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630Y1 - 전기식 현악기 - Google Patents

전기식 현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630Y1
KR200468630Y1 KR2020130001269U KR20130001269U KR200468630Y1 KR 200468630 Y1 KR200468630 Y1 KR 200468630Y1 KR 2020130001269 U KR2020130001269 U KR 2020130001269U KR 20130001269 U KR20130001269 U KR 20130001269U KR 200468630 Y1 KR200468630 Y1 KR 200468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oot
electric
mono
a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산
Original Assignee
김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산 filed Critical 김형산
Priority to KR2020130001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6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6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16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string input, i.e. special characteristics in string composition or use for sensing purposes, e.g. causing the string to become its own sens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 G10H2220/525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vibration sensing or vibration excitation in the audio range; Piezoelectric strain sensing, e.g. as key velocity sensor; Piezoelectric actuators, e.g. key actuation in response to a control voltage
    • G10H2220/531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vibration sensing or vibration excitation in the audio range; Piezoelectric strain sensing, e.g. as key velocity sensor; Piezoelectric actuators, e.g. key actuation in response to a control voltage made of piezoelectric film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식 현악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현악기의 본체 상부면에 설치된 안족의 내부에 압전 박막 필름을 포함하는 압전소자를 설치하고, 본체 내부의 공명부에 소형 마이크를 설치하여 안족의 진동과 공명부 내부의 진동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동시에 출력함으로써 현대 음악에 걸맞게 음량이 크고 풍부하면서도 원음에 가까운 섬세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전기식 현악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식 현악기{ELECTRIC STRINGED INSTRUMENT}
본 고안은 전기식 현악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현악기의 본체 상부면에 설치된 안족의 내부에 압전 박막 필름을 포함하는 압전소자를 설치하고, 본체 내부의 공명부에 소형 마이크를 설치하여 안족의 진동과 공명부 내부의 진동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동시에 출력함으로써 현대 음악에 걸맞게 음량이 크고 풍부하면서도 원음에 가까운 섬세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전기식 현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현악기로는 거문고와 가야금 등이 있고, 가야금과 유사한 악기로는 일본의 고또(koto), 중국의 쟁(zheng), 베트남의 단 짜인(檀箏) 등이 있다. 이러한 가야금은 본체의 상부에 장착된 다수의 안족을 통해 다수의 현이 설치되어 있으며, 현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음이 본체 내부의 공명부에서 울려 퍼져 하부면의 개구공을 통해 외부로 전파되어 소리를 낸다. 가야금의 현은 일반적으로 12줄로 이루어져 있지만, 현의 수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가야금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 상부에 설치된 안족을 통해 다수의 현을 팽팽하게 긴장시키고, 현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음이 공명부에서 울려 퍼져 소리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넓은 장소나 야외에서 연주시, 특히 가야금 독주시 가야금의 줄이 명주실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틸(steel)을 줄로 사용하는 전자 현악기에 사용되는 음향 증폭 수단은 그 응용이 불가능하므로 가야금 연주자와 멀리 떨어져 있는 관객은 가야금 본래의 맑고 높은 원음을 미약하게 청취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재래식 가야금의 음원을 증폭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41208호(등록일 : 1999. 11. 02),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05800호(공개일 : 2004. 01. 1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07762호(등록일 : 2000. 10. 1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0-0010282호(공개일 : 2010. 10. 20) 등이 제안된 바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41208호는 가야금 또는 거문고의 다수의 현을 지지하는 안족 또는 현침에 다수의 소형 마이크를 설치하고, 이 소형 마이크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방식으로 가야금 또는 거문고의 음향을 전기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05800호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기술로서, 개방현을 갖는 재래식 현악기에 있어서, 각각의 현을 지지하는 현지지대 몸체 내부에 압전소자를 장착하고, 상기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모든 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음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음향 픽업 장치를 제공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07762호는 가야금 내부의 공명부에 진동 감지 수단을 설치하여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된 신호를 증폭수단을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 수단을 통해 메인 앰프 또는 헤드폰으로 출력하여 음향을 증폭하였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0-0010282는 현의 진동을 감지하는 픽업을 브릿지에 설치하여, 이 픽업의 전기적인 신호가 이퀄라이져를 거쳐 스피커 등에 전달됨에 따라 가야금의 원음을 그대로 청취할 수 있는 이퀄라이져가 설치된 가야금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41208호는 가야금의 다수의 안족 또는 현침 내에 별도로 소형 마이크가 수용될 공간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 공정이 번거롭고, 안족의 개수만큼 마이크가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제조 단가가 증가한다. 또한 마이크 고장시 안족에 각각 설치된 마이크를 일일이 확인하여 고장이 발생된 마이크를 찾아야 하기 때문에 수리 보수 또한 번거롭고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각 안족에 하나씩 소형 마이크가 설치됨에 따라 각 안족에 설치되는 마이크의 증폭특성과 마이크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유입되는 음량이 달라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0580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07762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0-0010282호는 상기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41208호와 같이 별도로 소형 마이크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현의 진동에 기인한 전기적인 신호만을 출력함에 따라 현대 음악에 걸맞게 음량이 크고 풍부하면서도 원음에 가까운 섬세한 소리를 고객에게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별도로 외부에 음량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등이 요구됨에 따라 여전히 공연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공연시 별도의 용역 인력을 고용해야 하기 때문에 공연 제작 비용 등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KR 10-0241208 B1, 1999. 11. 02. KR 10-2004-0005800 A, 2004. 04. 16. KR 20-0207762 Y1, 2000. 10. 11. KR 20-2010-0010282 U, 2010. 10. 20.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고안은 현대 음악에 걸맞게 음량이 크고 풍부하면서도 잡음이 섞이지 않고 원음에 가까운 섬세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전기식 현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고안은 종래기술에 대비하여 음질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현악기의 제작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 단가를 낮추는 한편, 고장 발생시에도 수리 보수가 간편하면서 용이한 전기식 현악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내부에 공명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부 상부면에 설치된 브릿지와, 상기 본체의 타측부 상부면에 설치된 현침과, 상기 브릿지와 상기 현침 사이의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설치된 다수의 안족과, 상기 브릿지와 상기 현침에 고정되어 상기 안족에 의해 조열되는 다수의 현과, 상기 본체의 타측부에 설치된 모노 잭과, 상기 모노 잭과 나란하도록 상기 본체의 타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노 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테레오 잭과, 제1 및 제2 전극판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된 압전 박막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안족의 하부에 마련된 삽입공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삽입공의 내부면에 접착수단을 통해 부착되며, 상기 안족의 진동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모노 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노 플러그로 전송하는 압전소자와, 상기 공명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안족의 진동에 기인하여 생성된 상기 공명부의 진동음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스테레오 잭으로 전달하는 소형 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현악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형 마이크는 입력측이 상기 본체의 타측부에서 상기 브릿지가 형성된 상기 본체의 일측부를 향하도록 상기 공명부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공은 상기 압전소자가 삽입된 후 박지를 통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전 박막 필름은 PVDF(Polyvinylidene Fluorides)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르면, 현악기의 본체 상부면에 설치된 안족의 내부에 압전 박막 필름을 포함하는 압전소자를 설치하고, 본체 내부의 공명부에 소형 마이크를 설치하여 안족의 진동과 공명부 내부의 진동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동시에 출력함으로써 현대 음악에 걸맞게 음량이 크고 풍부하면서도 원음에 가까운 섬세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르면, 소형 마이크를 본체 내부의 공명부에 하나만 설치함으로써 안족마다 각각 하나씩 설치하는 종래기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음질 저하, 현악기의 제작 공정의 복잡성, 제조 단가의 증가, 그리고 수리 보수의 어려움 등을 해결할 수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르면, 소형 마이크를 타측부에서 브릿지가 설치된 본체의 일측부를 향하도록 공명부의 내부면에 부착함으로써 음량이 크고 풍부하면서도 원음에 가까운 섬세한 스테레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별도로 외부에 마이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공연 작업을 단순화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넷째, 본 고안에 따르면, 압전소자가 삽입되는 안족의 삽입공을 박지를 이용하여 밀폐함으로써 삽입공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발생될 수 있는 고장과 전기적인 단락 등을 미연에 방지함과 더불어, 박지의 고유한 빛깔를 통해 심미감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현악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식 현악기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안족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전소자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신호의 전송 계통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안족의 내부에 설치된 압전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개략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성의 등가 회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현악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식 현악기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현악기들 중에서 가야금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현악기(100)는 내부에 공명부(111a)가 마련된 본체(111)와, 본체(111)의 일측부(102) 상부면에 설치된 브릿지(112)와, 본체(111)의 타측부(103)의 상부면에 설치된 현침(113)과, 브릿지(112)와 현침(113) 사이의 본체(111)의 상부면에 설치된 다수의 안족(120)과, 브릿지(112)와 현침(113)에 고정되어 안족(120)에 의해 조열되는 다수의 현(101)을 포함한다.
본체(111), 브릿지(112) 및 현침(113)의 각 구조와 형상, 그리고 이들 간의 체결구조는 공지된 재래식 가야금들과 동일한 구조와 형상, 그리고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안족(120)의 내부에 장착되는 압전소자, 본체(111)의 공명부(111a)에 설치되는 소형 마이크(140)와, 이들 간의 전기적 결합구조를 제외한 본체(111), 브릿지(112), 현침(113) 및 현(101)의 구조와 형상, 그리고 이들의 체결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조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와 형상, 그리고 체결 구조가 가능함에 따라 여기서는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인 안족(120)과, 본체(111)의 공명부(111a)에 설치되는 소형 마이크(140)와, 이들의 전기적 결합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안족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전소자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안족(120)은 대략 'ㅅ'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안족(120)은 하부면이 본체(111)의 상부면과 접촉되도록 안족(120)의 하부면의 양끝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소정 경사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1 경사면(120a)과, 제1 경사면(120a)의 소정 경사보다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도가 더 크고 본체(111)의 상부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된 제2 경사면(120b)을 포함한다.
가야금 연주자가 한쪽 손으로 현(101)을 누른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현(101)을 튕기면서 가야금 연주를 할 경우, 안족(120)은 현(101)을 누른 쪽으로 안족(120)과 본체(11)의 상부면의 접촉면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뉘어진 후, 현(101)을 누른 손을 놓게 되면, 안족(120)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처럼 가야금 연주과정에서 안족(120)은 뉘어졌다 원위치로 복귀되는 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안족(120)은 도 1 및 도 3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안족(120)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구조 및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예를 들어, 안족(120)의 상부는 다수의 현(101)을 지지함과 아울러 현(101)들을 이격하여 배치시키기 위하여 그 길이와 폭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또한 하부는 본체(111)의 상부면의 곡면 구조와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안족(120)의 하부 길이와 폭은 안족(120)이 본체(111)에 안정적으로 접촉할 목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하고, 그 높이와 폭은 본체(111)의 구조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하며, 본체(111) 상에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서도 적절하게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하다.
안족(120)의 재질은 상온에서 단단한 고체 상태인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나, 현(101)의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리 파동을 전달하는 성능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단단한 목재나 동물뼈 및 합성수지 등을 사용한다.
또한, 안족(120)은 상부에 현(10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연주 중에 현(101)이 안족(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현안장(도시되지 않음)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안족(120)의 제2 경사면(120b) 중 어느 한쪽 면에는 안족(120)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삽입공(120c)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공(120c)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압전소자(15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소자(150)는 미세한 떨림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압전 박막 필름(152)과, 압전 박막 필름이 생성하는 전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표면에 형성한 제1 및 제2 전극판(151, 153)과, 제1 및 제2 전극판(151, 153)을 제1 및 제2 전기도선(131, 133)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인출 단자(154, 155)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압전소자(150)는 메저먼트 스페셜티즈사(Measurement Specialties, Inc)에서 제공하는 압전 박막 필름을 포함하는 압전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압전 박막 필름(152)으로는 PZT(Lead Zirconate Titanates)와 같은 압전 세라믹을 사용하는 대신에 높은 민감도와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PVDF(Polyvinylidene Fluorides)와 같은 압전 박막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압전소자(150)의 제1 및 제2 인출단자(154, 155)가 제1 및 제2 전기도선(131, 13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전기도선(131, 133)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안족(120)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압전소자들을 이웃한 것끼리 상호 병렬 구조로 연결한다.
압전소자(150)는 안족(120)으로부터 자연 이탈되거나, 혹은 안족(120)의 떨림으로 인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수단(161)을 통해 안족(120)에 부착된다. 예를 들면, 접착수단(161)으로 상온에서 응고되는 젤 형태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1 전극판(151)의 하면을 안족(120)의 삽입공(120c)의 내측면에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압전소자(150)가 내부에 수납된 후 안족(120)의 삽입공(120c)의 개구부는 외부에서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어 고장 또는 전기적 단락 등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불필요한 잡음이 유입되거나 안족(120)의 떨림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박지(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면 금박지 또는 은박지 등을 이용하여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소자(150)가 내부에 설치된 안족(120)은 현(101)과 본체(111)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현(101)의 개수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안족(120) 각각은, 현(101)의 장력에 의해 파생되어 본체(111) 방향으로 작용하는 안족(120)을 누르는 힘과, 이와 대응하여 본체(111)가 현(101) 방향으로 반작용하는 안족(120)을 받치는 힘에 의해 본체(1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그리고, 현침(113)과 대응하여 안족(120)의 현안장이 연주 가능한 개방현의 한 일단을 구성하고, 현(101)과 수평방향으로 이동 배치시킴으로써 현(101)의 음정을 조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족(120) 각각은 현(101)의 장력을 소멸시키거나, 현(101)의 장력이 미치지 않는 곳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본체(11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하, 현(101)이 진동할 때 발생하는 음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주자가 연주시 안족(120)의 상부에 마련된 현안장에 걸쳐진 현(101)을 진동시키면, 안족(120)과 현(101)은 진동 전달 매체 간의 성질 차이에 의해 파동의 성질이 변환된다. 즉, 파동의 진행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운동하는 현(101)의 횡파적 파동 성질이 안족(120)의 현안장 부위에서 파동의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운동하는 종파적 파동 성질로 변환되어 안족(120)의 현안장에서부터 안족(120)으로 전달된다. 이때, 안족(120)으로 전달된 파동은 현(101)이 진동할 때 발생된 파동과 진동수, 진동폭 및 진동파형에 상응하는 성질을 갖게 된다.
이후, 안족(120)으로 전달된 파동은 안족(120)의 몸체를 통해 안족(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부착되어 있는 압전소자(150)의 압전 박막 필름(152)으로 전달된다. 이때, 압전소자(150)의 압전 박막 필름(152)으로 전달된 파동은 종파적 성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압전 박막 필름(152)에는 압전 박막 필름(152)으로 전달된 파동이 갖고 있는 진동수, 진동폭 및 진동파형에 상응하는 밀고 당기는 힘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압전 박막 필름(152)에는 전기가 발생되고, 이때, 발생되는 전기는 안족(120)에 전달된 파동에 상응하는 진동수, 진동폭 및 진동파형에 대응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현(101)이 진동할 때 발생하는 음향은 안족(120)을 경유하여 압전 박막 필름(152)으로 전달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되며, 이렇게 변환된 전기신호가 제1 및 제2 인출단자(154, 155), 제1 및 제2 전기도선(131, 133)을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전기신호의 전달과정을 설명하면, 현(101)의 진동으로부터 발생된 전기신호는 제1 및 제2 전극판(151, 153)에 의해 획득되며, 이렇게 획득된 전기신호는 제1 및 제2 인출단자(154, 155)와, 제1 및 제2 전기도선(131, 133)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신호의 전송 계통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전기도선(131)은 모노 플러그(130)와 연결되고, 모노 플러그(130)는 본체(111)의 타측부(103)에 설치된 모노 잭(114)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모노 잭(114)은 제3 전기도선(132)을 통해 본체(111)의 타측부(103)에 설치된 스테레오 잭(115)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전기도선(131)을 통해 출력되는 전기신호는 모노 플러그(130)와 모노 잭(114)을 경유하여 스테레오 잭(115)으로 전송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안족(120)의 내부에 설치된 압전소자(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성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체(111)의 일측부(102)와 근접하게 설치된 안족(c)의 제2 전기도선(b)은 잉여도선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잉여도선을 소거하여도 전체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본체(111)의 타측부(103)와 근접하게 설치된 안족(e)의 제1 전기도선(f)을 통해 'c', 'd', 'e'의 안족 내에 부착된 압전소자들로부터 발생된 전기신호를 전송받아 최종적으로 모노 플러그(130)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족(120)의 진동에 의해 발생된 본체(111)의 공명부(111a)의 진동음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소형 마이크(140)가 장착된다. 이때, 소형 마이크(140)는 공명부(111a)의 내측면에 접착수단, 예를 들면 접착제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소형 마이크(140)는 원음에 대응하는 진동음을 입력받기 위하여 입력측(진동음을 감지하는 부위)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1)의 타측부(103)로부터 브릿지(112)가 설치된 본체(111)의 일측부(102)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명부(111a) 내의 내부면에 접착수단을 통해 부착된 소형 마이크(140)는 안족(120)의 떨림에 의해 생성된 공명부(111a) 내부의 진동음을 입력받아 전기신호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전기신호는 제4 전기도선(141)을 통해 스테레오 잭(115)으로 전송된다.
스테레오 잭(115)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1)의 타측부(103)의 측면에 설치되며, 이러한 스테레오 잭(111)은 3개의 단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2개는 양(+) 단자로서 그 중 하나는 제3 전기도선(132)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고 나머지 하나는 소형 마이크(140)의 제1 출력단자와 접속된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접지단자로서 제3 전기도선(132)의 나머지 도선과 소형 마이크(140)의 제2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현악기(100)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연주시 현(101)의 진동은 안족(120)으로 전달되고, 안족(120)으로 전달된 파동은 안족(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부착되어 있는 압전소자(150)의 압전 박막 필름(152)으로 전달된다. 이와 동시에 공명부(111a)의 내부에 생성된 진동음은 공명부(111a)의 내부에 장착된 소형 마이크(140)를 통해 감지된다.
압전소자(150)와 소형 마이크(140)는 안족(120)의 진동과 공명부(111a) 내부의 진동음을 각각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압전소자(150)를 통해 생성된 전기신호는 제1 및 제2 인출단자(154, 155), 제1 전기도선(131), 모노 플러그(130), 제3 전기도선(133)을 통해 스테레오 잭(115)으로 전송되고, 소형 마이크(140)를 통해 출력된 전기신호는 제4 전기도선(141)을 통해 스테레오 잭(115)으로 전달된다.
스테레오 잭(115)으로 전달된 전기신호는 스테레오 잭(115)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스테레오 플러그(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외부의 이퀄라이저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출력된다. 이때, 출력신호는 모노 타입이 아닌 스테레오 타입으로서 고객에게 현대 음악에 걸맞게 음량이 크고 풍부하면서도 원음에 가까운 섬세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대한민국의 전통 악기인 가야금을 위주로 기술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국악의 전통 악기인 가야금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가야금과 유사한 일본의 고또(koto), 중국의 쟁(zheng), 베트남의 단 짜인(檀箏)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현악기 101 : 현
102 : 일측부 103 : 타측부
111 : 본체 111a : 공명부
112 : 브릿지 113 : 현침
114 : 모노 잭 115 : 스테레오 잭
120 : 안족 130 : 모노 플러그
131 : 제1 전기도선 133 : 제2 전기도선
132 : 제3 전기도선 140 : 소형 마이크
141 : 제4 전기도선 150 : 압전소자
151 : 제1 전극판 152 : 압전 박막 필름
153 : 제2 전극판 154 : 제1 인출단자
155 : 제2 인출단자 161 : 접착수단

Claims (4)

  1. 내부에 공명부(111a)를 구비한 본체(111);
    상기 본체(111)의 일측부 상부면에 설치된 브릿지(112);
    상기 본체(111)의 타측부 상부면에 설치된 현침(113);
    상기 브릿지(112)와 상기 현침(113) 사이의 상기 본체(111)의 상부면에 설치된 다수의 안족(120);
    상기 브릿지(112)와 상기 현침(113)에 고정되어 상기 안족(120)에 의해 조열되는 다수의 현(101);
    제1 및 제2 전극판(151, 153)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판(151, 153) 사이에 개재된 압전 박막 필름(15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판(151, 153)을 제1 전기도선(131)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인출 단자(154, 155)를 포함하고, 상기 안족(120)의 하부에 마련된 삽입공(120c)의 내부면에 접착수단(161)을 통해 부착되어 상기 안족(120)의 진동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압전소자(150);
    상기 제1 전기도선(131)과 연결된 모노 플러그(130);
    상기 본체(111)의 타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노 플러그(130)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된 모노 잭(114);
    상기 공명부(111a)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안족(120)의 진동에 기인하여 생성된 상기 공명부(111a)의 진동음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소형 마이크(140);
    상기 모노 잭(114)과 나란하도록 상기 본체(111)의 타측부에 설치되고, 2개의 양(+) 단자와 1개의 접지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양(+) 단자 중 하나와 상기 접지단자는 제3 전기도선(132)을 통해 상기 모노 잭(1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양(+) 단자 중 나머지 하나와 상기 접지단자는 제4 전기도선(141)을 통해 상기 소형 마이크(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노 잭(114)과 상기 소형 마이크(140)로부터 전달된 전기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테레오 잭(115);
    상기 안족(120)은 하부면이 상기 본체(111)의 상부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안족(120)의 하부면의 양끝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소정 경사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1 경사면(120a)과, 상기 제1 경사면(120a)의 소정 경사보다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도가 더 크고 상기 본체(111)의 상부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된 제2 경사면(120b)을 포함하고,
    상기 소형 마이크(140)는 입력측이 상기 본체(111)의 타측부에서 상기 브릿지(112)가 형성된 상기 본체(111)의 일측부를 향하도록 상기 공명부(111a)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120c)은 상기 안족(120)의 제2 경사면(120b) 중 어느 한쪽 면에 상기 안족(120)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그 내부로 상기 압전소자(150)가 삽입된 후 박지를 통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현악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박막 필름(152)은 PVDF(Polyvinylidene Fluorid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현악기.
KR2020130001269U 2013-02-20 2013-02-20 전기식 현악기 KR2004686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269U KR200468630Y1 (ko) 2013-02-20 2013-02-20 전기식 현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269U KR200468630Y1 (ko) 2013-02-20 2013-02-20 전기식 현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630Y1 true KR200468630Y1 (ko) 2013-08-26

Family

ID=51399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269U KR200468630Y1 (ko) 2013-02-20 2013-02-20 전기식 현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6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135A1 (ko) * 2016-05-19 2017-11-23 김형산 전기식 현악기 및 그 전기식 현악기와 모바일 기기가 연계된 실시간 음향 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43Y1 (ko) * 2000-04-19 2000-09-15 김태곤 전기 해금
KR20040005800A (ko) * 2003-12-29 2004-01-16 김형산 현악기 음향 픽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43Y1 (ko) * 2000-04-19 2000-09-15 김태곤 전기 해금
KR20040005800A (ko) * 2003-12-29 2004-01-16 김형산 현악기 음향 픽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135A1 (ko) * 2016-05-19 2017-11-23 김형산 전기식 현악기 및 그 전기식 현악기와 모바일 기기가 연계된 실시간 음향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0629A (ko) 어쿠스틱 전자 겸용 바이올린족 현악기
CN101089949A (zh) 电弦乐器和并入其中的用于将振动转换为信号的拾取单元
JP4967048B2 (ja) 変換装置
JP3804637B2 (ja) 弦楽器用駒および弦楽器
KR200468630Y1 (ko) 전기식 현악기
US20180204556A1 (en) Pickup and stringed instrument with pickup
JP6016469B2 (ja) 弦楽器用ピックアップケーブル
KR101748859B1 (ko) 전기식 현악기
US7151216B1 (en) Solid body electric guitar having the capability of producing acoustic guitar sound
KR101453511B1 (ko) 다채널 음향 픽업 기능을 구비한 현악기
CN205016234U (zh) 三分频吉他拾音器
JP4356630B2 (ja) 撥弦楽器および撥弦楽器用ピックアップ
KR101817009B1 (ko) 전자 현악기의 플렉시블 피에조 압전소자용 노이즈 차폐장치
KR20140005536U (ko) 전기식 해금
CN109346037A (zh) 一种非洲鼓及其拾音装置
CN219627895U (zh) 一种压电陶瓷拾音器
CN109087622B (zh) 一种便携式电木鼓
JPS5814190A (ja) ギターのピックアップ取付構造
KR200207762Y1 (ko)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
KR20090017285A (ko) 이펙터가 내장된 전기기타
GB2536945A (en) Pickup for a string instrument
KR20040005800A (ko) 현악기 음향 픽업 장치
JP5857359B1 (ja) マイクユニットのコネクタ取付構造及び弦楽器
KR20110109079A (ko) 전자 코토
KR200207763Y1 (ko)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해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