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992B1 -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 - Google Patents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992B1
KR100657992B1 KR1020050065539A KR20050065539A KR100657992B1 KR 100657992 B1 KR100657992 B1 KR 100657992B1 KR 1020050065539 A KR1020050065539 A KR 1020050065539A KR 20050065539 A KR20050065539 A KR 20050065539A KR 100657992 B1 KR100657992 B1 KR 100657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metal
flat
magnet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의현
Original Assignee
채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의현 filed Critical 채의현
Priority to KR1020050065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16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string input, i.e. special characteristics in string composition or use for sensing purposes, e.g. causing the string to become its own sens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현을 갖는 금속현 현악기의 전방에 용이하게 착탈되는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은, 자화되는 금속재질로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현이 플랫의 전방에 배열된 금속현 현악기에 장착되어 금속현의 진동에 따른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에 있어서, 상기 플랫을 파지하여 상기 플랫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금속현의 전방에서 상기 금속현을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덮도록 상기 고정구에 고정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 주위에 감긴 유도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악기, 픽업

Description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PICK-UP FOR METAL STRINGED INSTRU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의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이 장착된 기타를 도시한 사시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기타
1a 플랫
1b 금속현
2 픽업
21 고정구
21a 부착부
21b 클립부
22 마그네트
23 유도코일
24 출력선
25 커버
3 증폭 및 출력장치
본 발명은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현을 갖는 금속현 현악기의 전방에 용이하게 착탈되는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타, 바이올린, 베이스 등과 같은 일반 현악기는 현의 진동에 따른 음파를 발생시킨다. 일반 현악기는 그 출력이 약하다. 따라서, 현의 진동을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하여 이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자 기타, 전자 바이올린과 같은 현악기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전자 현악기는 현의 진동을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인 픽업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자 현악기는 픽업에 의해 생선된 신호를 증폭하고 출력하기 위한 장치가 있어야만 연주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전자 현악기는 비교적 고가이다. 따라서, 전자 현악기는 주로 전문가들 위주로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일반 현악기는 비교적 사용 및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일반인뿐만 아니라 전문가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 현악기의 경우 그 음악소리를 증폭하거나 전기적인 신호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일반 현악기의 소리가 발생되는 부위(예를 들어 공명통)에 마이크로폰을 대고 그 음악소리를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일반 현악기에서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음악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시키는 방법은 마이크로폰을 현악기 근처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번거롭다.
뿐만 아니라 일반 현악기에서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음악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시키는 방법의 경우 마이크로폰에 음악소리 이외에 주위의 잡음이 잡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현을 갖는 일반 현악기를 전자 현악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일반 현악기에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되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현의 진동 이외의 잡음에 대한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지 않는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은, 자화되는 금속재질로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현이 플랫의 전방에 배열된 금속현 현악기에 장착되어 금속현의 진동에 따른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에 있어서, 상기 플랫을 파지하여 상기 플랫에 고정되는 고정구 와, 상기 금속현의 전방에서 상기 금속현을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덮도록 상기 고정구에 고정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 주위에 감긴 유도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은, 상기 고정구는, 상기 마그네트가 일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금속현을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덮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폭방향으로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꺽여 상기 플랫의 폭방향으로의 양측면에 맞닿아 그 양측면을 가압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클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의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이 장착된 기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2)은 자화되는 금속재질로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현(1b)이 플랫(1a)의 전방에 배열된 금속현 현악기(1)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은 현의 진동을 전자기유도에 의하여 전기적 진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기장(B) 내에서 N-S극을 갖도록 자화되는 금속재질의 금속현(1b)을 갖는 금속현 현악기(1)에 적용된다. 도 3은 상기와 같이 금속현(1b)이 자화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자화된 금속현(1b)이 진동되면 금속현(1b)의 진동수(f)에 따른 자기장(B)의 변화가 발생되고, 그 자기장(B)의 변화에 따라 자기장(B) 내부에 위치된 유도코일(23)에는 유도전류(I)가 유기된다. 상기와 같이 유도코일(23)에 유기된 유도전류(I)는 출력선(24)를 통해 증폭 및 출력 장치(3)로 전달되어 출력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2)은 고정구(21), 마그네트(22), 유도코일(23), 및 커버(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21)는 상기 기타(1)와 같은 현악기의 플랫(1a)을 파지하여 상기 플랫(1a)에 고정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구(21)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부착부(21a)와 클립부(21b)로 구성된다. 상기 부착부(21a)는 상기 마그네트(22)가 전면에 부착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금속현(1b)을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덮는다. 상기 클립부(21b)는 사이에 상기 플랫(1a)이 끼이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클립부(21b)는 상기 부착부(21a)의 폭방향으로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꺽여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클립부(21b)는 탄성변형되어 그 내면이 상기 플랫(1a)의 폭방향으로의 양측면에 맞닿아 그 양측면을 가압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클립부(21b)가 상기 플랫(1a)에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고정구(21)은 상기 플랫(1a)에 고정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립부(21b)는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면 탄성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클립부(21b)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고정구(21)를 상기 플랫(1a)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그네트(22)는 상기 금속현(1b)의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마그네트(22)는 상기 금속현(1b)의 전방에서 상기 금속현(1b)을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덮도록 상기 고정구(21)의 부착부(21a)의 전면에 부착 고정된다. 상기 마그네트(22)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B)은 상기 금속현(1b)를 자화시킨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22)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B)은 상기와 같이 자화된 금속현(1b)이 진동되면 그 자속이 변하게 된다.
상기 유도코일(23)은 자화된 금속현(1b)이 진동되면 그 금속현(1b)의 진동수(f)에 따라 변하는 자기장(B)의 변화에 따라 유도전류(I)를 발생시켜 출력한다. 상기 유도코일(23)은 상기 마그네트(22)의 주위를 감싸는 절연재질의 보빈(23a)에 감겨 상기 마그네트(22) 주위에 감긴다. 상기 유도코일(23)에 유기된 유도전류(I)는 출력선(24)를 통해 증폭 및 출력 장치(3)로 전달되어 출력된다. 도면부호 24a는 상기 증폭 및 출력 장치(3)의 입력단자에 연결되도록 상기 출력선(24)의 말단에 연결된 연결단자이다.
상기 커버(25)는 상기 마그네트(22) 및 코일(23)을 덮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은 현악기의 플랫에 고정되는 고정구가 구비되어 일반 현악기에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되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현의 진동 이외의 잡음에 대한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자화되는 금속재질로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현이 플랫의 전방에 배열된 금속현 현악기에 장착되어 금속현의 진동에 따른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에 있어서,
    상기 플랫을 파지하여 상기 플랫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금속현의 전방에서 상기 금속현을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덮도록 상기 고정구에 고정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 주위에 감긴 유도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마그네트가 일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금속현을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덮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폭방향으로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꺽여 상기 플랫의 폭방향으로의 양측면에 맞닿아 그 양측면을 가압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클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
KR1020050065539A 2005-07-19 2005-07-19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 KR100657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539A KR100657992B1 (ko) 2005-07-19 2005-07-19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539A KR100657992B1 (ko) 2005-07-19 2005-07-19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7992B1 true KR100657992B1 (ko) 2006-12-14

Family

ID=37733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539A KR100657992B1 (ko) 2005-07-19 2005-07-19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9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1153A (ja) 1996-09-17 1998-04-10 Casio Comput Co Ltd 電子弦楽器のネック構造
KR20000016588U (ko) * 1999-02-04 2000-09-25 이의석 기타 픽업 구조체
KR20020079352A (ko) * 2001-12-10 2002-10-19 주식회사 우성코러스 전기기타용 픽업의 잡음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1153A (ja) 1996-09-17 1998-04-10 Casio Comput Co Ltd 電子弦楽器のネック構造
KR20000016588U (ko) * 1999-02-04 2000-09-25 이의석 기타 픽업 구조체
KR20020079352A (ko) * 2001-12-10 2002-10-19 주식회사 우성코러스 전기기타용 픽업의 잡음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0339B1 (en) Converter
JP2006047946A (ja) 弦楽器に於ける音の処理方法とそのピックアップ装置
US4184398A (en) Self generating electrical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US20050081703A1 (en) Electroacoustic sustainer for musical instruments
JP2005010535A (ja) 弦楽器用駒および弦楽器
US11132985B2 (en) Vibraphone pickup
US9024171B2 (en) Sensor assembly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TE367636T1 (de) Elektromagnetischer wandler für saiteninstrument
KR100657992B1 (ko) 금속현 현악기용 픽업
US10373597B2 (en) Transducer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2009139730A (ja) 楽音信号出力装置および弦楽器
US8586850B1 (en)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5834298B2 (ja) 弦楽器
JP2007033806A (ja) 弦楽器
JP5834301B2 (ja) 弦楽器
KR102277583B1 (ko)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 확성장치
US10614787B2 (en) Transducer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2006235120A (ja) 電子弦楽器用ピックアップ装置
US20210217395A1 (en) Contact transducer for musical instruments with soundboard
FI107473B (fi) Mikrofoni kielisoittimille ja mikrofonin käyttö
JP5820417B2 (ja) 弦楽器
JP5857359B1 (ja) マイクユニットのコネクタ取付構造及び弦楽器
JP2015197644A (ja) 電気弦楽器用ピックアップ
KR200196456Y1 (ko) 전기해금
NL8203459A (nl) Snaar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