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762Y1 -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 - Google Patents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7762Y1 KR200207762Y1 KR2020000017762U KR20000017762U KR200207762Y1 KR 200207762 Y1 KR200207762 Y1 KR 200207762Y1 KR 2020000017762 U KR2020000017762 U KR 2020000017762U KR 20000017762 U KR20000017762 U KR 20000017762U KR 200207762 Y1 KR200207762 Y1 KR 20020776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yageum
- volume control
- control function
- volume
- attach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46—Volume control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16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string input, i.e. special characteristics in string composition or use for sensing purposes, e.g. causing the string to become its own sensor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45—Special instrument [spint], i.e. mimicking the ergonomy, shape, sound or other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acoustic musical instrument category
- G10H2230/075—Spint stringed, i.e. mimicking stringed instrument features, electrophonic aspects of acoust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out keyboard; MIDI-like control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에 대한 것으로서, 진동 감지 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증폭 수단에 의해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고, 출력 수단을 통하여 메인 앰프 또는 헤드폰으로 출력된다. 그리고 음량 조절 수단이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메인 앰프 또는 헤드폰으로 출력되는 음량을 연주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야금 연주시에 줄로부터 발생되는 음의 진동을 메인 앰프 또는 헤드폰으로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메인 앰프 또는 헤드폰으로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음량 조절 수단이 부착된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야금은 본체 상면에 다수의 현을 팽팽하게 긴장시켜 현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음이 내부 공명통에서 울려퍼져서 개구공을 통해 외부로 송출시키는 것으로써, 넓은 장소나 야외에서 연주시 특히, 가야금 독주시에는 가야금의 줄이 명주실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틸(steel)을 줄로 사용하는 전자 현악기에 사용되는 음향 증폭 수단은 그 응용이 불가능하므로 가야금 연주자와 멀리 떨어져 있는 관객은 가야금 본래의 맑고 높은 원음을 미약하게 청취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개구공을 가야금 본체의 상, 하면에 천공시킨 후, 상기 개구공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공명판을 상기 본체의 상, 하면에 부착함으로써, 음의 진동음을 증대시켜 음량을 보다 폭 넓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가야금의 공명통 내부면에 떨림판을 부착하여 현으로부터 진동된 음이 상기 떨림판에 의해서 다시 진동되어 진동 효과가 약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개구공을 통해 외부로 송출됨으로써, 음량이 초기와 같이 강하고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음의 전달 거리가 매우 향상되었다.
또한, 가야금의 공명통에서 울려 나오는 음량만으로는 멀리까지 그 음을 전달할 수가 없으므로 앰프와 연결된 마이크를 가야금의 공명통과 일정한 거리에 위치시켜 연주를 하면 그 음이 마이크와 앰프를 거쳐 스피커로 확성되도록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이 공명판이나 떨림판을 이용한 방법은 넓은 장소나 야외에서 가야금을 연주시, 음량의 전달 거리에 한계가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원거리에서 가야금 본래의 맑고 높은 원음을 청취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마이크를 사용하여 가야금을 연주하는 것 또한 연주자가 연주중인 가야금을 마이크로부터 일정하게 간격을 유지하면서 연주를 하여야지 그렇지 않고 너무 떨어져 연주하게 되면 가야금의 공명통에서 전달되는 음이 멀어져 미약하게 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함으로써, 연주자들이 가야금의 연주외에 불필요한 부분에까지 신경을 써야 하므로 보다 질 높은 연주를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본 고안의 목적은 가야금 연주시 현의 진동으로부터 감지되는 진동을 개별적으로 각각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 증폭시켜 출력되는 음량의 조절을 연주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야금의 줄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개별적으로 각각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진동 감지 수단, 상기 진동 감지 수단으로부터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수단, 상기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메인 앰프 또는 헤드폰으로 출력하는 출력 수단 및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 조절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주요 부분을 블록화한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 5의 주요 부분을 블록화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브릿지
3 : 안족 4 : 현침
5 : 현 7 : 출력 단자
8 : 볼륨 조절기 9 : 공명통
10 : 연산 증폭기 12 : 트랜스 듀서
19 : 압전 소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량 조절 기능을 갖춘 가야금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면 일측에 브릿지(2)가 부착되고, 상기 브릿지(2)의 반대편 일측에 현침(4)이 부착된다. 상기 브릿지(2)와 상기 현침(4)의 사이에 상기 본체(1)의 상면 중앙을 중심으로 대각선으로 안족(3)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브릿지(2) 및 상기 현침(4)에 고정되어 상기 안족(3)에 의해 조열되는 현(5)이 놓여진다. 상기 브릿지(2)에 의해 고정된 상기 현(5)의 일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들(6)이 본체(1)의 상면 말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본체(1)의 타단부에는 상기 현(5)의 일단부가 매듭이 지어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타단부의 상면에 위치한 천공부에 메인 앰프 또는 헤드폰으로 접속되는 출력 단자(7)가 삽착되고, 상기 출력 단자(7)의 하부면에 상기 메인 앰프 또는 헤드폰에서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 조절기(8)가 삽입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주요 부분을 블록화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내부에 공명통(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내측면에 양면 테이프(13)가 부착되고, 상기 양면 테이프(13)의 하면에 상기 공명통(9)으로부터 진동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트랜스 듀서(trans ducer)(12)가 부착된다. 상기 트랜스 듀서(12)는 상기 양면 테이프(13)의 하면에 금속 감지판(14)이 부착되고, 상기 금속 감지판(14)의 하면 중앙에 센서(15)가 놓여진다. 상기 센서(15)의 하면에는 링 형상의 종이 보빈(16)이 놓여지고, 상기 종이 보빈(16) 하부에는 덮개용 커버(18)가 상기 양면 테이프(13)에 부착된다. 상기 트랜스 듀서(12)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상기 센서(15)를 고정시키는 액상 고무(17)가 채워진다.
상기 트랜스 듀서(12) 내부에 형성된 상기 금속 감지판(14)과 상기 센서(15)의 상면에 각각 놓여진 도선을 포함하는 하네스선(11)이 접속되고, 상기 하네스선(11)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 듀서(12)에 의해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는 연산 증폭기(10)가 상기 본체(1)의 내부 상면에 부착된다. 상기 연산 증폭기(10)에 접속되어 상기 연산 증폭기(10)로부터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메인 앰프 또는 헤드폰으로 출력하는 출력 단자(7)가 상기 본체(1)의 외측면에 천공된 천공부에 삽착되고, 상기 연산 증폭기(10) 또는 상기 출력 단자(7)에 접속되어 상기 메인 앰프 또는 헤드폰으로 출력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 조절기(8)가 상기 본체(1)의 외측면에 천공된 천공부에 삽입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 4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 5의 주요 부분을 블록화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내부에 공명통(9)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의 상면에 상기 현침(4)이 부착된다. 상기 현침(4)에 놓여진 줄(5)의 진동을 각각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압전 소자(19)가 상기 현침(4)의 내부에 각각 삽착되고, 상기 압전 소자(19)에 도선(20)이 접속되고, 상기 도선(20)에 접속되어 상기 압전 소자(19)에 의해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는 연산 증폭기(10)가 상기 본체(1)의 내부 측면에 부착된다. 상기 연산 증폭기(10)에 접속되어 상기 연산 증폭기(10)로부터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메인 앰프 또는 헤드폰으로 출력하는 출력 단자(7)가 상기 본체(1)의 외측면에 천공된 천공부에 삽착되고, 상기 연산 증폭기(10) 또는 상기 출력 단자(7)에 접속되어 상기 메인 앰프 또는 헤드폰으로 출력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 조절기(8)가 상기 본체(1)의 외측면에 천공된 천공부에 삽입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해 연주자는 연주 동작에 제한을 받지 않을뿐 아니라, 직접 음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인하여 넓은 공연장에서 연주시 연주자와 멀리 떨어져 있는 관객에게도 객석의 위치에 상관 없이 가야금 본래의 맑고 높은 원음을 동일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 공명통(9)을 포함하는 본체(1)의 상면 일측에 브릿지(2)가 부착되고, 상기 브릿지(2)의 반대편 일측에 현침(4)이 부착되며, 상기 브릿지(2)와 상기 현침(4)의 사이에 안족(3)이 각각 부착되어 상기 브릿지(2) 및 상기 현침(4)에 고정되어 상기 안족(3)에 의해 조열되는 현(5)이 놓여진 가야금에 있어서,상기 공명통(9)으로부터 감지된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진동 감지 수단;상기 진동 감지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진동 감지 수단으로부터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수단;상기 증폭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증폭 수단으로부터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메인 앰프 또는 헤드폰으로 출력하는 출력 수단; 및상기 증폭 수단 또는 상기 출력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메인 앰프 또는 헤드폰으로 출력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는 음량 조절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지 수단이 압전 소자(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19)가 상기 현침(4)의 내부에 삽착되어 상기 현(5)으로부터의 진동을 개별적으로 각각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지 수단이 트랜스 듀서(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 듀서(12)가 상기 공명통(9)의 내부 또는 외부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수단이 연산 증폭기(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 조절 수단이 상기 본체(1)의 외측면에 형성된 볼륨 조절기(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7762U KR200207762Y1 (ko) | 2000-06-22 | 2000-06-22 |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7762U KR200207762Y1 (ko) | 2000-06-22 | 2000-06-22 |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7762Y1 true KR200207762Y1 (ko) | 2000-12-15 |
Family
ID=1966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17762U KR200207762Y1 (ko) | 2000-06-22 | 2000-06-22 |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7762Y1 (ko) |
-
2000
- 2000-06-22 KR KR2020000017762U patent/KR20020776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30803A (en) | Bifunctional earphone set | |
JP3193281U (ja) | 圧電型スピーカ | |
US5585588A (en) | Electric stringed instrument having a device for sustaining the vibration of a string and an electromagnetic driver for the device | |
US4495641A (en) | Microphone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 |
US5052269A (en) | Acoustic-electric guitar with interior neck extension | |
KR101245381B1 (ko) | 어쿠스틱 전자 겸용 바이올린족 현악기 | |
JP2004325908A (ja) | 打楽器の集音装置 | |
US7135638B2 (en) | Dynamic magnetic pickup for stringed instruments | |
US4184398A (en) | Self generating electrical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 |
US6950529B2 (en) | System consisting of a microphone and an amplifier | |
WO2004064449A1 (ja) | 圧電スピーカと、それを用いたスピーカシステムと、圧電スピーカを用いた電子機器 | |
JP3644259B2 (ja) | スピーカ装置 | |
JP2002247676A (ja) | スピーカー装置 | |
KR200207762Y1 (ko) |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가야금 | |
JPH1091155A (ja) | 電気モノラル/ステレオ弦共鳴器付楽器 | |
JP2003295865A (ja) | 弦楽器 | |
KR200207763Y1 (ko) |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해금 | |
KR101866162B1 (ko) | 듀얼 채널 부저 시스템을 갖는 어쿠스틱 프리앰프 장치 | |
KR100241208B1 (ko) | 가야금 및 거문고의 음향증폭장치 | |
US4282789A (en) | Finger mountable electric guitar pick-up | |
KR102277583B1 (ko) |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 확성장치 | |
KR200468630Y1 (ko) | 전기식 현악기 | |
KR200452709Y1 (ko) | 통합 마이크로폰 회로 및 통합 마이크로폰의 구조 | |
KR200411709Y1 (ko) |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 |
KR200361938Y1 (ko) | 기타의 음향 증폭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