(permanent) 및 염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발의 특성을 이용하여 펌제나 염색제를 도포함으로써,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고 펌 및 염색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발의 형태나 색상을 다양하게 연출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펌 방법과 염색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며, 또한 새로운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펌과 염색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모발의 성분과 구조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모발은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케라틴 단백질 70∼80%와, 멜라닌 색소 2∼5%와, 자연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e Factor)라고 하는 유수분 10∼15%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발은 바깥쪽으로부터 크게 모표피, 모피질, 모수질의 3개 층으로 이루어진다. 모표피는 4∼8겹의 비늘 형태로 된 비정질 케라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부 자극으로부터 모발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모표피는 최외곽의 에피큐티클, 중간의 엑소큐티클, 안쪽의 엔도큐티클의 3충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모피질은 모발의 두께, 탄력, 강도, 색깔 등에 관련된 부분으로서 섬유 다발로 되어 수분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모발의 색을 결정하는 멜라닌 색소의 대부분은 모피질에 들어 있다. 모피질 내에는 거대 섬유(macro fibril)와 간층 물질(matrix)이 존재한다. 모수질은 모발의 중심부로서 내부에 공기가 들어 있으며, 모발의 광택에 관련되어 있다.
모발에는 이황화 다리결합(S-S)을 하고 있는 시스틴이라는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내구성이 강한 시스틴 결합과 케라틴 자체 결합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강도가 피부보다 훨씬 강하다.
모발의 케라틴 입자 중 가장 작은 입자는 PPT(Protein PolypepTide)이다. PPT는 자체 세로 결합으로 아미노산 결합을 이루며, PPT와 PPT는 수소, 이온, 시스틴 결합이라고 하는 강한 결합을 이루어서, 소정의 굵기와 길이의 모발을 계속해서 생성한다.
한편, 펌에 사용되는 약제는 제1펌제와 제2펌제의 두 종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펌제는 파마약으로 불리는 환원제이고, 제2펌제는 환원제를 중화시키기 위한 산화제이다.
제1펌제는 물, 알카리제, 환원제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각종 아미노산이나 향료, 반응 조절제 등이 추가될 수 있다. 물은 수소 결합을 절단하고, 알칼리제는 이온 결합을 절단하고, 환원제는 시스틴 결합(S-S)을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제2펌제는 물 94∼95%와, 과산화수소(H2O2) 및 브롬산(BrO3) 3∼4%로 이루어지며, 시스틴 결합(S-S)을 재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펌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제1펌제를 모발에 도포하면 시스틴 결합이 끊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로드를 와인딩하고 일정 시간 방치한 후, 제2펌제를 도포하면 시스틴 결합이 재결합되어 컬을 형성하게 된다.
도 1에 종래의 일반적인 펌의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모발에 제1펌제를 도포한 후(단계 110), 로드 등을 사용하여 모발을 와인딩하고(단계 120), 소정 시간동안 가온 방치 혹은 자연 방치한다(단계 130). 이어서, 모발을 세척한 후(단계 140), 제2펌제를 도포하고(단계 150), 소정 시간동안 자연 방치한다(단계 160). 이어서, 로드를 제거하고 마무리 세척을 실행한다(단계 170).
다음으로 염색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염색제는 염모제와 산화제의 2종류의 약제로 구성되어 있다, 염모제는 크게 알칼리제와 염료로 이루어지며, 각종 아미노산이나 반응 조절제가 추가될 수 있다. 알칼리제는 모발을 부풀게 하고 연화시켜서 염료의 침투를 쉽게 해준다. 산화제로는 물과 3% 혹은 6%의 과산화수소가 사용되며, 알칼리제의 도움을 받아 분해되어 모발 속의 멜라닌 색소를 탈색시키고 염료가 발색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상 설명한 종래의 펌 및 염색 방법은 그 시술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모발의 손상도 증가하게 된다. 즉, 현대 생활에 있어서 펌과 염색은 필수적인 것으로 자리 잡았지만, 펌과 염색으로 인해 모발이 얇아지거나 거칠어지며 건조해지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펌의 방법 및 염색의 방법을 계속해서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펌 방법 및 염색 방법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사람의 두상은 사람마다 다르게 생겼으며, 두피 표면에 나있는 모발도 그 굵기, 개수, 모공 모양 등이 사람마다 다르다. 또한, 모발이 자라나는 방향도 사람마다 다 다르다. 피부에 난 털은 피부 표면에서 수직으로 자라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일정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이 경사는 부위에 따라 다르면, 각각 특별한 방향을 나타내는데, 이것을 모류(毛流)라고 한다.
모류 방향은 가마(hair whorl)에서부터 시작이 되어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형태가 일반적이나, 이마 부분, 귀 뒷부분 목 뒷부분(제비초리) 등을 살펴보면 사람마다 그 모양이 다양하고 특이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어떤 경우에는 모발이 하늘로 향해서, 소위 고슴도치 모양을 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종래의 펌 방법이나 염색 방법에서는 이러한 모류 방향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펌제나 염색제를 도포하고 있다. 모류 방향과 반대로 펌제와 염색제를 도포하게 되면, 모발이 많이 거칠어질 뿐만 아니라, 필요 이상으로 많은 화학약품을 모발에 도포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결국 모발의 손상으로 이어져서 건강한 모발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펌제나 염색제를 도포할 때에 각자 개인의 모류 방향을 고려함으로써, 모발의 손상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효율적으로 펌 및 염색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이론을 사용하는 펌 방법에 있어서, 개인의 모류 방향을 고려함으로써, 펌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펌제를 도포하는 방법은, 펌제를 도포하기 전에 모발의 모류 방향을 확인하는 단계와, 모발의 모류 방향으로 펌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모발을 손가락 사이에 끼워서 두피에서 모발 끝쪽으로 모발을 마사지하는 단계와, 모발에 펌제가 흡수된 상태에 따라, 펌제를 제거 또는 재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펌제를 제거 또는 재도포하는 단계에서는 펌제가 흡수되지 않고 남아있는 모발 부분에 대해서는 꼬리빗 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펌제를 제거하고, 펌제가 정상 도포되지 않은 모발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로 펌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류 방향으로 펌제를 도포하는 단계에서는, 모발 중 건강모 부분에 대해서는, 왼손 인지와 장지를 이용하여 모류 방향으로 장력을 주어서, 모발의 PPT 간격을 벌여주면서 펌제를 도포하고, 모발 중 손상모 부분에 대해서는, 펌제가 흡수되는 양을 확인하면서 도포량을 나누어서 단계적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펌제의 도포 방법은 모발에 염색제를 도포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발을 펌할 때에 아이론을 사용하는 방법은, 곱슬머리를 스트레이트로 성형할 경우에는 모발의 모류 방향으로 아이론을 움직여서 모발을 성형하고, 두피 쪽에 모발의 볼륨감을 성형할 경우에는 모발의 모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아이론을 움직여서 모발을 성형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펌제의 도포 방법과 아이론의 사용 방법은 공지된 여러 가지의 펌 방법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의 도포 방법은 공지된 여러 가지의 염색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펌제 또는 염색제의 도포 방법, 아이론의 사용 방법,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펌 및 염색 방법은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먼저, 개개인의 모류 방향에 따라 펌제 또는 염색제를 도포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펌 및 염색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개개인의 모류 방향에 따라 펌제 또는 염색제를 도포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훨씬 적은 양의 펌제 또는 염색제를 사용하여 우수한 펌 및 염색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발에 사용되는 화학제품의 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펌 또는 염색으로 인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윤기 있고 부드러운 모발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아이론을 사용할 때에도 개개인의 모류 방향을 고려함으로써, 곱슬머리의 스트레이트 성형 시에 나타나는 모발의 뻗침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발의 볼륨감도 더욱 효과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자연스러운 스타일링을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펌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제의 도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색제의 도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제의 도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펌제의 도포 방법은 먼저 모발의 모류 방향을 확인한(단계 210) 후, 모류 방향으로 펌제를 도포한다(단계 220).
모발의 모류 방향은 개인별로 다르기 때문에, 펌제를 도포하기 전에 이를 확인하고 모류 방향에 따라 펌제를 도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만일 모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펌제를 도포하게 되면, 도포할 때에 사용되는 꼬리빗 등의 거친 부분에 의해 큐티클이 심하게 손상되고, 모피질의 간층 물질이 유추되어 모발 손상이 촉진된다.
이때, 모발 중 건강모 부분에 대해서는, 왼손 인지와 장지를 이용하여 모류 방향으로 장력을 주어서, 모발의 PPT 간격을 벌여주면서 펌제를 도포한다. 이것은 모발의 PPT 간격이 벌어지게 되면 펌제의 침투가 용이하게 되고, 두피 부분의 모공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두피에 펌제가 도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모발 중 손상모 부분에 대해서는, 펌제가 흡수되는 양을 확인하면서 도포량을 나누어서 단계적으로 도포한다. 모발의 끝 부분과 같이 손상이 심한 부분은 대부분 다공성 모발이므로, 약제의 흡수가 빠르고 흡수량이 많아지므로, 손상을 더욱 촉진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펌제를 한 번에 도포하지 말고, 흡수되는 양을 확인하면서 여러 차례 나누어서 도포하는 것이 모발 보호를 위해 바람직하다.
모발의 손상 정도에 따라 적정량의 펌제가 도포되면, 모발을 손가락 사이에 끼워서 두피에서 모발 끝쪽으로 모발을 마사지한다(단계 230). 모발 끝부분은 대부분 손상 모발이므로, 큐티클이 들떠 있어 거칠다. 펌제 등에 포함되어 있는 알칼리 성분에 의해 큐티클이 부드러워지면, 모발의 마사지에 의해 큐티클은 원래 방향대로 정돈된다.
이어서, 모발에 펌제가 흡수된 상태에 따라, 펌제를 제거 또는 재도포한다(단계 240). 즉, 펌제가 흡수되지 않고 남아있는 모발 부분에 대해서는 꼬리빗 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펌제를 제거하고, 펌제가 충분하게 도포되지 않은 모발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로 펌제를 도포한다.
이와 같이, 모류 방향에 따라 펌제를 도포하고 모발에 대해 충분한 마사지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최소량의 화학제품을 사용하여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즉, 펌을 시술한 후에도 윤기 있고 매끄러운 모발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펌제의 도포 방법은 염색제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도 3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색제의 도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나타내었다.
즉, 모발을 염색할 때에도, 염색제를 도포하기 전에 모발의 모류 방향을 확인하고, 모발의 모류 방향으로 염색제를 도포하고, 모발을 마사지함으로써, 염색에 의해 모발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발을 펌할 때에 아이론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펌에서 아이론을 작업을 할 때에도 모류 방향을 고려해야 한다. 곱슬머리를 스트레이트로 성형할 경우에는 모발의 모류 방향으로 아이론을 움직여서 모발을 성형한다. 이와 같이 모류 방향을 유지하면서 아이론 작업을 하면, 모발이 뻗쳐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두피 쪽에 모발의 볼륨감을 성형할 경우에는 모발의 모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아이론을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펌제 또는 염색제의 도포 방법과 아이론의 사용 방법을 여러 가지의 펌 방법과 염색 방법에 적용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예)
제1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펌제 도포 방법을 일반 펌 방법에 적용한 것이다.
먼저, 제1펌제를 도포하기 전에 모발을 깨끗하게 샴푸하여 세척한다. 건강모 부분은 상대적으로 수분을 많이 남겨두고 손상모 부분은 수분이 적은 상태 유지시킨 후, 모발의 모류 방향을 확인한다.
이어서, PH가 낮고 각종 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된 질 좋은 펌제를, 손상모 부분, 이마의 훼이스 라인 부분, 두피에 인접한 신생모 부분에 모발이 흡수할 수 있는 양의 약 3% 정도를 먼저 살짝 도포한다. 이것은 모발에 면역성을 키워주기 위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3분 정도 방치한 후, 모발 상태에 맞는 펌제를 모발이 흡수할 수 있는 정량의 70-80% 정도 도포 후, 두피에서부터 모발 끝부분을 향해 마사지 작업을 해준다. 이때 손상모 부분은 손목에 힘을 빼고 들떠있는 큐티클을 가볍게 정리하여 준다. 이어서 모발에 필요한 정량의 펌제를 재도포하면서 모류 방향대로 다시 한 번 정리하면서 모발 끝부분에 남아있는 기존 펌 형태는 스트레이트 형태로 만들어준다.
제1펌제가 정량 도포되면, 원하는 디자인에 맞는 로드를 사용하여 모발을 와인딩한다. 와인딩할 때에는 최대한 모발이 로드에 밀착되도록 와인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하는 로드는 공기가 흡수될 수 있고 배출되는 열이 잘 전도될 수 있는 로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인딩이 완료되면 건강모 부분이 가장 윗부분에 노출되므로 건강모에 맞는 펌제를 재도포하고, 자연 방치 또는 열처리 후에 컬의 형태가 형성되면 모발에 남아있는 펌제를 깨끗이 세척한다.
세척 후 모발에 남아 있는 수분을 제거하고 제1펌제로부터 유출된 각종 아미노산과 PPT를 분무하여 보급함으로써, 절단되고 흐트러진 PPT를 재배열시켜준다(creep). 이때 따뜻하고 차가운 바람이 조절되는 기구를 이용하여 머리에 감고 있는 로드에 호스를 연결하여 공기로 모발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발에서 수분을 제거할 때에는, 반드시 모발이 본래 가지고 있어야 될 수분의 양에서 10∼15% 정도는 남겨두어야 한다.
적정량의 수분이 공기에 의해 제거되면, 제2펌제를 도포하여 시스틴 결합을 재결합하여 원하는 형태를 고정시킨다. 형태가 고정되면 제1펌제와 제2펌제를 깨끗이 세척하고, 미량의 화학제품도 모발에 잔류하지 않도록 밸런서(balancer)를 이용하여 수분, PH, 케라틴의 균형을 맞춰주고, 헤어 스타일링을 마무리한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펌제 도포 방법을 수분 증발을 이용한 곱슬머리의 스트레이트 펌 방법에 적용한 것이다.
먼저, 제1펌제를 도포하기 전에 모발을 깨끗하게 삼푸로 세척한다. 건강모 부분은 상대적으로 수분을 많이 남겨두고 손상모 부분은 수분이 적은 상태 유지시킨 후, 모발의 모류 방향을 확인한다.
이어서, PH가 낮고 각종 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된 질 좋은 펌제를, 손상모 부분, 이마의 훼이스 라인 부분, 두피에 인접한 신생모 부분에 모발이 흡수할 수 있는 양의 약 3% 정도를 먼저 살짝 도포한다. 이것은 모발에 면역성을 키워주기 위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3분 정도 방치한 후, 모발 상태에 맞는 펌제를 흡수할 수 있는 정량의 70-80% 정도 도포한다. 도포 후 건강하고 곱슬한 정도가 심한 모발은 60 ℃ 이하에서 열처리 기구를 사용하여 5∼10분 정도 열처리를 실행한다.
이어서, 일반적인 모발은 두피에서부터 모발 끝부분을 향해 마사지 작업을 해준다. 이때 곱슬한 정도가 심한 모발의 경우에는, 모발을 쥐고 있는 왼손에 장력을 더 강하게 주어 모발의 PPT 간격을 넓혀서 마사지 작업을 시행하면서, 모발이 흡수하는 정도에 따라 펌제를 다시 도포한다.
곱슬머리는 공통적으로 모피질 내의 PPT 배열이 불규칙하게 한쪽으로 몰려있다. 그러므로 한쪽으로 몰려있는 PPT는 알칼리의 환원제(치오, 시스테인, 시스테아민 등)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결합을 절단한고, 모발 차체가 부드럽게 연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모류 방향대로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를 이용하여 PPT 간격을 규칙적으로 정돈시킨다. 이렇게 해야 곱슬머리가 직모로 변형되어 원하는 형태의 컬이 매끄럽게 형성되며 머릿결도 부드러움과 윤기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펌제를 이용하여 모발이 가지고 있는 수소, 이온 및 시스틴 결합을 적절한 양만큼 절단(연화)시키면 모발에 윤기가 나고 색깔이 밝아지며 통통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연화 작업이 완료되면, 제1펌제를 샴푸를 사용하여 깨끗하게 세척한다. 제1펌제를 깨끗하게 세척한 후 모발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고, 펌제로부터 유출되고 잔류하는 알칼리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모발에 필요한 각종 아미노산과 PPT를 모발에 침투시켜 모발 내의 PPT를 재배열시켜준다(Creep).
이어서 모발 표면에 침투되지 않고 남아있는 PPT 등을 살짝 헹군 후, 모발 전체 양의 약 20-25% 정도의 수분을 남겨두고 물기를 제거하여 준다.
한편, 두피 쪽에 모발의 볼륨이 필요한 부분은 모발이 자라는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모발의 위치를 설정하여 자라나는 모발이 볼륨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반드시 모류 방향의 반대 방향 또는 그에 상응하는 모발 각도를 유지시켜야 두피 쪽에 볼륨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수분 증발을 이용한 곱슬머리의 스트레이트 펌 방법은, 곱슬머리의 교정 및 세팅 펌 작업에도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펌제 도포 방법을 아이론을 이용한 곱슬머리 스트레이트와 내추럴 스트레이트 성형 방법에 적용한 것이다.
연화 방법은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나, 크립(creep) 과정은 더 길게 실시할 수도 있다.
연화 작업을 완료한 후, 모발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한다. 곱슬머리를 정돈시킬 때 모발에 남아있는 수분 정도는 모발 전체 양의 15∼20%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발이 열로 인하여 손상이 가지 않도록 열 보호 성분이 함유된 엣센스를 모발에 침투시키고 아이론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면서 곱슬머리를 스트레이트로 성형한다. 이때 반드시 모류 방향에 따라 아이론 작업을 해야 한다. 모류 방향에 따라 아이론 작업을 함으로써, 흐트러진 PPT를 재배열시켜 주고, 건강모 부분은 왼손에 장력을 가하여 곱슬머리가 정돈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모류 방향에 따라 아이론 작업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모발의 뻗침 현상 등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한편, 두피 쪽에 볼륨이 필요한 경우에는, 모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모발 각도를 100∼110 ℃를 유지하면서 둥근 아이론을 이용하여 볼륨을 교정하여 준다. 이때 원하는 모발의 형태에 따라 약간에 컬을 형성할 수도 있고, 브러시와 드라이어를 이용한 작업도 허용된다.
와인딩은 가능한 한 번에 끝낼 수 있도록 사전에 충분한 기술을 습득한 후 실시하는 것이 좋다. 와인딩이 끝난 모발은 건강한 모발이 가질 수 있는 모발 전체 양의 10∼15 % 정도의 수분을 반드시 남겨두어야 건조함을 막을 수 있다. 모발이 남아있는 수분이 아이론의 열에 의하여 증발하면서 모발 내 수소 결합이 강하게 이루어져 모발에 탄력을 얻을 수 있다. 아이론의 온도는 모발의 상태와 수분의 양에 따라 대략 110∼170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해서 와인딩이 완료되면, 형태를 유지시키면서 제2펌제를 도포하여 시스틴 결합을 재결합시켜 주고, 모발에 남아있는 각종 화학 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양질의 트리트먼트를 침투시켜 모발의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이어서, 펌제의 잔여 물질이 남아있지 않도록 깨끗하게 세척한 후 스타일링을 마무리한다.
(제4실시예)
제4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펌제 도포 방법을 수분 증발을 이용한 세팅 펌 성형 방법에 적용한 것이다. 제1펌제를 이용한 연화 작업은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연화 작업을 완료한 후, 모발을 깨끗하게 세척하고, 각종 아미노산과 PPT를 침투시켜 제1펌제의 역할을 끝내고, 모발 전체 양의 약 20-25% 정도 수분을 유지시킨다.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수분 엣센스를 침투시켜 맨 처음 와인딩할 때의 수분을 끝까지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와인딩할 때에는 모류 방향을 최대한 유지시켜야 손질이 편하고 모발의 뻗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와인딩이 끝나면 로드에 열을 가하여 모발에 남아있는 수분을 증발시키면서 원하는 형태로 성형시킨다. 수분이 증발하면서 모발은 강하게 수소 결합을 이루기 때문에 모발에 탄력성이 생긴다. 이때 로드 면이 130℃를 넘지 않도록 온도 조절을 하고, 로드에 남아 있는 잔열을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와인딩이 끝나고 수분을 증발하는 과정이 끝난 상태에서는, 모발이 본래 가지고 있는 수분의 약 10∼15% 정도는 반드시 남겨두어야 모발이 건조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와인딩할 때에 사용하는 로드는 공기의 흡수 및 배출이 잘 되고 열의 전도성이 양호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로드를 사용하여 따뜻한 공기를 로드에 흡입시켜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도 모발 내에 약 10∼15% 정도의 수분은 반드시 남겨두어야 한다.
원하는 형태의 컬과 웨이브가 형성되면, 제2펌제를 도포하여 형태를 고정시킨다. 시스틴 결합의 재결합이 완료되면, 제2펌제를 깨끗하게 세척하고, 수분, PH 및 케라틴의 밸런스를 맞추어주는 트리트먼트를 침투시켜 잔여 화학 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해 주고, 스타일링을 마무리한다.
(제5실시예)
제5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 도포 방법을 모발의 염색 방법에 적용한 것이다.
먼저, 모발에 맞는 염색제를 설정하고, 최대한 두피 가까이 도포될 수 있도록 모류 방향 90도 정도를 유지하면서 염색제를 도포한다.
염색제의 도포가 완료되면, 두상의 위치에 따라 모류 방향의 90도 정도를 유지시키면서 두피에서 모발 끝쪽으로 부드럽게 염색제를 가볍게 마사지하여, 필요 이상으로 도포되어 있는 염색제를 제거한다.
염색제의 제거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두피 쪽의 모발 볼륨이 필요하다면, 모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모발 방향을 바꾸어 볼륨을 형성시킨다.
염색제가 모발에 착색되면, 모발 쪽에 PH 제어제를 분무하고 다시 한번 모류 방향대로 마사지하여, 염색제에 포함되어 있는 알칼리 성분을 역이용하여 들떠있는 큐티클을 정돈시킨다. 이어서, 얼룩 방지를 위하여 마지막 마사지 작업을 시행한다.
착색이 완료되면 염색제를 깨끗하게 세척한다. 이때, 염색제 특유의 향이 모발에 남아있으므로, 2번 이상 샴푸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분, PH 및 케라틴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양질의 트리트먼트를 실시하여, 모발이 윤기와 부드러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모발을 깨끗하게 세척하고 스타일링 함으로써, 모발의 염색을 완료한다.

Claims (10)

  1. 모발에 펌(permanent)을 시술할 때에 펌제를 도포하는 방법에 있어서,
    펌제를 도포하기 전에 모발의 모류 방향을 확인하는 단계와,
    모발의 모류 방향으로 펌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모발을 손가락 사이에 끼워서 두피에서 모발 끝쪽으로 모발을 마사지하는 단계와,
    모발에 펌제가 흡수된 상태에 따라, 펌제를 제거 또는 재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펌제를 제거 또는 재도포하는 단계에서는
    펌제가 흡수되지 않고 남아있는 모발 부분에 대해서는 꼬리빗 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펌제를 제거하고,
    펌제가 정상 도포되지 않은 모발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로 펌제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제의 도포 방법.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제의 도포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류 방향으로 펌제를 도포하는 단계에서는
    모발 중 건강모 부분에 대해서는, 왼손 인지와 장지를 이용하여 모류 방향으로 장력을 주어서, 모발의 PPT 간격을 벌여주면서 펌제를 도포하고,
    모발 중 손상모 부분에 대해서는, 펌제가 흡수되는 양을 확인하면서 도포량을 나누어서 단계적으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제의 도포 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펌제의 도포 방법을 이용하여 모발에 펌을 시술하는 펌 방법.
  5. 모발을 염색할 때에 염색제를 도포하는 방법에 있어서,
    염색제를 도포하기 전에 모발의 모류 방향을 확인하는 단계와,
    모발의 모류 방향으로 염색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모발을 손가락 사이에 끼워서 두피에서 모발 끝쪽으로 모발을 마사지하는 단계와,
    모발에 염색제가 흡수된 상태에 따라, 염색제를 제거 또는 재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염색제를 제거 또는 재도포하는 단계에서는
    염색제가 흡수되지 않고 남아있는 모발 부분에 대해서는 꼬리빗 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염색제를 제거하고,
    염색제가 정상 도포되지 않은 모발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로 염색제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제의 도포 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모류 방향으로 염색제를 도포하는 단계에서는
    모발 중 건강모 부분에 대해서는, 왼손 인지와 장지를 이용하여 모류 방향으로 장력을 주어서, 모발의 PPT 간격을 벌여주면서 염색제를 도포하고,
    모발 중 손상모 부분에 대해서는, 염색제가 흡수되는 양을 확인하면서 도포량을 나누어서 단계적으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제의 도포 방법.
  8.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에 기재된 염색제의 도포 방법을 이용하여 모발을 염색하는 염색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41375A 2012-04-20 2012-04-20 펌제 또는 염색제의 도포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펌 또는 염색 방법 KR101433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375A KR101433652B1 (ko) 2012-04-20 2012-04-20 펌제 또는 염색제의 도포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펌 또는 염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375A KR101433652B1 (ko) 2012-04-20 2012-04-20 펌제 또는 염색제의 도포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펌 또는 염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480A KR20130118480A (ko) 2013-10-30
KR101433652B1 true KR101433652B1 (ko) 2014-08-26

Family

ID=4963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375A KR101433652B1 (ko) 2012-04-20 2012-04-20 펌제 또는 염색제의 도포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펌 또는 염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6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310A (ko) 2015-06-16 2016-12-26 (주) 컨템포 남자 전용 겔펌제를 이용한 퍼머방법과 그 겔펌제 및 겔펌제 제조방법
KR102237446B1 (ko) * 2020-09-01 2021-04-07 송은나 모발의 염색 시술방법
KR102240172B1 (ko) 2020-09-01 2021-04-14 송은나 모발의 펌 시술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680B1 (ko) * 2019-04-09 2019-10-21 송은나 염모제 조성물을 이용한 모발의 염색 시술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763B1 (ko) 2007-06-26 2008-07-04 김영미 두상의 곡면분할에 의한 헤어컷트 방법.
JP2011067607A (ja) 2009-08-27 2011-04-07 Yuzo Kato コールドパーマの施術方法及びその器具
KR101046414B1 (ko) 2008-08-27 2011-07-05 심국현 기능성 퍼머액을 통한 퍼머 시술방법
US20110180093A1 (en) * 2008-09-03 2011-07-28 Alberto-Culver Company Hair styl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763B1 (ko) 2007-06-26 2008-07-04 김영미 두상의 곡면분할에 의한 헤어컷트 방법.
KR101046414B1 (ko) 2008-08-27 2011-07-05 심국현 기능성 퍼머액을 통한 퍼머 시술방법
US20110180093A1 (en) * 2008-09-03 2011-07-28 Alberto-Culver Company Hair styling method
JP2011067607A (ja) 2009-08-27 2011-04-07 Yuzo Kato コールドパーマの施術方法及びその器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310A (ko) 2015-06-16 2016-12-26 (주) 컨템포 남자 전용 겔펌제를 이용한 퍼머방법과 그 겔펌제 및 겔펌제 제조방법
KR102237446B1 (ko) * 2020-09-01 2021-04-07 송은나 모발의 염색 시술방법
KR102240172B1 (ko) 2020-09-01 2021-04-14 송은나 모발의 펌 시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480A (ko)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5168A (en) Composition for treating hair
JP3340999B2 (ja) 毛髪修復及びストレートヘアー化の方法
KR101433652B1 (ko) 펌제 또는 염색제의 도포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펌 또는 염색 방법
JPH07303513A (ja) ウエーブパーマ等のヘア処理方法とその処理装置
CORBETT The chemistry of hair‐care products
KR20110012786A (ko) 모발손상 없는 퍼머넌트 웨이브 방법
JP3330581B2 (ja) 加温二浴式パーマ用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毛髪のパーマ処理方法
TWI802784B (zh) 毛髮處理方法
KR102106852B1 (ko) 모발 손상을 최소화하는 펌 시술방법
US3964499A (en) Process for permanently shaping hair
JP6007378B2 (ja) 毛髪の調整方法
JP2003231619A (ja) 染着またはトーンアップ用染毛方法、および毛髪強化コールドウエーブ法
JP3872523B2 (ja) 毛髪のパーマネント加工剤および加工法
GB2090303A (en) Method for Relaxing and then imparting Controlled Curvature to Curly or Kinky Hair
JP6946136B2 (ja) 頭髪改善方法
US20200163869A1 (en) Photogenic: The Hair Care System in a Jar (Minus Cleanser)
JP2017014175A (ja) 毛髪前処理方法及び毛髪前処理剤
Hair Hair
CA2989747C (en) Method for hair shaping treatment that is hair straightening treatment or permanent waving treatment, and hair treating liquid for hair shaping treatment
KR100437251B1 (ko) 인성작용 형상 기억 가발의 제조방법
JP2008266235A (ja) 毛髪処理方法
KR100691867B1 (ko) 퍼머액 및 이를 이용한 퍼머방법
JP2009120543A (ja) 縮毛矯正施術方法
JP4648492B1 (ja) パーマネントの処理方法
RU2704461C1 (ru) Способ долговременной укладки волос кератиновым состав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