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456Y1 - 전기해금 - Google Patents

전기해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456Y1
KR200196456Y1 KR2020000009663U KR20000009663U KR200196456Y1 KR 200196456 Y1 KR200196456 Y1 KR 200196456Y1 KR 2020000009663 U KR2020000009663 U KR 2020000009663U KR 20000009663 U KR20000009663 U KR 20000009663U KR 200196456 Y1 KR200196456 Y1 KR 2001964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string
haegeum
picku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곤
Original Assignee
김태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곤 filed Critical 김태곤
Priority to KR2020000009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4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4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4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2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16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string input, i.e. special characteristics in string composition or use for sensing purposes, e.g. causing the string to become its own sens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픽업(Pick up) 장치와 전기 기타(Guitar)줄을 결합한 Electric 해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기的으로 높은 감응도의 쇠줄(8)을 현으로 사용하는 악기와 音 확성기기인 앰프에 전기的으로 연결되어, electric sound를 구현하는 픽업(12)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ectric 해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해금{Electric Haegeum}
본 고안은 Electric 해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주時 활(20)과의 마찰로 인한 쇠줄 현(8)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들을 electric sound로 구현하는 piezo effect 방식의 ceramic pickup을 장착하여 다양한 electric sound를 낼 수 있는 Electric 해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해금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깊은 농현(Vibration)을 구사하는 연주를 위해 탄력있는 명주실 현(6)을 장착하여 활(20)의 마찰에 의한 진동音을 단순히 공명통(10)에서의 울림에 의하여 확성시키는 방식이었다.
그런데, 요즈음에 들어서는 음악의 발전과 다양한 표현의 필요성에 따라 보다 더 Powerful 하고 Dynamic한 음악에 걸맞는 악기 발명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해금은 자연적 발생음에 의한 악기이기에 음량이 적어 관객에게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여, 매번마다 별도의 마이크를 각도에 제대로 맞춰 대어줘야 하고, 음량도 他人이 따로 조절해야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확성장치기기인 앰프에 연결되어 전기音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송수신 장치를 콤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어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용역인력을 채용할 필요가 없어 운영경비를 코스트다운 시킬 수 있으며, 사용이 간편 용이, 신속한 Electric 해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해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Electric 해금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 예 및 장착방법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손잡이 기둥 줏대 4. 주아(줄 감개)
6. 명주실 2현 8. 쇠줄 2현
10. 공명통 12. 픽업(Pickup)
14. 콘텐트 부 잭() 16. 플러그 부 잭()
18. 줄걸이 20. 활
22. 원산(Bridge) 24. 픽업과 앰프間 연결 전기선
본 고안에 따르면, 활(20)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쇠줄(8) 현의 진동을 전기적으로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로서 공명통(10)에 결합되어져 앰프와 연결되어 electric sound를 내게하는 픽업(12)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ectric 해금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Electric 해금을 도시한 것으로서, 공명통(10)에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12)이 장착된다. 이 픽업(12)은 상기 해금 공명통(10)의 콘텐트 부 잭(14)에 전기선으로 연결되고 다시 플러그부 잭(16)에 연결되어 앰프로 전기적으로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픽업(12)장치는 시중 판매제품 활용으로 가능하며 쇠줄 현(8) 또한 시판 전기 기타줄을 활용하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해금에 픽업(12) 장치를 하므로서 쇠줄 현(8)에서 발생하는 진동음을 전기적으로 송수신하여, 현대음악에 걸맞게 음량을 크고 풍부하게 관객에게 전달할 수 있음으로써, 종래 해금의 적은 음량 문제점과 별도 마이크 설치의 불편함, 연주 장소 이동에 있어서의 어려움 등 제반 애로사항들의 해결이 가능하고, 종래 해금의 외관을 손상시킴없이 간단히 제작할 수 있으며, 별도 마이크 사용時에 소요되는 용역비와 기자재 사용비가 불필요함에 따라 코스트다운이 되며, 사용이 신속하고 간편 용이하여 반영구적으로 오래토록 사용할 수 있는 Electric 해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전기的으로 높은 감응도의 쇠줄(8)을 현으로 사용하는 악기와 音 확성기기인 앰프에 전기的으로 연결되어, electric sound를 구현하는 픽업(12)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ectric 해금.
KR2020000009663U 2000-04-04 2000-04-04 전기해금 KR2001964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663U KR200196456Y1 (ko) 2000-04-04 2000-04-04 전기해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663U KR200196456Y1 (ko) 2000-04-04 2000-04-04 전기해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456Y1 true KR200196456Y1 (ko) 2000-09-15

Family

ID=1965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663U KR200196456Y1 (ko) 2000-04-04 2000-04-04 전기해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4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0803A (en) Bifunctional earphone set
US4697491A (en) Electric feedback guitar
FR2886502A1 (fr) Dispositif de prise de son stereophonique grave et aigu, triphonique, quadriphonique ou plus, destine aux instruments acoustiques a cordes, ethniques ou a percussion
US93055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generating sound from a musical instrument
US5422955A (en) Wireless amplification system for musical instruments
CN111583892A (zh) 一种电子打击旋律乐器
EP1152395A3 (en) Electr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having detachable frame
US20080173165A1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ith Enhanced Musical Sound
US20040159225A1 (en) Sound pickup system for acoustic string instruments
KR20130111976A (ko) 변환 장치
IT1316022B1 (it) Microfono a riluttanza per strumento musicale a corda.
US20180277084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Musical Instrument Amplifier
CN212484927U (zh) 一种电子打击旋律乐器
CN212484928U (zh) 电子打击旋律乐器
JP2002247676A (ja) スピーカー装置
KR200196456Y1 (ko) 전기해금
US11335309B2 (en) Connector device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comprising vibration transducer
KR200196543Y1 (ko) 전기 해금
US20180130453A1 (en) Musical Instrument Amplifier
USH1503H (en) Cordless electric guitar
JP2003295865A (ja) 弦楽器
CN212624757U (zh) 一种古琴专用主动式压电拾音器
KR101748859B1 (ko) 전기식 현악기
CA2896432C (en) Sound pick-up and sound modifying device with internal component platform for removable attachment to acoustic musical instrument
JP2008034998A (ja) 自動ヴァイオリ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