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290B1 -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290B1
KR100660290B1 KR1020060032862A KR20060032862A KR100660290B1 KR 100660290 B1 KR100660290 B1 KR 100660290B1 KR 1020060032862 A KR1020060032862 A KR 1020060032862A KR 20060032862 A KR20060032862 A KR 20060032862A KR 100660290 B1 KR100660290 B1 KR 100660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page
focus
content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7946A (ko
Inventor
조영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107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3/00Steam-generation plants, e.g. comprising steam boilers of different types in mutual association
    • F22B33/14Combinations of low and high pressure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using combustion under pressure substantially exceeding atmospheric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26Automatic feed-control systems
    • F22D5/34Applicatio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2Gaseous fuel
    • F23K5/005Gaseous fuel from a central source to a plurality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2Gaseous fuel
    • F23K5/007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fuel supplies
    • F23K2900/05002Valves for gaseous fuel supp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a) 단말기의 좌우 방향 키가 입력되면, 현재 메뉴의 위치로부터 좌우 방향에 위치한 해당 메뉴가 선택되는 단계; b) 메뉴 선택을 위한 단말기의 상하 방향 키가 입력되면, 현재 메뉴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가장 근접한 2 개의 메뉴를 선별하는 단계; c) 2개의 상하 방향의 메뉴 중 좌측 메뉴가 선택되고, 좌측 메뉴에 의해 분할되는 현재 메뉴의 할당비율을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판단된 결과, 현재 메뉴로 할당되는 비율이 50% 이하일 경우, 선별된 2 개의 메뉴 중 우측 메뉴가 선택되는 단계; e) 상기 c) 단계에서 판단된 결과, 현재 메뉴로 할당되는 비율이 50% 초과일 경우, 선별된 2 개의 메뉴 중 좌측 메뉴가 선택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인 메뉴와 세부 메뉴가 연결 방식을 간략화하여 온라인 메뉴 선택이 일관성을 갖고 수행될 수 있어, 간단하고 쉬운 조작 단계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온라인을 사용할 때 효과적으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무선 인터넷, 메뉴, 네비게이션, 온라인 메뉴, 엠베디드 메뉴, 애플리케이션

Description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MENU NAVIGATION METHOD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되지 않은 온라인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3a, 3b, 3c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리스트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4b, 4c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리스트 페이지 네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a, 4b, 4c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6a, 6b, 7a, 7b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페이지 네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엠베디드 메뉴의 네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9b,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엠베디드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페이지 네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11b, 11c, 12a,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엠베디드 애플리케이션의 컨 텐츠 페이지 네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인터넷 메뉴 네비게이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선 인터넷 메뉴 구조에서 계층 간, 메뉴 간, 화면 간, 상태 간의 이동방식을 구현하여, 일관된 컨텐츠 메뉴별 네비게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어떠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 형태로 전달하기 때문에 단문 메시지로 수신된 정보들은 이동통신 단말장치 내에서 단순한 메시지로 저장되며, 이 경우 금융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배너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지속적으로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현재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컬러 화면 채용, 이동통신 휴대단말의 고 사양화 및 무선 인터넷 속도의 발전 등을 통한 멀티미디어 정보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정보 전송은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가 아니라, 특화된 정보에 한해서 무선 서비스를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므로 다양한 금융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정보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무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전송 서비스는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 이터의 양이 제한되므로, 상호 연관된 정보들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고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휴대폰으로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통상적인 방법은 단말기에 내장된 버튼을 이용하는 핫키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가 매직엔, 이지아이, 네이트 등으로 표시된 버튼을 조작하여, 각 이동통신사가 운영하는 무선 포털 사이트로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특정의 무선 포털 사이트(즉, 이동통사의 무선 포털 사이트)는 쉽게 접근할 수 있으나, 특정의 이동통신사의 무선 포털 사이트 이외의 다른 독립 무선포털 사이트에 접근하거나 여러 단계를 거치는 이동통신사의 세부 서비스 페이지에 접근하기는 쉽지 않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한 후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키 조작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단말기의 키 조작은 단순한 정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 수집의 흐름에 따라 일관되게 유지해야 하나,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컨텐츠 프로바이더에 따라 키 조작이 달라 사용자의 불편함이 야기되고 있다. 결국, 무선 인터넷 사용에 있어 단말기의 키 조작은 단순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고, 사용자의 능동적 제어 및 키 조작의 효율성을 감안할 수 있는 컨텐츠 또는 메뉴에 대한 네비게이션(Navigation)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접속을 위한 메뉴를 단순화하고, 메인 메뉴와 세부 메뉴 가 연결 방식을 간략화하여 온라인 메뉴 선택이 일관성을 갖고 수행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하고 쉬운 조작 단계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온라인을 사용할 때 효과적으로 정보를 습득할 수 있고, 사용자 자신의 위치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메뉴 선택을 위한 조작의 단순성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일관된 표현 방식을 통해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메뉴에 대한 공통된 특성을 이해하게 되며 이를 통해 학습성과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은, 규정화되지 않은 온라인 메뉴 형태의 네비게이션(Navigation) 방법에 있어서, a) 단말기의 좌우 방향 키가 입력되면, 현재 메뉴의 위치로부터 좌우 방향에 위치한 해당 메뉴가 선택되는 단계; b) 메뉴 선택을 위한 단말기의 상하 방향 키가 입력되면, 현재 메뉴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가장 근접한 2 개의 메뉴를 선별하는 단계; c) 상기 2개의 상하 방향의 메뉴 중 좌측 메뉴가 선택되고, 상기 좌측 메뉴에 의해 분할되는 현재 메뉴의 할당비율을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판단된 결과, 현재 메뉴로 할당되는 비율이 50% 이 하일 경우, 상기 선별된 2 개의 메뉴 중 우측 메뉴가 선택되는 단계; e) 상기 c) 단계에서 판단된 결과, 현재 메뉴로 할당되는 비율이 50% 초과일 경우, 상기 선별된 2 개의 메뉴 중 좌측 메뉴가 선택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 메뉴 형태의 리스트 메뉴 네비게이션(Navigation) 방법에 있어서, a) 리스트 페이지 초기 접근 시 페이지 최상단에 포커스를 위치시키는 단계; b) 다수의 리스트 항목 중 선택하고자 하는 항목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단말기의 상하 키를 이용하여 포커스를 상하 이동시키는 단계; c) 상하 이동된 포커스가 화면의 최 하단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의 포커스가 화면의 최 하단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b) 단계로 피드백하고, 현재의 포커스가 화면의 최 하단에 위치할 경우, 단말기의 하 방향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단말기의 하 방향키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c) 단계로 피드백하며, 상기 단말기의 하 방향키가 입력될 경우, 현재의 리스트 외 잔여 항목이 한 페이지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잔여 항목이 한 페이지 미만일 경우, 잔여 항목 중 마지막 항목이 화면의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화면 이동을 수행하는 단계; 및 g) 상기 e)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잔여 항목이 한 페이지 이상일 경우, 반 페이지 분량만큼 화면을 상단으로 이동하고, 포커스는 다음 항목을 지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 메뉴 형태의 컨텐츠 페이지 네비게이션(Navigation) 방법에 있어서, a) 단말기의 하 방향키를 선택하여 화면상의 컨텐츠 를 한 줄 간격으로 상승시키는 단계; b) 기 설정된 소정의 메뉴를 화면의 하단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메뉴로 포커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소정의 메뉴 중 마지막 메뉴 라인에서 하 방향키가 선택될 경우, 첫 번째 메뉴로 포커스가 이동하는 단계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엠베디드(Embedded) 메뉴 네비게이션(Navigation)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상 방향키가 입력되면 상위 단계의 메뉴로 이동하며, 상위 단계의 첫 번째 메뉴에서는 최하위 단계의 마지막 메뉴로 포커싱되고; 상기 단말기의 하 방향키가 입력되면 하위 단계의 메뉴로 이동하며, 최하위 단계의 마지막 메뉴에서는 최상위 단계의 첫 번째 메뉴로 포커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엠베디드 애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 리스트 페이지 네비게이션(Navigation) 방법에 있어서, a) 리스트 페이지에 초기 접근시 포커스가 페이지 최상단에 위치하는 단계; b) 상기 리스트 페이지에서 단말기의 상하 키를 사용하여 포커스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단계; c) 상기 포커스가 화면 하단 리스트에 위치하고, 화면 하단에서 하 방향키가 입력되면 하단의 리스트가 화면에 보일 수 있도록 상기 리스트가 이동되는 단계; 및 d) 상기 포커스가 상기 리스트의 다음 항목에 위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은 온라인 예컨대, NATE의 기본 메뉴 구조 내에서의 계층 간, 메뉴 간, 화면 간, 상태 간의 이동방식을 나타낸다. 네비게이션 방식은 일관성 및 빠른 접근성의 원칙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온라인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원하는 이동이 자유롭고 혼동이 없도록 일관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네비게이션은 온라인 메뉴 네비게이션과, 엠베디드 메뉴 네비게이션(Embedded Menu Navigation)으로 분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규정화되지 않은 온라인 메뉴의 선택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우선, 단말기의 좌우 방향 키는 현재 메뉴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야 임의의 메뉴를 선택한다. 그러나, 규격화되지 않은 메뉴 배열에 있어 단말기의 상하 방향 키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가장 근접되는 두 개의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2'번 메뉴에서 하향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5'번 메뉴가 선택된다. 이는 '2'번 메뉴의 하향으로 '5', '6' 메뉴가 존재하나, 근접되는 두 개의 메뉴(5,6번) 중 좌측 메뉴에 의해 분할되는 현재 메뉴(2 번)의 할당 비율이 50%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01 단계에서 메뉴 선택을 위한 상하 방향 키가 입력되면, 상하 방향으로 가장 근접한 2 개의 메뉴가 선별된다. 예컨대, '2'번 메뉴에서 하향 이동할 경우, 하향 방향으로 가장 근접하는 '5','6'번 메뉴가 선별된다. 또는 '6'번 메뉴에서 상향 이동할 경우, 상향 방향으로 가장 근접하는 '2','3'번 메뉴가 선별된다.
그리고, S203 단계로 진입하여 2개의 상하 방향의 메뉴 중 좌측 메뉴 즉, '2'번 메뉴로부터 하향으로 이동할 때 '5'번 메뉴이거나, 또는 '6'번 메뉴로부터 상향으로 이동할 때 '2'번 메뉴를 선택한다. S205 단계에서 상기한 좌측 메뉴에 의해 분할되는 현재 메뉴의 할당비율이 50%인지를 판단한다. 즉, '2'번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좌측에 위치한 '5'번 메뉴에 의해 현재 메뉴인 '2'번 메뉴가 b로 분할된다. 여기서, a + b = 100%이며, a는 현재 메뉴('2'번) 이외로 할당되는 b에 대한 나머지 비율이다.
상기 S205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메뉴로 할당되는 비율 즉, b가 50% 이하일 경우, S207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별된 2 개의 메뉴 중 우측 메뉴를 선택한다. 이를 상향 방향에서 설명하면, '6'번 메뉴로부터 상향으로 근접되는 2 개의 메뉴 중 좌측인 '2'번 메뉴에 의해 현재의 메뉴(6번)가 b로 할당된다. 그리고, 현재의 메뉴인 '6'번 메뉴로 할당되는 b의 비율이 50% 이하일 경우, 상기 근접한 2개의 메뉴인 '2','3'번 메뉴 중 우측 메뉴인 '3'번 메뉴가 선택된다.
물론, 현재 메뉴로 할당되는 비율이 50% 초과일 경우에는 S207 단계에서와 같이, 상기한 2 개의 메뉴 중 좌측 메뉴가 선택되고, S211 단계로 진입하여 선택된 해당 메뉴를 포커싱한다. 한편, 온라인 화면에서 처음 포커스는 화면의 최상단 좌측 메뉴에 위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이러한 원칙은 사용의 일관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a, 3b, 3c는 온라인 리스트 메뉴에 대한 네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리스트 메뉴의 상향 이동을 도시하며, 도 3b는 리스트 메뉴의 상향 페이지 이동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3c는 리스트 메뉴의 하향 이동 및 하 향 페이지 이동을 도시한다.
먼저, 리스트 메뉴에 대한 상향 이동 시, 도 3a와 같이 상 방향키를 이용하여 포커스가 위로 한 단계 이동한다. 현재 화면에서 포커스를 받은 메뉴의 좌측 경계선과 가장 가까운 좌측 경계선을 가진 윗줄 메뉴로 이동한다. 그리고, 현재 페이지의 최상단 행의 메뉴에서 상 방향키를 누르면 이전 페이지로 페이지 전환이 이루어지고, 포커스는 현재 페이지에서 포커스를 받은 메뉴의 바로 이전 메뉴로 이동한다. 또한 첫 페이지 최상단 행의 메뉴에서 상 방향키를 누르면 마지막 페이지의 최하단 행의 메뉴로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리스트 메뉴에 대한 하향 이동 시, 도 3b와 같이 하 방향키를 이용하여 포커스가 아래로 한 단계 이동한다. 즉, 현재 화면에서 포커스를 받은 메뉴의 좌측 경계선과 가장 가까운 좌측 경계선을 가진 아랫줄 메뉴로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c와 같이 현재 페이지의 최하단 행의 메뉴에서 하 방향키를 누르면 다음 페이지로 페이지 전환이 이루어지고, 포커스는 현재 페이지에서 포커스를 받은 메뉴의 바로 다음 메뉴로 이동한다.
마지막 페이지 최하단 행의 메뉴에서 하 방향키를 누르면 첫 페이지의 최상단 행의 메뉴로 이동한다. 또한 좌측으로 이동할 경우, 좌 방향키를 이용하여 포커스가 좌측으로 한 단계 이동하며,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 우 방향키를 이용하여 포커스가 우측으로 한 단계 이동한다.
도 4a, 4b, 4c는 리스트 페이지 네비게이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리스트 페이지 네비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S501 단계에서 리스트 페이지 초기 접근 시 페이지 최상단에 포커스를 위치시킨다. 이는 도 4a와 같이 포커스를 해당 페이지의 첫 번째 리스트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하 이동의 초기점을 설정한다. S503 단계로 진입하여, 사용자는 단말기의 상하 키를 이용하여 포커스를 상하 이동한다. 사용자는 다수의 리스트 항목 중 선택하고자 하는 항목으로 이동한다.
S505 단계에서, 상하 이동된 포커스가 화면의 최 하단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현재의 포커스가 화면의 최 하단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S503 단계로 피드백한다. 그러나, 현재의 포커스가 화면의 최 하단에 위치할 경우, 즉, 도 4a의 ②와 같이 화면의 최 하단에 포커스가 존재할 경우, S507 단계로 진입하여, 단말기의 하 방향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말기의 하 방향키가 입력될 경우, S509 단계로 진입하여 잔여 항목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잔여 항목은 현재 페이지에서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나머지 항목에 대한 리스트이며, 이러한 잔여 항목이 한 페이지 미만일 경우, 잔여 항목 중 마지막 항목이 화면의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화면 이동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잔여 항목이 한 페이지 이상일 경우, 반 페이지 분량만큼 화면을 상단으로 이동하고, 포커스는 다음 항목을 지정토록 한다.
즉,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①에서 리스트 페이지에 초기 접근시 포커스를 페이지 최상단에 위치한다. 그리고, ②에서와 같이 리스트 페이지에서 상하 키를 사용하여 포커스를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거나 지정한다. 이때, 포커스와 화면에 보이는 최하단에 항목에 놓일 때까지 화면에 보 이는 리스트의 이동은 하지 않는다.
이후, ③에서와 같이 화면 하단에서 하 방향키를 누르면 포커스는 다음 항목에 놓이며, 이때 마지막 항목이 화면 하단에 놓이도록 움직인다. 이는 잔여 항목이 한 페이지 미만일 경우에 적용된다. 그리고, ④에서 이전 페이지 복귀를 도시한 바와 같이, 마지막 항목에서 하 방향키를 선택하면 리스트의 초기 상태로 돌아가 첫 항목에 포커스가 놓인다. 여기서,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동일한 규칙이 적용된다.
한편, 도 4b에서와 같이 잔여 항목이 한 페이지 이상일 경우, ②의 화면 하단 리스트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는 화면 하단에서 하 방향키를 누르면 포커스는 다음 항목에 놓이며, 이때 화면 아래 보이지 않는 항목 수가 한 페이지를 넘기면 반 페이지 분량만큼만 화면 상단으로 이동하고 포커스는 다음 항목에 놓인다. 즉, ③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 페이지에서 상하 키를 사용하여 포커스를 상하로 이동한다. 그리고, 포커스와 화면에 보이는 최하단에 항목에 놓일 때까지 화면에 보이는 리스트의 이동은 없다. 이후, ④와 같이, 마지막 페이지가 보여질 때는 마지막 항목이 화면 하단에 놓이도록 움직인다. 마찬가지로,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동일한 규칙이 적용된다.
전술한 S507 단계에서 하 방향 키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S511 단계로 진입하여 현재의 포커스가 페이지 이동 영역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현재의 포커스가 페이지 이동 영역에 존재할 경우, 도 4c의 ① 및 ②와 같이 리스트 페이지에서 상하 키를 사용하여 포커스를 페이지 이동 영역까지 움직이고 좌우키로 이동을 원하는 페이지 번호까지 포커스를 이동한다. 즉, S513 단계로 진입하여, 사용자는 리스트 페이지에서 상하 키를 사용하여 포커스를 페이지 이동 영역까지 움직이고, ③과 같이 좌우키로 이동을 원하는 페이지 번호까지 포커스를 이동한다.
그리고, 페이지 이동 영역에 놓인 포커스는 좌우 방향키로 이동하고 화면에 놓인 5페이지 이후의 페이지를 선택하고 싶을 때는 왼쪽 끝 다음 표시를 선택한다. 다음 표시를 선택하면 5페이지 이후 6페이지로 이동하고 포커스는 페이지 최상단에 놓인다. 이 또한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동일한 규칙이 적용된다. 페이지가 이동될 경우, 페이지 내 네비게이션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이 적용된다.
도 6a, 6b는 컨텐츠 페이지 네비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컨텐츠 페이지의 확인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b는 컨텐츠 페이지 내에서 네비게이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리스트에서 컨텐츠 페이지로 이동하고, 컨텐츠 페이지에서 각 컨텐츠 페이지 간에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우선, 페이지 레이아웃은 컨텐츠 제목을 표기하는 타이틀 영역과, 서비스 성격에 따른 컨텐츠로 구성되는 컨텐츠 영역, 컨텐츠 리스트에서 현재 컨텐츠의 위와 아래에 놓인 컨텐츠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제공되는 컨텐츠 간 이동 영역 및 브라우저 공통으로 적용되는 소프트키 영역으로 구성된다. 컨텐츠는 '▶다음[타이틀]' 형식으로 표시되며 아래 컨텐츠는 '▶[타이틀]' 형식으로 표시된다. 이전 또는 다음 컨텐츠가 없을 경우 생략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리스트 페이지에서 원하는 컨텐츠에 포커 스를 이동하고 확인(OK) 키로 선택함으로써 항목을 선택한다. 항목이 선택되면 해당 항목에 대한 컨텐츠가 제공되며 이후, 컨텐츠 페이지의 정보 확인이 끝나면 단말기의 오른쪽 소프트키를 선택하여 상위 페이지로 이동한다. 상위 페이지는 리스트 페이지로 복귀하는 것으로, 포커스 위치는 선택했던 항목에 그대로 위치한다.
도 6b는 컨텐츠 페이지 안에서 방향키 사용에 따라 포커스 이동과 화면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페이지 내 네비게이션을 도시한다. 먼저, 컨텐츠 페이지에서 화면상에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없을 경우 포커스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하 방향키를 선택하면 화면 아래 있는 컨텐츠가 한줄씩 위로 올라온다. 이때 메뉴가 화면상에 나타나면 포커스가 놓인다.
또한, 컨텐츠 페이지의 마지막 라인에서 하 방향키를 선택하면 첫 번째 메뉴로 포커스가 이동하며, 첫 번째 메뉴가 화면에 보이거나 포커스가 놓일 메뉴가 없이 텍스트나 이미지 컨텐츠로 이루어진 경우 페이지 이동 없이 정지한다.
도 7a, 7b는 컨텐츠 페이지 간 네비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리스트 페이지와 컨텐츠 페이지 간 이동을 설명하는 것으로, 현재 컨텐츠 페이지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로딩하여 다른 컨텐츠 페이지로 전환하는 페이지 간 네비게이션이다.
먼저, 도 7a의 ①과 같이, 컨텐츠 리스트 페이지에서 원하는 컨텐츠에 포커스를 이동하고 OK키로 선택한다. 그리고, ②에서 컨텐츠 페이지의 정보를 확인이 끝나면 취소키로 상위페이지로 이동하며, ③에서 리스트 페이지로 복귀한다. 포커스 위치는 선택했던 항목에 그대로 위치한다. ④는 포커스 이동 선택을 나타내며, 단말기의 하 방향키로 포커스를 한 줄 아래로 이동하여 다시 OK키로 선택한다. ⑤에서 다음 컨텐츠 페이지로 이동하며 정보를 확인한다.
도 7b는 컨텐츠 페이지 간 이동을 나타내며, ①에서 컨텐츠 리스트 페이지에서 원하는 컨텐츠에 포커스를 이동하고 OK키로 선택한다. ②를 통해 컨텐츠 페이지의 정보를 확인하며, 다음 컨텐츠로 이동하기 위해서 상하키로 포커스를 이동하여 '▶다음'에 포커스를 놓는다. ③에서 다음 컨텐츠 페이지로 이동하고 확인한다. 그러나, 이전 컨텐츠로 이동하려면 상하키로 포커스를 이동하여 '▶이전'에 놓고 선택한다. ④에서 이전 컨텐츠 페이지로 이동한다. 물론,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동일한 규칙이 적용된다.
이상의 설명은 온라인 메뉴 네비게이션을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엠베디드 메뉴 네비게이션을 설명한다.
우선, 온라인 엠베디드(Embedded) 메뉴화면에서 처음 포커스는 화면의 최상단 좌측 메뉴(1)에 위치하게 된다. 단말기의 4 방향키와 사이드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서비스 메뉴를 찾을 수 있고, 원하는 경우 원위치로 돌아올 때 가장 쉽고 빠른 네비게이션 방식을 제공하도록 한다. 엠베디드 메뉴는 그리드 방식의 3 ×3 메뉴가 사용되며, 단일 페이지 또는 2 페이지 이상으로 구성된다.
엠베디드 메뉴 네비게이션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페이지인 경우 상향이동은, 단말기의 상 방향키를 이용하여 포커스가 위로 한 단계 이동하도록 한다. 즉, 3 × 3 메뉴에서 1 -> 9 -> 6 -> 3 식으로 순환하면서 상향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하향이동은 단말기의 하 방향키를 이용하여 포커스가 아래로 한 단계 이동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3 × 3 메뉴에서 1->4->7->2 식으로 순환하면서 하향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단일 페이지에서 좌측이동은 좌 방향키를 이용하여 포커스가 좌측으로 한 단계 이동하며, 3 × 3 메뉴에서 1 -> 9 -> 8 -> 7 ->...-> 2 -> 1 식으로 순환하면서 좌측이동이 이루어진다. 우측이동은 우 방향키를 이용하여 포커스가 우측으로 한 단계 이동하며, 3 × 3 메뉴에서 1 -> 2 -> 3 -> 4 ->...-> 9 -> 1 식으로 순환하면서 우측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2 페이지 이상인 경우의 페이지 간 이동은 단일 페이지인 경우와 같은 방식으로 상하좌우 방향키를 이용한 라인 단위 이동을 기본 원칙으로 하며, 사이드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경우, 사이드키를 이용하여 페이지 단위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여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사이드키를 이용한 페이지 간 이동 시 상향 사이드키를 누르면 현재 페이지에서 포커스를 받은 메뉴의 위치와 관계없이 이전 페이지의 최상단 행의 좌측 메뉴로 포커스를 이동한다.
사이드키를 이용한 페이지 간 이동 시 하향 사이드키를 누르면 현재 페이지에서 포커스를 받은 메뉴의 위치와 관계없이 다음 페이지의 최상단 행의 좌측 메뉴로 포커스를 이동한다. 첫 페이지에서 상향 사이드키를 누르면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고, 마지막 페이지에서 하향 사이드키를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한다.
2 페이지 이상에서의 상향이동은 상 방향키를 이용하여 포커스가 위로 한 단계 이동하며, 단일 페이지인 경우와 동일한 원칙이 적용되고 상향이동이 이루어진다. 즉, 첫 페이지의 최상단 행의 메뉴들에서 상 방향키를 누르면 마지막 페이지로 페이지 전환이 이루어지고, 포커스는 해당 메뉴의 좌측 열에 있는 마지막 페이지 최하단 행의 메뉴로 이동하도록 한다.(좌측 첫 번째 열의 경우, 마지막 열로 이동한다.)
그리고, 하향이동은 하 방향키를 이용하여 포커스가 아래로 한 단계 이동하며, 단일 페이지인 경우와 동일한 원칙이 적용되고 하향이동이 이루어진다. 즉, 마지막 페이지의 최하단 행의 메뉴들 에서 하 방향키를 누르면 첫 페이지로 페이지 전환이 이루어지고, 포커스는 해당 메뉴의 우측 열에 있는 첫 페이지 최상단 행의 메뉴로 이동한다. 또한 좌측이동은 좌 방향키를 이용하여 포커스가 좌측으로 한 단계 이동하며, 단일 페이지인 경우와 동일한 원칙이 적용되고 좌측이동이 이루어진다. 즉, 첫 페이지의 최상단 행의 가장 좌측 메뉴에서 좌 방향키를 누르면 마지막 페이지로 페이지 전환이 일어나게 되면서 포커스는 마지막 페이지의 최하단 가장 우측 메뉴로 이동하도록 한다.
우측이동은 우 방향키를 이용하여 포커스가 우측으로 한 단계 이동하며, 단일 페이지인 경우와 동일한 원칙이 적용되고 우측이동이 이루어진다. 즉, 마지막 페이지의 최하단 행의 가장 우측 메뉴에서 우 방향키를 누르면 첫 페이지로 페이지 전환이 이루어지고, 포커스는 첫 페이지의 최상단 행의 가장 좌측 메뉴로 이동하도록 한다.
한편, 엠베디드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리스트 메뉴는 단일 페이지인 경우와 2 페이지 이상인 경우가 있으며, 단일 페이지인 경우 상향이동은 상 방향키를 이용하여 포커스가 위로 한 단계 이동한다. 따라서, 리스트 메뉴에서 1 -> 5 -> 4 -> 3 식으로 순환하면서 상향이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향이동은 하 방향키를 이용하여 포커스가 아래로 한 단계 이동하며, 리스트 메뉴에서 5 -> 1 -> 2 -> 3 식으로 순환하면서 하향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엠베디드 메뉴가 2 페이지 이상인 경우, 페이지 간의 이동은 단일 페이지인 경우와 같은 방식으로 상하좌우 방향키를 이용한 라인 단위 이동을 기본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사이드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경우, 사이드키를 이용하여 페이지 단위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여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키를 이용한 페이지 간 이동 시 상향 사이드키를 누르면 현재 페이지에서 포커스를 받은 메뉴의 위치와 관계없이 이전 페이지의 최상단 행의 메뉴로 포커스를 이동한다.
사이드키를 이용한 페이지 간 이동 시 하향 사이드키를 누르면 현재 페이지에서 포커스를 받은 메뉴의 위치와 관계 없이 다음 페이지의 최상단 행의 메뉴로 포커스를 이동한다. 첫 페이지에서 상향 사이드키를 누르면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고, 마지막 페이지에서 하향 사이드키를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한다.
한편, 엠베디드 리스트 메뉴의 상향이동은 상 방향키를 이용하여 포커스가 위로 한 단계 이동하며, 단일 페이지의 경우와 동일한 원칙이 적용되고 8 -> 7 -> 6 -> 5 ->...-> 1 -> 8 식으로 순환하면서 상향이동이 이루어진다. 현재 페이지의 최상단 행의 메뉴에서 상 방향키를 누르면 이전 페이지로 페이지 전환이 이루어지고, 포커스는 현재 페이지에서 포커스를 받은 메뉴의 바로 이전 메뉴로 이동한다. 첫 페이지 최상단 행의 메뉴에서 상 방향키를 누르면 마지막 페이지의 최하단 행의 메뉴로 이동한다.
그리고, 하향이동은 하 방향키를 이용하여 포커스가 아래로 한 단계 이동하며, 단일 페이지의 경우와 동일한 원칙이 적용된다. 즉, 4 -> 5 -> 6 -> 7 -> 8 -> 1 식으로 순환하면서 하향이동이 이루어진다. 현재 페이지의 최하단 행의 메뉴에서 하 방향키를 누르면 다음 페이지로 페이지 전환이 이루어지고, 포커스는 현재 페이지에서 포커스를 받은 메뉴의 바로 다음 메뉴로 이동한다. 마지막 페이지 최하단 행의 메뉴에서 하 방향키를 누르면 첫 페이지의 최상단 행의 메뉴로 이동한다.
이상의 설명은 엠베디드 메뉴 네비게이션을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엠베디드 애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 메뉴 네비게이션을 설명한다.
먼저, 엠베디드 애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 메뉴 네비게이션의 리스트 페이지는 기능과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리스트 형식의 페이지의 구성 및 기본 네비게이션 방식이다. 페이지 구성은 타이틀 영역, 리스트 영역 및 소프트키 영역으로 구성된다. 상기 타이틀 영역은 리스트 제목을 표기하는 것으로, 리스트가 여러 페이지로 구성되는 컨텐츠 리스트의 경우 제목 옆에는 현재 페이지 번호/전체 페이지 수 형식으로 현재 위치를 표시하고 좌우로 페이지 간 이동이 가능할 경우 좌우 방향 삼각형을 표시한다.
전체 페이지 수가 1인 경우 1/1 로만 표시하고 삼각형 표시는 생략하며, 리스트 속성상 모든 항목이 한 페이지로 고정되는 페이지의 경우 페이지 표시를 넣지 않는다.
한편, 상기 리스트 영역은 1번부터 최대 9번까지는 번호 메뉴 리스트로 구성하고 10번째 이하의 메뉴는 번호를 생략한다. 소프트키 영역은 소프트키 영역 중앙 에 '확인'으로 표시되며 리스트 관련 기능 메뉴가 제공될 경우 왼쪽 영역에 '메뉴'가 표시되며 기능이 없을 경우 표시하지 않는다. 오른쪽 영역에는 특별한 모드 변경 등의 기능이 매핑되며 기능이 없을 경우 표시하지 않는다.
도 9a는 이와 같은 기본 페이지 구성을 토대로 한 리스트 페이지 내 네비게이션을 나타내며, 페이지 분량이 한 페이지 이내일 경우이다. 이는 페이지 길이와 한번에 로딩된 페이지 안에서 방향키 사용에 따라 포커스 이동과 화면 전환 방식을 페이지 내 네비게이션으로 정의된다.
①과 같이, 리스트 페이지에 초기 접근시 포커스는 페이지 최상단에 놓인다. 그리고 ②에서, 리스트 페이지에서 상하키를 사용하여 포커스를 상하로 이동하며, ③을 통해 화면 하단 리스트 이동이 이루어진다. 화면 하단 리스트 이동은 화면 하단에서 하 방향키를 누르면 하단의 리스트가 화면에 보일 수 있도록 이동하고 포커스는 다음 항목에 놓인다. 여기서, 화면 아래 보이지 않는 항목 수가 한 페이지를 넘기지 않을 경우 마지막 항목이 화면 하단에 놓이도록 움직인다. ④에서 마지막 항목에서 하 방향키를 선택하면 리스트의 초기 상태로 돌아가 첫 항목에 포커스가 놓인다.
도 9b는 리스트 페이지가 한 페이지를 초과할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① 과정에서 리스트 페이지에 초기 접근시 포커스는 페이지 최상단에 놓인다. 그리고, ② 과정에서 리스트 페이지에서 상하키를 사용하여 포커스를 상하로 이동하며, ③ 과정을 통해 화면 하단 리스트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는 화면 하단의 항목이 한 페이지 분량을 넘을 경우 다음 항목에 포커스가 이동하며 페이지 상단에 놓일 수 있도록 전체 리스트가 움직인다.
이전 페이지로 복귀할 경우, ④ 과정과 같이 마지막 항목에서 하 방향키를 선택하면 리스트의 초기 상태로 돌아가 첫 항목에 포커스가 놓인다. 여기서,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동일한 규칙이 적용된다.
도 10은 리스트 페이지 간 네비게이션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페이지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로딩하여 다른 리스트로 이루어진 페이지로 전환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우선 ① 과정에서 리스트 페이지에 초기 접근시 포커스는 페이지 최상단에 놓인다. ② 과정에서 우 방향키를 선택하면 포커스 위치와 상관없이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고 포커스는 페이지 최상단에 놓인다. 이후, ③ 과정을 통해 마지막 페이지에서 우 방향키를 선택하면 첫 페이지로 이동하면서 리스트 최상단에 포커스가 놓인다.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동일한 규칙이 적용된다.
도 11a는 컨텐츠 페이지 내 네비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페이지 안에서 방향키 사용에 따라 포커스 이동과 화면 전환 방식을 페이지 내 네비게이션을 나타낸다. 이는 ① 과정에서 컨텐츠 페이지에서 화면상에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없을 경우 포커스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② 과정은 라인 단위 이동을 나타내며, 하 방향키를 선택하면 화면 아래 있는 컨텐츠가 한줄씩 위로 올라온다. 이때 메뉴가 화면상에 나타나면 포커스가 놓인다.
③ 과정에서 포커스가 이동되며, 이는 하 방향키를 선택하면 아래 있는 메뉴 역시 한줄씩 위로 올라온다. 포커스는 다음 메뉴로 이동한다. ④ 과정을 통해 컨텐츠 페이지의 마지막 라인에서 하 방향키를 선택하면 첫번 째 메뉴로 포커스가 이 동한다. 첫 번째 메뉴가 화면에 보이거나 포커스가 놓일 메뉴가 없이 텍스트나 이미지 컨텐츠로 이어진 경우 페이지 이동 없이 정지한다.
그러나, E-book은 하나의 컨텐츠로 이루어진 서비스로 컨텐츠 페이지 간 네비게이션은 없으며 페이지 내 네비게이션만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페이지의 길이가 매우 길어 라인 단위의 네비게이션으로 모든 컨텐츠를 확인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E-book과 같이 컨텐츠 페이지의 길이가 매우 길고 하나의 컨텐츠 페이지로 이루어진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예외적으로 페이지 내 네비게이션에 좌우 방향키를 사용한 페이지 단위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페이지 길이가 길어 전체 길이를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전체 컨텐츠를 화면 단위로 나누어 용량을 표기한다. 단, 예외적인 페이지 단위이므로 페이지 하단에 표시한다.
즉, 도 11b의 ① 과정과 같이, 컨텐츠 페이지에서 화면상에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없을 경우 포커스는 나타나지 않는다. ② 과정에서 하 방향키를 선택하면 화면 아래 있는 컨텐츠가 한 줄씩 위로 올라온다. ③ 과정에서 하 방향키를 선택하면 화면 아래 있는 컨텐츠가 한 줄씩 위로 올라온다. 이후, ④ 과정을 통해 컨텐츠를 화면 단위로 나누어 현재 위치를 표기하므로 다음 페이지 분량의 컨텐츠가 화면의 50%이상을 차지하면 하단의 페이지 표시가 다음 페이지로 변경된다.
도 11c는 컨테츠 페이지 이동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① 과정에서 컨텐츠 페이지에서 화면상에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없을 경우 포커스는 나타나지 않는다. ② 과정에서 좌 방향키를 선택하면 화면 아래 있는 컨텐츠가 화면 단위로 올라온다. 하단의 페이지가 다음 페이지로 변경된다. 그리고, ③ 과정을 통해 라인 단위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는 하 방향키를 선택하면 화면 아래 있는 컨텐츠가 한 줄씩 위로 올라온다. ④ 과정에서 좌 방향키를 선택하면 화면 아래 있는 컨텐츠가 화면 단위로 올라온다. 하단의 페이지가 다음 페이지로 변경된다.
도 12a는 컨텐츠 페이지 간 네비게이션의 리스트 페이지와 컨텐츠 페이지 간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는 현재 컨텐츠 페이지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로딩하여 다른 컨텐츠 페이지로 전환하는 방식을 페이지 간 네비게이션을 도시한다.
먼저, ① 과정에서 컨텐츠 리스트 페이지에서 원하는 컨텐츠에 포커스를 이동하고 OK키로 선택한다. ② 과정에서 컨텐츠 페이지의 정보를 확인이 끝나면 취소키로 상위페이지로 이동한다. 그리고, ③ 과정에서 리스트 페이지로 복귀한다. 포커스 위치는 선택했던 항목에 그대로 위치한다. ④ 과정에서 하 방향키로 포커스를 한 줄 아래로 이동하여 다시 OK키로 선택한다. ⑤ 과정에서 다음 컨텐츠 페이지로 이동하며 정보를 확인한다.
도 12b는 컨텐츠 페이지 간 네비게이션을 나타내며, 컨텐츠 페이지와 컨텐츠 페이지 간 이동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① 과정에서 컨텐츠 리스트 페이지에서 원하는 컨텐츠에 포커스를 이동하고 OK키로 선택한다. ② 과정에서 컨텐츠 페이지의 정보를 확인한다. ③ 과정에서 우 방향키를 선택하면 컨텐츠 리스트에서 다음에 위치한 컨텐츠 페이지로 이동한다. 계속해서 우 방향키를 선택하여 다음 컨텐츠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④ 과정에서 리스트 상의 마지막 컨텐츠 페이지에서 우 방향키를 선택하면 리스트 사의 첫 번째 컨텐츠 페이지로 이동한다. 역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동일한 규칙이 적용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은, 메인 메뉴와 세부 메뉴가 연결 방식을 간략화하여 온라인 메뉴 선택이 일관성을 갖고 수행될 수 있어, 간단하고 쉬운 조작 단계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온라인을 사용할 때 효과적으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자신의 위치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메뉴 선택을 위한 조작의 단순성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일관된 표현 방식을 통해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메뉴에 대한 공통된 특성을 이해하게 되며 이를 통해 학습성과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2)

  1. 규정화되지 않은 온라인 메뉴 형태의 네비게이션(Navigation) 방법에 있어서,
    a) 단말기의 좌우 방향 키가 입력되면, 현재 메뉴의 위치로부터 좌우 방향에 위치한 해당 메뉴가 선택되는 단계;
    b) 메뉴 선택을 위한 단말기의 상하 방향 키가 입력되면, 현재 메뉴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가장 근접한 2 개의 메뉴를 선별하는 단계;
    c) 상기 2개의 상하 방향의 메뉴 중 좌측 메뉴가 선택되고, 상기 좌측 메뉴에 의해 분할되는 현재 메뉴의 할당비율을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판단된 결과, 현재 메뉴로 할당되는 비율이 50% 이하일 경우, 상기 선별된 2 개의 메뉴 중 우측 메뉴가 선택되는 단계;
    e) 상기 c) 단계에서 판단된 결과, 현재 메뉴로 할당되는 비율이 50% 초과일 경우, 상기 선별된 2 개의 메뉴 중 좌측 메뉴가 선택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2. 온라인 메뉴 형태의 리스트 메뉴 네비게이션(Navigation) 방법에 있어서,
    a) 리스트 페이지 초기 접근 시 페이지 최상단에 포커스를 위치시키는 단계;
    b) 다수의 리스트 항목 중 선택하고자 하는 항목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단말기의 상하 키를 이용하여 포커스를 상하 이동시키는 단계;
    c) 상하 이동된 포커스가 화면의 최 하단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의 포커스가 화면의 최 하단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b) 단계로 피드백하고, 현재의 포커스가 화면의 최 하단에 위치할 경우, 단말기의 하 방향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단말기의 하 방향키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c) 단계로 피드백하며, 상기 단말기의 하 방향키가 입력될 경우, 현재의 리스트 외 잔여 항목이 한 페이지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잔여 항목이 한 페이지 미만일 경우, 잔여 항목 중 마지막 항목이 화면의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화면 이동을 수행하는 단계; 및
    g) 상기 e)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잔여 항목이 한 페이지 이상일 경우, 반 페이지 분량만큼 화면을 상단으로 이동하고, 포커스는 다음 항목을 지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h) 현재의 포커스가 페이지 이동 영역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i) 상기 h)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의 포커스가 페이지 이동 영역에 존재할 경우, 좌우키로 이동을 원하는 페이지 번호까지 포커스를 이동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페이지 이동 방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4. 온라인 메뉴 형태의 컨텐츠 페이지 네비게이션(Navigation) 방법에 있어서,
    a) 단말기의 하 방향키를 선택하여 화면상의 컨텐츠를 한 줄 간격으로 상승시키는 단계;
    b) 기 설정된 소정의 메뉴를 화면의 하단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메뉴로 포커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소정의 메뉴 중 마지막 메뉴 라인에서 하 방향키가 선택될 경우, 첫 번째 메뉴로 포커스가 이동하는 단계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첫 번째 메뉴가 화면에 보이거나 포커스가 놓일 메뉴가 없이 텍스트나 이미지 컨텐츠로 이루어진 경우 페이지 이동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d) 컨텐츠 리스트 페이지에서 원하는 컨텐츠에 포커스를 이동하고 OK키로 선택하는 단계; 및
    e) 컨텐츠 페이지의 정보를 확인이 끝나면 단말기의 취소키를 이용하여 상위페이지로 이동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상기 페이지 이동 방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d) 컨텐츠 리스트 페이지에서 원하는 컨텐츠에 포커스를 이동하고 확인(OK) 키를 통해 상기 컨텐츠 페이지의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및
    e) 다음 또는 이전 컨텐츠로 이동하기 위해서 단말기의 상하 키로 포커스를 이동하여 컨텐츠 페이지 이동을 수행하는 단계로 구성된 컨텐츠 페이지 이동 방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8. 엠베디드(Embedded) 메뉴 네비게이션(Navigation)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상 방향키가 입력되면 상위 단계의 메뉴로 이동하며, 상위 단계의 첫 번째 메뉴에서는 최하위 단계의 마지막 메뉴로 포커싱되고; 상기 단말기의 하 방향키가 입력되면 하위 단계의 메뉴로 이동하며, 최하위 단계의 마지막 메뉴에서는 최상위 단계의 첫 번째 메뉴로 포커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사이드 키가 제공될 경우, 상기 사이드 키를 이용하여 페이지 단위의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 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키를 이용한 페이지 간 이동 시 단말기의 상향 사이드 키를 누르면 현재 페이지에서 이전 페이지의 최상단 행의 좌측 메뉴로 포커스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11. 엠베디드 애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 리스트 페이지 네비게이션(Navigation) 방법에 있어서,
    a) 리스트 페이지에 초기 접근시 포커스가 페이지 최상단에 위치하는 단계;
    b) 상기 리스트 페이지에서 단말기의 상하 키를 사용하여 포커스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단계;
    c) 상기 포커스가 화면 하단 리스트에 위치하고, 화면 하단에서 하 방향키가 입력되면 하단의 리스트가 화면에 보일 수 있도록 상기 리스트가 이동되는 단계; 및
    d) 상기 포커스가 상기 리스트의 다음 항목에 위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e) 화면 아래 보이지 않는 리스트의 항목 수가 한 페이지를 넘지 않을 경우 마지막 항목이 화면 하단에 위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f) 상기 마지막 항목에서 하 방향키를 선택하면 리스트의 초기 상태로 돌아가 첫 항목에 포커스가 놓이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e) 상기 리스트의 다음 항목이 한 페이지를 초과할 경우, 다음 항목에 포커스를 이동시켜 페이지 상단에 위치하도록 전체 리스트를 움직이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f) 상기 최종 페이지의 마지막 항목에서 하 방향키가 선택될 경우, 리스트의 초기 상태로 돌아가 첫 항목에 포커스가 위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e) 단말기의 우 방향키를 선택할 경우, 현재의 포커스 위치와 상관없이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고 포커스는 페이지 최상단에 위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17. 엠베디드 애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 컨텐츠 페이지 네비게이션(Navigation) 방법에 있어서,
    a) 단말기의 하 방향키기 입력될 경우, 화면 아래의 컨텐츠가 한 줄씩 상승하고, 임의의 메뉴가 화면상에 나타나면 해당 메뉴로 포커스가 위치하는 단계;
    b) 상기 해당 메뉴에서 단말기의 하 방향키가 입력되면, 상기 화면 아래의 메뉴가 한 줄씩 상승하고, 상기 포커스는 다음 메뉴로 이동하는 단계; 및
    c) 상기 컨텐츠 페이지의 마지막 라인에서 하 방향키가 입력되면, 첫 번째 메뉴로 포커스가 이동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다음 페이지 분량의 컨텐츠가 화면의 50%이상을 차지하면 하단의 페이지 표시가 다음 페이지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첫 번째 메뉴가 화면에 보이거나 포커스가 놓일 메뉴가 없이 텍스트나 이미지 컨텐츠로 이어진 경우 페이지 이동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d) 단말기의 좌 방향키가 입력되면 화면 아래의 컨텐츠가 화면 단위로 상승하고, 하단의 페이지가 다음 페이지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d) 컨텐츠 리스트 페이지에서 원하는 컨텐츠에 포커스를 이동시키고 확인(OK) 키로 선택하는 단계;
    e) 상기 컨텐츠 페이지의 정보 확인이 종료될 경우, 취소키로 상위페이지로 이동하여 리스트 페이지로 복귀하는 단계; 및
    f) 단말기의 하 방향키로 포커스를 이동한 후, 상기 단말기의 확인(OK)키를 로 선택하여 다음 컨텐츠 페이지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d) 컨텐츠 리스트 페이지에서 원하는 컨텐츠에 포커스를 이동하고 확인(OK) 키로 선택하는 단계; 및
    e) 상기 컨텐츠 페이지의 정보 확인이 종료될 경우, 단말기의 우 방향키를 선택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서 다음에 위치한 컨텐츠 페이지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KR1020060032862A 2005-04-11 2006-04-11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방법 KR100660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763 2005-04-11
KR20050029763 2005-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946A KR20060107946A (ko) 2006-10-16
KR100660290B1 true KR100660290B1 (ko) 2006-12-20

Family

ID=37627861

Famil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862A KR100660290B1 (ko) 2005-04-11 2006-04-11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방법
KR1020060032871A KR100784093B1 (ko) 2005-04-11 2006-04-11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문서정보 제공 메뉴 구조의 무선 인터넷 단말기
KR1020060032873A KR100782777B1 (ko) 2005-04-11 2006-04-11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검색 컨테이너 구조를 가지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 표시방법
KR1020060032861A KR100846298B1 (ko) 2005-04-11 2006-04-11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템플릿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KR1020060032867A KR20060107948A (ko) 2005-04-11 2006-04-11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회원가입 메뉴 제공방법
KR1020060032857A KR100829381B1 (ko) 2005-04-11 2006-04-11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테이너가 구현된 무선 인터넷 단말기
KR1020060032874A KR100837525B1 (ko) 2005-04-11 2006-04-11 왑 접속 예매 인터페이싱 방법
KR1020060032865A KR100744414B1 (ko) 2005-04-11 2006-04-11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텐츠를 전송하고 관리하는 페이지 구조를 갖는 단말기
KR1020060032868A KR101179477B1 (ko) 2005-04-11 2006-04-11 이동 단말기용 정보 알림 sms 서비스 신청 장치 및 방법
KR1020060032870A KR20060107950A (ko) 2005-04-11 2006-04-11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환경설정 및 안내페이지 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871A KR100784093B1 (ko) 2005-04-11 2006-04-11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문서정보 제공 메뉴 구조의 무선 인터넷 단말기
KR1020060032873A KR100782777B1 (ko) 2005-04-11 2006-04-11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검색 컨테이너 구조를 가지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 표시방법
KR1020060032861A KR100846298B1 (ko) 2005-04-11 2006-04-11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템플릿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KR1020060032867A KR20060107948A (ko) 2005-04-11 2006-04-11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회원가입 메뉴 제공방법
KR1020060032857A KR100829381B1 (ko) 2005-04-11 2006-04-11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테이너가 구현된 무선 인터넷 단말기
KR1020060032874A KR100837525B1 (ko) 2005-04-11 2006-04-11 왑 접속 예매 인터페이싱 방법
KR1020060032865A KR100744414B1 (ko) 2005-04-11 2006-04-11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텐츠를 전송하고 관리하는 페이지 구조를 갖는 단말기
KR1020060032868A KR101179477B1 (ko) 2005-04-11 2006-04-11 이동 단말기용 정보 알림 sms 서비스 신청 장치 및 방법
KR1020060032870A KR20060107950A (ko) 2005-04-11 2006-04-11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환경설정 및 안내페이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0) KR1006602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093B1 (ko) 2005-04-11 2007-12-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문서정보 제공 메뉴 구조의 무선 인터넷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155B1 (ko) 2007-07-24 2014-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에서 수행하는 상태 표시 방법 및 그 기기
KR101453295B1 (ko) 2007-10-19 2014-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관련 항목의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347253B1 (ko) * 2007-10-24 2014-01-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4방향 기능키를 이용한 화면 연계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방법
US9600261B2 (en) 2008-03-25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widget update scheduling
US9110685B2 (en) 2008-03-25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widge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US9069575B2 (en) 2008-03-25 2015-06-3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widget-related memory management
US9747141B2 (en) 2008-03-25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widget inter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US9269059B2 (en) 2008-03-25 2016-02-2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port optimization for widget content delivery
US8112404B2 (en) 2008-05-08 2012-02-07 Microsoft Corporation Providing search results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KR100987605B1 (ko) * 2008-07-23 2010-10-13 (주)엔텔스 스마트카드 기반 온카드 포털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방법
KR100982870B1 (ko) * 2008-08-22 2010-09-16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기 ui 저작 방법, 단말기 ui 저작 장치 및 단말기 ui 저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687550B1 (ko) * 2010-06-04 2016-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01114B1 (ko) * 2010-06-15 2015-03-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및 방법, 컨텐츠 개발 보조 시스템
KR101692729B1 (ko) * 2010-07-14 201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외부 객체에 대한 메시지 생성 및 획득 방법
KR101708821B1 (ko) * 2010-09-30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09317B1 (ko) * 2011-12-21 2014-06-20 주식회사 보고지티 결제페이지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422397B1 (ko) * 2013-03-04 2014-07-29 유형주 일러스트 이미지 검색 및 사용권 중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049459B1 (ko) 2014-03-26 2019-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법
CN107390980A (zh) * 2016-05-16 2017-11-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菜单显示方法及装置
KR102225356B1 (ko) 2019-01-04 2021-03-09 울산과학기술원 Gui 디자인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17779B1 (ko) * 2020-09-17 2022-07-06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컨테이너 포맷을 기반으로 전자 문서에 대한 지식 데이터화 파일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3316B1 (en) * 1998-04-08 2001-01-09 Geoworks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markup language based man-machine interface
US6366302B1 (en) 1998-12-22 2002-04-02 Motorola, Inc. Enhanced graphic user interface for mobile radiotelephones
KR20000037350A (ko) * 1999-11-23 2000-07-05 정상원 사이버 티켓 구매 시스템 및 그 구매 방법
US6731316B2 (en) * 2000-02-25 2004-05-04 Kargo, Inc. Graphical layout and keypad response to visually depict and implement device functionality for interactivity with a numbered keypad
JP2002041205A (ja) 2000-07-21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情報端末の情報表示方法
JP3620716B2 (ja) 2000-07-26 2005-02-16 日本電気株式会社 遠隔操作システムとその遠隔操作方法、及び遠隔操作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00063874A (ko) 2000-08-08 2000-11-06 정홍선 위치추적을 이용한 모바일 상거래 시스템
KR20020017020A (ko) * 2000-08-28 2002-03-07 박경용 인터넷을 이용한 티켓 예매 및 발행 방법
KR20010000713A (ko) * 2000-10-14 2001-01-05 최무용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예매 및 사용방법
KR100747441B1 (ko) * 2000-12-29 2007-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20020063434A (ko) * 2001-01-29 2002-08-03 이상훈 엑스엠엘을 이용한 웹 유저 인터페이싱 방법
KR100433366B1 (ko) * 2001-05-03 2004-05-28 와이더덴닷컴 주식회사 무선 단말기에 대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의메뉴 페이지 생성 방법
KR100414785B1 (ko) * 2001-06-19 2004-01-1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태표시 아이콘을 이용한 기능선택방법
US20030040340A1 (en) 2001-08-27 2003-02-27 Smethers Paul A. Graphical user interface features of a browser in a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499676B1 (ko) * 2001-09-06 2005-07-07 박경양 적외선 및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티켓 예약/구매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411566B1 (ko) * 2001-11-30 2003-12-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의 메뉴간 이동 방법
KR20030055855A (ko) * 2001-12-27 2003-07-04 지유아이디자인 주식회사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KR20030073199A (ko) * 2002-03-08 2003-09-19 와이더덴닷컴 주식회사 무선인터넷에서의 개인화 메뉴 생성 방법
KR100475654B1 (ko) * 2002-03-15 2005-03-15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결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0465779B1 (ko) * 2002-07-16 2005-01-13 벨록스소프트(주) 이동통신 단말기 ui의 복수 테마 다운로드를 통한디스플레이 방법
KR20040026556A (ko) 2002-09-25 2004-03-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어학 학습을 위한 휴대폰 및 방법
US7356332B2 (en) 2003-06-09 2008-04-08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information system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mobile devices
KR100780375B1 (ko) * 2003-08-01 2007-11-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대기 화면 공간 활용 방법 및 장치
KR20030077515A (ko) 2003-09-17 2003-10-01 최한길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를 특정번호로 전송 Opt-in Callback URL 답신 방식으로 WAP 사이트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73126A (ko) 2004-01-08 2005-07-13 와이더댄 주식회사 무선 인터넷에서의 개인화된 웹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60290B1 (ko) 2005-04-11 2006-12-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093B1 (ko) 2005-04-11 2007-12-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문서정보 제공 메뉴 구조의 무선 인터넷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944A (ko) 2006-10-16
KR20060107950A (ko) 2006-10-16
KR100782777B1 (ko) 2007-12-05
KR100846298B1 (ko) 2008-07-14
KR20060107946A (ko) 2006-10-16
KR100744414B1 (ko) 2007-07-30
KR20060107951A (ko) 2006-10-16
KR20060107952A (ko) 2006-10-16
KR20060107949A (ko) 2006-10-16
KR101179477B1 (ko) 2012-09-07
KR20060107953A (ko) 2006-10-16
KR20060107947A (ko) 2006-10-16
KR20060107948A (ko) 2006-10-16
KR100829381B1 (ko) 2008-05-13
KR100784093B1 (ko) 2007-12-10
KR100837525B1 (ko) 2008-06-12
KR20060107945A (ko) 2006-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290B1 (ko)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방법
KR101025259B1 (ko) 향상된 포켓 컴퓨터 및 연관된 방법들
CN100592751C (zh) 在移动通信终端中显示分层菜单的装置和方法
US9477642B2 (en) Gesture-based navigation among content items
US76942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enu functions of an electronic device
US9785329B2 (en) Pocket computer and associated methods
EP1614098B1 (en) Smooth scrolling with highlighted navigation and marking of page changes
US20140059460A1 (en)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70024646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CN105843492A (zh) 用于在触摸设备中编辑主屏幕的方法和装置
CN101267471A (zh) 用于移动终端的空闲屏幕布置结构和空闲屏幕显示方法
US20050003870A1 (en) Information terminal and program for processing displaying information used for the same
CN103038737B (zh) 显示器上对象的突出显示
CN103699316B (zh) 一种通过浮动触点移植方向键的方法及终端
CN103546818A (zh) 智能电视的列表显示界面的焦点控制方法和装置
KR20080107574A (ko) 이동 단말기의 키 신호 발생 방법 및 이동 단말기
CN101465982B (zh) 遥控手持机
JP2007257650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を用いた端末装置
CN110404257A (zh) 一种编队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0983621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휴대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20090125377A (ko) 트리 구조의 메뉴 브라우징 방법 및 장치
KR101437090B1 (ko) 보조페이지 출력이 가능한 출력장치, 보조페이지 출력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15920192B (zh) 专注力分配能力训练系统、运行方法及存储介质
US10691322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07164505A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