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617B1 -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617B1
KR100659617B1 KR1020050026303A KR20050026303A KR100659617B1 KR 100659617 B1 KR100659617 B1 KR 100659617B1 KR 1020050026303 A KR1020050026303 A KR 1020050026303A KR 20050026303 A KR20050026303 A KR 20050026303A KR 100659617 B1 KR100659617 B1 KR 100659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ing
image
recording material
reading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971A (ko
Inventor
겐고 우메다
도모유끼 오까다
사또시 아끼야마
오사무 고야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26Other properties of the sheet, e.g. curvature or reflectiv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08Automatic supply devices interacting with the rest of the apparatus, e.g. selection of a specific casset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8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37Detecting, i.e.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st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5Methods therefor in service, i.e. during normal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71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ction taken
    • H04N1/00082Adjusting or controlling
    • H04N1/00087Setting or calibr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9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the original or to the reproducing medium, e.g. imperfections or di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2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reproducing medium, e.g. type, size or avai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69Selecting a particular reproducing mode from amongst a plurality of modes, e.g. paper saving or normal, or simplex or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9Reproducing arrangements involving production of an electrostatic intermediate picture
    • H04N1/295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443Copy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x Reproducing Arrangement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방법으로 장치의 크기를 줄이도록 기록 매체의 이동 거리를 단축시킴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내에 확보될 이동 거리를 단축시킨다. 본 발명은 기록 매체(304)가 지나가는 거리를 단축하기 위해 센서 유니트(123)의 교정시 정상 속도 보다 느린 속도로 기록 매체(304)를 급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교정시 급송 속도를 정상 속도의 절반으로 함으로써 기록 매체의 이동 거리를 절반으로 할 수 있다.
급송 속도, 이동 거리, 화상 형성 장치, 기록 재료, 반사식 판정 수단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CPU에 의해 제어되는 각 유니트의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3은 기록 재료의 반사광량을 검출하기 위한 개요적 구성을 도시한 패턴 다이어그램.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판독 센서의 CMOS 센서에 의해 판독되는 기록 재료의 표면상의 아날로그 화상과 8 x 8 화소로 CMOS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디지털 처리한 디지털 화상과의 사이의 대비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CPU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6은 CMOS 센서의 회로 블록도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7은 CMOS 센서의 제어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8은 종래의 센서부의 조사 장치에 의해 조사되어 얻어진 음영 측정을 실행하기 위한 측정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조사 장치에 의해 조사되어 얻어진 음영 측정을 실행하기 위한 측정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10은 기록 재료 상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얻어지는 화상을 도시한 다이어그 램.
도11은 정상 급송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급송의 사이의 차이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12는 정상 급송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급송의 사이의 차이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13은 정상 급송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급송 사이의 타이밍의 차이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화상 형성 장치
102 : 용지 카세트
103 : 용지 급송 롤러
104 : 이송 벨트 구동 롤러
105 : 이송 벨트
106-109 : 광전도 드럼
122 : 정착 유니트
123 : 센서 유니트
606 : 시스템 클럭
607 : 타이밍 발생기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록 재료의 표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하여 기록 재료의 종류를 판정하기 위한 기록 재료 판정 장치 및 방법과 이 기록 재료 판정 장치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또는 레이저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부에 의해 가시화 및 현상된 화상을 기록 재료상에 전사하고 현상된 화상을 정착하기 위해 사전결정된 정착 조건하에서 가열 및 가압한다. 사전결정된 정착 조건은 기록 재료의 품질, 두께 및 표면 처리에 따라 현저하게 다르다. 따라서, 복수의 종류의 기록 재료를 사용할 때 기록 재료의 종류에 따른 세부 설정이 요구된다.
종래에,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되는 조작 패널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기록 재료의 크기와 종류(기록 재료가 종이인 경우에 종이 종류)가 설정되며, 상기 설정에 따라 정착 조건(예를 들어 정착 장치를 통해 통과하는 기록 재료의 정착 온도 및 급송 속도)을 변경한다. 또는, 정상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기록 매체상의 화상 저화와 사용자에 의해 실수로 규정 종이 이외의 잉크제트 OHT(오버 헤드 투명용지:over head transparency)가 투입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정착 롤러상의 OHT의 감김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일본특허출원공개 제2003-228256 참조).
또한, OHT에 한정되지 않고 인쇄 밀도, 전사 바이어스 설정, 정착 온도 및 처리 속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조건을 최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기록 매체의 표면 화상을 판독한 결과로부터 기록 매체 표면상의 울퉁불퉁한 부분들의 깊이와 이 부분의 간격을 산정하고 광택지(gloss paper), 백지(plain paper), 거친 용지(rough paper) 또는 OHT 등의 기록 매체의 종류를 판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로서, 일본특허출원공개 제2003-302208호 및 제2001-225988호 참조).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대부분 광원 또는 렌즈에 의해 발생된 광량의 변화로 인해 촬영된 화상의 열화를 가진다. 또한, 화상 픽업 장치의 광전 셀(cell)의 감도에 변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상물을 정확하게 판독하고 정확한 화상화 결과를 얻기 위해 기록 매체를 이동시키는 상태에서 복수회 음영량을 측정하기 위한 촬영을 하고 이 촬영된 결과를 평균화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음영량을 계산하고 촬영 결과를 보정한다.
그러나,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 기록 매체를 이동시키면서 복수회 촬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기록 매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충분한 영역이 화상 형성 장치 내에 확보되어야 하고 이로써 장치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의 관점에서 창안된 것으로서, 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기록 재료의 판정의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도록 종래의 장치를 개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광원, 렌즈 또는 화상 픽업 장치로 인해 일어나는 검출 분포의 불균일성에 영향받지 않고 화상 픽업 장치와 렌즈를 사용하는 구성에서 기록 매체를 판정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간단히, 요구되는 정확도를 유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사전결정된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속도로 기록 재료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 수단과, 급송 수단에 의해 급송된 기록 재료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수단과, 기록 재료상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 조사 수단과, 광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되고 기록 재료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판독함으로써 기록 재료의 표면상에 화상을 얻기 위한 화상 판독 수단과, 광 조사 수단과 화상 판독 수단을 포함하고 기록 재료의 표면에서 얻어진 화상을 사용하여 기록 재료의 사전결정된 속성을 판정하도록 급송 제어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를 급송시키면서 기록 판독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의 표면 상의 화상을 판독시키기 위한 반사식 판정 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장치는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반사식 판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속성에 기초하여 기록 재료의 종류를 판정하고, 반사식 판정 수단은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를 판독할 때 이동 거리를 사전결정된 속도로 급송하는 경우보다 단축시키도록 급송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급송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화상 형성 장치는, 사전결정된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속도에서 기록 재료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 수단과, 잠상을 지지하기 위한 잠상 지지 요소와, 이 잠상 지지 요소에 현상제를 제공함으로써 현상된 화상으로서 잠상을 가시화하기 위한 현상 수단과, 현상 수단의 현상 화상을 급송 수단에 의해 급송된 기록 재료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 수단과, 전사 수단에 의해 그 위에 현상 화상을 전사시 키면서 기록 재료를 정착하기 위한 정착 수단과, 기록 재료상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 조사 수단과, 광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되고 기록 재료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판독함으로써 기록 재료의 표면상에 화상을 얻기 위한 화상 판독 수단과, 광 조사 수단과 화상 판독 수단을 포함하고 기록 재료의 표면에서 얻어진 화상을 사용하여 기록 재료의 사전결정된 속성을 판정하도록 급송 제어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를 급송시키면서 기록 판독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의 표면 상의 화상을 판독시키기 위한 반사식 판정 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장치는 판정된 종류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 조건하에서 기록 재료 상에 현상 화상을 형성하도록 반사식 판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속성에 기초하여 기록 재료의 종류를 판정하고, 반사식 판정 수단은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를 판독할 때 이동 거리를 사전결정된 속도로 급송하는 경우보다 단축시키도록 급송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급송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화상 형성 방법은 사전결정된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속도에서 급송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를 급송하는 급송 단계와, 급송 수단에 의해 급송된 기록 재료상에 현상 및 정착 수단에 의해 화상을 현상 및 정착하는 단계와, 급송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를 급송하면서 기록 재료상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되고 기록 재료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화상 판독 수단으로 판독함으로써 기록 재료의 표면상에 화상을 얻는 화상 판독 단계와, 화상 판독 단계를 포함하고 기록 재료의 표면상에서 얻어진 화상을 사용하여 반사식 판정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의 사전결정된 속성을 판정하도록 화상 판독 단계를 수행하는 반사식 판정 단계와, 얻어진 속성에 기초하여 기록 재료의 종류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반사식 판정 단계는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를 판독시킬 때 사전결정된 속도에서 급송하는 경우보다 이동 거리를 단축시키도록 급송 제어 수단에 의해 급송 수단을 제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록 재료 판정 장치는 기록 매체상에 빛을 조사하고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판독함으로써 기록 매체의 표면상에 화상을 얻기 위한 화상 판독부와, 사전결정된 속도에서 기록 매체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부와, 화상 판독부에 의해 기록 매체상에서 화상을 판독시킬 때 소정 속도에서 급송하는 경우의 급송 상태와 다른 급송 상태로 기록 매체를 급송하기 위해 급송부를 제어하기 위한 급송 제어부와, 기록 매체의 표면상에 얻어진 화상을 사용하여 기록 매체의 속성을 판정하도록 공급부에 의해 기록 매체를 다른 급송 상태로 급송시키면서 화상 판독부에 의해 기록 매체의 표면상에 화상을 판독시키는 판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록 재료 판정 방법은 사전결정된 속도로 기록 재료를 급송하는 급송 단계와, 기록 매체상에 빛을 조사하고 조사되고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판독함으로써 기록 매체의 표면상에서 화상을 얻는 화상 판독 단계와, 화상 판독 단계에서, 소정 속도에서 급송하는 경우에서의 급송 상태와 다른 급송 상태로 기록 매체를 급송하기 위해 기록 매체의 급송 동작을 제어하는 급송 제어 단계와, 기록 매체의 표면상에서 얻어진 화상을 사용하여 기록 매체의 속성을 판정하기 위해 화상 판독 단계에서 소정 속도에서 공급하는 경우의 급송 속도와 다른 급송 상태로 기록 매체를 급송하면서 기록 매체의 표면상에서 화상을 판독시키는 판정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사전결정된 속도에서 기록 매체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부와, 급송부에 의해 급송된 기록 재료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와, 기록 매체상에 빛을 조사하고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판독함으로써 기록 매체의 표면상에 화상을 얻기 위한 판독부와, 기록 매체의 표면상에 얻어진 화상을 사용하여 화상 형성부의 화상 형성 조건을 변경하기 위해 급송부에 의해 다른 급송 상태로 기록 매체를 급송시키면서 판독부에 의해 기록 매체의 표면상에서 화상을 판독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효과,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결합하여 취한 실시예들의 다음의 기재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된다. 도1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는 용지 카세트(102), 용지 급송 롤러(103), 급송 롤러(124), 상부 센서(125), 이송 벨트 구동 롤러(104), 이송 벨트(105),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광전도 드럼(106~109), 컬러용 전사 롤러(110~113),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카트리지(114~117),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광학 유니트(118~121) 및 정착 유니트(122)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는 화상 형성 수단, 광학 유니트, 감광 드럼, 이송 벨트 (105) 및 정착 유니트(122)를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기록 재료 상에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화상을 중첩 전사하기 위한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이용하며, 열 정착하기 위해 정착 롤러를 포함하는 정착 유니트(122)에 의해 전사되는 토너 화상의 온도를 제어한다. 컬러 광학 유니트(118~121)가 레이저 빔으로 광전도 드럼(106~109)의 표면상에 노광 스캔을 실행함으로써 잠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일련의 화상 형성 동작은 사전결정된 위치로부터 피급송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전사하도록 동기화된다.
더욱이, 화상 형성 장치(101)는 기록 재료로서 기록 용지를 공급 및 급송하기 위한 용지 급송 모터를 포함하고, 급송된 기록 용지는 이송 벨트 및 정착 롤러로 급송되면서 그 표면상에 원하는 화상이 형성된다.
공급된 기록 용지는 기설정된 속도로 급송 롤러(124)에 의해 급송된다. 기록 용지의 선단부는 상부 센서(125)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 이후에 사전결정된 시간이 지나면, 기록 용지를 위한 급송 동작이 일시적으로 중지한다. 이러한 일시적 중지 상태에서, 기록 용지의 표면 화상은 센서 유니트(123)에 의해 판독된다. 화상화는 일시적 중지 이전에 상술한 음영(shading) 측정을 위해 다수회 실행된다.
센서 유니트(123)는 기록 용지가 이송 벨트로 급송되기 전에 배치되고, 급송된 기록 재료의 표면에 빛을 조사하여 기록 재료의 표면 상의 특정 영역에서의 화상을 판독하도록 반사광을 집속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제어 수단으로서 제어 CPU(210)는 도2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 CPU(210)는 기록 재료상의 토너 화상을 융합 및 정착 하도록 정착 유니트(122)에 의해 기록 재료에 원하는 열량을 제공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의 제어 CPU의 동작에 대해 도2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제어 CPU(210)에 의해 제어되는 각 유니트의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2에서, 제어 CPU(210)는 CMOS 센서(211)와 다각형 미러, 모터 및 레이저를 포함하는 컬러용 광학 유니트(212~215)에 연결되고, 광전도 드럼의 표면상에 레이저를 스캔하고 소망의 잠상을 그리하도록 컬러용 광학 유니트를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제어 CPU(210)는 기록 재료를 급송하기 위한 용지 급송 모터(216)와, 기록 재료를 급송하기 위한 용지 급송 롤러의 구동을 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지 급송 솔레노이드(217)와, 기록 재료가 사전결정된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용지 존재 센서(218)와,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위해 필요한 1차 대전, 현상, 1차 전사 및 2차 전사 바이어스를 제어하기 위한 고전압 전원(219)과, 광전도 드럼과 전사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드럼 구동 모터(220)와, 이송 벨트와 정착 유니트의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벨트 구동 모터(221)와, 정착 유니트와, 저전압 전원 유니트(222)를 제어한다. 더욱이, 제어 CPU(210)는 정착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도록 서미스터(thermistor)(도시하지 않음)로 온도를 감시한다.
제어 CPU(210)는 또한 버스 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메모리(224)에 연결되고, 메모리(224)는 상술한 제어 및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서 제어 CPU(21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스들의 전체 또는 일부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24)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 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한다.
ASIC(223)는 CMOS 센서(211)와 광학 유니트(212~215)들의 내부에서 모터 속도를 제어하고 제어 CPU(210)의 명령에 기초하여 용지 급송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하드웨어이다. 모터의 속도 제어를 위하여, 이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택(tack) 신호를 검출하고 택 신호의 간격이 사전결정된 시간이 되도록 모터에 가속 신호 또는 감속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속도 제어를 실행한다. 속도 제어가 다수의 모터에 대해 실행되기 때문에, 제어 CPU(210)의 제어 부하를 감소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제어를 사용하는 것보다 ACSI(223)의 하드웨어 회로로부터 제어 회로를 구축하는 것이 보다 이점이 있다.
호스트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인쇄 명령 수신시, 제어 CPU(210)는 기록 재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용지 존재 센서(218)에 의해 판정한다. 용지가 존재하면, 제어 CPU(210)는 용지 급송 모터(216), 드럼 구동 모터(220) 및 벨트 구동 모터(221)를 구동하고, 또한 사전결정된 위치에 기록 재료를 급송하기 위해 용지 급송 솔레노이드(217)를 구동한다.
상부 센서(125)에 의한 기록 용지의 선단부의 검출로부터 사전결정된 시간이 지난 이후에 기록 재료가 CMOS 센서(211)의 위치로 급송되면, 제어 CPU(210)는 CMOS 센서(211)가 기록 재료의 표면 화상을 화상화하도록 ASIC(223)에 CMOS 센서(211) 화상화 명령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에, ASIC(223)는 SI_select를 활성화한 다음에 CMOS 센서(211)로부터 SI_out를 거쳐 출력된 화상화 데이터를 포착하기 위해 사전결정된 타이밍에 소정 펄스의 SYSCLK를 출력한다.
CMOS 센서(211)의 이득(gain) 설정을 위해, 이는 ASIC(223)가 SI_select를 활성화한 다음에 SI_i을 거쳐 CMOS 센서(211)의 이득을 설정하도록 사전결정된 타이밍에 소정 펄스의 SYSCLK를 출력하기 위해 ASIC(223)의 내부의 레지스터 상에 제어 CPU(210)에 의해 사전에 판정된 값을 설정한다.
ASIC(223)는 이하에 기재될 본 발명의 기록 재료 판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회로(702)를 포함하고 기록 재료의 속성을 판정하기 위한 계산 결과가 제어 회로(702) 내의 레지스터 A와 레지스터 B에 저장된다. 그리고, 제어 CPU(210)는 제어 회로(702) 내부의 레지스터 A와 레지스터 B에 저장된 기록 재료의 속성을 판정하기 위한 계산 결과를 판독하고 그 결과에 따라 화상 형성 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를 적용하기 위해 공급된 기록 재료의 종류를 판정한다.
다음은 제어 CPU(210)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형성 조건들의 제어의 다양한 종류들로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록 재료의 표면의 표면조직이 거친 소위 거친 종이(rough paper)의 경우에, 백지(plain paper)보다 낮게 현상 바이어스되게 하고 토너가 산란되지 않도록 기록 재료의 표면에 부착하는 토너량을 억제하기 위해 제어가 적용된다. 이는 특히 거친 종이의 경우에 토너가 종이의 표면조직으로 인해 산란하고, 기록 재료의 표면에 부착하는 많은 토너량 때문에 화질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 CPU(210)는 또한 공급된 기록 재료의 종류를 판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정착 유니트(22)의 온도 조건을 다양하게 제어한다. 이는 특히 OHT의 경우에 기록 재료의 표면에 부착하는 토너의 정착성이 열악하면 OHT의 투명도가 저하한다는 문 제점에 대해서 효율적이다.
더욱이, 제어 CPU(210)는 또한 공급된 기록 재료의 종류를 판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기록 재료의 급송 속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한다. 급송 속도는 제어 CPU(210)에 의해 설정되는 속도 제어를 적용하기 위한 ASIC(223)의 속도 제어 레지스터 값을 가짐으로써 제어된다. 예를 들면, OHT 등의 투명 기록 재료의 경우에, 정착 온도 조건이 변화하고, 투명도를 증가시키도록 정착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어가 적용된다. 이는 기록 재료의 종류가 투명형인지 여부에 따라 기록 재료의 급송 속도를 변화하도록 제어를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광택지(gloss paper)의 경우에, 광택을 개선하고 화질을 향상하도록 기록 재료의 표면에 부착하는 토너의 정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계산은 CMOS 센서에 의해 화상화되는 기록 재료의 표면 화상으로부터 ASIC에 의해 하드웨어 회로에 의해 수행된다. 계산의 결과로부터, CPU는 고전압 전원의 현상 바이어스 조건과, 정착 유니트의 정착 온도 또는 기록 재료의 급송 속도를 변경하도록 제어를 적용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록 재료 판정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기록 재료의 반사광량을 검출하기 위한 개요적 구성을 도시한 패턴 다이어그램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유니트(123)는 광 조사 수단인 반사 LED(301)와, 기록 재료(304)와, 판독 수단인 CMOS 센서(211)와, 화상 렌즈(303)를 포함한 다. 여기서, CMOS 센서(211)는 CCD 센서일 수 있다.
광원이 반사 LED(301)인 빛은 기록 재료(304)의 표면을 향해 조사된다. 광원은 본 실시예에 따른 LED이다. 그러나, 크세논 튜브 또는 할로겐 램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기록 재료(304)로부터의 반사광은 CMOS 센서(211)상에 화상화되도록 화상 렌즈(211)를 거쳐 집속된다. 이로써, 기록 재료(304)의 표면상의 화상을 판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 LED(30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결정된 각도로 기록 재료(304)의 표면 상에 LED 광을 경사지게 조사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LED를 경사지게 장착하는 대신에 도시하지 않은 도광체로 빛을 경사지게 조사할 수 있다.
도4는 센서 유니트(123)의 CMOS 센서(211)에 의해 판독된 기록 재료(304)의 표면상의 아날로그 화상과 CMOS 센서(211)로부터 8 x 8 화소로 출력을 디지털 처리한 디지털 화상 사이의 대비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여기에서, 디지털 처리는 A/D 변환에 의해 CMOS 센서(211)로부터의 출력을 8-비트 화소 데이터로 전환함으로써 수행된다.
도4에서 기록 재료(A401)는 표면상의 종이 표면조직이 비교적 거친 소위 거친 종이이고, 기록 재료(B40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위 백지이고, 기록 재료(C403)는 소위 광택지이며, 여기에, 그 확대된 표면 화상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CMOS 센서(211)에 의해 판독되는 이러한 화상(401~403)은 도4에 각각 도시된 화상(404~406)이 되도록 디지털 처리된다. 따라서, 표면상의 화상은 기록 재료의 종류 에 따라 다르다. 이는 용지의 표면상의 표면조직의 상이한 상태로 인해 주로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와 달리, 기록 재료의 반사광량은 일반적으로 각 화소에 입력되는 빛의 총합 또는 평균으로부터 계산된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오직 하나의 수광 화소의 결과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CMOS 센서(211)로 기록 매체의 표면을 판독한 결과의 디지털 처리된 화상인 화상으로부터 기록 재료의 종이 표면조직의 표면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더욱이, 반사광량에 의해 기록 매체를 판정할 수 있다.
기록 재료의 표면을 식별하기 위해, 기록 재료의 표면의 일부는 8 x 8 화소로 이루어진 디지털 화상으로서 판독되고, 8개 라인에 대하여 각 라인으로부터 주어지는 Dmax - Dmin을 얻기 위해 화상내의 기록 재료의 최대 밀도로서의 화소 밀도 Dmax와 최소 밀도로서의 화소 밀도 Dmin이 검출된다. 또한, 기록 재료의 속성으로서 재료 품질(평활도)가 평균화에 의해 얻어진 Dmax - Dmin의 값에 의해 판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 상의 종이 표면조직이 기록 재료 A의 경우에서와 같이 거친 경우에, 표면조직의 다수의 음영들이 발생된다. 결론적으로, 밝은 위치들과 어두운 위치들의 사이의 차이가 현저해짐으로써 Dmax - Dmin이 크게 된다. 표면조직이 충분히 압축되고 평활도가 높은, 기록 재료 C와 같은 기록 재료의 표면상의 화상의 경우에, 표면조직의 음영이 수가 작아짐에 따라 Dmax - Dmin이 작게 된다. 기록 재료의 품질은 종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의 일부분인 이 비교에 의해 판정된다.
화상 데이터는 각 라인의 에지(edge) 개수 데이터를 얻도록 이진화될 수 있으며 이로써 표면의 불균일성을 판정할 수 있다. 에지 개수 데이터는 예를 들어 백색부에 "1"을 할당하고 흑색부에 "0"을 할당하고 각 라인에서 "1" 데이터부의 개수를 산출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기록 용지의 표면 상태는 Dmax - Dmin의 값과 에지 개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기록 재료의 표면상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얻어지는 화상은 기록 용지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이는 주로 종이의 표면상의 표면조직 상태와 종이 표면조직의 압축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상술한 제어 프로세서는 실시간으로 CMOS 센서(211)로부터의 화상의 샘플링 처리와 이득 및 필터 계산 처리를 수행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CMOS 센서(211)의 제어 회로를 도7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CMOS 센서(211)의 제어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7에 있어서, 판정부로서의 제어 CPU(210)는 제어 회로(702), CMOS 센서(211),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704), 계산 회로(705), 레지스터 A(706), 레지스터 B(707) 및 제어 레지스터(708)를 포함한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 CPU(210)는 제어 레지스터(708)에 CMOS 센서(211)의 동작 명령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제공하고, 그후, CMOS 센서(211) 는 기록 재료의 표면 상에 화상의 화상화를 시작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CMOS 센서(211)상의 전하 축적이 시작된다. CMOS 센서(211)는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704)로부터의 SI_select에 의해 선택되고, SYSCLK가 사전결정된 시기에 발생되어 화상화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가 CMOS 센서(211)로부터 SI_out 신호를 거쳐 전송된다.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704)를 거쳐 수신된 화상 데이터는 제어 회로(702)에 의해 계산되고, 계산 결과는 레지스터 A(706)와 레지스터 B(707)에 저장된다. 제어 CPU(210)는 2개의 레지스터들의 값들로부터 기록 재료의 속성을 판정한다.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704)를 거쳐 수신된 화상 데이터에서는 제어 회로(702)의 계산 회로에 의해 사전결정된 계산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 기록 용지의 표면상의 최대 밀도를 가진 화소의 밀도 Dmax와 최소 밀도를 가진 화소의 밀도 Dmin의 사이의 차이 데이터인, 8개 라인들의 Dmax - Dmin의 값들의 평균인 값이 레지스터 A(706)에 저장된다.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704)를 거쳐 수신된 화상 데이터는 제어 회로(702)의 계산 회로에 의해 사전결정된 계산이 이루어지고, 계산 결과는 기록 용지 표면의 에지 개수 데이터(예를 들어, 라인에서의 에지 개수의 총합값)로서 레지스터 B(707)에 저장된다. CPU(701)는 레지스터들의 상기 2개의 값들로부터 기록 재료의 속성인 기록 재료의 균일도를 판정한다.
다음에, 도6을 사용하여 센서 회로 블록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6은 CMOS 센서의 회로 블록도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6에서, CMOS 센서부(601)는 그 내부의 영역 같이 배치된 8 x 8 화소와 동등한 센서를 가진다. 더욱이, 수직 시프 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602, 603), 출력 버퍼(604),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605), 시스템 클럭(606) 및 타이밍 발생기(607)가 추가로 배치된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SI_select 신호(613)를 활성화하면, CMOS 센서부(601)는 수신된 빛에 기초하여 전하의 축적을 시작한다. 다음에, 시스템 클럭(606)이 주어질 때, 수직 시프트 레지스터(602, 603)는 출력 버퍼(604)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타이밍 발생기(607)에 의해 판독될 열을 순차 선택한다.
출력 버퍼(604)에 설정되는 데이터는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605)에 의해 A/D 변환기(608)로 전송된다. A/D 변환기(608)에 의해 디지털화된 화소 데이터는 출력 인터페이스 회로(609)에 의해 사전결정된 타이밍으로 제어되고, SI_select 신호(613)가 활성화 상태일 때의 기간 동안 SI_out 신호(610)로 출력된다.
상기 센서들 및 제어 회로들 등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8의 참조 부호 "801 ~ 808"는 종래의 센서부의 조사 장치에 의해 조사됨으로써 얻어지는 음영 데이터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9의 참조 부호 "901 ~ 90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조사 장치에 의해 조사됨으로써 얻어지는 음영 데이터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화상 판독 노이즈의 제거의 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도10의 (9)에서와 같은 화상을 촬영하는 경우가 1 페이지당 8 x 8 화소의 64 화소의 CMOS 센서로 촬영하는 경우를 추정하여 고려될 것이다. (9)의 화상은 광학 시스템 및 조명 시스템의 음영 성분들과 목적 촬영 화상의 문자 "A"를 포함한다. 먼저, 촬영 대상물이 급송 및 이동시키면서 교정을 위한 8개의 화상이 촬영된다. 촬영된 화상은 도10의 (1) 내지 (8)이다. 이들은 검출된 대상물에 대한 먼지 부착과 조사 장치의 조사의 불균일로 인해 목표 정보가 아닌 노이즈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교정을 위해 화상을 평균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평균화를 통해, 촬영 대상물이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화상 판독 노이즈 데이터인 변화하지 않는 성분(음영 성분 및 화소 감도의 변화)를 계산할 수 있다.
도10의 (10)은 평균화 이후의 화상 데이터를 보여준다. 상술한 촬영 및 평균화를 실행한 이후에 원하는 화상이 촬영된다. 이러한 경우에, 보정용 화상은 목표 촬영을 실행한 이후에 촬영될 수 있다. 원하는 화상을 촬영한 결과가 도10의 (9)이기 때문에, 음영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계산된 음영 성분만을 가지는 평균화된 화상(10)으로 그에 대한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촬영 화상인 문자 "A"는 더욱 명료하게 얻어질 수 있다. 도10의 (11)은 이와같이 보정을 행함으로써 얻어진 화상을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원리는, 거친 표면을 가지는 거친 종이 또는 미세한 표면을 가진 광택지와 같이, 기록 재료의 특성을 판정하기 위해 기록 재료의 표면상에 보다 정확한 화상을 얻도록 사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사 장치의 조사의 불균일성 등으로 인해 생성된 화상 판독 노이즈 데이터인 음영 데이터가 기록 재료를 급송하는 동안 센서로 표면을 복수회(상술한 예에서는 8회) 촬영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먼저 계산된다. 다음에, 기록 재료의 촬영을 중지한 상태에서 표면이 1회 촬영되고, 위에서 얻어진 화상 판독 노이즈인 음영 데이터가 촬영 화상으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기록 재료의 보다 적절한 표면 화상을 얻을 수 있다.
CMOS 센서에 의해 하나의 화상화를 위해 요구되는 시간 기간은 사전 결정되는데(또는, CMOS 센서의 사양에 따르는데), 이 시간은 기록 재료의 판정을 위해 요구되는 화상 데이터를 얻기 위한 시간이다. 센서 유니트(123)의 화상 간격(다수회의 화상화 사이의 시간 간격)은 하나의 화상화를 위해 요구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여기에서, 표면 화상 및 음영 데이터의 상기 판독 동작의 계산과 기록 매체의 급송 동작의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도1 참조)
용지 카세트(102)로부터 공급되는 용지는 급송 롤러(124)로 급송되고, 기록 용지의 표면 화상은 상부 센서(125)에 의한 용지의 선단부의 검출의 타이밍으로부터 사전결정된 시간 경과 이후에 복수회 판독된다. 사전결정된 시간은 용지가 센서 유니트(123)에 의해 화상화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는 데에 요구되는 시간이고, 급지 속도와 센서 유니트(123)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다.
기록 용지는 다중 판독 동작으로 공급된다. 음영 데이터는 다중의 판독 화상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다음에, 기록 용지는 일시적으로 멈추고, 기록 용지의 표면 화상은 다시 판독된다. 기록 용지의 표면 화상은 판독 동작에 의해 판독된 화상과 음영 데이터에 의해 얻어진다.
도8에 도시된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기록 재료의 급송이 재개되는 급송 속도는 사전에 결정된 정상 속도로 설정된다. 정상 속도는 화상이 백지에 형성되는 화상 형성 속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스는 교정용 화상을 촬영하기 위해 기록 매체인 기록 재료(304)를 공급한다. 정상 속도, 즉, 도8에 도시된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와 같이 기록 재료상에 화상을 현상 및 정착(즉, 화상을 형성)할 때와 동일한 속도로 급송하는 경우에, 기록 재료(304)는 센서 유니트(123) 아래에서 상당히 지나간다. 이러한 이유로, 화상 형성 장치가 센서 유니트(123) 뒤로 지나간 기록 재료(304)를 수용할 정도로 충분히 큰 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급송 속도를 연장시키기 위한 구성). 정상의 조건하에서, 이송 벨트 구동 롤러(104) 등의 차순위 급송부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유니트(123)의 뒤에 장착되고 기록 재료(304)가 공급되는 장소의 최근접 위치로 사전 인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적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기록 재료(304)가 센서 유니트(123)로부터 전방으로 급송, 감속 및 정지하도록 센서 유니트(123)와 이송 벨트 구동 롤러(104)와의 사이에 충분한 거리가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 용지의 상당한 이동 거리가 있기 때문에 결국 하우징이 대형 크기로 되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 재료(304)가 센서 유니트(123)를 넘어서 지나가는 거리를 줄이기 위해 센서 유니트(123)의 교정시 정상 속도 보다 낮은 속도로 기록 재료(304)를 공급할 수 있다. 도9는 기록 재료의 이동 거리가 종래 기술의 급송 상태를 도시한 도8의 경우에 비하여 감소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11은 시간에 대한 기록 매체의 이동 거리를 도시하고 있다. 도11은 교정시 급송 속도(2)를 정상 속도(1)의 절반으로 되게 함으로써 기록 매체의 이동 거리가 절반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5는 상기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각 단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S501: 기록 재료를 판정하는 동작을 시작한다.
S502: 기록 재료의 판정이 수행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판정이 불필요한 것으로 사용자가 사전에 결정하는 경우(아니오)에는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S503: 사전에 기록 재료를 위해 설정되는 화상 형성 속도(정상 속도) 보다 낮은 속도로 기록 재료가 급송된다.
S504: 기록 재료가 저속으로 급송되면서 화상 판독이 복수회 수행된다.
S505: 판독이 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판독이 완료되지 않으면(아니오) 프로세스는 S503으로 되돌아간다.
S506: 조사 불균일성을 제거하기 위한 화상 판독 노이즈 데이터(음영 데이터)가 S504에서 판독된 다중 화상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S507: 기록 재료의 이동이 수행되지 않는 상태에서 기록 재료의 표면의 화상이 판독된다.
S508: S506에서 판독된 화상과 S507에서 계산된 화상 판독 노이즈를 사용하 여 기록 재료가 판정된다.
S509: 판정 동작의 종료.
여기에서, 도5의 흐름도에 따른 제어 동작은 CPU(210)에 의해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의 교정시 기록 매체의 속도를 정상 속도보다 늦게 함으로써 장치가 적절히 작은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도록 센서로부터 차순위 급송부까지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기록 재료의 판정의 정확도를 유지하도록 음영 데이터의 화상화의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 재료를 이동시키면서 복수회 촬영을 한 이후에 기록 재료의 급송을 중지한 상태에서 기록 재료의 표면을 1회 촬영하도록 제어가 적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먼저 중지한 상태에서 기록 재료의 표면을 1회 촬영한 다음에 화상 기록 노이즈(음영 성분)를 제거하도록 기록 재료를 이동하면서 복수회 촬영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 기본적 구성 및 제어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공통인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그 차이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에서, 화상 센서의 교정시(음영 데이터를 측정시) 기록 매체의 급송 속도를 감소하기 위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모터 회전 및 기어비는 정상 속도를 위해 모터 토크를 적정화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저속으로 절환시, 정상 속도를 위한 모터 회전 및 기어비의 설정에 따라, 모터 토크가 불충분하게 될 수 있고 회전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저속으로 단순히 절환되면 안정된 급송이 더이상 보장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급송 및 정지의 반복되는 동작은 도5의 흐름도의 S503에서 급송 및 정지의 반복에 의해 기록 매체가 급송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 매체의 이동 거리를 감소하도록 기록 매체의 급송 및 정지를 반복하기 위해 제어가 적용된다. 본 경우에서 시간에 대한 기록 매체의 이동 거리가 도12에 도시되어 있다. 도12에서, 이동시의 급송 속도(1)는 정상 급송 속도(1)에 대응하는 속도이고, 이동 매체의 급송 거리는 사전결정된 시간 동안 이동 후에 정지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감소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중의 속도는 정상 속도와 동일하다. 그러나, 이는 정상 속도와 상이한 속도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불안정을 발생시키는 급송 동작을 느리게 하지 않고, 기록 재료의 판정을 위해 요구되는 시간은 정상 속도보다 높은 급송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거나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는 한 속도가 임의의 속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 유니트(123)의 교정시 기록 재료(304)를 이동 및 정지하면서 기록 재료(304)를 촬영함으로써 기록 매체의 이동 거리를 정상 속도시 급송의 경우와 비교하여 단축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장치의 작은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도록 센서 유니트(123)로부터 차기 급송부까지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기록 매체의 판정시 정확도를 유지하도록 음영 데이터의 화상화시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촬영 타이밍을 위해서는, 사전결정된 임의의 타이밍(간격)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제3 실시예]
다음에,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 기본적 구성 및 제어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공통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그 차이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서, 기록 매체의 이동 및 정지를 반복함으로써 이동 거리를 감소하기 위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재료(304)의 이동 및 정지를 위한 타이밍이 센서 유니트(123)의 화상화를 위한 타이밍과 동기화됨으로써, 효율적인 측정이 되게 한다. 상세하게는, 기록 매체는 효율적인 측정을 수행하도록 화상화 순간에 이동한다.
도13은 그러한 경우의 시간과 기록 재료(304)의 이동 거리를 보여준다. 센서 유니트(123)는 고정된 타이밍으로 화상화를 반복 수행한다. 센서 유니트(123)는 도13의 상단부에 도시된 센서 검출 타이밍(3)이 높은 영역에서 기록 재료(304)의 화상을 촬영한다. 기록 재료(304)의 표면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기록 유니트(123)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화 매체상의 화상화 위치는 최종 시간의 화상화와 본 시간의 화상화의 사이에서 상이하여야 한다. 기록 매체가 화상화의 순간에 이동하면, 기록 매체의 표면 특성에 영향을 덜 주면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기록 매체의 표면 특징의 영향은 이동 상태에서의 화상화보다 정지 상태에서의 화상화에서 더 감소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광원 또는 렌즈로 인한 광량의 변이를 보상하기 위한 음영 데이터는 전자의 경우에 용이하게 측정된다.
따라서, 센서 유니트(123)의 화상화를 위한 타이밍에 있어서 필요한 최소 거리로 기록 매체를 1회 이동하는 한편 이를 일시적으로 보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매체는 기록 재료(304)상에 화상을 촬영하는 센서 유니트(123)의 타이밍에 대해 교정시의 급송 속도(2)와 같이 반복적으로 이동 및 정지한다. 이러한 경우에, 기록 매체는 화상화 당 1회씩 이동한다. 따라서, 기록 매체는 필요한 회수로 이동 및 촬영한 이후에 중지한다. 이로써, 기록 매체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센서 유니트(123)의 검출 타이밍은 지속적인 것이 아니라 분리되는 것으로 예를 보여준다. 그러나, 검출 타이밍은 지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예에서 검출 타이밍 당 1회씩 이동한다. 그러나, 촬영(검출)은 이동 거리가 정상 속도의 이동 거리보다 느린 경우에 2회 이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 매체의 이동 및 정지가 그 교정시(즉, 음영 데이터의 측정시) 센서 유니트(123)의 검출 타이밍과 동기화됨으로써 센서 측정의 근본적인 정확도가 보장될 수 있으며 이로써 기록 매체의 판정의 우수한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기록 재료(304)의 이동 거리가 최소화됨으로써 적절한 장치의 작은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도록 센서 유니트(123)로부터 차기 급송부까지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의 측정의 충분한 정확도를 보장하고 기록 매체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적의 화상 형성 조건을 설정하고 높은 정확도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는 사전결정된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속도에서 기록 재료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 수단과, 급송 수단에 의해 급송된 기록 재료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수단과, 기록 재료상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 조사 수단과, 광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되고 기록 재료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판독함으로써 기록 재료의 표면상에 화상을 얻기 위한 화상 판독 수단과, 광 조사 수단과 화상 판독 수단을 포함하고 기록 재료의 표면 상에서 얻어진 복수의 화상을 사용하여 기록 재료의 사전결정된 속성을 판정하도록 기록 판독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의 표면 상의 화상을 복수회 판독시키기 위한 반사식 판정 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장치는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반사식 판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속성에 기초하여 기록 재료의 종류를 판정하고, 반사식 판정 수단은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를 판독할 때 이동 거리를 사전결정된 속도로 급송하는 경우보다 단축시키도록 급송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급송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기록 매체의 이동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장치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확보될 이동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기재되었으며, 이상의 기재로로부터 보다 확장된 태양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변경 및 수정이 행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따라서, 청구범위에서 그러한 변경을 포함한다.
본 출원은 2004년 3월 30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제2004-101221호와 2005년 3월 15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제2005-073784호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한 것으로서, 이들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하고 있다.

Claims (20)

  1. 사전결정된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속도로 기록 재료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 수단과,
    급송 수단에 의해 급송된 기록 재료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수단과,
    기록 재료상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 조사 수단과, 광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되고 기록 재료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판독함으로써 기록 재료의 표면상에 화상을 얻기 위한 화상 판독 수단과, 기록 재료가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될 때 기록 재료의 이동 거리를 사전결정된 속도로 급송하는 경우보다 단축시키도록 급송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급송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반사식 판정 수단을 포함하고,
    반사식 판정 수단은 기록 재료의 표면에서 얻어진 화상을 사용하여 기록 재료의 사전결정된 속성을 판정하도록 급송 제어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를 급송시키면서 화상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기록 재료의 표면상의 화상을 판독하고,
    화상 형성 수단은 기록 재료상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반사식 판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속성에 기초하여 기록 재료의 종류를 판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반사식 판정 수단은 기록 재료의 표면상에서 얻어진 화상을 사용하여 화상 판독 노이즈에 관련된 데이터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 수단을 더 포함하고, 하나의 제거된 화상을 사용하여 기록 재료의 사전결정된 속성을 판정하도록 얻어진 하나의 화상으로부터 화상 판독 노이즈에 관련된 계산 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해 기록 판독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의 표면상의 화상을 1회 판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급송 제어 수단은 기록 재료의 이동 거리를 사전결정된 속도로 급송하는 경우보다 단축시키도록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를 판독시킬 때 급송 속도를 소정 속도보다 낮아 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급송 제어 수단은 기록 재료의 이동 거리를 사전결정된 속도에서 급송하는 경우보다 단축시키도록 기록 재료가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될 때마다 사전결정된 시간동안 기록 매체의 급송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화상 판독 수단은 기록 재료가 급송 제어 수단에 의해 급송되는 동안의 타이밍에 기록 재료의 표면상에서 화상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반사식 판정 수단은 기록 재료의 표면상에서 얻어진 복수의 화상을 사용하여 기록 재료의 사전결정된 속성을 판정하도록 기록 재료를 급송 제어 수단에 의해 급송시키면서 화상 기록 수단을 사용하여 기록 재료의 표면상의 화 상을 복수회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사전결정된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속도에서 기록 재료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 수단과,
    잠상을 지지하기 위한 잠상 지지 요소와, 이 잠상 지지 요소에 현상제를 제공함으로써 현상된 화상으로서 잠상을 가시화하기 위한 현상 수단과,
    현상 수단의 현상 화상을 급송 수단에 의해 급송된 기록 재료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 수단과,
    전사 수단에 의해 그위에 현상 화상을 전사시키면서 기록 재료를 정착하기 위한 정착 수단과,
    기록 재료상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 조사 수단과, 광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되고 기록 재료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판독함으로써 기록 재료의 표면상에 화상을 얻기 위한 화상 판독 수단과, 기록 재료가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될 때 기록 재료의 이동 거리를 사전결정된 속도로 급송하는 경우보다 단축시키도록 급송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급송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반사식 판정 수단을 포함하고,
    반사식 판정 수단은 기록 재료의 표면에서 얻어진 화상을 사용하여 기록 재료의 사전결정된 속성을 판정하도록 급송 제어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를 급송시키면서 화상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기록 재료의 표면상의 화상을 판독하고,
    현상 수단 및 정착 수단은 반사식 판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속성에 기초하여 기록 재료의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된 종류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처리 조건에 따라 기록 재료상에 현상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반사식 판정 수단은 기록 재료의 표면상에서 얻어진 복수의 화상을 사용하여 화상 판독 노이즈에 관련된 데이터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 수단을 더 포함하고, 하나의 제거된 화상을 사용하여 기록 재료의 사전결정된 속성을 판정하도록 얻어진 하나의 화상으로부터 화상 판독 노이즈에 관련된 계산 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해 기록 판독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의 표면상의 화상을 1회 판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급송 제어 수단은 기록 재료의 이동 거리를 사전결정된 속도로 급송하는 경우보다 단축시키도록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를 판독시킬 때 급송 속도를 소정 속도보다 낮아 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급송 제어 수단은 기록 재료의 이동 거리를 사전결정된 속도로 급송하는 경우보다 단축시키도록 기록 재료가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될 때마다 사전결정된 시간동안 급송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반사식 판정 수단은 기록 재료의 표면상에서 얻어진 복수의 화상을 사용하여 기록 재료의 사전결정된 속성을 판정하도록 기록 재료를 급송 제어 수단에 의해 급송시키면서 화상 기록 수단을 사용하여 기록 재료의 표면상의 화 상을 복수회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사전결정된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속도에서 급송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를 급송하는 급송 단계와,
    급송 수단에 의해 급송된 기록 재료상에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와,
    급송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를 급송하면서 기록 재료상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되고 기록 재료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화상 판독 수단으로 판독함으로써 기록 재료의 표면상에 화상을 얻는 화상 판독 단계와,
    화상 판독 단계를 포함하고 기록 재료의 표면상에서 얻어진 화상을 사용하여 반사식 판정 수단에 의해 기록 재료의 사전결정된 속성을 판정하도록 화상 판독 단계를 수행하는 반사식 판정 단계와,
    얻어진 속성에 기초하여 기록 재료의 종류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반사식 판정 단계는 기록 재료가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될 때 사전결정된 속도에서 급송하는 경우보다 기록 재료의 이동 거리를 단축시키도록 급송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방법.
  13. 기록 매체상에 빛을 조사하고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판독함으로써 기록 매체의 표면상에 화상을 얻기 위한 화상 판독부와,
    사전결정된 속도로 기록 매체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부와,
    기록 매체가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될 때 사전결정된 속도에서 급송하는 경우의 급송 상태와 다른 급송 상태로 기록 매체를 급송하도록 급송부를 제어하기 위한 급송 제어부와,
    기록 매체의 표면상에 얻어진 화상을 사용하여 기록 매체의 속성을 판정하도록 공급부에 의해 기록 매체를 다른 급송 상태로 급송시키면서 화상 판독부에 의해 기록 매체의 표면상에 화상을 판독하는 판정부를 포함하는 기록 재료 판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판정부는 기록 매체의 표면상에서 얻어진 화상을 사용하여 화상 판독 노이즈와 관련된 데이터를 계산하고 화상 판독 노이즈와 관련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기록 매체의 사전결정된 속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료 판정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다른 급송 상태는 사전결정된 속도에서 급송하는 경우보다 기록 매체의 이동 거리를 단축시키기 위해 판독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를 판독할 때 기록 매체의 급송 속도를 사전결정된 속도보다 낮아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료 판정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급송 제어부는 기록 매체의 이동 거리를 사전결정된 속도에서 급송하는 경우보다 단축시키도록 판독 장치에 의해 기록 재료를 판독할 때 사전결정된 시간동안 기록 재료의 급송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료 판 정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판독 장치는 기록 매체가 급송되는 동안의 타이밍에 기록 매체의 표면상의 화상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료 판정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판정부는 기록 재료의 표면상에서 얻어진 복수의 화상을 사용하여 기록 재료의 속성을 판정하기 위해 화상 판독부를 사용하여 기록 재료의 표면상에 화상을 복수회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료 판정 장치.
  19. 사전결정된 속도로 기록 재료를 급송하는 급송 단계와,
    기록 매체상에 빛을 조사하고, 조사되어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판독함으로써 기록 매체의 표면상에서 화상을 얻는 화상 판독 단계와,
    화상 판독 단계에서, 소정 속도에서 급송하는 경우의 급송 상태와 다른 급송 상태로 기록 매체를 급송하기 위해 기록 매체의 급송 동작을 제어하는 급송 제어 단계와,
    기록 매체의 표면상에 얻어진 화상을 사용하여 기록 매체의 속성을 판정하기 위해 화상 판독 단계에서 사전결정된 속도로 공급하는 경우의 급송 상태와 다른 급송 상태로 기록 매체를 급송하면서 기록 매체의 표면상에서 화상을 판독하는 판정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재료 판정 방법.
  20. 사전결정된 속도에서 기록 매체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부와,
    급송부에 의해 급송된 기록 재료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와,
    기록 매체상에 빛을 조사하고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판독함으로써 기록 매체의 표면상에 화상을 얻기 위한 판독부와,
    기록 매체의 표면상에 얻어진 화상을 사용하여 화상 형성부의 화상 형성 조건을 변경하기 위해 급송부에 의해 다른 급송 상태로 기록 매체를 급송시키면서 판독부에 의해 기록 매체의 표면상의 화상을 판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50026303A 2004-03-30 2005-03-30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 KR100659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01221 2004-03-30
JP2004101221 2004-03-30
JPJP-P-2005-00073784 2005-03-15
JP2005073784A JP4756227B2 (ja) 2004-03-30 2005-03-15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971A KR20060044971A (ko) 2006-05-16
KR100659617B1 true KR100659617B1 (ko) 2006-12-20

Family

ID=35049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303A KR100659617B1 (ko) 2004-03-30 2005-03-30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715739B2 (ko)
JP (1) JP4756227B2 (ko)
KR (1) KR100659617B1 (ko)
CN (1) CN10050158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2521B2 (en) * 2006-06-06 2010-12-14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medium determina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R2937058B1 (fr) * 2008-10-10 2012-01-06 Arjowiggins Procede de fabrication d'un document de securite.
JP5975790B2 (ja) * 2012-08-24 2016-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55965B2 (ja) * 2015-11-30 2020-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119670B2 (ja) * 2018-07-11 2022-08-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1152653A (ja) * 2020-03-18 2021-09-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1256A (en) 1990-11-02 1994-03-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opening mechanism for jam clearance
JP3294315B2 (ja) 1992-04-13 2002-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735703A (ja) * 1993-06-28 1995-02-07 Kawasaki Steel Corp 画像処理方法
US5953574A (en) 1993-12-17 1999-09-14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987075B2 (ja) 1995-04-18 1999-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原稿送り装置、原稿自動読取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H09190113A (ja) * 1996-01-10 1997-07-22 Canon Inc 記録媒体分類装置および記録媒体分類方法
JP2001225988A (ja) 2000-02-14 2001-08-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2059601A (ja) * 2000-08-22 2002-02-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428855B2 (ja) * 2000-12-12 2010-03-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143333B2 (ja) * 2001-06-29 2008-09-0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100403591B1 (ko) 2001-08-13 200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매체 감별방법
JP2003063115A (ja) * 2001-08-24 2003-03-05 Hitachi Koki Co Ltd 連続紙記録方法
JP4378065B2 (ja) * 2001-10-25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428545B1 (ko) 2001-12-29 200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종류 감별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
JP2003228256A (ja) 2002-02-04 2003-08-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289827B2 (ja) 2002-04-12 2009-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227351B2 (ja) 2002-04-12 2009-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材の種別判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109922B2 (ja) 2002-08-01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870892B2 (ja) * 2002-11-05 2007-01-24 村田機械株式会社 カラー画像読取記録装置
KR200314853Y1 (ko) 2003-02-25 2003-05-28 광진정밀 주식회사 초정밀 구심연마기용 스핀들
JP4993653B2 (ja) 2003-10-03 201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材判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その方法
KR200359561Y1 (ko) 2004-05-13 2004-08-21 오창윤 렌티큘러시트를 포함하는 입체광고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56227B2 (ja) 2011-08-24
US7715739B2 (en) 2010-05-11
KR20060044971A (ko) 2006-05-16
CN1677255A (zh) 2005-10-05
CN100501581C (zh) 2009-06-17
US20100183325A1 (en) 2010-07-22
US8447196B2 (en) 2013-05-21
US20050264638A1 (en) 2005-12-01
JP2005316427A (ja) 200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4914B2 (ja) 映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27351B2 (ja) 記録材の種別判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149441B2 (en) Recording material discrimination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100659617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
US7339702B2 (en) Picture reading device for discriminating the type of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thereof
JP2005017541A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7852521B2 (en) Recording medium determina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440319B2 (ja) 紙表面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083689A (ja) 記録材の種類を判別する判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06713B2 (ja) 記録材表面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110033B2 (ja) 画像形成装置
JP4857321B2 (ja) 記録紙判別装置および記録紙判別方法
JP2006264833A (ja) 記録材判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5732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14866A (ja) 記録材判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184504A (ja) 記録材判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162963A (ja) 画像形成装置
JP5493409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345927A (ja) 記録材判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その方法
JP2005234472A (ja) 記録材判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250357A (ja) 画像編集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5159800A (ja) 映像読取装置なら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520226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