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114B1 -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및 방법, 컨텐츠 개발 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및 방법, 컨텐츠 개발 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114B1
KR101501114B1 KR1020100056524A KR20100056524A KR101501114B1 KR 101501114 B1 KR101501114 B1 KR 101501114B1 KR 1020100056524 A KR1020100056524 A KR 1020100056524A KR 20100056524 A KR20100056524 A KR 20100056524A KR 101501114 B1 KR101501114 B1 KR 101501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content
user
divid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6477A (ko
Inventor
정준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6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11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6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3Multi-dimensional databases or data warehouses, e.g. MOLAP or ROL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4Graphical or visual programming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contents) 개발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페이지 메타포(metaphor)를 사용하여 정의함으로써, 기존의 기능적 단위에 대한 인식을 시각적 단위로 전환해 주어 컨텐츠 개발자가 직관적으로 컨텐츠의 UI를 개발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및 방법, 컨텐츠 개발 보조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EVELOPMENT OF CONTENTS, SYSTEM FOR SUPPORTING DEVELOPMENT OF CONTEN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개발자의 컨텐츠 개발을 보조할 수 있는 컨텐츠 개발툴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텐츠(contents) 개발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페이지 메타포(metaphor)를 사용하여 정의함으로써, 기존의 기능적 단위에 대한 인식을 시각적 단위로 전환해 주어 컨텐츠 개발자가 직관적으로 컨텐츠의 UI를 개발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및 방법, 컨텐츠 개발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등의 보급과 더불어 다양한 컨텐츠(contents)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smart phone)이 보급되면서, 스마트폰에서 활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컨텐츠 개발자가 용이하게 컨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컨텐츠 개발툴이 등장하면서, 일반인들도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컨텐츠들을 손쉽게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보통, 이러한 컨텐츠 개발툴들은 컨텐츠 개발자가 컨텐츠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정의할 수 있도록 하고, "유저 익스피어리언스(User Experience: UX)" 라고 하는 애니메이션, 시각 피드백, 장면 전환 등의 시각 효과를 컨텐츠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기존에 출시된 컨텐츠 개발툴들은 UI를 구성하는 처리 단위를 윈도우(window) 및 다이얼로그(dialog) 형태의 기능 단위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화면 상에 표시하면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컨텐츠를 개발하는 개발자가 판단한 기능적인 단위에 의해 각 구성이 분류되기 때문에 컨텐츠 개발에 숙련되지 않은 시각 디자이너 또는 비전문 개발자가 컨텐츠를 개발하는데 장애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개발에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가 손쉽게 컨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개발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구성하는 단위를 윈도우(window), 다이얼로그(dialog) 등의 기능적 단위가 아닌 페이지(page) 단위로 분류하고, 각 페이지가 컨텐츠(contents)의 실행 단위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시각 디자이너 또는 비전문 컨텐츠 개발자가 직관적으로 컨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개발자가 페이지 간 화면 전환에 다양한 시각 효과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저 익스피어리언스(User Experience: UX)를 일반 컨텐츠에서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컨텐츠 개발 보조 시스템은 따른 컨텐츠 개발 프로그램을 요청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개발 프로그램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개발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사용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page)로 정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단위로 상기 UI의 제작과 연관된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성한 후 상기 구성된 인터페이스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별로 상기 UI의 제작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는 사용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page)로 정의하는 페이지 정의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단위로 상기 UI의 제작과 연관된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성하는 인터페이스 구성부 및 상기 구성된 인터페이스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별로 상기 UI의 제작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페이지 구분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페이지 정의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페이지 구분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U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로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는 상기 명령 수신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UI 구성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UI 구성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별로 상기 UI를 구성하는 컨텐츠 구성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는 상기 컨텐츠 구성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각각을 상기 컨텐츠의 실행 단위로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는 상기 명령 수신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간 화면 전환 시 발생 가능한 시각 효과와 연관된 시각 효과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구성부가 상기 시각 효과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에 상기 시각 효과 명령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삽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발 보조 방법은 사용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page)로 정의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단위로 상기 UI의 제작과 연관된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인터페이스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별로 상기 UI의 제작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개발 보조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페이지 구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로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페이지 구분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U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로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개발 보조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UI 구성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UI 구성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별로 상기 UI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개발 보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각각을 상기 컨텐츠의 실행 단위로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개발 보조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간 화면 전환 시 발생 가능한 시각 효과와 연관된 시각 효과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각 효과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에 상기 시각 효과 명령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개발 보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구성하는 단위를 윈도우(window), 다이얼로그(dialog) 등의 기능적 단위가 아닌 페이지(page) 단위로 분류하고, 각 페이지가 컨텐츠(contents)의 실행 단위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시각 디자이너 또는 비전문 컨텐츠 개발자가 직관적으로 컨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개발자가 페이지 간 화면 전환에 다양한 시각 효과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저 익스피어리언스(User Experience: UX)를 일반 컨텐츠에서도 부여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컨텐츠 개발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및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I의 제어를 정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발 보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발 보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컨텐츠(contents) 개발툴들은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구성하는 처리 단위를 윈도우(window) 및 다이얼로그(dialog) 형태의 기능 단위로 구성함으로써, 비전문가들이 상기 컨텐츠 개발툴을 사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컨텐츠 개발툴의 동작을 살펴본다.
예를 들어, 컨텐츠 개발자가 "이름", "그룹", "최신" 등의 카테고리 별 보기를 제공하는 주소록 컨텐츠를 개발하는 경우, 일반적인 컨텐츠 개발툴은 컨텐츠 개발자가 "Main Window"(110), "Tab Menu"(120), "List View"(130) 등의 윈도우 구성을 조합하여 컨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보통, 컨텐츠 개발툴들이 이러한 구성을 사용하는 이유는 DB 사용을 고려하여 컨텐츠를 개발하는 것 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통적인 설계 패턴인 MVC(Model-View-Controller) 방식을 사용하여 컨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컨텐츠 개발자에게 더 용이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윈도우 구성을 조합하는 방식은 전문적인 컨텐츠 개발자의 경험에서는 익숙하지만 시각 디자인의 측면에서는 직관적이지 못하여 비전문가들이 활용하기에 다소 어려움이 존재한다.
특히, 이러한 컨텐츠 개발 방식은 "유저 익스피어리언스(User Experience: UX)" 라고 불리는 애니메이션, 시각 피드백, 장면 전환 등의 시각 효과를 중심으로 하는 종류의 UI를 개발하는데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UI를 구성하는 단위를 윈도우, 다이얼로그 등의 기능적 단위가 아닌 페이지(page) 단위로 분류하고, 각 페이지가 컨텐츠의 실행 단위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시각 디자이너 또는 비전문 컨텐츠 개발자가 직관적으로 컨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개발자가 페이지 간 화면 전환에 다양한 시각 효과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UX를 일반 컨텐츠에서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 흐름을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및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UI를 "Name Page"(210), "Group Page"(220), "Latest Page"(230)로 구분된 세 개의 페이지로 정의할 수 있다.
시각적인 면에서는 상기 UI를 페이지 단위로 정의하는 것이 일반적인 논리적 사고에서 더욱 직관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UI를 페이지 단위로 정의함으로써, 컨텐츠 개발자에게 직관적인 컨텐츠 개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통, 상기 UI를 페이지 단위로 정의하는 경우, 각 페이지가 다음 페이지로 넘어갈 때 고유한 시각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컨텐츠 개발자는 각 페이지가 전환될 때 화면에 표시될 시각 효과의 종류도 직관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개발자는 UI의 구성에 대해서도 시각적 단위로 인식하므로, UI의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애니메이션도 직관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개발자는 "Name Page"(210)에서 "Group Page"(220)로 전환이 발생할 때 고유한 시각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직관적으로 "Side Effect" 라는 시각 효과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개발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Group Page"(220)에서 "Latest Page"(230)로 전환이 발생할 경우에 대한 시각 효과인 "Roll Up Effect"를 직관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UI를 페이지 단위로 정의함으로써, 컨텐츠 개발자가 페이지간 전환이 발생할 경우에 대한 시각 효과를 직관적으로 정의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시각화된 편집기를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개발자가 상기 UI의 제어와 연관된 페이지간 상태 전환을 시각적 흐름에 따라 정의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I의 제어를 정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개발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UI를 페이지 단위로 정의함으로써, 컨텐츠 개발자가 향후 개발 완료된 컨텐츠에서의 UI 제어도 시각적 흐름을 통해 직관적으로 정의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개발자는 "Name Page"(310)에서 "Group" 버튼이 클릭될 경우, "Group Page"(320)로 전환이 됨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Group Page"(320)에서 "Latest" 버튼이 클릭될 경우, "Latest Page"(330)로 전환이 됨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Latest Page"(330)에서 "Name" 버튼이 클릭될 경우, "Name Page"(310)로 전환이 됨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컨텐츠 개발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초로 향후 개발 완료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할 경우에 따른 UI의 제어를 상태 전이도를 기반으로 하는 시각적 흐름을 통해 정의할 수 있으므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시각화된 편집기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손쉽게 개발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개발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UI를 페이지 메타포(metaphor)를 사용하여 정의함으로써, 기존의 기능적 단위에 대한 인식을 시각적 단위로 전환해 주어 컨텐츠 개발자가 직관적으로 컨텐츠의 UI를 개발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와 연관된 컨텐츠 개발툴을 소정의 서버를 통해 컨텐츠 개발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모델이 있을 수 있고, 컨텐츠 개발자에게 패키지 형태의 프로그램으로 제공하는 모델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서버를 통해 컨텐츠 개발자의 단말기로 컨텐츠 개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모델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발 프로그램을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컨텐츠 개발 보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텐츠 개발 보조 시스템(410)은 단말기(411) 및 서버(412)를 포함한다.
단말기(411)는 서버(412)로 컨텐츠 개발 프로그램을 요청한다.
서버(412)는 단말기(411)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개발 프로그램을 단말기(411)로 전송한다.
단말기(411)가 서버(412)로부터 상기 컨텐츠 개발 프로그램을 수신하면, 단말기(411)는 상기 컨텐츠 개발 프로그램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UI를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로 정의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411)는 상기 컨텐츠 개발 프로그램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단위로 상기 UI의 제작과 연관된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성한 후 상기 구성된 인터페이스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별로 상기 UI의 제작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상, 도 4를 참조하여 서버를 통해 컨텐츠 개발 프로그램을 단말기에 제공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격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510)는 페이지 정의부(511), 인터페이스 구성부(512) 및 디스플레이부(5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510)는 퍼스널 컴퓨터, MP3 플레이어, PMP, 네비게이션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 PDA 등 마이크로 프로세서 기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페이지 정의부(511)는 사용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UI를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로 정의한다.
인터페이스 구성부(51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단위로 상기 UI의 제작과 연관된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성한다.
디스플레이부(513)는 상기 구성된 인터페이스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별로 상기 UI의 제작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510)는 사용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UI를 페이지 단위로 정의한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페이지 단위로 구성된 UI 제작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한 UI 제작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510)는 명령 수신부(5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명령 수신부(514)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페이지 구분 명령을 수신한다.
이때, 페이지 정의부(511)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페이지 구분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U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510)는 컨텐츠 구성부(5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513)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UI 제작화면을 보고 명령 수신부(514)에 UI의 구성과 연관된 UI 구성 명령을 입력하면, 명령 수신부(514)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UI 구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구성부(515)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UI 구성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별로 상기 UI를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구성부(515)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각각을 사용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실행 단위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수신부(514)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간 화면 전환 시 발생 가능한 시각 효과와 연관된 시각 효과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구성부(515)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시각 효과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에 상기 시각 효과 명령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삽입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발 보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610)에서는 사용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UI를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로 정의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발 보조 방법은 단계(S610) 이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페이지 구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계(S610)에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페이지 구분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U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로 정의할 수 있다.
단계(S620)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단위로 상기 UI의 제작과 연관된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성한다.
단계(S630)에서는 단계(S620)에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별로 상기 UI의 제작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개발 보조 방법은 사용자가 단계(S630)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UI의 제작화면을 보고 상기 UI의 구성과 연관된 UI 구성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UI 구성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컨텐츠 개발 보조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UI 구성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별로 상기 UI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개발 보조 방법은 단계(S630)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각각을 상기 컨텐츠의 실행 단위로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개발 보조 방법은 단계(S630)이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간 화면 전환 시 발생 가능한 시각 효과와 연관된 시각 효과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컨텐츠 개발 보조 방법은 상기 시각 효과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에 상기 시각 효과 명령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및 방법은 컨텐츠 개발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UI를 페이지 메타포를 사용하여 정의함으로써, 기존의 기능적 단위에 대한 인식을 시각적 단위로 전환해 주어 컨텐츠 개발자가 직관적으로 컨텐츠의 UI를 개발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410: 컨텐츠 개발 보조 시스템
411: 단말기 412: 서버
510: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511: 페이지 정의부 512: 인터페이스 구성부 513: 디스플레이부
514: 명령 수신부 515: 컨텐츠 구성부

Claims (12)

  1. 삭제
  2. 사용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page)로 정의하는 페이지 정의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단위로 상기 UI의 제작과 연관된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성하는 인터페이스 구성부; 및
    상기 구성된 인터페이스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별로 상기 UI의 제작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며,
    상기 페이지 정의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각각을 상기 컨텐츠의 실행 단위로 구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각각이 상기 컨텐츠의 실행 단위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컨텐츠가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간 화면 전환 시 발생 가능한 시각 효과와 연관된 시각 효과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에 상기 시각 효과 명령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삽입하는 컨텐츠 구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페이지 구분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 수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페이지 정의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페이지 구분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U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로 정의하는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구성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UI 구성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별로 상기 UI를 구성하며,
    상기 명령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UI 구성 명령을 수신하는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사용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page)로 정의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단위로 상기 UI의 제작과 연관된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인터페이스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별로 상기 UI의 제작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로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각각을 상기 컨텐츠의 실행 단위로 구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각각이 상기 컨텐츠의 실행 단위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간 화면 전환 시 발생 가능한 시각 효과와 연관된 시각 효과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각 효과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에 상기 시각 효과 명령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개발 보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페이지 구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로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페이지 구분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U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로 정의하는 컨텐츠 개발 보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UI 구성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UI 구성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된 페이지 별로 상기 UI를 구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개발 보조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00056524A 2010-06-15 2010-06-15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및 방법, 컨텐츠 개발 보조 시스템 KR101501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524A KR101501114B1 (ko) 2010-06-15 2010-06-15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및 방법, 컨텐츠 개발 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524A KR101501114B1 (ko) 2010-06-15 2010-06-15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및 방법, 컨텐츠 개발 보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477A KR20110136477A (ko) 2011-12-21
KR101501114B1 true KR101501114B1 (ko) 2015-03-10

Family

ID=4550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524A KR101501114B1 (ko) 2010-06-15 2010-06-15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및 방법, 컨텐츠 개발 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1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298B1 (ko) * 2005-04-11 2008-07-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템플릿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US20090300578A1 (en) * 2001-01-09 2009-12-03 Nextai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An Application For Extending Access to Local Software Of A Wireless Device
KR20100030060A (ko) * 2008-09-09 2010-03-18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기 ui저작 장치 및 단말기 ui저작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00578A1 (en) * 2001-01-09 2009-12-03 Nextai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An Application For Extending Access to Local Software Of A Wireless Device
KR100846298B1 (ko) * 2005-04-11 2008-07-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템플릿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KR20100030060A (ko) * 2008-09-09 2010-03-18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기 ui저작 장치 및 단말기 ui저작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477A (ko)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anciulescu et al. A transformational approach for multimodal web user interfaces based on UsiXML
US9361282B2 (en) Method and device for user interface
CN101479722B (zh) 基于上下文来变换设备的操作的方法和系统
US9317257B2 (en) Folded views in development environment
US11334374B2 (en) Modifying readable and focusable elements on a page during execution of automated scripts
JP2013143151A (ja) 音声認識を使用してユーザ機能を行う方法及び装置
AU2019205973A1 (en) Responsive resize
CN112540763A (zh) 前端页面生成方法、装置、平台设备及存储介质
WO2015096497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feedback of an application
WO2020119804A1 (zh) 页面视图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50177916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feedback of an application
JP2015523623A (ja) 既存の単一言語プロセスからマルチ言語プロセスを構築すること
US11163377B2 (en) Remote generation of executable code for a client application based on natural language commands captured at a client device
Sarmah et al. Geno: A Developer Tool for Authoring Multimodal Interaction on Existing Web Applications
US10303331B2 (en) Live mobile application visual editor demo
US20150007006A1 (en) Normalizing a page flow
KR101501114B1 (ko)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및 방법, 컨텐츠 개발 보조 시스템
Schuler et al. Rule-based generation of mobile user interfaces
JP5657183B2 (ja) 第1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が第2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のアプリケーション・ロジックを実行することを可能に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第1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と第2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とのインターフェースをと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コード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ならびに第1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が第2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のアプリケーション・ロジックを実行することを可能にするためのソフトウェア・インターフェー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インターフェース)
Ruß MMIR framework: multimodal mobile interaction and rendering
US20160292140A1 (en) Associative input method and terminal
KR102250941B1 (ko) 메신저를 활용한 즐겨찾기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70689A (ko) 음성 명령 기반 매쉬업 서비스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Shen et al. Teach Once and Use Everywhere--Building AI Assistant Eco-Skills via User Instruction and Demonstration (poster)
KR101282970B1 (ko) 프로그램 개발시 화면 객체의 상황인지 위치 결정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