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670B1 -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 Google Patents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670B1
KR100660670B1 KR1020000054906A KR20000054906A KR100660670B1 KR 100660670 B1 KR100660670 B1 KR 100660670B1 KR 1020000054906 A KR1020000054906 A KR 1020000054906A KR 20000054906 A KR20000054906 A KR 20000054906A KR 100660670 B1 KR100660670 B1 KR 100660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base
conductivity type
impurity
surface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0436A (ko
Inventor
사카모토가즈히사
Original Assignee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0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0611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wo-dimensional layout of components without a common active region
    • H01L27/0641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wo-dimensional layout of components without a common active region without components of the field effect type
    • H01L27/0647Bipolar transistors in combination with diodes, or capacitors, or resistors, e.g. vertical bipolar transistor and bipolar lateral transistor and resistor
    • H01L27/0652Vertical bipolar transistor in combination with diodes, or capacitors, or resistors
    • H01L27/0658Vertical bipolar transistor in combination with resistors or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 H01L29/866Zener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Bipolar junction transistors
    • H01L29/7302Bipolar junction transis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H01L29/7304Bipolar junction transis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the device being a resistive element, e.g. ballasting re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 Bipolar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반도체기판에 형성된 제1의 도전형 베이스영역과, 이 베이스영역 내에 형성된 제2의 도전형 이미터영역과, 베이스영역에 접합하여 형성된 제2의 도전형 컬렉터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이다.
컬렉터영역 내에는, 베이스영역과는 분리되어 제1의 도전형 불순물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영역에 접속된 베이스 전극에는, 표면저항이 접속되어 있다. 이 표면저항은, 다른 위치에서, 상기 불순물영역에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BIPOLAR TRANSISTOR}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저항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상기 반도체장치의 등가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저항 트랜지스터 및 종래의 저항 트랜지스터의 정전(靜電)파괴검사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4(f)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저항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을 공정순서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저항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반도체기판 12 : 베이스영역
13 : 이미터영역 15 : 절연막
16 : 베이스 콘택트 영역 17 : 이미터 콘택트 영역
18, 19 : 콘택트 홀 20 : 베이스전극
21 : 이미터전극 22 : N+형 영역
23 : 표면저항 24 : 베이스패드
26 : 불순물영역 27 : 기생 제너다이오드
28 : N+형 아이솔레이션영역 29 : 저항
30 : 산화실리콘 막 50 : 표면보호막
50a, 50b : 개구부
본 발명은, 저항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회로에 매우 적합한 저항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의 종래의 구성은, 도 5에 나타나 있다.
즉, N형 반도체기판(91)의 표층부에, P형의 베이스영역(92)이 형성되며, 이 P형의 베이스영역(92)내에 N형의 이미터영역(93)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영역(92) 및 이미터영역(93)에는, 각각, 베이스전극(95) 및 이미터전극(96)이 접속되어 있다.
베이스전극(95) 및 이미터전극(96)은, 각각 N형 반도체기판(91)상의 절연막(94)에 형성된 콘택트 홀(94a, 94b)을 통해서, 절연막(94)위에 융기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컬렉터전극은, N형 반도체기판(91)의 이면 측에 있어서, N+형 영역(97)을 통 해서 취해지도록 되어 있다.
절연막(94)상에는, 예를 들면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저항(98)이 배설되어 있다.
표면저항(98)의 일단부는, 절연막(94)에서 융기한 베이스전극(95)에 접속되어 있다.
이 표면저항(98)의 타단부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베이스패드(9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반도체장치의 가장 표면은 표면보호막(90)으로 덮여있으며, 베이스패드(99)의 표면의 일부는, 표면보호막(90)에 형성된 개구부(90a)를 통하여 노출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와이어는, 베이스패드(99)의 개구부(99a)를 통하여 노출된 부분에 본딩된다.
이에 의해, 베이스와이어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의 전류는, 표면저항(98)을 통하여 베이스전극(95)에 주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절연막(94)상에 표면저항(98)을 설치하고 있는 것은, 반도체기판 내에 설치되는 확산저항과 비교하여 저항 정도(精度)가 좋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베이스-이미터 사이에 순방향 서지 전압(surge voltage)이 가해지면, 표면저항(98)에 과전류가 흘러 발열하여, 표면저항(98)이 소손(燒損) 될 우려가 있다.
또, 베이스-이미터 사이에 역방향 서지 전압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N형 반도 체기판(컬렉터영역)(91)으로부터 베이스패드(99)를 향해 누설전류가 흐르며, 이 누설전류에 의해 베이스패드(99)의 아래쪽의 절연막(94)에 스폿형상의 파괴흔적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저항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장치는, 파괴내량(破壞耐量)이 꼭 충분한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의 과제와 목적은, 파괴내량의 향상을 기할 수 있는 저항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는, 반도체기판에 형성된 제1의 도전형 베이스영역과, 이 베이스영역 내에 형성된 제2의 도전형 이미터영역과, 베이스영역에 접합하여 형성된 제2의 도전형 컬렉터영역과, 컬렉터영역 내에 베이스영역과는 분리되어 형성된 제1의 도전형 불순물영역과, 베이스영역에 접속된 베이스전극과, 이 베이스전극에 어떤 위치에서 접속된 표면저항과, 이 표면저항의 다른 위치에 접속되며, 또한, 상기 불순물영역에 접속된 베이스패드를 포함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는, 반도체기판에 형성된 제1의 도전형 베이스영역과, 이 베이스영역 내에 형성된 제2의 도전형 이미터영역과, 베이스영역에 접합하여 형성된 제2의 도전형 컬렉터영역과, 베이스영역에 접속된 베이스전극과, 이 베이스전극에 어떤 위치에서 접속된 표면저항과, 이 표면저항의 다른 위치에 접속된 베이스패드를 갖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패드는 컬렉터영 역에 접속되어 있으며, 컬렉터영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드의 접합부위에는, 베이스영역과는 분리되어 제1의 도전형 불순물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의 도전형은, 상기 제1의 도전형과는 다른 도전형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컬렉터영역과 불순물영역에 의해 PN접합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베이스패드와 컬렉터영역 사이에 기생 제너다이오드가 형성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베이스-이미터 사이에 순방향의 서지 전압이 가해져도, 베이스패드에 입력되는 순방향의 과대전류는 기생 제너다이오드를 통해서 컬렉터영역으로 빠져나가게 됨으로, 표면저항에 과전류가 흐르는 일은 없다.
따라서, 표면저항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한 타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순방향 서지 전압에 대한 파괴내량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기생 제너다이오드의 항복전압(breakdown voltage) 이상의 역방향 서지 전압이 베이스-이미터 사이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기생 제너다이오드의 항복현상이 생기고, 컬렉터영역으로부터 베이스패드를 향해서 누설전류가 흐른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컬렉터영역의 표면을 덮도록 절연막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이 절연막이 파괴되어 스폿형상의 파괴흔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역방향 서지 전압에 대한 파괴내량의 향상도 꾀할 수가 있다.
또, 기생 제너다이오드는, 컬렉터영역에 있어서 베이스패드와의 접속부위에 형성되기 때문에, 기생 제너다이오드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반도체장치의 사이즈의 대형화를 초래할 우려는 없다.
본 발명의 상기한 설명과, 그 밖의 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하여 확실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저항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N형 반도체기판(11)의 표층부에는, P형의 베이스영역(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P형의 베이스영역(12)내에, N형의 이미터영역(1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NPN구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N형 반도체기판(11)이 컬렉터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N형의 컬렉터영역(11')의 표면에는, P형의 불순물이 저농도로 확산되는 것에 의하여, P-형 확산층(14)이 전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기판(11)의 표면은, 예를 들면 산화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절연막(15)으로 덮여있다.
절연막(15)에는, 각각 베이스영역(12)의 표면에 설정된 베이스 콘택트 영역(16) 및 이미터영역(13)의 표면에 설정된 이미터 콘택트 영역(17)을 노출시키는 콘택트 홀(18, 1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콘택트 홀(18)을 통해서 베이스 콘택트 영역(16)에 접속되도록 베이스전극(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콘택트 홀(19)을 통하여 이미터 콘택트 영역(17)에 접속되도록 이미터전극(21)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전극(20) 및 이미터전극(21)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컬렉터전극은, N형 반도체기판(11)의 이면측에 있어서, N+형 영역(22)을 통하여 취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절연막(15)에는, 예를 들면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장척 형상의 표면저항(23)이 배설되어 있다.
표면저항(23)의 길이는, 예를 들면 5000Å이다.
표면저항(23)의 일단은, 콘텍트 홀(18)위에 융기한 베이스전극(20)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표면저항(23)의 타단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절연막(15)상에 융기한 상태로 형성된 베이스패드(24)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 반도체장치의 가장 표면은 표면보호막(50)으로 덮여있으며, 이미터전극(21) 및 베이스패드(24)의 일부는, 각각 표면보호막(50)에 형성된 개구부(50a, 50b)를 통해서 노출되어 있다.
베이스패드(24)는 또한, 절연막(15)에 형성된 콘텍트 홀(25)을 통해서 컬렉터영역(1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컬렉터영역(11')에 있어서 베이스패드(24)의 접합부위에는, P-형 확산층(14)보다 불순물농도가 높은 P형 불순물영역(26)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P형 불순물영역(26)과 N형의 컬렉터영역(11')과의 사이에서 PN접합이 형성되며, 도 2의 등가회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패드(24)와 컬렉터영역(11') 사이에 기생 제너다이오드(27)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영역(12)과 P형 불순물영역(26)과의 사이에는, 베이스영역(12)과 P형 불순물영역을 분리시키기 위해, N+형의 아이솔레이션 영역(28)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전극(20)과 이미터전극(21)의 사이에는, 예를 들면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저항(29)이 개재되어 있다.
이 저항(29)에 대하여, 도 1에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면 베이스-이미터 사이에 순방향의 서지 전압이 가해져도,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와이어로부터 베이스패드(24)에 입력되는 순방향 전류의 일부는 기생 제너다이오드(27)를 통하여 컬렉터영역(11')으로 빠지게 됨으로, 표면저항(23)에 과전류가 흐르는 일이 없다.
따라서, 표면저항(23)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인해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기생 제너다이오드(27)의 항복전압 이상의 역방향 서지 전압이 베이스-이미터 사이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기생 제너다이오드(27)의 항복현상이 발생하여, 컬렉터영역(11')으로부터 베이스패드(24)를 향해 누설전류가 흐른다.
이에 의해, 절연막(15)에 누설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절연막(15)에 누설전류에 의한 스폿형상의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생 제너다이오드(27)는, 컬렉터영역(11')에 있어서 베이스패드(24)와의 접속부위에 형성되기 때문에, 기생 제너다이오드(27)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반도체장치의 사이즈가 대형화 될 우려는 없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저항 트랜지스터 및 종래의 저항 트랜지스터의 정전(靜電)파괴검사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전파괴검사는, 베이스전극에 저항(예를 들면 1㏀)을 통해서 접속된 콘덴서(예를 들면 200pF)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하를 축적시킨 후, 이 콘덴서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시켜서, 컬렉터-베이스 사이 및 베이스-이미터 사이에 전류를 흘렸을 때에 생기는 파괴수를 조사하는 것으로 행하였다.
이 정전파괴검사의 결과로서, 도 3에는 베이스-이미터간 전압(콘덴서 인가전압)과 파괴가 생긴 트랜지스터의 개수(파괴개수)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대한 결과는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종래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대한 결과는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정전파괴검사의 결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정전파괴를 일으키는 최저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파괴전압)은, 종래의 저항 트랜지스터에 있어서의 파괴전압의 약 1.5배가 되며, 본 실시형태의 저항 트랜지스터는, 종래의 저항 트랜지스터보다 파괴내량이 향상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4(a)∼4(f)는, 본 실시형태의 저항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을 공정순서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측에 N+형 영역(22)을 갖는 N형 반도체기판(11)의 표면이 열 산화되어 산화실리콘막(30)이 형성된다.
이 산화실리콘막(30)의 표면으로부터 P형 불순물(예를 들면, 붕소)이 저농도로 확산되는 것에 의하여, 반도체기판(11)의 표면 전역에 P-형 확산층(14)이 형성된다.
다음,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화실리콘막(30)에 있어서 베이스영역(12) 및 P형 불순물영역(26)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31, 32)가 형성되며, 이 오목부(31, 32)로부터 P형 불순물(예를 들면, 붕소)이 고농도로 확산되는 것에 의하여, 각각 베이스영역(12) 및 P형 불순물영역(26)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화실리콘막(30)의 오목부(31)내의 이미터영역(13)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31) 보다 1단 낮은 오목부(33)가 형성됨과 동시에, 산화실리콘막(30)에 있어서 아이솔레이션 영역(28)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34)가 형성된다.
그 후, 오목부(33, 34)로부터 N형 불순물(예를 들면, 인)이 고농도로 확산되는 것에 의하여, 각각 이미터영역(13) 및 아이솔레이션 영역(28)이 형성된다.
이어서,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화실리콘막(30)이 제거되어 반도체기판(11)의 표면이 노출된 후, 이 노출된 반도체기판(11)상에 절연막(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절연막(15)상에, 예를 들면,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저항(23)이 패턴 형성된다.
그 후, 도 4(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진인쇄 기술에 의해, 콘택트 홀(18, 19, 25)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4(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전극(20) 및 베이스패드(24)가, 각각 콘택트 홀(18, 25)을 통해서 베이스영역(12) 및 P형 불순물영역에 접속되며, 또한, 표면저항(23)에 접속되도록 형성된다.
또, 콘택트 홀(19)을 통해서 이미터영역(13)에 접속되도록 이미터전극(21)이 형성된다.
또한, 가장 표면에 표면보호막(50)이 형성된 후, 이 표면보호막(50)에 이미터전극(21) 및 베이스패드(24)의 표면의 일부를 각각 노출시키도록 개구부(50a, 50b)가 형성되며,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저항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장치가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로도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폴리실리콘으로 표면저항이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폴리실리콘 이외에, 예를 들면 탄탈 나이트라이드(TaN)로 표면저항이 형성되어도 좋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NPN형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PNP형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의 경우에는, P형의 컬렉터영역에 있어서 베이스패드와의 접합부위에 N 형 영역을 형성하고, 이 N형 영역과 P형의 컬렉터영역에 의해 PN접합을 형성시키면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장치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복수개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장치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이외의 복수의 기능소자를 동일 반도체기판 위에 갖는 IC(집적회로)와 같은 반도체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기와 같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구체적인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들 구체적인 예에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는 첨부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컬렉터영역과 불순물영역에 의해 PN접합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베이스패드와 컬렉터영역 사이에 기생 제너다이오드가 형성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베이스-이미터 사이에 순방향의 서지 전압이 가해져도, 베이스패드에 입력되는 순방향의 과대전류는 기생 제너다이오드를 통해서 컬렉터영역으로 빠져나가게 됨으로, 표면저항에 과전류가 흐르는 일은 없다.
따라서, 표면저항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한 소손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순방향의 서지 전압에 대한 파괴내량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6)

  1. 반도체기판에 형성된 제 1 도전형 베이스영역;
    상기 베이스영역 내에 형성된 제 2 도전형 이미터영역;
    제 1 도전형 확산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영역에 접합되어 형성된 제 2 도전형 컬렉터영역;
    상기 컬렉터영역 내에 상기 베이스영역과는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컬렉터영역과의 PN접합으로 제너다이오드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도전형 확산층보다 불순물농도가 높은 제 1 도전형 불순물영역;
    상기 베이스영역에 접속된 베이스전극;
    상기 베이스전극에 소정 위치에서 접속된 표면저항; 및
    상기 표면저항의 다른 위치에 접속되고, 상기 불순물영역에 접속된 베이스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컬렉터영역에는, 상기 베이스영역과 상기 불순물영역 사이에서 이들을 분리시키기 위한 제 2 도전형 아이솔레이션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2 도전형 반도체기판의 표면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확산시키는 것에 의해, 베이스영역 및 상기 베이스영역과는 분리된 불순물영역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베이스영역 내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확산시키는 것에 의해, 이미터영역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반도체기판으로부터 절연된 상태로 표면저항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베이스영역 및 상기 표면저항의 어떤 위치에 접촉하는 베이스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불순물영역 및 상기 표면저항의 다른 위치에 접촉하는 베이스패드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베이스영역과 상기 불순물영역 사이에, 이들을 분리시키기 위한 제 2 도전형 아이솔레이션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불순물영역은, 상기 반도체기판에 포함된 제 1 도전형 확산층보다 불순물농도가 높고, 상기 반도체기판과의 PN접합으로 제너다이오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00054906A 1999-09-21 2000-09-19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KR1006606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767799A JP2001094051A (ja) 1999-09-21 1999-09-21 半導体装置
JP11-267677 1999-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436A KR20010030436A (ko) 2001-04-16
KR100660670B1 true KR100660670B1 (ko) 2006-12-21

Family

ID=17448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906A KR100660670B1 (ko) 1999-09-21 2000-09-19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63194B1 (ko)
JP (1) JP2001094051A (ko)
KR (1) KR100660670B1 (ko)
CN (1) CN1176497C (ko)
TW (1) TW4577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1851B2 (ja) * 2004-10-08 2012-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101040859B1 (ko) * 2009-09-02 2011-06-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WO2011064618A1 (en) * 2009-11-26 2011-06-03 Nxp B.V.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JP5641879B2 (ja) * 2010-11-02 2014-12-1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20180102318A1 (en) * 2016-10-12 2018-04-12 Globalfoundries Inc. Compound resistor structure for semiconductor device
JP7079638B2 (ja) 2018-03-29 2022-06-02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素子
CN113161351B (zh) * 2021-03-23 2022-03-11 江苏新顺微电子股份有限公司 双极晶体管集成高压启动电阻的器件结构及制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531Y1 (ko) * 1994-09-30 1998-07-01 곽정소 쇼트키 트랜지스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9340A (en) * 1980-02-04 1984-12-18 Nippon Telegraph & Telephone Public Corporation PNPN Light sensitive semiconductor switch with phototransistor connected across inner base regions
US4758872A (en) * 1984-10-25 1988-07-19 Nec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fabricated in a semiconductor substrate
JP3375659B2 (ja) * 1991-03-28 2003-02-10 テキサス インスツルメ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静電放電保護回路の形成方法
FR2683947B1 (fr) * 1991-11-18 1994-02-18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Sa Diode de protection monolithique basse tension a faible capacite.
JP3052648B2 (ja) * 1993-02-21 2000-06-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6015992A (en) * 1997-01-03 2000-01-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istable SCR-like switch for ESD protection of silicon-on-insulator integrated circuits
US6242763B1 (en) * 1999-09-14 2001-06-05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Low triggering voltage SOI silicon-control-rectifier (SCR)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531Y1 (ko) * 1994-09-30 1998-07-01 곽정소 쇼트키 트랜지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63194B1 (en) 2003-05-13
TW457720B (en) 2001-10-01
JP2001094051A (ja) 2001-04-06
KR20010030436A (ko) 2001-04-16
CN1176497C (zh) 2004-11-17
CN1289150A (zh) 2001-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3424A (en) Method for protecting an integrated circuit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s
US5043782A (en) Low voltage triggered snap-back device
JPS6358380B2 (ko)
JP3306273B2 (ja) 半導体集積回路とその製造方法
JP5749616B2 (ja) 半導体装置
US4543593A (en) Semiconductor protective device
CN100514678C (zh) 在接合焊盘下的低电容静电放电保护结构
TWI295100B (ko)
JPH03224263A (ja) Cmos集積回路の静電放電保護構造
KR100660670B1 (ko)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US20220231008A1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EP0472654B1 (en) Low voltage triggered snap-back device
KR100553015B1 (ko) 반도체장치
JPS5852347B2 (ja) 高耐圧半導体装置
US6320229B1 (en) Semiconductor device
JPH05505060A (ja) 低トリガ電圧scr保護装置及び構造
JP2548155B2 (ja) モノリシツク集積化半導体装置
JP3708764B2 (ja) 半導体装置
JPH0629466A (ja) 半導体集積回路
JP2004335634A (ja) Esd保護ダイオード
JP2901275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H069208B2 (ja) 半導体装置
JP3128958B2 (ja) 半導体集積回路
JPH0478018B2 (ko)
JP2649938B2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