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531Y1 - 쇼트키 트랜지스터 - Google Patents

쇼트키 트랜지스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531Y1
KR0119531Y1 KR2019940025610U KR19940025610U KR0119531Y1 KR 0119531 Y1 KR0119531 Y1 KR 0119531Y1 KR 2019940025610 U KR2019940025610 U KR 2019940025610U KR 19940025610 U KR19940025610 U KR 19940025610U KR 0119531 Y1 KR0119531 Y1 KR 01195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ottky
low concentration
silicon layer
transisto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56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2686U (ko
Inventor
강대석
이상열
Original Assignee
곽정소
한국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정소, 한국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곽정소
Priority to KR2019940025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531Y1/ko
Publication of KR9600126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6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5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531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쇼트키(schottky)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으로, 분리영역 양측의 저농도 실리콘층 중 일측의 저농도 실리콘층상에 에미터,베이스 및 콜렉터로 구성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타측의 상기 저농도 실리콘층상에 상기 저농도 실리콘층과 배선금속간의 접합형성을 위한 전극창이 2개이상 되도록 병렬로 구성된 쇼트키 다이오드와,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콜렉터간에 상기 쇼트키 다이오드를 병렬연결하기 위한 결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와 같은 쇼트키 다이오드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분리시켜 전위장벽 감소문제에 의한 역장향 항복전압특성 약화를 방지함으로써 순방향 온전압과 역방향 항복전압 특성이 좋으며, 별도의 추가공정 없이 배선금속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쇼트키 다이오드를 형성하므로써 제조가 용이할 뿐 아니라 제조가를 절감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쇼트키(schottky) 트랜지스터
제 1 도는 쇼트키 트랜지스터의 등가회로도
제 2 도는 종랭의 기술에 의한 쇼트키 트랜지스터의 평면도
제 3 도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쇼트키 트랜지스터의 수직구조
제 4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쇼트키 트랜지스터의 평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쇼트키 트랜지스터 의 수직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도체기판2 : 매몰층
3 : 저농도 실리콘층4 : 분리영역
5 : 저농도 불순물 확산층6 : 제 1 농도 불순물 확산층
7 : 제 2 농도 불순물 확산층8 : 오믹 첩촉부
9 : 쇼트키 접촉부10 :고농도 실리콘층
11 : 열산화막12 : 금속전극
본 고안은 쇼트키(schottky)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역방향 항복전압의 특성악화를 방지하고 제조가를 감소시키기 위한 쇼트키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쇼트키 트랜지스터는 제 1 도의 (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콜렉터 사이에 쇼트키 다이오드를 삽입함으로써 트랜지스터가 온(on) 상태에서도 포화하지 않도록한 것으로, 기호로는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기호의 베이스 전극의 모양을 바꾸어 코렉터-베이스간에 쇼트키 다이오드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그리고 실제 구조는 제 2도 및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p)형 반도체기판(1) 상에 형성된 고농도의 엔(n)형의 매몰층(2)과, 상기 매몰층(2)이 형성된 구조물 전면에 성장된 저농도 실리콘층(3)과, 성장시키고, 상기 저농도 실리콘층(3)에 선택적으로 고농도의 피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형성된 분리영역(4)과, 상기 분리영역(4)에 의해 나눠진 저농도 실리콘층(3)상에 다시 베이스용 피형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확산시켜 형성된 저농도 불순물 확산층(5)과. 엔형 불순물을 확산시켜 상기 저농도 불순물 확산층(5) 내부에 형성된 에미터용 제 1 고농도 불순물 확산층(6)과, 외부의 저농도 실리콘층(3) 소정영역에 엔형 불순물을 확산시켜 형성된 콜렉터용 제 2고농도 불순물 확산층(7)과, 상기 베이스 영역을 위한 저농도 불순물 확산층(5)과 제 2고농도 불순물 확산층(7) 사이의 저농도 실리콘층(3)상에 형성된 쇼트키 접촉부(9)와, 콜렉터, 베이스 및 에미터 영역을 절연시키기 위해 도포 및 패터닝된 열산화막(11)과, 금속전극(1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트랜지스터에 비해 문턱전압과 1비트당 발열량 및 소비전력이 월등하게 작으며, 엑세스 타임(access time)이 매우 빠른 특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쇼트키 트랜지스터는, 배선금속 외에도 쇼트키 장벽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공정이 추가로 필요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주로 백금실리사이드와 같은 고가의 금속을 사용함으로써 제조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베이스와 콜렉터 사이에 쇼트키 다이오드가 위치하므로 상기 쇼트키 다이오드에서의 전위장벽 감소문제에 의한 역방향 항복전압특성이 악화되어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선금속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만을 적용하여 트랜지스터와 분리된 섬에 다수의 쇼트키 전극을 병렬형성하고, 이를 배선금속으로 다시 연결함으로써 제조가를 낮추고, 역방향 누설전류를 감소시킬수 있는 쇼트키 트랜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쇼트키 트랜지스터는, 분리영역 양측의 저농도 실리콘층 중 일측의 저농도 실리콘층에 에미터,베이스 및 콜렉터로 구성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타측의 상기 저농도 실리콘층상에 상기 저농도 실리콘층과 배선금속간의 접합형성을 위한 전극창이 2개 이상 되도록 병렬로 구성된 쇼트키 다이오드와,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콜렉터간에 상기 쇼트키 다이오드를 병렬연결 하기 위한 결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고안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한다.
본 고안의 쇼트키 트랜지스터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영역을 위해 피형 불순물을 확산시킨 저농도 불순물 확장층(5)과 상기 저농도 불순물 확장층(5)내에 에미터 영역을 위해 엔형 불순물을 확산시킨 제 1고농도 불순물 확산영역(6)과, 콜렉터 영역을 위해 상기 저농도 불순물 확장층(5)과 분리되도록 엔형 불순물을 확산시킨 제 2고농도 불순물 확산영역(7)으로 이루어진 바이폴라트랜지스터(50)가 형성된 저농도 다결정실리콘층(3)과, 매트릭스형의 다수의 쇼트키 접촉부(9)와 오믹 접촉부(8)로 이루어진 쇼트키 다이오드(100)가 형성된 저농도 실리콘층(3)이 고농도 피형 분순물을 확산시킨 분리영역(4)에 나누어져 있으며, 상기 쇼트키 다이오드(100)는 후속공정시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50)의 베이스영역과 콜렉터 영역 사이에 결선되도록 하며, 사용효율을 높기기 위해 소자전체면적의 약10% 미만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5도를 참조하여 상기 쇼트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비저항이 25[Ω·cm] 정도인 피형 반도체기판(1)에 고농도 엔형의 메몰층(2)을 형성한후 그위에 다시 2E15[Atom/cm3] 정도의 실리콘을 고온기상분위기에서 적층시켜 저농도 실리콘층(3)을 형성하며, 상기 저온도 실리콘층(3)에 고농도의 피형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확산시켜 분리영역(4)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저농도 실리콘층(3)으로 여러개의 분리된 섬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분리영역(4)를 중심으로 일측의 저농도 실리콘층(3) 상부에 열산화막을 형성한 후 사진식각공정을 거쳐 마스크를 형성하고, 이를 적용하여 상기 저농도 실리콘층(3)내에 표면저항이 오믹 전극을 위해 200[Ω·□]가 되도록 피형 불순물을 주입 및 확산시켜 베이스용 저농도 불순물 확장층(5)을 형성한후 상기 마스크를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저농도 불순물 확장층(5) 내에 에미터 영역을 위한 엔형 불순물로서, 예를 들면 고농도의 POCI3을 1000℃정도의 온도에서 적층 및 확산시켜 표면저항이 20[Ω·□]인 제 1고농도 불순물 확산영역(6)을 형성하며, 이와 동시에 콜렉터 영역을 위해 상기 저농도 불순물 확장층(5)과 분리되도록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엔형 불순물을 확산시킨 제 2고농도 불순물 확산영역(7)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고농도 불순물 확산영역(7)을 형성한 후 결과물 전면에 열산화막(11)을 형성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하부의 저농도 불순물 확장층(5)과 제 1및 제 2 고농도 불순물 확장층(6,7)의 일부를 노출시켜 콘택홀을 형성한 후 금속물질을 증착시키고 사진식각공정을 거쳐 금속전극(12)을 형성하여 상기 콘텍홀을 통해 각각의 금속전극(12)이 저농도 불순물 확산층(5)과 제 1 및 제 2 고농도 불순물 확장층(6,7)과 접촉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분리영역(4) 타측의 저농도 실리콘층(3)에는 다이오드 전극을 위해 엔형 불순물을 확산시켜 고농도 실리콘층(10)을 형성하고, 그위에 열산화막(11)을 형성하며, 이를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하부의 상기 고농도 실리콘층(10)을 노출시킴으로서 후속공정에 의한 금속전극과 상기 고농도 실리콘층(10)이 접촉하도록 매트릭스형의 다수의 쇼트키 접촉부를 형성한 후 결과물 전면에 금속물질을 증측시키고 사진식각공정에 의해 패터닝하여 금속전극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모든 금속전극은 알루미늄을 사용하며, 이 금속전극의 형성을 위한 사진식각공정시에는 쇼트키 다이오드의 경우 피엔 접합 표면에 더러워지거나 때가 묻어 있으면 이 부분의 리크전류성분이 합쳐져서 서서의 역방향 전류가 급증하는 소프트 브레이크다운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세정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쇼트키 다이오드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분리시켜 전위장벽 감소문제에 의한 역방향 항복전압특성악화를 방지함으로써 순방향 온전압과 역방향 항복전압이 각각 10[μA]에서 0.25[V]와 -30[V]로서 일반 저전력 쇼트키 다이오드에 못지않은 특성을 나타내므로 선형 바이폴라 집적소자의 고속스위칭 동작부에 사용할수 있으며, 별도의 추가공정 없이 배선금속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쇼트키 다이오드를 형성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할 뿐 아니라 제조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분리영역 양측의 저농도 실리콘층 중 일측의 저농도 실리콘층상에 에미터, 베이스 및 콜렉터로 구성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타측의 상기 저농도 실리콘층상에 상기 저농도 실리콘층과 배선금속간의 접합형성을 위한 전극창이 2개 이상 되도록 병렬로 구성된 쇼트키 다이오드와,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콜렉터간에 상기 쇼트키 다이오드를 병렬연결하기 위한 결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키(schottky) 트랜지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표면저항이 약 200[Ω·□]임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키(schottky) 트랜지스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 및 콜렉터는 표면저항이 약 20[Ω·□]임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키(schottky) 트랜지스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금속과 결선부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짐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키(schottky) 트랜지스터.
KR2019940025610U 1994-09-30 1994-09-30 쇼트키 트랜지스터 KR01195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610U KR0119531Y1 (ko) 1994-09-30 1994-09-30 쇼트키 트랜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610U KR0119531Y1 (ko) 1994-09-30 1994-09-30 쇼트키 트랜지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686U KR960012686U (ko) 1996-04-17
KR0119531Y1 true KR0119531Y1 (ko) 1998-07-01

Family

ID=6084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5610U KR0119531Y1 (ko) 1994-09-30 1994-09-30 쇼트키 트랜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5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670B1 (ko) * 1999-09-21 2006-12-21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670B1 (ko) * 1999-09-21 2006-12-21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686U (ko) 1996-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7813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430316A (en) VDMOS transistor with improved breakdown characteristics
JPS58212164A (ja) バイポ−ラメモリセル
JPH0427712B2 (ko)
JPH0671079B2 (ja) 双方向導通可能なモノリシック集積半導体デバイスとその製造方法
JPH02275675A (ja) Mos型半導体装置
EP0080730B1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wiring lay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715006A (ja) 集積化構体保護装置
JPH07169963A (ja) 集積化アクティブクランプ構体
JP2950025B2 (ja) 絶縁ゲート型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
US4639757A (en) Power transistor structure having an emitter ballast resistance
JPH0436466B2 (ko)
EP0451286A1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JPH08274321A (ja) 半導体装置
KR0119531Y1 (ko) 쇼트키 트랜지스터
JP4819986B2 (ja) 電力用mos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60753A (ja) 半導体装置
EP0032016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JPS5951149B2 (ja) バイポ−ラ半導体記憶装置
KR100247281B1 (ko)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를 이용한 접합 축전기 및 그 제조 방법
KR970010017B1 (ko) 반도체장치와 그 제조방법
JPS61296760A (ja) 半導体装置
JPS61129867A (ja) 半導体装置
JPH0425711B2 (ko)
JPS60123062A (ja) 半導体集積回路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