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6556A - 어학 학습을 위한 휴대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어학 학습을 위한 휴대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6556A
KR20040026556A KR1020020058091A KR20020058091A KR20040026556A KR 20040026556 A KR20040026556 A KR 20040026556A KR 1020020058091 A KR1020020058091 A KR 1020020058091A KR 20020058091 A KR20020058091 A KR 20020058091A KR 20040026556 A KR20040026556 A KR 20040026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user
memory card
dictionary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가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8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6556A/ko
Publication of KR20040026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55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휴대폰에 전자 사전을 추가하여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단어 검색과 회화학습 등 외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어학 학습을 위한 휴대폰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에 전자 사전을 추가하여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단어 검색과 회화학습 등 외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며 주문형 비디오(VOD)와 같은 어학 학습 컨텐츠와 실시간 인터넷 외국어 학습에도 응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어학 학습을 위한 휴대폰 및 방법{Cellular phone and method for language learning}
본 발명은 어학 학습을 위한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에 전자 사전을 추가하여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단어 검색과 회화학습 등 외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어학 학습을 위한 휴대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즘, 정보화 사회에서 직장인 및 수험생들에게 가장 관심 있는 분야는 외국어 분야이다. 따라서, 외국어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치 및 많은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 인기 있는 제품은 전자사전 기능이 포함된 휴대용 전자수첩 등이 있다. 이러한 전자수첩은 기존의 단어장이나 사전에 비해서 분명히 휴대가 용이할 정도로 크기가 작고, 사용법이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당히 고가이고 사용자가 휴대 장치 및 전자수첩을 모두 휴대하기에는 다소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 기능이 단순히 단어검색에 한정되어 있으며 만약, 원어민의 발음을 들을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 사전의 경우에는, 그 부피가 더욱 커지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폰의 보유율이 증가함에 따라 휴대폰의 기능도 크게 개선되어, 문자 메시지 전송 및 전화부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으로 종래 전자수첩 기능을 대체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휴대폰에 전자 사전을 추가하여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단어 검색과 회화학습 등 외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어학 학습을 위한 휴대폰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내부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서 전자 사전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의 일예를 보여준다.
도 2b 내지 2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서 전자 사전을 이용하여 단어를 검색하는 화면예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서 전자 사전을 이용하여 단어를 검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부 102 : 메모리부
104 : 키입력부 106 : 액정화면
108 : 메모리 카드110 : 메모리 카드 삽입부
112 : 듀플렉서114 : 송신부
116 : 수신부118 : 오디오 처리부
120 : 안테나 122 : 마이크
124 : 스피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외국어가 데이터베이스화된 메모리 카드를 휴대폰의 메모리 카드 삽입부에 삽입하는 제1단계와, 사용자가 휴대폰의 메뉴 항목 중에서 전자 사전을 선택하면 전자 사전 메뉴 항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전자 사전 메뉴 항목 중에서 단어 검색 항목을 선택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사전을 선택하여 단어를 입력하고 검색 항목을 설정하면 제어부가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와 검색 항목 설정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입력된 단어와 설정된 검색 항목을 전자 사전에서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휴대폰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외국어 사전을 데이터베이스화한 메모리 카드와, 상기 메모리 카드를 착탈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삽입부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 카드의 데이터를 코딩 또는 디코딩 하는 오디오 처리부와,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의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액정화면과, 상기 오디오 처리부를 통해 코딩 또는 디코딩 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다.
휴대폰에서 전자 사전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외국어 사전의 내용을 저장할 수 있는 대용량의 메모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별도의 내장 메모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이어 마이크 잭과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착탈식 전자 사전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단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폰에서 직접 사전 검색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휴대폰의 메뉴에서 전자 사전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단어 검색 기능 외에 회화학습과 원어민 발음도 청취할 수 있다. 단어를 검색하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단축키 또는 검색키를 공용으로 사용 가능하며, 회화학습과 원어민 발음은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하여 청취할 수 있다.
물론, 휴대폰의 데이터 전송 단자를 사용하여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 연결하여 특정 파일의 형태 즉, 엠펙(MPEG), 리얼오디오(Real Audio)와 같은 외국어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서 직접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에서 외국어 사전의 내용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편집하여 휴대폰으로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내부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학 학습을 위한 휴대폰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오는 제어부(100), 전화부와 문자 메시지 등의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메모리부(102),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104),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의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액정화면(LCD)(106), 안테나(120) 사이의 신호 교환을 관장하는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형태의 듀플렉서(112), 송신부(114), 수신부(116), 제어부를 통해 메모리 카드의 데이터를 코딩 또는 디코딩 하는 오디오 처리부(118), 마이크(122), 오디오 처리부를 통해 코딩 또는 디코딩 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2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휴대폰 본체는 기본적인 구성 외에 외국어 사전을 데이터베이스화한 메모리 카드(108), 메모리 카드를 착탈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삽입부(110)가 더 포함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서 전자 사전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의 일예를 보여준다.
휴대폰에서 사용자가 전자 사전을 선택하기 위해 메뉴 버튼을 누르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항목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메뉴 항목에는 전자수첩, 소리 설정, 화면 설정, 자동 응답, 전자 사전, 통화 시간 등이 있다. 사용자는 휴대폰에 표시된 메뉴 항목들 중에서 5번의 전자 사전을 선택하고 OK선택 버튼을 누른다.
도 2b 내지 2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서 전자 사전을 이용하여 단어를 검색하는 화면예를 보여준다.
사용자가 도 2a에서 전자 사전 메뉴를 선택하면, 휴대폰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사전 메뉴 항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전자 사전 메뉴 항목에는 단어 검색, 영어발음, 회화학습, 기타 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가 전자사전 메뉴 항목 중에서 1번의 단어 검색을 선택하고 OK선택 버튼을 누른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은 단어 검색 메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사용자는 휴대폰의 화면에 표시된 영영사전, 영한사전, 한영사전, 한자사전, 일본어사전 등의 메뉴 항목 중에서 영한사전을 선택하고 OK선택 버튼을 누른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은 단어 입력과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보여준다. 도 2d는 사용자가 영한 사전을 선택하여 원하는 단어를 입력한 화면예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였으면,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항목을 설정한다. 검색 항목 설정 메뉴에는 단어 검색, 숙어, 속담 검색, 단어 설명 검색 등이 있으며, 도 2e는 사용자가 단어 검색을 선택한 화면예를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고 검색 항목을 설정하였다면, OK선택 버튼을 누른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한 단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화면에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서 전자 사전을 이용하여 단어를 검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이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어가 데이터베이스화된 메모리 카드를 휴대폰의 메모리 카드 삽입부에 삽입한다(S300). 다음, 휴대폰의 메뉴에서 전자 사전을 선택한다(S302). 제어부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사전 메뉴 항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S304). 전자 사전 메뉴 항목에는 단어 검색, 영어발음, 회화학습, 기타 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가 전자 사전 메뉴 항목 중에서 단어 검색을 선택한다(S306).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은 영영사전,영한사전, 한영사전, 한자사전, 일본어사전 등의 단어 검색 메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S308).
사용자는 단어 검색 메뉴 항목 중에서 단어 검색을 위한 특정 사전을 선택한다(S310). 제어부는 사용자가 단어 검색을 위해 선택한 사전을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S312). 예를 들면, 사용자가 단어 검색을 위해 영한사전을 선택하였으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단어 입력과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보여준다. 사용자가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고 단어에 대한 검색 항목을 설정하면 제어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와 설정한 검색 항목을 메모리에 저장한다(S314). 검색 항목 설정 메뉴에는 단어 검색, 숙어, 속담 검색, 단어 설명 검색 등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는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단어와 설정한 검색 항목을 전자 사전에서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S316). 위의 판단결과(S310)에서 사용자가 단어를 검색할 사전을 선택하지 않았으면, 제어부는 작업을 종료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수정과 변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에 전자 사전을 추가하여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단어 검색과 회화학습 등 외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하며 주문형 비디오(VOD)와 같은 어학 학습 컨텐츠와 실시간 인터넷 외국어 학습에도 응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사용자가 외국어가 데이터베이스화된 메모리 카드를 휴대폰의 메모리 카드 삽입부에 삽입하는 제1단계;
    사용자가 휴대폰의 메뉴 항목 중에서 전자 사전을 선택하면 전자 사전 메뉴 항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제2단계;
    상기 전자 사전 메뉴 항목 중에서 단어 검색 항목을 선택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사전을 선택하여 단어를 입력하고 검색 항목을 설정하면 제어부가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와 검색 항목 설정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입력된 단어와 설정된 검색 항목을 전자 사전에서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어학 학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외국어 사전의 내용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편집하여 휴대폰으로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어학 학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단어를 검색하는 경우 단말기의 단축키 또는 검색키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어학 학습 방법.
  4.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외국어 사전을 데이터베이스화한 메모리 카드와,
    상기 메모리 카드를 착탈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삽입부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 카드의 데이터를 코딩 또는 디코딩 하는 오디오 처리부와,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의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액정화면과,
    상기 오디오 처리부를 통해 코딩 또는 디코딩 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을 위한 휴대폰.
  5. 제4항에 있어서,
    외국어 사전의 내용을 별도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을 위한 휴대폰.
  6. 제4항에 있어서,
    이어 마이크 잭과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을 위한 휴대폰.
KR1020020058091A 2002-09-25 2002-09-25 어학 학습을 위한 휴대폰 및 방법 KR20040026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091A KR20040026556A (ko) 2002-09-25 2002-09-25 어학 학습을 위한 휴대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091A KR20040026556A (ko) 2002-09-25 2002-09-25 어학 학습을 위한 휴대폰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556A true KR20040026556A (ko) 2004-03-31

Family

ID=37329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091A KR20040026556A (ko) 2002-09-25 2002-09-25 어학 학습을 위한 휴대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65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5448A1 (en) * 2005-11-09 2007-05-18 Kun-Ho Choi Text input method
KR100782777B1 (ko) 2005-04-11 2007-1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검색 컨테이너 구조를 가지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 표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777B1 (ko) 2005-04-11 2007-1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검색 컨테이너 구조를 가지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 표시방법
WO2007055448A1 (en) * 2005-11-09 2007-05-18 Kun-Ho Choi Text input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93715A1 (en) Text editing
US78725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n alphabet character in a terminal with a keypad
US20080300012A1 (en) Mobile phone and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s thereof
KR100566280B1 (ko) 무선 통신기기에서 음성인식 기능을 통한 어학 학습 방법
KR20040026556A (ko) 어학 학습을 위한 휴대폰 및 방법
US20080189592A1 (en) Method for displaying text in portable terminal
US20060271882A1 (en) Method for implementing a fuzzy spelling while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into a mobile phone
KR100238542B1 (ko) 휴대용 전화기에서 전자 사전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KR20020054568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장치 및 방법
KR1006845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초성조합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5315775B2 (ja) 電子辞書装置
KR100742543B1 (ko) 다국어 지원 독서프로그램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이용한 독서방법
KR2004002671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0754655B1 (ko)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
KR20040110233A (ko)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및 장치
JP5248051B2 (ja) 電子機器
KR200288050Y1 (ko) 신앙단말기
KR10077448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텍스트 변환 장치 및 방법
KR20060068159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사전 검색 및 번역 방법
JP2003115942A (ja) 翻訳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20070080309A (ko) 자음과 모음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JP2006128906A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音声読み上げ制御方法
KR20040098912A (ko) 휴대전화를 이용한 외국어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5588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JP2013254498A (ja) 電子辞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