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859B1 - 전기식 현악기 - Google Patents

전기식 현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859B1
KR101748859B1 KR1020160061679A KR20160061679A KR101748859B1 KR 101748859 B1 KR101748859 B1 KR 101748859B1 KR 1020160061679 A KR1020160061679 A KR 1020160061679A KR 20160061679 A KR20160061679 A KR 20160061679A KR 101748859 B1 KR101748859 B1 KR 101748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coustic
acoustic pickup
mobile device
pickup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산
Original Assignee
김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산 filed Critical 김형산
Priority to KR1020160061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859B1/ko
Priority to PCT/KR2016/005805 priority patent/WO201720013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2Resonating means, horns or diaphrag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8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e.g. radio, light, infrar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2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piezoelectric driv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285USB, i.e. either using a USB plug as power supply or using the USB protocol to exchange dat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321Bluetooth

Abstract

1.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기식 현악기 및 실시간 음향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음향픽업장치가 장착된 각종 전기식 현악기로부터 제공되는 연주음을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상기 음향픽업장치로부터 제공된 연주음을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외부 시스템(무대음향시스템, 음원/악보 클라우드시스템, 인터넷/생방송시스템, 무대조명시스템, 비디오시스템 등)과 연계하여 음악 공연을 제공하는 실시간 음향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 구성 및 효과
본 발명은 음향픽업장치가 장착된 각종 현악기에 모바일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상기 음향픽업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연주음을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상기 음향픽업장치로부터 제공된 연주음을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외부 시스템(무대음향시스템, 음원/악보 클라우드시스템, 인터넷/생방송시스템, 무대조명시스템, 비디오시스템 등)과 연계함으로써 더욱 풍부하고 다양한 연주음 또는 음악 공연(합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식 현악기{ELECTRIC STRINGED INSTRUMENT}
본 발명은 전기식 현악기 및 실시간 음향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음향픽업장치가 장착된 각종 전기식 현악기로부터 제공되는 연주음을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상기 음향픽업장치로부터 제공된 연주음을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외부 시스템(무대음향시스템, 음원/악보 클라우드시스템, 인터넷/생방송시스템, 무대조명시스템, 비디오시스템 등)과 연계하여 음악 공연을 제공하는 실시간 음향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악기(絃樂器)라 함은 현을 발음체로 하여 음을 내는 악기로, 그 연주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손가락이나 손톱, 피크 등으로 현을 퉁겨서 소리를 내는 발현악기(發絃樂器)와, 활로 현을 마찰시켜서 소리를 내는 찰현악기(擦絃樂器)와, 채로 현을 쳐서 소리를 내는 타현악기(打絃樂器)와 같이 크게 3가지로 분류한다.
전통 현악기로는 양금, 가야금, 아쟁, 해금, 거문고 등이 알려져 있고, 외국 악기로는 고또(koto)(일본), 쟁(zheng)(중국), 얼후(중국), 단 짜인(檀箏)(베트남)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통 현악기들은 현대에 들어 음량, 음색, 음역 등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구조 및 형채가 개량된 악기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현악기들은 넓은 장소나 야외에서 연주시, 특히 가야금 독주시 가야금의 줄이 명주실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틸(steel)을 줄로 사용하는 전자 현악기에 사용되는 음향증폭수단은 그 응용이 불가능하므로 가야금 연주자와 멀리 떨어져 있는 관객은 가야금 본래의 맑고 높은 원음을 미약하게 청취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처럼 넓은 장소에서 연주를 할 경우에는 그 연주음이 멀리까지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현악기의 연주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향출력수단인 앰프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전기식 현악기가 많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전기식 현악기는 발생되는 연주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여 앰프를 통해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넓은 공간의 연주시 청중들이 연주음을 잘 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현재에는 전자 기술의 발달로 현악기에서 최초로 발생된 원음을 음향픽업장치를 통해 픽업한 후 연주음을 손상시키지 않은 상태로 전기적 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는 기술, 앰프 기술, 음향픽업센서의 성능 향상은 확보되었다.
그러나, 현악기의 연주를 통해 직접 생성된 연주음을 무대 공연의 특성과 청취자의 요구에 맞게 간편하게 모바일 기기를 통해 다양하게 가공, 예를 들면, 음향 조정, 연주음 녹음, 녹음된 연주음 재생, 다른 반주음 또는 다른 연주음과의 합성 등으로 가공하여 무대 음향 시스템으로 제공하여 무대 공연을 지원하거나, 연주 연습 및 공연 리허설을 지원하거나, 혹은 공연 진행 중에 관객과의 대화/멘트를 지원하는 등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아직까지 제안된 바 없었다.
KR 10-1453511 B1, 2014. 10. 15. KR 20-2014-0005536 U, 2014. 10. 28. KR 20-0468630 Y1, 2013. 08. 20.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음향픽업장치가 장착된 각종 현악기로부터 제공되는 연주음을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상기 음향픽업장치로부터 제공된 연주음을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외부 시스템(무대음향시스템, 음원/악보 클라우드시스템, 인터넷/생방송시스템 등)과 연계하여 연주음 또는 음악 공연(합주)을 제공하는 전기식 현악기 및 그 전기식 현악기와 모바일 기기가 연계된 실시간 음향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현악기 본체; 상기 현악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된 음향픽업장치; 및 상기 현악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음향픽업장치를 통해 출력된 연주음을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 의해 가공된 연주음을 다시 수신받아 무대음향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현악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음향픽업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연주음을 제1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를 통해 임피던스 매칭하여 마이크/이어폰 잭을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 의해 가공된 연주음을 상기 마이크/이어폰 잭을 통해 다시 수신받아 제1 오디오 잭을 통해 상기 무대음향시스템으로 출력하는 마이크/이어폰 인터페이스; 상기 음향픽업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연주음을 제2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를 통해 임피던스 매칭한 후 제1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해 변환하여 블루투스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 의해 가공된 연주음을 상기 블루투스 입/출력부를 통해 다시 수신받아 제1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를 통해 변환하여 제2 오디오 잭을 통해 상기 무대음향시스템으로 출력하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음향픽업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연주음을 제3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를 통해 임피던스 매칭한 후 제2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해 변환하여 제1 USB 입/출력잭을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 의해 가공된 연주음을 상기 제1 USB 입/출력잭을 통해 다시 수신받아 제2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를 통해 변환하여 제3 오디오 잭을 통해 상기 무대음향시스템으로 출력하는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현악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충전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외부의 배터리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여 충전하는 제2 USB 입/출력잭을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부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현악기 본체가 가야금 또는 양금이고, 상기 음향픽업장치는 상기 현악기 본체에 구비된 안족 또는 브릿지 내부에 장착되어 현의 진동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진동음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향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음향센서는 상기 안족 또는 브릿지의 진동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압전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현악기 본체가 해금이고, 상기 음향픽업장치는 상기 현악기 본체의 공명통 내부의 복판에 설치되어 현의 진동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진동음을 개별적인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향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음향센서는 상기 공명통의 울림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압전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한 전기식 현악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주음을 제공받아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는 모바일 기기;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가공된 연주음을 제공받아 출력하는 무대음향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음향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가공된 연주음을 제공받는 외부 시스템을 더 포함하되, 상기 외부 시스템은 무대음향시스템, 음원/악보 클라우드시스템, 인터넷/생방송 시스템, 무대조명시스템 또는 비디오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음향픽업장치가 장착된 각종 현악기에 모바일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상기 음향픽업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연주음을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상기 음향픽업장치로부터 제공된 연주음을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외부 시스템(무대음향시스템, 음원/악보 클라우드시스템, 인터넷/생방송시스템, 무대조명시스템, 비디오시스템 등)과 연계함으로써 더욱 풍부하고 다양한 연주음 또는 음악 공연(합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음향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식 현악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이어폰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적용에 따른 가야금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음향픽업장치의 음향센서가 장착된 안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안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안족의 내부에 장착된 음향센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적용에 따른 양금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음향픽업장치의 음향센서가 장착된 브릿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적용에 따른 해금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음향픽업장치의 음향센서가 장착된 공명통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공명통의 내부 구조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음향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식 현악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음향 제공 시스템은 본체에 음향픽업장치(11) 및 인터페이스부(13)가 구비된 현악기(1)와, 현악기(1)의 인터페이스부(13)를 통해 음향픽업장치(11)로부터 생성된 연주음을 전송받아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가공하여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2)와, 모바일 기기(2)를 통해 가공된 연주음을 현악기(1)를 통해 제공받는 무대음향시스템(3)을 포함한다.
현악기(1)는 전통 현악기 또는 개량 현악기일 수 있다. 전통 현악기는 가야금(12현), 양금(14현), 아쟁(8현), 고쟁(21현), 코토(17현), 해금(얼후) 등이 있고, 개량 현악기는 개량 양금(48현), 개량 가야금(25현), 개량 아쟁(10현) 등이 있다.
음향픽업장치(11)는 현악기(1)에 장착되어 안족 또는 브릿지에 결합된 현의 진동음을 센싱한 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장치로서, 전통 현악기의 특성상 각 현에 대응해야 하므로 현악기의 현의 개수만큼 음향센서가 장착된다. 다만, 현악기가 해금(얼후)인 경우에는 음향센서는 현이 결합되는 브릿지가 아닌 울림통 내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음향픽업장치(11)를 현악기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가야금류(고쟁, 코토, 단짜인 등)의 경우에는 안족이 현악기 본체로부터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현악기의 브릿지에 해당하는 각각의 안족의 바닥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의 내부에 음향센서를 장착한다. 이때 각 음향센서의 신호선은 일렬로 서로 연결한다. 양금의 경우에는 현이 걸쳐지는 브릿지(괘)가 고정되어 있어 각 현의 브릿지 일부 부위 또는 밑바닥에 각각 음향센서를 장착한다. 이때, 현악기 본체 상면의 형성된 인출홀을 관통시켜 현악기 본체 내부에서 각 신호선들을 서로 병렬 연결한다.
이러한 음향픽업장치(11)는 통상적인 음향픽업장치인 마이크와는 달리, 현악기 현의 진동음으로부터 전기신호를 생성한다. 즉, 공기로 전달되는 소리나 잡음에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현악기에서 생성되는 순수한 연주음만을 센싱하여 전달한다. 이에 반해, 마이크의 경우에는 한 무대에서 음량이 큰 악기와 상대적으로 음량이 작은 악기가 동시에 연주되는 경우 음량이 큰 악기소리가 음량이 작은 악기를 픽업하는 마이크에 고스란히 전달되어 음량이 작은 악기소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음향픽업장치(11)가 장착된 악기는 인접한 위치에서 굉음이 울려퍼져도 무대 음향적으로 명료한 연주음(악기음)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음량이 작은 현악기의 경우에도 음향픽업장치(11)를 통해 타악기와 관악기에 필적한 명료한 음을 생성할 수 있어 악기 편성에 있어서도 제약을 받지 않아도 된다. 일례로 현악기 솔로로 국악관현악단과 협연시 현악기 음이 관현악단 전체음에 묻히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음향픽업장치(11)를 장착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2)는 인터페이스부(13)와 데이터 통신, 즉 현악기(1)로부터 제공되는 연주음을 수신하고, 가공된 연주음을 현악기(1)로 전송한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2)는 인터페이스부(13)를 통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 폰,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넷북 컴퓨터,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Player)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잭, 블루투스 및 USB를 통해 현악기(1)의 인터페이스부(13)와 통신할 수 있는 기기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2)는 현악기(1)로부터 연주음을 제공받아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기 위해 소프트 웨어 형태의 앱(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앱을 통해 현악기(1)의 음향 조정, 연주음 녹음, 녹음된 연주음 재생, 메모리에 저장된 반주 음악과 현악기(1)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실시간 연주음과의 합성출력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앱을 통해 모바일 기기(2)를 손안의 스튜디오로 활용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는 도 2와 같이, 모바일 기기(2)와의 접속방식에 따라 마이크/이어폰 인터페이스(131), 블루투스 인터페이스(132) 및 USB 인터페이스(133)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이어폰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이어폰 인터페이스(131)는 음향픽업장치(11)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연주음)를 임피던스 매칭하여 출력하는 제1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1311)와, 제1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1311)를 통해 임피던스 매칭된 음향신호(연주음)를 모바일 기기(2)로 출력하는 마이크/이어폰 잭(1312)과, 모바일 기기(2)에 의해 가공되어 마이크/이어폰 잭(1312)으로 수신되는 가공된 음향신호(가공된 연주음)를 무대음향시스템(3)으로 출력하는 제1 오디오 잭(1313)을 포함한다.
제1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1311)는 현악기(1)의 본체 일측부에 구비된 음향픽업 연결잭(12)을 통해 음향픽업장치(11)로부터 픽업된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임피던스 매칭하여 마이크/이어폰 잭(1312)을 통해 모바일 기기(2)로 전송한다. 이때, 임피던스 매칭을 하는 이유는 음향픽업장치(11)의 음향센서를 구성하는 압전소자가 음향픽업시 임피던스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즉, 임피던스가 낮은 장치로 음향신호가 전달되면, 음향신호가 고음쪽으로 치우치는 하이패스 필터효과가 발생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픽업으로부터 음향신호를 전달받아 임피던스 매칭하여 출력한다.
모바일 기기(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이어폰 잭(1312)과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어 마이크/이어폰 잭(1312)으로부터 음향신호를 전송받아 원하는 형태로 가공한 후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혹은 마이크/이어폰 잭(1312)으로 출력하거나, 혹은 통신망(도 1참조)을 통해 음원/악보 클라우드시스템(4) 또는 인터넷/생방송시스템(5)으로 전송한다. 이때, 모바일 기기(2)는 기설치된 앱을 실행하여 마이크/이어폰 잭(1312)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연주음을 녹음하거나, 녹음된 연주음을 재생(출력)한다.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반주음악과 연주음을 합성하여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외부 시스템으로는 무대음향시스템(3), 음원/악보 클라우드시스템(4) 및 인터넷/생방송시스템(5)과 같은 소리를 매체로 하는 시스템 이외에, 시각을 매체로 하는 무대조명시스템과 비디오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시스템들과 실시간 동기화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아름다운 멀티미디어 공연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2)로부터 가공된 연주음 또는 제1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1311)로부터 전송된 연주음은 마이크/이어폰 잭(1312)을 통해 제1 오디오 잭(1313)으로 출력된다. 이때, 제1 오디오 잭(1313)에는 무대음향시스템(3)과 연결된 유선 케이블이 접속되고, 이에 따라 무대음향시스템(3)은 제1 오디오 잭(1313)을 통해 출력되는 연주음 또는 가공된 연주음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음악 공연(합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인터페이스(132)는 모바일 기기(2)에 구비된 블루투스와 무선 통신하여 연주음을 송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132)는 도 4와 같이, 음향픽업장치(11)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임피던스 매칭하여 출력하는 제2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1321)와, 제2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1321)를 통해 임피던스 매칭된 음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322)와, 제1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322)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음향신호를 모바일 기기(2)로 무선 출력하는 블루투스 입/출력부(1323)와, 모바일 기기(2)에 의해 가공되어 블루투스 입/출력부(1323)로 수신되는 가공된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324)와, 제1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324)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음향신호를 무대음향시스템(3)으로 출력하는 제2 오디오 잭(1325)을 포함한다.
제1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322)는 제2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1321)를 통해 임피던스 매칭된 음향신호가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출력됨에 따라 블루투스 무선 안테나를 통해 모바일 기기(2)로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제1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324)는 블루투스 무선 안테나를 통해 블루투스 입/출력부(1323)를 경유하여 모바일 기기(2)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 형태의 가공된 연주음을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잭(1325)으로 전송한다.
모바일 기기(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인터페이스(132)를 통해 현악기(1)와 무선 연결되어, 현악기(1)에서 생성된 실시간 연주음을 블루투스 인터페이스(132)를 통해 제공받아 무선으로 즉시 출력하거나, 혹은 녹음하거나, 혹은 메모리에 저장된 반주음악과 연주음을 합성하여 출력한다. 물론, 통신망(도 1참조)을 통해 음원/악보 클라우드시스템(4) 또는 인터넷/생방송시스템(5)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133)는 음향픽업장치(11)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임피던스 매칭하여 출력하는 제3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1331)와, 제3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1331)를 통해 임피던스 매칭된 음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332)와, 제2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332)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음향신호를 모바일 기기(2)로 출력하는 제1 USB 입/출력잭(1333)과, 모바일 기기(2)에 의해 가공되어 제1 USB 입/출력잭(1333)으로 수신되는 가공된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334)와, 제2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334)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음향신호를 무대음향시스템(3)으로 출력하는 제3 오디오 잭(1335)을 포함한다.
제2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332)는 제2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1331)를 통해 임피던스 매칭된 음향신호가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출력됨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모바일 기기(2)로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제2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334)는 USB 포트인 제1 USB 입/출력잭(1333)을 경유하여 모바일 기기(2)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3 오디오 잭(1325)으로 전송한다.
모바일 기기(2)는 전술한 바와 같이, USB 인터페이스(133)를 통해 현악기(1)와 USB 포트를 통해 유선 연결되어, 현악기(1)에서 생성된 실시간 연주음을 USB 인터페이스(133)를 통해 제공받아 유선으로 출력하거나, 혹은 녹음하거나, 혹은 메모리에 저장된 반주음악과 연주음을 합성하여 출력한다. 물론, 통신망(도 1참조)을 통해 음원/악보 클라우드시스템(4) 또는 인터넷/생방송시스템(5)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 및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1)는 내부에 내장된 배터리(142)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부(14)를 더 포함하고, 배터리 충전부(14)는 현악기(1)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어 인터페이스부(13)로 충전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142)와, 배터리 충전기(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배터리 충전기(6)로부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142)를 충전하는 제2 USB 입/출력잭(141)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부(14), 즉 배터리(142)는 도 2와 같이, 현악기(1)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위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예를 들어, 마이크/이어폰 인터페이스(131)와 USB 인터페이스(133)의 경우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현악기(1)의 내부에 내장되지 않아도 된다. 즉, 본 발명은 현악기(1)의 내부에 배터리(142)가 내장되지 않는 구성 또한 배제하지 않고, 이에 따라 배터리 충전부(14)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음향 제공 시스템은 음향픽업장치(11)가 장착된 각종 현악기(1)로부터 제공되는 연주음을 유무선 인터페이스부(13)를 통해 모바일 기기(2)로 전송하고, 모바일 기기(2)를 통해 음향픽업장치(11)로부터 제공된 연주음을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외부 시스템, 즉 무대음향시스템(3), 음원/악보 클라우드시스템(4), 인터넷/생방송시스템(5) 등으로 제공하여 연주음 또는 음악 공연을 제공함으로써 현악기의 연주음이 가미된 풍성한 음악 공연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음향픽업장치(11)가 장착된 현악기(1)의 다양한 적용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적용에 따른 가야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음향픽업장치의 음향센서가 장착된 다수의 안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현악기 중 하나인 전통 가야금(A)은 발현악기 중 하나로서, 기본적으로 울림통을 구비한 본체(A1)와, 본체(A1)의 일측부 상부면에 설치된 브릿지(A2)와, 본체(A1)의 타측부의 상부면에 설치된 현침(A3)과, 브릿지(A2)와 현침(A3) 사이의 본체(A1)의 상부면에 설치된 다수의 안족(A4)과, 브릿지(A2)와 현침(A3)에 고정되어 각각 안족(A4)에 의해 조열되는 다수의 현(A5)을 포함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다수의 안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안족의 내부에 장착된 음향센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안족(A4)은 바닥부 중 어느 일측면에 내측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에는 음향픽업장치(11)가 장착된다.
음향픽업장치(11)는 압전소자로 이루어진 음향센서로서, 안족(A4)에 각각 하나씩 장착된다.
상기 압전소자는 미세한 떨림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압전 박막 필름(113)과, 압전 박막 필름(113)이 생성하는 전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표면에 구비된 제1 및 제2 전극판(112, 114)과, 제1 및 제2 전극판(112, 114)을 제1 및 제2 전기도선(117a, 117b)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인출 단자(115, 116)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압전소자는 메저먼트 스페셜티즈사(Measurement Specialties, Inc)에서 제공하는 압전 박막 필름을 포함하는 압전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압전 박막 필름(113)으로는 높은 민감도와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PVDF(Polyvinylidene Fluorides)와 같은 압전 박막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PZT(Lead Zirconate Titanates)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압전 세라믹을 사용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압전소자의 제1 및 제2 인출단자(115, 116)가 제1 및 제2 전기도선(117a, 117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1 및 제2 전기도선(117a, 117b)은 각 안족(A4)에 장착된 다른 압전소자들과 이웃한 것끼리 상호 병렬 구조로 연결된다.
상기 압전소자는 안족(A4)으로부터 자연 이탈되거나, 혹은 안족(A4)의 떨림으로 인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수단(111)을 통해 안족(A4)에 부착된다.
상기 압전소자가 내부에 수납된 후 안족(A4)의 삽입공의 개구부는 외부에서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어 고장 또는 전기적 단락 등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불필요한 잡음이 유입되거나 안족(A4)의 떨림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온 경화 수지(미도시), 예를 들면 2액형 에폭시 수지 등을 이용하여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야금 연주시 생성된 연주음(음향)이 음향픽업장치(11)를 통해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연주자가 연주시 안족(A4)의 상부에 마련된 현안장에 걸쳐진 현을 진동시키면, 안족(A4)과 현은 진동 전달 매체 간의 성질 차이에 의해 파동의 성질이 변환된다. 즉, 파동의 진행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운동하는 현의 횡파적 파동 성질이 안족(A4)의 현안장 부위에서 파동의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운동하는 종파적 파동 성질로 변환되어 안족(A4)의 현안장에서부터 안족(A4)으로 전달된다.
이때, 안족(A4)으로 전달된 파동은 현이 진동할 때 발생된 파동과 진동수, 진동폭 및 진동파형에 상응하는 성질을 갖게 된다. 이후, 안족(A4)으로 전달된 파동은 안족(A4)의 몸체를 통해 안족(A4)의 내부에 장착된 압전소자, 즉 음향픽업장치(11)의 압전 박막 필름(113)으로 전달된다. 이때, 압전 박막 필름(113)으로 전달된 파동은 종파적 성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압전 박막 필름(113)에는 전달된 파동이 갖고 있는 진동수, 진동폭 및 진동파형에 상응하는 밀고 당기는 힘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압전 박막 필름(113)에는 전기가 발생되고, 이때, 발생되는 전기는 안족(A4)에 전달된 파동에 상응하는 진동수, 진동폭 및 진동파형에 대응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현이 진동할 때 발생하는 음향은 안족(A4)을 경유하여 압전 박막 필름(113)으로 전달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되며, 이렇게 변환된 전기신호가 제1 및 제2 인출단자(115, 116)와, 제1 및 제2 전기도선(117a, 117b)을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제1 및 제2 전기도선(117a, 117b)은 이웃하게 배치된 안족(A4)에 장착된 다른 음향픽업장치(11)의 도선들과 병렬 연결되고, 최종번째 안족에 장착된 음향픽업장치의 도선들은 음향픽업 연결잭(12)에 접속되는 음향픽업 플러그(18)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안족(A4)에 장착된 음향픽업장치(11)로부터 생성된 연주음은 음향픽업 플러그(18)와 음향픽업 연결잭(12)을 통해 인터페이스부(13, 도 2참조)로 전송된다.
가야금은 도 7과 같이 본체 머리부의 양측부에 인터페이스부(13)의 마이크/이어폰 잭(1312), 제1 및 제2 USB 입/출력잭(1333, 141), 제1 내지 제3 오디오잭(1313, 1325, 1335)이 구비되어 있어, 외부 기기(시스템), 예를 들면 마이크, 이어폰, 모바일 기기(2) 및 무대음향시스템(3)의 오디오 케이블 플러그 등과 간편하게 접속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적용에 따른 양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음향픽업장치의 음향센서가 장착된 브릿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현악기 중 하나인 양금(B)은 국악기 중 금부 타현악기에 속하는 악기로서, 울림통을 구비한 본체(B1)와, 본체(B1)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현(B2)과, 현(B2)의 양단을 본체(b1)에 지지하고 현(B2)을 조율하는 조율나사(B3)와, 현(B2)을 본체(B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브릿지(B4)를 포함한다.
브릿지(B4)는 도 12와 같이, 단면 구조가 대략 와인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하부에는 내부 천장면에 음향픽업장치(11)가 장착된 빈 공간(B4A)이 마련된다. 이때, 음향픽업장치(11)는 각 브릿지(B4)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각각 하나씩 장착된다.
음향픽업장치(11)는 음향센서로서, 가야금에 장착되는 음향픽업장치와 마찬가지로 압전소자로 이루어진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전소자는 압전 박막 필름(113)과, 압전 박막 필름(113)이 생성하는 전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표면에 형성한 제1 및 제2 전극판(112, 114)과, 제1 및 제2 전극판(112, 114)을 제1 및 제2 전기도선(117a, 117b)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인출 단자(115, 116)를 포함한다.
양금 연주시 생성된 연주음(음향)이 음향픽업장치(11)를 통해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연주자가 연주시 브릿지(B4)에 걸쳐진 현(B2)을 진동시키면, 브릿지(B4)와 현(B2)은 진동 전달 매체 간의 성질 차이에 의해 파동의 성질이 변환된다. 즉, 파동의 진행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운동하는 현(B2)의 횡파적 파동 성질이 브릿지(B4)에서 파동의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운동하는 종파적 파동 성질로 변환된다.
이때, 브릿지(B4)로 전달된 파동은 현이 진동할 때 발생된 파동과 진동수, 진동폭 및 진동파형에 상응하는 성질을 갖게 된다. 이후, 브릿지(B4)로 전달된 파동은 브릿지(B4)의 몸체를 통해 브릿지(B4)의 내부에 장착된 압전소자, 즉 음향픽업장치(11)의 압전 박막 필름(113)으로 전달된다. 이때, 압전 박막 필름(113)으로 전달된 파동은 종파적 성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압전 박막 필름(113)에는 전달된 파동이 갖고 있는 진동수, 진동폭 및 진동파형에 상응하는 밀고 당기는 힘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압전 박막 필름(113)에는 전기가 발생되고, 이때, 발생되는 전기는 안족(1a1)에 전달된 파동에 상응하는 진동수, 진동폭 및 진동파형에 대응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현(B2)이 진동할 때 발생하는 음향은 브릿지(B4)를 경유하여 압전 박막 필름(113)으로 전달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되며, 이렇게 변환된 전기신호가 제1 및 제2 인출단자(115, 116)와, 제1 및 제2 전기도선(117a, 117b)을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제1 및 제2 전기도선(117a, 117b)은 이웃하게 배치된 브릿지(B4)에 장착된 다른 음향픽업장치(11)의 도선들과 병렬 연결되고, 종단부에 장착된 음향픽업장치의 도선들은 음향픽업 연결잭(12)에 접속되는 음향픽업 플러그(18)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브릿지(B4)에 장착된 음향픽업장치(11)로부터 생성된 연주음은 음향픽업 플러그(18)와 음향픽업 연결잭(12)을 통해 인터페이스부(13, 도 2참조)로 전송된다.
양금(B)은 가야금(A)와 마찬가지로, 마이크, 이어폰, 모바일 기기(2) 및 무대음향시스템(3)의 오디오 케이블 플러그 등과 간편하게 접속되기 위해 도 11과 같이, 본체(B1) 머리부의 양측부에 인터페이스부(13)의 마이크/이어폰 잭(1312), 제1 및 제2 USB 입/출력잭(1333, 141), 제1 내지 제3 오디오잭(1313, 1325, 1335)이 구비되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적용에 따른 해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음향픽업장치의 음향센서가 장착된 공명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공명통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현악기 중 하나인 해금(C)은 국악기 중에 찰현악기중 하나로서, 기본적으로 줏대(C1)와, 줏대(C1)의 일측부에 장착된 주아(C2)와, 줏대(C1)의 타측부에 장착된 공명통(C3)과, 공명통(C3)의 복판(C31)에 장착된 원산(C4)과, 일측부가 주아(C2)를 감고 타측부가 원산(C4)을 경유하여 공명통(C3)에 체결된 현(C5)을 포함한다. 이때, 공명통(C3)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산(C4)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복판(C31)의 내측면에 음향픽업장치(11)가 장착된다.
이때, 음향픽업장치(1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야금(A) 또는 양금(B)에 장착되는 음향픽업장치와 마찬가지로 압전소자로 이루어지고, 압전소자는 압전 박막 필름(113)과, 압전 박막 필름(113)이 생성하는 전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표면에 형성한 제1 및 제2 전극판(112, 114)과, 제1 및 제2 전극판(112, 114)을 제1 및 제2 전기도선(117a, 117b)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인출 단자(115, 116)를 포함한다.
이러한 해금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면, 먼저 명주실로 이루어진 현(C5)에 활(도시되지 않음)을 마찰시키면 활의 마찰에 기인하여 현(C5)이 진동하게 되고, 이렇게 현(C5)에 발생된 진동은 원산(C4)을 경유하여 공명통(C3)의 복판(C31)으로 전달된다. 복판(C31)에 전달된 진동은 복판(C31)의 내측면에 부착된 압전소자를 통해 감지된다. 압전소자는 복판(C31)의 진동과 공명통(C3) 내부의 진동음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제1 및 제2 전기도선(17a, 17b)을 통해 음향픽업 연결잭(12)으로 출력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적용예들로서, 가야금, 양금, 해금을 위주로 기술되어 있으나, 가야금과 유사한 고또, 쟁, 단 짜인, 얼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현악기(전기식) 2 : 모바일 기기
3 : 무대음향시스템 4 : 음원/악보 클라우드 시스템
5 : 인터넷/생방송시스템 6 : 배터리 충전기
11 : 음향픽업장치 12 : 음향픽업 연결잭
13 : 인터페이스부 14 : 배터리 충전부
131 : 마이크/이어폰 인터페이스 132 :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133 : USB 인터페이스 1311 : 제1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
1312 : 마이크/이어폰 잭 1313 : 제1 오디오 잭
1321 : 제2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 1322 : 제1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1323 : 블루투스 입/출력부 1324 : 제1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1325 : 제2 오디오 잭 1331 : 제3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
1332 : 제2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1333 : 제1 USB 입/출력잭
1334 : 제2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1335 : 제3 오디오 잭
141 : 제2 USB 입/출력잭 142 : 배터리
A : 가야금 B : 양금
C : 해금

Claims (7)

  1. 현악기 본체;
    상기 현악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된 음향픽업장치; 및
    상기 현악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음향픽업장치를 통해 출력된 연주음을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 의해 가공된 연주음을 다시 수신받아 무대음향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음향픽업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연주음을 제1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를 통해 임피던스 매칭하여 마이크/이어폰 잭을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 의해 가공된 연주음을 상기 마이크/이어폰 잭을 통해 다시 수신받아 제1 오디오 잭을 통해 상기 무대음향시스템으로 출력하는 마이크/이어폰 인터페이스;
    상기 음향픽업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연주음을 제2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를 통해 임피던스 매칭한 후 제1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해 변환하여 블루투스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 의해 가공된 연주음을 상기 블루투스 입/출력부를 통해 다시 수신받아 제1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를 통해 변환하여 제2 오디오 잭을 통해 상기 무대음향시스템으로 출력하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상기 음향픽업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연주음을 제3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를 통해 임피던스 매칭한 후 제2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해 변환하여 제1 USB 입/출력잭을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 의해 가공된 연주음을 상기 제1 USB 입/출력잭을 통해 다시 수신받아 제2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를 통해 변환하여 제3 오디오 잭을 통해 상기 무대음향시스템으로 출력하는 USB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현악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충전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외부의 배터리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여 충전하는 제2 USB 입/출력잭을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부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픽업장치는 압전소자로 이루어진 음향센서로서, 상기 현악기 본체에 구비된 복수의 안족에 각각 하나씩 부착되고,
    상기 압전소자는
    압전 박막 필름과, 상기 압전 박막 필름이 생성하는 전기를 획득하는 제1 및 제2 전극판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판을 제1 및 제2 전기도선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인출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기도선은 상기 복수의 안족 중 이웃하게 배치된 안족에 부착된 다른 압전소자들과 병렬 연결되고, 최종번째 안족에 부착된 압전소자의 제1 및 제2 전기도선은 상기 현악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음향픽업 연결잭에 접속되는 음향픽업 플러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현악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61679A 2016-05-19 2016-05-19 전기식 현악기 KR101748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679A KR101748859B1 (ko) 2016-05-19 2016-05-19 전기식 현악기
PCT/KR2016/005805 WO2017200135A1 (ko) 2016-05-19 2016-06-01 전기식 현악기 및 그 전기식 현악기와 모바일 기기가 연계된 실시간 음향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679A KR101748859B1 (ko) 2016-05-19 2016-05-19 전기식 현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859B1 true KR101748859B1 (ko) 2017-06-20

Family

ID=5928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679A KR101748859B1 (ko) 2016-05-19 2016-05-19 전기식 현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8859B1 (ko)
WO (1) WO20172001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44Y1 (ko) * 2017-08-03 2018-04-27 오상용 복합 타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4781A (zh) * 2020-05-29 2020-09-01 王浩 一种基于云端服务器的音频处理方法、终端设备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0742A (ja) * 1999-09-28 2001-04-13 Yamaha Corp 電子楽器および移動無線端末装置
JP2007114561A (ja) * 2005-10-21 2007-05-10 Taito Corp 携帯電話内蔵形音声変換システム
KR101433037B1 (ko) * 2014-04-25 2014-08-21 구자홍 전자악기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800A (ko) * 2003-12-29 2004-01-16 김형산 현악기 음향 픽업 장치
KR101003336B1 (ko) * 2009-03-18 2010-12-22 박인범 음픽업장치를 구비한 전자 현악기
US10403252B2 (en) * 2012-07-31 2019-09-03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nd controlling musical related instruments over communication network
KR200468630Y1 (ko) * 2013-02-20 2013-08-26 김형산 전기식 현악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0742A (ja) * 1999-09-28 2001-04-13 Yamaha Corp 電子楽器および移動無線端末装置
JP2007114561A (ja) * 2005-10-21 2007-05-10 Taito Corp 携帯電話内蔵形音声変換システム
KR101433037B1 (ko) * 2014-04-25 2014-08-21 구자홍 전자악기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44Y1 (ko) * 2017-08-03 2018-04-27 오상용 복합 타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0135A1 (ko)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05669A1 (en) Sound Pickup Device for Acoustic String Instrument
KR101245381B1 (ko) 어쿠스틱 전자 겸용 바이올린족 현악기
US20110192273A1 (en) Sound system in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20020061111A1 (en) Sound isolation cabinet using two sound sources to generate complimentary sound waves
US20060000347A1 (en) Acoustical device and method
JP6550526B2 (ja) 電気弦楽器
US20200236456A1 (en) Headphones for processing microphone, musical instrument, and audio signals
EP1357538A3 (en) Method for making electronic tones close to acoustic tones, recording system and tone generating system
US93055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generating sound from a musical instrument
CN102194451B (zh) 信号处理装置和弦乐器
JP4967048B2 (ja) 変換装置
KR101748859B1 (ko) 전기식 현악기
JP5684492B2 (ja) 電気通信機能を備えたギターその他の楽器及び当該楽器を用いてなる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システム
US10535331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musical instrument amplifier
US10540951B2 (en) Musical instrument amplifier
US10755693B2 (en) Acoustic apparatus and vibration transmission method
US6434240B1 (en) Sound isolation cabinet using two sound sources to generate complimentary sound waves
JP2009139730A (ja) 楽音信号出力装置および弦楽器
CN110875029A (zh) 一种拾音器及拾音方法
CN217280014U (zh) 一种电子古筝
CN211980190U (zh) 一种拾音器
KR200468630Y1 (ko) 전기식 현악기
US11501745B1 (en) Musical instrument pickup signal processing system
CN201765817U (zh) 在带有共鸣器的乐器上设置的简便伴奏附接设备
CN109586739B (zh) 用于乐器的无线接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