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695B1 -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전도성 잉크젯 잉크 제조. - Google Patents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전도성 잉크젯 잉크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695B1
KR100663695B1 KR1020040009153A KR20040009153A KR100663695B1 KR 100663695 B1 KR100663695 B1 KR 100663695B1 KR 1020040009153 A KR1020040009153 A KR 1020040009153A KR 20040009153 A KR20040009153 A KR 20040009153A KR 100663695 B1 KR100663695 B1 KR 100663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onductive
isopropyl alcohol
inkject
conducting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0960A (ko
Inventor
조규진
정민훈
양회택
Original Assignee
(주) 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파루 filed Critical (주) 파루
Priority to KR1020040009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6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80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69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 아닐린을 아이소프로필알콜에 가용화한 용액에 절단한 카본 나노튜브와 금 나노입자를 첨가하여 비저항 0.2Ωcm를 지닌 전도성 잉크젯 잉크를 제조하여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배선을 플라스틱 기판에 제조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4502312933-pat00005
전도성 고분자 아닐린, 전도성 잉크젯 잉크, 전도성 잉크

Description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전도성 잉크젯 잉크 제조.{Preparation Conductive Inkject Ink Using Conducting Polymer}
[도1]은 제조한 전도성 잉크를 잉크젯 카트리지에 넣는 사진.
[도2]은 합성한 가용성 폴리아닐린 필름의 XRD 패턴.
[도3]은 제조한 전도성 잉크를 이용하여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기판에 배선한 예시용 사진.
본 발명은 단순히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하여 복잡한 전기 전도성 배선을 패턴닝 할수 있는 전도성 잉크젯 잉크 제조를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도성 잉크가 기존의 금속 배선 재료를 대체 한다면 그 시장의 파급 효과가 매우 크나 아직까지는 이들 금속 배선 재료를 대체 할만한 재료가 개발되지 않았으며 카본 블랙과 그라파이트 분말을 수지와 혼합한 형태에 관한 특허가 있으나(특 1990-0001952), 이와 같은 전도성 잉크는 전기 전도도 조절이 어렵고, 금속 배선 방법에 비하여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며 종이 이외의 기판에 대한 접 착력도 약하여 쉽게 박리되어 반도체 등의 소자에서 배선 재료와 배선 방법으로 쓰기에는 많은 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비록 전기 전도성에서는 기존의 금속 배선을 대체 할 수는 없으나 손쉽게 반도체 배선 및 소형의 소자를 저렴한 가격으로 구축 할 수 있는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 방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잉크젯 잉크를 가용성의 전도성 고분자 아닐린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이소프로필알콜에 가용성의 고분자 아닐린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아닐린(0.44mole)을 1ℓ의 1MHCl 용액에 넣고 (NH4)2S2O8을 0.3mole 첨가하여 0℃에서 15시간 교반한후, 그린색의 에메랄딘 염을 여과한후 다시 1MHCl에 넣어 15시간 교반후 여과 건조하고, 50% DBSA(Dodecyl benzene sulfuric acid)와 Chlorosulfuric acid를 1,2-dichlororethane 200㎖에서 30분간 교반한후 여과하여 건조한후 다양한 용매에 녹여 필름을 제조한후 XRD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아닐린의 결정성과 전기 전도성을 측정하였다. [도2]에 고분자 아닐린의 용매에 따른 XRD 패턴을 도시 하였고 얻어진 최고의 전기 전도성은 43S/cm였다. 제조된 고분자 아닐린은 아이소프로필알콜에 매우 잘 녹으며, 고분자 아닐린 아이소프로필알콜 용액을 기준으로 하여 가본 나노 튜브와 금 나노입자를 첨가하여 전기 전도성을 조절 하고 고분자 에틸렌 옥사이드를 첨가하여 점도를 조절하였다.
고분자 아닐린을 이용한 다양한 전도성을 지닌 전도성 잉크젯트 잉크 제조 조성을 보면 아래[표1]과 같다.
Figure 112004502312933-pat00001
가용성의 전도성 고분자 아닐린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다양한 비저항을 지닌 배선을 패턴닝 할 수 있는 잉크젯용 잉크는 향후 유기 FET(field effect transistor)제조 및 소형 단순 표시장치등의 배선 방법으로 이용 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아이소프로필알콜 가용성의 폴리아닐린과 도판트로서 DBSA(dodecylbenzene sulfonic acid) 를 이소프로필알콜에 용해하여 비저항 500kΩ·㎝의 잉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잉크의 제조방법.
  3. 아이소프로필알콜 가용성의 폴리아닐린과 도판트로서 DBSA(dodecylbenzene sulfonic acid) 를 이소프로필알콜에 용해하고 절단된 카본나노튜브와 금 나노 입자를 더 첨가하여 비저항 0.2Ω·㎝의 배선을 형성할 수 있는 잉크젯용 잉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잉크의 제조방법.
  4. 삭제
KR1020040009153A 2004-02-11 2004-02-11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전도성 잉크젯 잉크 제조. KR100663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153A KR100663695B1 (ko) 2004-02-11 2004-02-11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전도성 잉크젯 잉크 제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153A KR100663695B1 (ko) 2004-02-11 2004-02-11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전도성 잉크젯 잉크 제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960A KR20050080960A (ko) 2005-08-18
KR100663695B1 true KR100663695B1 (ko) 2007-01-02

Family

ID=3726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153A KR100663695B1 (ko) 2004-02-11 2004-02-11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전도성 잉크젯 잉크 제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6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276B1 (ko) 2008-12-30 2011-03-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전도성 실리카-폴리아닐린 코어-쉘 나노입자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의 제조방법
KR101195036B1 (ko) 2009-12-31 2012-10-29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롤투롤 직접 인쇄방식에 적용 가능한 저온 소성용 초저가 전도성 고분자 하이브리드 잉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260B1 (ko) 2006-06-29 2008-01-04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이용한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US20080187651A1 (en) * 2006-10-24 2008-08-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ductive ink formula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325A (ko) * 1996-07-16 1998-04-30 이종학 가용 전기전도성 폴리아닐린의 제조방법
KR20000019871A (ko) * 1998-09-16 2000-04-15 유현식 도전성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액의 제조방법
JP2001049170A (ja) * 1999-08-06 2001-02-20 Maruai:Kk 導電性インキまたは導電性塗料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導電性インキを充填した筆記具
KR20010109813A (ko) * 2000-06-02 2001-12-12 오권오 가용성 폴리아닐린 염을 이용한 전자기파 흡수체용 도료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325A (ko) * 1996-07-16 1998-04-30 이종학 가용 전기전도성 폴리아닐린의 제조방법
KR20000019871A (ko) * 1998-09-16 2000-04-15 유현식 도전성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액의 제조방법
JP2001049170A (ja) * 1999-08-06 2001-02-20 Maruai:Kk 導電性インキまたは導電性塗料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導電性インキを充填した筆記具
KR20010109813A (ko) * 2000-06-02 2001-12-12 오권오 가용성 폴리아닐린 염을 이용한 전자기파 흡수체용 도료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276B1 (ko) 2008-12-30 2011-03-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전도성 실리카-폴리아닐린 코어-쉘 나노입자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의 제조방법
KR101195036B1 (ko) 2009-12-31 2012-10-29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롤투롤 직접 인쇄방식에 적용 가능한 저온 소성용 초저가 전도성 고분자 하이브리드 잉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960A (ko)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6304B2 (en) Gelable composition
Nie et al. Inkjet printing of silver citrate conductive ink on PET substrate
KR101195078B1 (ko) 프탈로시아닌 나노 와이어, 그것을 함유하는 잉크 조성물 및 전자 소자, 및 프탈로시아닌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
KR101085160B1 (ko) 금속 나노벨트,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도전성 잉크 조성물 및 전도성 필름
US8070986B2 (en) Silver paste for forming conductive layers
CN101050269B (zh) 官能化杂并苯和由其产生的电子器件
CN102205423B (zh) 金属纳米粒子及其制造方法以及含有其的金属油墨组合物
CN104263082A (zh) 一种石墨烯有机银导电油墨及其制备方法
CN103468159A (zh) 一种银包镍粉导电胶及其制备方法
CN1610143B (zh) 半导体聚合物及其装置
US9418769B2 (en) Conductive carbon nanotube-metal composite ink
KR100663695B1 (ko)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전도성 잉크젯 잉크 제조.
CN110204962A (zh) 一种石墨烯导电油墨及其制备方法
Manjunath et al. Low-temperature reducible particle-free screen-printable silver ink for the fabrication of high conductive electrodes
CN103952034A (zh) 一种免树脂纳米银导电油墨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03087222A1 (en)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s exhibiting n-type conduction
KR20170019140A (ko) 구리-아민 코-콤플렉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도성 이온 잉크 및 이를 이용한 미세 패턴전극의 제조방법
KR20100031843A (ko) 전도성 금속 전극 형성용 잉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666115B1 (ja) フタロシアニンナノワイヤー、それを含有するインキ組成物及び電子素子、並びにフタロシアニンナノワイヤーの製造方法
KR101116752B1 (ko) 이산화루테늄 나노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US9378860B2 (en) Polyvinyl copolymer, dopant having the same, and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having the dopant
CN113646899B (zh) n型半导体元件、n型半导体元件的制造方法、无线通信装置和商品标签
TWI591051B (zh) 導電油墨以及導電層的製造方法
KR101205448B1 (ko) 흑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그라비아 잉크 조성물
KR20120137323A (ko) 흑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그라비아 잉크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