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456B1 -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456B1
KR100660456B1 KR1020060004925A KR20060004925A KR100660456B1 KR 100660456 B1 KR100660456 B1 KR 100660456B1 KR 1020060004925 A KR1020060004925 A KR 1020060004925A KR 20060004925 A KR20060004925 A KR 20060004925A KR 100660456 B1 KR100660456 B1 KR 100660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test tray
chamber
tray
hand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근
양근홍
박재완
Original Assignee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4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0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하는 핸들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는, 테스트할 반도체 소자들이 장착된 테스트 트레이가 복수개 적재되는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와; 상기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로부터 반송된 테스트 트레이를 수평 상태로 한 스텝씩 반송하면서 반도체 소자들을 소정의 온도 상태로 가열 또는 냉각하는 제 1챔버와; 상기 제 1챔버의 하측 또는 상측에 상하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챔버의 최하측 또는 최상측으로 반송된 테스트 트레이의 반도체 소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테스트헤드와; 상기 테스트헤드를 테스트 트레이의 반도체 소자와의 접속 위치 및 비접속 위치로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는 메니퓰레이터(manipulator)와; 상기 제 1챔버로부터 반송된 테스트 트레이를 수평 상태로 한 스텝씩 반송하면서 반도체 소자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상온 상태로 복원시키는 제 2챔버와; 상기 제 2챔버로부터 반송된 테스트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가 차례로 적재되는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 테스트 트레이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Handler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테스트 트레이의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핸들러의 예열챔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3의 핸들러의 테스트챔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3의 핸들러의 제열챔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의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7의 핸들러의 예열/테스트챔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21 :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 12 : 예열챔버
13 : 테스트챔버 14, 24 : 제열챔버
15, 25 :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 22 : 예열/테스트챔버
131, 231 : 테스트헤드 132, 232 : 테스트소켓
133 : 콘택트 푸쉬유닛 235 : 메니퓰레이터
T : 테스트 트레이 C : 캐리어 모듈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하는 핸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헤드에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성능을 테스트하는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혹은 비메모리 반도체 소자 및 이들을 적절히 하나의 기판상에 회로적으로 구성한 모듈 아이씨(Module IC)들은 생산 후 여러 가지 테스트과정을 거친 후 출하된다. 핸들러는 상기와 같은 반도체 소자 및 모듈 아이씨 등을 자동으로 외부의 테스트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테스트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장치이다.
근래들어 핸들러는 상온 상태에서의 일반적인 성능 테스트 뿐만 아니라, 밀폐된 챔버 내에서 전열히터 및 액화질소 분사시스템을 통해 고온 및 저온의 극한 상태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반도체 소자 및 모듈 아이씨 등이 이러한 극한 온도 조건에서도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가를 테스트하는 고온테스트 및 저온 테스트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84622호 (2003년 05월 22일 공고)에는 핸들러의 전체적인 크기와 구조적 복잡성을 증대시키지 않으면서 챔버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단시간내에 많은 양의 반도체 소자들을 효율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한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가 개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핸들러의 전방부에는 테스트할 반도체 소자들이 다수개 수납되어 있는 커스터머 트레이(customer tray)들이 적재되는 로딩스택커(1)가 설치되고, 이 로딩스택커(1)의 일측부에는 테스트 완료된 반도체 소자들이 테스트결과에 따라 분류되어 커스터머 트레이에 수납되는 언로딩스택커(2)가 설치된다.
그리고, 핸들러의 중간부분의 양측부에는 상기 로딩스택커(1)로부터 이송되어 온 반도체 소자들을 일시적으로 장착하여 반송하는 복수개의 버퍼 셔틀(4)이 전후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버퍼 셔틀(4) 사이에는 버퍼 셔틀(4)의 테스트할 반도체 소자를 이송하여 테스트 트레이(T)에 재장착하는 작업과 테스트 트레이(T)의 테스트 완료된 반도체 소자를 버퍼 셔틀(4)로 반송하여 장착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교환부(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테스트 트레이(T)는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재질의 사각 프레임에 반도체 소자를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복수개의 캐리어 모듈(미도시)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캐리어 모듈은 반도체 소자가 접속되는 테스트헤드(8)의 테스트소켓(미도시)과 상응하는 피치(pitch)를 갖는다.
상기 로딩스택커(1) 및 언로딩스택커(2)가 배치된 핸들러 전방부와, 상기 교 환부(5) 및 버퍼 셔틀(4)이 배치된 핸들러 중간부 사이에는 X-Y축으로 선형 운동하며 반도체 소자들을 픽업하여 이송하는 제 1픽커(3a)(picker)와 제 2픽커(3b)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 1픽커(3a)는 로딩스택커(1) 및 언로딩스택커(2)와 버퍼 셔틀(4) 사이를 이동하며 반도체 소자를 픽업하여 이송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 2픽커(3b)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버퍼 셔틀(4)과 교환부(5)의 반도체 소자들을 픽업하여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핸들러의 후방부에는 예열챔버(7a)와 테스트챔버(7b) 및 제열챔버(7c)의 다수개로 분할된 밀폐 챔버들 내에 고온 또는 저온의 환경을 조성한 뒤 반도체 소자가 장착된 테스트 트레이(T)들을 각 챔버 간에 순차적으로 이송하며 소정의 온도 조건하에서 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테스트부(7)가 위치된다.
한편, 상기 버퍼 셔틀(4)은 교환부(5) 양측에서 선형 운동 장치에 의해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핸들러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핸들러의 가동이 시작되면 제 1픽커(3a)가 로딩부(1)의 반도체 소자를 픽업하여 버퍼 셔틀(4)로 반송한다. 이어서, 제 2픽커(3b)가 버퍼 셔틀(4)의 반도체 소자를 교환부(5)로 반송하고, 교환부(5)에서 수평한 상태로 대기하고 있는 빈 테스트 트레이(T)에 반도체 소자가 장착된다.
상기 교환부(5)에서 반도체 소자가 장착된 테스트 트레이는 로테이터(6)의 90도 회전에 의해 수직한 상태로 전환되면서 테스트부(7)의 전방 위치로 반송된 다음, 전방측 이송장치(7d)에 의해 예열챔버(7a) 내로 반송되어 소정의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된다.
예열챔버(7a)의 최후방으로 이송된 테스트 트레이(T)는 다시 후방측 이송장치(7e)에 의해 테스트챔버(7b)로 이송된 다음, 콘택트 푸쉬유닛(9)에 의해 각 반도체 소자들이 테스트헤드(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테스트가 이루어진다.
테스트가 완료되면, 테스트 트레이(T)는 제열챔버(7c)로 반송되어 각 반도체 소자들이 상온 상태로 복귀한다. 테스트 트레이(T)는 다시 전방측 이송장치(7d)에 의해 제열챔버(7c)로부터 테스트부(7)의 전방으로 이동한 다음, 로테이터(6)의 90도 회전에 의해 수평한 상태로 전환되면서 교환부(5)로 반송된다.
이어서, 제 2픽커(3b)가 테스트 트레이(T)에서 테스트 완료된 반도체 소자를 버퍼 셔틀(4)로 반송함과 동시에 버퍼 셔틀(4)의 새로운 반도체 소자를 교환부(5)로 이동하여 테스트 트레이(T)의 빈 자리에 장착한다. 그 다음, 제 1픽커(3a)가 버퍼 셔틀(4)의 테스트 완료된 반도체소자를 픽업하여 테스트 결과에 따라 언로딩부(2)의 커스터머 트레이에 분류하여 수납시킨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핸들러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있다.
첫째, 종래의 핸들러에서는 테스트부 외부에서 커스터머 트레이의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에 장착하고 테스트가 완료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에서 분리하여 결과별로 분류하는 소팅 작업과, 테스트부 내부에서 테스트 트레이를 이동시키면서 반도체 소자들을 테스트헤드에 접속시켜 테스트를 수행하는 테스트 작업이 하나의 장비에서 모두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소팅 작업 또는 테스트 작업 과정 중 어느 한 부분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핸들러 전체의 작업이 중지되고, 문제 가 해결될 때까지 테스트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테스트 시간과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둘째, 근래들어 한 번에 테스트헤드에 접속시켜 테스트하는 반도체 소자의 개수가 256개~512개 정도로 증가함에 따라 테스트부에서 시간이 길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렇게 테스트부에서 테스트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소팅 작업이 이루어지는 교환부로 테스트 트레이의 공급이 지연되어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셋째, 소팅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과 테스트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을 하나의 본체 내에 모두 구성해야 하므로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고, 에러 발생 확률도 구성 요소의 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스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테스트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한번에 테스트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 구성을 단순화시키고,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테스트할 반도체 소자들이 장착된 테스트 트레이가 복수개 적재되는 테스트 트레이 로딩 부와; 상기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로부터 반송된 테스트 트레이를 수평 상태로 한 스텝씩 반송하면서 반도체 소자들을 소정의 온도 상태로 가열 또는 냉각하는 제 1챔버와; 상기 제 1챔버로부터 반송되는 테스트 트레이의 반도체 소자들을 테스트헤드의 테스트소켓에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테스트를 수행하는 제 2챔버와; 상기 제 2챔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가압하여 반도체 소자를 상기 테스트헤드에 접속 및 해제시키는 콘택트 푸쉬유닛과; 상기 제 2챔버로부터 반송된 테스트 트레이를 수평 상태로 한 스텝씩 반송하면서 반도체 소자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상온 상태로 복원시키는 제 3챔버와; 상기 제 3챔버로부터 반송된 테스트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가 차례로 적재되는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테스트할 반도체 소자들이 장착된 테스트 트레이가 복수개 적재되는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와; 상기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로부터 반송된 테스트 트레이를 수평 상태로 한 스텝씩 반송하면서 반도체 소자들을 소정의 온도 상태로 가열 또는 냉각하는 제 1챔버와; 상기 제 1챔버의 하측 또는 상측에 상하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챔버의 최하측 또는 최상측으로 반송된 테스트 트레이의 반도체 소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테스트헤드와; 상기 테스트헤드를 테스트 트레이의 반도체 소자와의 접속 위치 및 비접속 위치로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는 메니퓰레이터(manipulator)와; 상기 제 1챔버로부터 반송된 테스트 트레이를 수평 상태로 한 스텝씩 반송하면서 반도체 소자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상온 상태로 복원시키는 제 2챔버와; 상기 제 2챔버로부터 반송된 테스트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가 차례로 적재되는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들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 테스트 트레이(test tray)를 수평한 상태로 여러 공정 위치로 반송하면서 테스트를 수행하는 일종의 수평식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의 구조 및 작동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테스트 트레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테스트 트레이의 구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테스트 트레이(T)는 일반적인 커스터머 트레이(customer tray)와는 다르게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의 프레임(F)과, 이 프레임(F)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캐리어 모듈(C)로 이루어진다. 상기 캐리어 모듈(C)에는 반도체 소자를 고정 및 해제하는 복수개의 랫치(L)(latch)가 설치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의 제 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는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11)와, 예열챔버(12)와, 테스트챔버(13)와, 제열챔버(14) 및,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15)로 구성 된다.
상기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11)는 핸들러의 전방부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11)에는 새롭게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들이 수납된 복수개의 테스트 트레이(T)들이 수평한 상태로 적재된다. 상기 테스트 트레이(T)는 종래 기술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재질의 사각 프레임에 반도체 소자를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복수개의 캐리어 모듈(미도시)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15)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11)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열챔버(14)로부터 반송되는 테스트 트레이(T)를 바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열챔버(14)의 바로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12)에는 테스트가 완료된 반도체 소자들이 수납된 테스트 트레이(T)들이 수평한 상태로 적재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예열챔버(12)는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11)의 바로 후방에 구성되며,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11)로부터 반송된 테스트 트레이(T)를 한 스텝씩 하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반도체 소자를 소정의 온도 상태로 만들어주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예열챔버(12)의 내부에는 테스트 트레이(T)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한 스텝씩 이동시켜주는 제 1트레이 반송유닛(미도시)과, 예열챔버(12) 내부로 고온의 열풍 또는 저온의 냉각가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주는 제 1온도조성유닛(미도시)이 구성된다.
상기 제 1트레이 반송유닛(미도시)은 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 록된 특허등록 10-0367994호(2002년 12월 30일 등록)의 '핸들러의 트레이 이송장치'를 채용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11)와 예열챔버(12) 사이에는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11)로부터 예열챔버(12)로 테스트 트레이(T)를 수평하게 슬라이딩시켜 반송하는 로딩측 트레이 전달유닛(16)이 설치된다.
상기 예열챔버(12)의 하부에는 테스트 트레이(T)를 측방의 테스트챔버(13)로 수평하게 슬라이딩시켜 반송하는 제 1하부 트레이 전달유닛(18)이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테스트챔버(13)의 하부에는 테스트 트레이(T)의 반도체 소자들이 접속되어 테스트되는 복수개의 테스트소켓(132)을 구비한 테스트헤드(131)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테스트헤드(131)의 바로 전방에는 테스트 트레이(T)의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헤드(131) 쪽으로 가압하여 테스트소켓(132)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속시키는 콘택트 푸쉬유닛(133)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콘택트 푸쉬유닛(133)은 볼스크류와 서보모터를 이용한 선형운동장치, 소정의 압력을 제공하는 공압실린더와 같은 가압장치에 의해 상하로 운동하면서 테스트 트레이(T)의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소켓(132)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속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테스트헤드(131)는 외부의 테스터(TESTER)라고 하는 별도의 테스트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한다.
테스트챔버(13)의 최후방부에는 테스트 트레이(T)를 측방의 제열챔버(14)로 수평하게 슬라이딩시켜 반송하는 제 2하부 트레이 전달유닛(19)이 설치된다.
도 3과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열챔버(14)는 예열챔버(12)로부터 반송된 테스트 트레이(T)를 상측으로 한 스텝씩 이동시키면서 전술한 예열챔버(12)와는 반대의 열적 스트레스를 가하여 반도체 소자를 원래의 상온 상태로 복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열챔버(14) 또한 예열챔버(12)와 마찬가지로 테스트 트레이(T)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한 스텝씩 이동시켜주는 제 2트레이 반송유닛(미도시)과, 챔버 내부로 고온의 열풍 또는 저온의 냉각가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주는 제 2온도조성유닛(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제열챔버(14)와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15) 사이에는 제열챔버(14)의 테스트 트레이(T)를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15)로 수평하게 슬라이딩시켜 반송하는 언로딩측 트레이 전달유닛(17)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핸들러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핸들러의 작동을 설명하기 전에, 테스트할 반도체 소자를 커스터머 트레이로부터 분리하여 테스트 트레이에 장착하고, 테스트 트레이로부터 테스트 완료된 반도체 소자를 분리하여 커스터머 트레이에 수납시키는 소팅 작업(sorting process)은 별도의 소팅장치에서 이루어짐을 가정한다. 상기 소팅장치는 본 발명의 핸들러와 유무선 통신 등을 통하여 테스트 결과 등 필요한 정보를 공유한다.
테스트할 반도체 소자들이 캐리어 모듈(C)에 장착된 테스트 트레이(T)들이 상기 소팅장치로부터 이송되어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11)에 수평상태로 적재된다. 이 때, 상기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11)에 테스트 트레이(T)가 적재되는 것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르게 상기 소팅장치와 인라인(in-line)으로 연결되어 자동으로 테스트 트레이(T)가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11)에 적재될 수도 있다.
상기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11)에 테스트 트레이(T)들이 적재되면, 로딩측 트레이 전달유닛(16)에 의해 테스트 트레이(T)가 하나씩 예열챔버(12)의 상부로 반송된다.
예열챔버(12)의 상부로 이동된 테스트 트레이(T)는 제 1트레이 반송유닛(미도시)에 의해 한 스텝씩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예열챔버(12)의 내부는 온도조성유닛(미도시)에 의해 소정의 온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예열챔버(12) 내부에서 테스트 트레이(T)의 반도체 소자들은 내부의 온도 환경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된다.
예열챔버(12)의 최하측으로 이동된 테스트 트레이(T)는 제 1하부 트레이 반송유닛(16)에 의해 측방의 테스트챔버(13) 내부로 반송된다.
테스트챔버(13) 내부에서 테스트 트레이(T)가 테스트헤드(131)의 전방에 정렬되면, 콘택트 푸쉬유닛(133)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테스트 트레이(T)의 반도체 소자들을 테스트헤드(131)의 각 테스트소켓(132)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속시킨다. 이어서, 테스트헤드(131)에 외부의 테스터(미도시)로부터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서 반도체 소자의 테스트가 이루어진다.
테스트가 완료되면, 테스트 트레이(T)는 제 2하부 트레이 반송유닛(19)에 의 해 측방으로 수평 이동하여 제열챔버(14) 내부로 반송된다.
제열챔버(14)로 반송된 테스트 트레이(T)는 제 2트레이 반송유닛(미도시)에 의해 상측으로 한 스텝씩 이동한다. 이 때, 제열챔버(14)의 내부는 온도조성유닛(미도시)에 의해 예열챔버(12) 및 테스트챔버(13)와는 반대의 온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테스트 트레이(T)의 반도체 소자들은 제열챔버(14) 내부를 이동하면서 원래의 상온 상태로 복원된다.
테스트 트레이(T)가 제열챔버(14)의 최상측으로 반송되면, 언로딩측 트레이 전달유닛(17)이 테스트 트레이(T)를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15)로 반송하고, 테스트 트레이(T)들은 이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15)에서 차례로 수평하게 적재된다.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15)에 테스트 트레이(T)들이 모두 적재되면, 작업자는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15)에 적층된 테스트 트레이(T)들을 꺼내어 별도의 소팅장치로 반송한다.
상기 소팅장치에서는 테스트 트레이(T)들의 각 캐리어모듈(C)에서 테스트 완료된 반도체 소자들을 분리하여 테스트 결과별로 커스터머 트레이에 수납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의 실시예에서는 테스트챔버(13) 내부에 하나의 테스트헤드(131)와 콘택트 푸쉬유닛(133)이 구성되어 있으나, 테스트챔버(13) 내부에 복수개의 테스트헤드 및 콘택트 푸쉬유닛을 구성하여 동시에 여러개의 테스트 트레이의 반도체 소자들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테스트챔버 내부에 2개의 테스트헤드를 일렬로 나란히 배치할 경 우, 예열챔버로부터 2개의 테스트 트레이를 테스트챔버 내부로 연속적으로 반송한 다음, 각각의 콘택트 푸쉬유닛을 이용하여 2개의 테스트 트레이의 반도체 소자를 각 테스트헤드에 동시에 접속시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테스트챔버(13)가 구성되고, 이 테스트챔버(13)에서 테스트 트레이(T)의 반도체 소자들이 테스트헤드(1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테스트가 수행된다.
그러나, 이와 다르게 예열챔버 내부에 테스트헤드를 통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전체 구조와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이러한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도면들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실시예의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는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21)와, 예열/테스트챔버(22), 제열챔버(24) 및,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25)로 구성된다.
상기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21)와 제열챔버(24)와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25)는 전술한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예열/테스트챔버(22)의 하단부에는 테스트헤드(231)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예열/테스트챔버(231)의 하단부 외측에는 상기 테스트헤드(23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메니퓰레이터(235)(manipulator)가 설치된다. 상기 메니퓰레이터(235)는 테스트헤드(231)의 하측에서 테스트헤드(231)에 결합되어 테스트헤드(231)를 이동시킴으로써 테스트헤드(231)와 테스트 트레이(T)의 반도체 소자들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예열/테스트챔버(22)의 하단부에는 상기 테스트헤드(231)가 설치된 부분에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테스트헤드(231)의 이동시 예열/테스트챔버(2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거나 외부로부터 챔버 내로 공기가 유입되어 챔버 내부의 온도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열/테스트챔버(22)의 하부에는 테스트가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T)를 측방의 제열챔버(24)로 반송하는 하부 트레이 전달유닛(28)이 설치된다.
제열챔버(24)와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25)의 구성 및 작동은 전술한 실시예의 제열챔버(14)(도 6참조) 및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15)(도 6참조)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두번째 실시예의 핸들러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21)에 수평하게 적재된 테스트 트레이(T)가 로딩측 트레이 전달유닛(26)에 의해 상기 예열/테스트챔버(22) 내부로 이동하면, 내부의 트레이 반송유닛(미도시)에 의해 테스트 트레이(T)가 하측으로 한 스텝씩 이동하면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된다.
상기 예열/테스트챔버(22)의 최하부로 테스트 트레이(T)가 이동하면, 메니퓰레이터(235)의 작동에 의해 테스트헤드(231)가 일정 높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테스트헤드(231)의 각 테스트소켓(232)에 테스트 트레이(T)의 반도체 소자들이 접속하게 된다.
이어서, 외부의 테스터(미도시)로부터 테스트헤드(231)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서 테스트가 진행된다.
테스트가 종료되면, 메니퓰레이터(235)는 테스트헤드(231)를 다시 하측으로 이동시켜 테스트헤드(231)와 반도체 소자들 간의 접속을 해제한다.
그리고, 하부 트레이 전달유닛(28)이 테스트 트레이(T)를 제열챔버(24) 내부로 반송한다. 제열챔버(24)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테스트 트레이(T)를 상측으로 한 스텝씩 이동시키면서 반도체 소자들을 원래의 상온 상태로 복귀시킨 다음,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25)로 테스트 트레이(T)를 반송하여 적재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는 각 구성부가 단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하나의 핸들러에 여러개의 구성부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테스트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러에서 테스트할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에 장착하고, 테스트 트레이로부터 테스트 완료된 반도체 소자를 분리하는 소팅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테스트 트레이를 테스트 사이트로 반송하여 테스트를 수행하고, 테스트가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를 그대로 적재하기만 하면 되므로 테스트 작업이 매우 단순화되고, 테스트 도중 지연을 일으키는 요인이 거의 없어져 테스트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여러개의 핸들러에 하나의 소팅장치를 연결하여 테스트 라인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핸들러를 이용하여 테스트 라인을 구축할 경우와 대비하여 전 체 크기를 대폭 축소할 수 있으며, 테스트 생산성 및 효율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테스트 핸들러의 경우, 반도체 소자를 트레이에 로딩 및 언로딩하는 소팅부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전체 테스트 시간을 지연시키는 병목구간으로 작용하지만, 본 발명은 소팅부를 별도로 구성하고 또한 복수로 구성할 수 있어 하나의 소팅장치에서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소팅장치가 계속 동작하면서 본 발명의 핸들러에 테스트 트레이를 공급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핸들러는 소팅장치에서의 에러와 상관없이 중단되지 않고 계속 작업할 수 있어 전체 테스트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Claims (11)

  1. 테스트할 반도체 소자들이 장착된 테스트 트레이가 복수개 적재되는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와;
    상기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로부터 반송된 테스트 트레이를 수평 상태로 한 스텝씩 반송하면서 반도체 소자들을 소정의 온도 상태로 가열 또는 냉각하는 제 1챔버와;
    상기 제 1챔버로부터 반송되는 테스트 트레이의 반도체 소자들을 테스트헤드의 테스트소켓에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테스트를 수행하는 제 2챔버와;
    상기 제 2챔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가압하여 반도체 소자를 상기 테스트헤드에 접속 및 해제시키는 콘택트 푸쉬유닛과;
    상기 제 2챔버로부터 반송된 테스트 트레이를 수평 상태로 한 스텝씩 반송하면서 반도체 소자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상온 상태로 복원시키는 제 3챔버와;
    상기 제 3챔버로부터 반송된 테스트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가 차례로 적재되는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에서 테스트 트레이는 수평 상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에서 테스트 트레이는 수평 상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헤드는 제 2챔버 내에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챔버에서 테스트 트레이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한 스텝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챔버에서 테스트 트레이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한 스텝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
  7. 테스트할 반도체 소자들이 장착된 테스트 트레이가 복수개 적재되는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와;
    상기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로부터 반송된 테스트 트레이를 수평 상태로 한 스텝씩 반송하면서 반도체 소자들을 소정의 온도 상태로 가열 또는 냉각하는 제 1챔버와;
    상기 제 1챔버의 하측 또는 상측에 상하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챔버의 최하측 또는 최상측으로 반송된 테스트 트레이의 반도체 소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테스트헤드와;
    상기 테스트헤드를 테스트 트레이의 반도체 소자와의 접속 위치 및 비접속 위치로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는 메니퓰레이터(manipulator)와;
    상기 제 1챔버로부터 반송된 테스트 트레이를 수평 상태로 한 스텝씩 반송하면서 반도체 소자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상온 상태로 복원시키는 제 2챔버와;
    상기 제 2챔버로부터 반송된 테스트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가 차례로 적재되는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 로딩부에서 테스트 트레이는 수평 상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 언로딩부에서 테스트 트레이는 수평 상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챔버에서 테스트 트레이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한 스텝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챔버에서 테스트 트레이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한 스텝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
KR1020060004925A 2006-01-17 2006-01-17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 KR100660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925A KR100660456B1 (ko) 2006-01-17 2006-01-17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925A KR100660456B1 (ko) 2006-01-17 2006-01-17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0456B1 true KR100660456B1 (ko) 2006-12-22

Family

ID=3781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925A KR100660456B1 (ko) 2006-01-17 2006-01-17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04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695B1 (ko) 2008-02-12 2010-03-12 미래산업 주식회사 핸들러, 테스트트레이 이송방법, 및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695B1 (ko) 2008-02-12 2010-03-12 미래산업 주식회사 핸들러, 테스트트레이 이송방법, 및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482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
KR100292831B1 (ko) 반도체디바이스시험장치
US7919974B2 (en) Electronic device test apparatus and method of configuring electronic device test apparatus
US20160061884A1 (en) Contact structure for a test handler, test handler having the contact structure and method of testing integrated circuit devices using the test handler
KR100792725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674418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챔버 유닛
KR100962632B1 (ko) 커스터머 트레이 이송 방법, 커스터머 트레이 이송 유닛 및커스터머 트레이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
KR100957561B1 (ko) 커스터머 트레이 이송 유닛 및 커스터머 트레이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
JP2001033519A (ja) 電子部品試験装置用インサート
KR100660456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
KR100840209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
KR100674417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챔버 유닛
KR20080046356A (ko) 핸들러의 테스트 트레이 이송방법
KR100781336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4257980A (ja) 半導体素子テスト用ハンドラ
KR100733021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 및 그의 작동방법
KR100674416B1 (ko) 반도체 소자 소팅장치
TWI641835B (zh) Electronic component operating device and its application test classification equipment
US11579189B2 (en) Electronic component handl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omponent testing apparatus
KR101362652B1 (ko) 테스트 핸들러
KR100660455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핸들러
KR101406184B1 (ko) 반도체 소자 이송장치 및 테스트 핸들러
KR100866156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핸들러 및 테스트방법
KR100765462B1 (ko) 핸들러의 테스트 트레이 이송방법
US11714124B2 (en) Electronic component handl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omponent tes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