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536U - 전기식 해금 - Google Patents

전기식 해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536U
KR20140005536U KR2020130001179U KR20130001179U KR20140005536U KR 20140005536 U KR20140005536 U KR 20140005536U KR 2020130001179 U KR2020130001179 U KR 2020130001179U KR 20130001179 U KR20130001179 U KR 20130001179U KR 20140005536 U KR20140005536 U KR 201400055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resonator
electric signal
resonance
small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숙
김형산
Original Assignee
김인숙
김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숙, 김형산 filed Critical 김인숙
Priority to KR2020130001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536U/ko
Publication of KR20140005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53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2Resonating means, horns or diaphrag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43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iezoelectric or magneto-strictive transduc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식 해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명통의 내부에 압전 박막 필름을 포함하는 압전소자와 소형 마이크를 설치하여 공명통의 진동과 공명통 내부의 진동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동시에 출력함으로써 현대 음악에 걸맞게 음량이 크고 풍부하면서도 원음에 가까운 섬세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전기식 해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식 해금{ELECTRIC HAEGEUM}
본 고안은 전기식 해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명통의 내부에 압전 박막 필름을 포함하는 압전소자와 소형 마이크를 설치하여 공명통의 진동과 공명통 내부의 진동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동시에 출력함으로써 현대 음악에 걸맞게 음량이 크고 풍부하면서도 원음에 가까운 섬세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전기식 해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금(奚琴)은 국악기 중에 찰현악기로서, 속칭 깡깡이 또는 깽깽이라고도 불리어지고 있으며, 공명통과, 상기 공명통에 줄을 두 가닥 연결하여 제작하는데, 상기 공명통과 두 줄을 연결하고 있는 것을 원산(遠山)이라 한다. 이러한 해금은 말총으로 만든 활을 안줄과 바깥줄 사이에 넣고 문질러서 소리를 내며, 일정한 음자리가 없이 줄을 잡는 손의 위치와 줄을 당기는 강약에 따라 음높이가 정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재래식 해금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명통을 I-I' 절취선을 따라 절단한 후 그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재래식 해금(10)은 줏대(11), 주아(12), 원산(13), 공명통(14) 및 현(15)으로 이루어진다. 명주실로 이루어진 현(15)에 활(도시되지 않음)을 마찰시켜서 활의 마찰에 기인한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현(15)에 발생된 진동은 원산(13)을 경유하여 공명통(14)의 복판(14-1)에 전달되고, 공명통(14)은 복판(14-1)에 전달된 진동음을 더욱 크게 확성하여 출력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재래식 해금은 자연적 발생음에 의한 악기이기에 음량이 적어 관객에게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고 외부에 별도의 마이크를 설치해야 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근래에 들어서는 음악의 발전과 다양한 표현의 필요성에 따라 보다 더 강력하고, 다이내믹한 음악에 걸맞는 악기 발명이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96456호(등록일 : 2000. 07. 0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96543호(등록일 : 2000. 07. 06) 등이 제안된 바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196456호와 등록실용신안 20-0196543호에서 제안한 전기해금은 연주시 활과의 마찰로 인한 쇠줄 현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들을 전기적인 소리로 구현하는 압전 효과(piezo effect) 방식의 세라믹 픽업(ceramic pickup)장치를 원산과 공명통 사이에 장착하여 다양한 전기적인 소리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실용신안들에서 제안한 전기해금은 원산과 공명통 사이에 픽업장치가 장착되고, 픽업장치에서 발생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이 공명통의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됨에 따라 공명통에 전기배선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됨에 따라 악기의 음질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고, 원산과 공명통 사이의 픽업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원산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연주자가 해금의 음을 조율할 때 원산의 위치를 현과 수평방향으로 이동 배치하는 조율 작업 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2004년 8월 26일자로 출원되어 동년 9월 14일자로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79388호(명칭 : 재래식 및 전기식 겸용 해금 공명통)를 제안하였다.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해금 공명통은 공명통의 내부에 압전소자를 설치함으로써 원산과 대향하는 면의 공명통에 별도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지 않아 기존의 등록실용신안들에서 제안한 전기해금에서 문제가 되었던 음질 저하와 조율 문제 등을 동시에 해결하였다.
그러나,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79388호에 따른 해금 공명통은 공명통의 진동에 기인한 전기적인 신호만이 출력됨에 따라 현대 음악에 걸맞게 음량이 크고 풍부하면서도 원음에 가까운 섬세한 소리를 고객에게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더욱이 별도로 외부에 음량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등이 요구됨에 따라 공연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공연시 별도의 용역 인력을 고용해야 하기 때문에 공연 제작 비용 등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KR 20-0196456 Y1, 2000. 07. 06. KR 20-0196543 Y1, 2000. 07. 06. KR 10-2004-0079388 A, 2004. 09. 14.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공연 작업을 단순화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하면서 현대 음악에 걸맞게 음량이 크고 풍부하면서도 원음에 가까운 섬세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전기식 해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줏대와, 상기 줏대의 일측부에 장착된 주아와, 상기 줏대의 타측부에 장착된 공명통과, 상기 공명통의 복판에 장착된 원산과, 일측부가 상기 주아를 감고 타측부가 상기 원산을 경유하여 상기 공명통에 체결된 현과, 상기 공명통의 측부에 마련된 삽입공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된 스테레오 잭과, 제1 및 제2 전극판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된 압전 박막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원산과 대향하도록 상기 복판의 내측면에 접착수단을 통해 부착되며, 상기 복판의 진동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스테레오 잭으로 전달하는 압전소자와, 상기 공명통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복판의 진동에 기인하여 생성된 상기 공명통의 진동음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스테레오 잭으로 전달하는 소형 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해금을 제공한다. .
바람직하게, 상기 소형 마이크는 상기 스테레오 잭의 일측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형 마이크는 입력측이 상기 복판을 향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전 박막 필름은 PVDF(Polyvinylidene Fluorides)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공명통의 내부에 높은 민감도를 갖는 압전 박막 필름을 포함하는 압전소자와 소형 마이크를 설치하여 공명통의 진동과 공명통 내부의 진동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동시에 출력함으로써 현대 음악에 걸맞게 음량이 크고 풍부하면서도 원음에 가까운 섬세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소형 마이크를 복판을 향하도록 공명통 내부의 스테레오 잭에 장착함으로써 공명통의 진동에 기인하여 유입될 수 있는 잡음 등을 최소화하여 음량이 크고 풍부하면서도 원음에 가까운 섬세한 스테레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소형 마이크를 복판을 향하도록 공명통 내부의 스테레오 잭에 장착함으로써 별도로 외부에 마이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공연 작업을 단순화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재래식 해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명통을 I-I' 절취선을 따라 절단한 후 그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해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명통 부위를 확대하여 촬영하여 도시한 사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명통과 압전소자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공명통을 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해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명통(114) 부위를 확대하여 촬영하여 도시한 사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해금(100)은 줏대(111), 주아(112), 원산(113), 공명통(114) 및 현(115)을 포함한다. 이들 중 줏대(111), 주아(112), 원산(113) 및 현(115)의 각 구조와 형상, 그리고 이들 간의 체결 구조는 공지된 재래식 해금과 동일한 구조와 형상, 그리고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공명통(114)과, 그 내부에 장착되는 압전소자와 마이크를 제외한 줏대(111), 주아(112), 원산(113) 및 현(115)의 구조와 형상, 그리고 이들의 체결구조는 도 3에 도시된 구조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와 형상, 그리고 체결 구조가 가능함에 따라 여기서는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인 공명통(114)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명통(114)과 압전소자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공명통(114)을 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해금(100)은 외측면에 원산(113)이 장착된 복판(114-1)을 구비한 공명통(114)과, 원산(113)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복판(114-1)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압전소자(160)를 포함한다.
압전소자(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판(114-1)의 미세한 진동, 즉 떨림을 감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전극판(161, 163) 사이에 설치된 압전체(16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압전소자(160)는 메저먼트 스페셜티즈사(Measurement Specialties, Inc)에서 제공하는 압전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압전소자(160)에서는 압전체(162)로 PZT(Lead Zirconate Titanates)와 같은 압전 세라믹을 사용하는 대신에 높은 민감도와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PVDF(Polyvinylidene Fluorides)와 같은 압전 박막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소자(160)는 접착수단(171), 예를 들면 접착제를 통해 복판(114-1)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활에 의해 현(115)에 발생된 진동이 원산(113)을 경유하여 공명통(114)의 복판(14-1)에 전달되면, 복판(14-1)에 전달된 진동으로 인한 복판(14-1)의 미세한 떨림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게 된다.
복판(14-1)의 떨림에 대응하여 압전소자(160)를 통해 생성된 전기신호는 제1 및 제2 전극판(161, 163)을 통해 출력되고, 이렇게 제1 및 제2 전극판(161, 163)을 통해 출력되는 전기신호는 제1 전기도선(152)을 통해 스테레오 잭(151)으로 전달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판(14-1)의 진동에 기인하여 발생된 공명통(114) 내부의 진동음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소형 마이크(180)가 장착된다.
소형 마이크(180)는 도 6과 같이 대략 원형 파이프 구조를 갖는 스테레오 잭(151)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소형 마이크(180)는 스테레오 잭(151)의 일측면에 접착수단(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면 접착제를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형 마이크(180)를 스테레오 잭(151)에 장착하는 이유는 진동음이 아닌 공명통(114)의 떨림에 기인한 잡음(예를 들면, 공명통과 소형 마이크의 충돌에 의한 잡음 등)이 소형 마이크(18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소형 마이크(180)를 공명통(114)의 내측벽에 설치하는 경우 진동음이 아닌 진동에 의한 잡음이 소형 마이크(180)로 유입되어 잡음이 유발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여 원음에 가까운 섬세한 소리를 얻기 위하여 스테레오 잭(151)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형 마이크(180)는 공명통(114) 내부의 잡음을 최소화하고 원음에 대응하는 진동음을 입력받기 위하여 입력측(진동음이 입력되는 부위)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통(114)의 내측벽이 아닌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입력측이 복판(114-1)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명통(114) 내에 압전소자(160)와 대향하도록 장착된 소형 마이크(180)는 복판(114-1)의 떨림에 의해 생성된 공명통(114) 내부의 진동음을 입력받아 전기신호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전기신호는 제2 전기도선(181)을 통해 스테레오 잭(151)으로 전달된다.
스테레오 잭(15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통(114)의 측면에 천공된 삽입공(114-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스테레오 잭(151)은 3개의 단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2개는 양(+) 단자로서 그 중 하나는 제1 전극판(161)과 접속되고 나머지 하나는 소형 마이크(180)의 제1 출력단자와 접속된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접지단자로서 제2 전극판(163)과 소형 마이크(180)의 제2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해금(100)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명주실로 이루어진 현(115)에 활(도시되지 않음)을 마찰시키면 활의 마찰에 기인하여 현(115)이 진동하게 되고, 이렇게 현(115)에 발생된 진동은 원산(113)을 경유하여 공명통(114)의 복판(114-1)으로 전달된다.
복판(114-1)에 전달된 진동은 복판(114-1)의 내측면에 부착된 압전소자(160)를 통해 감지된다. 이와 동시에 복판(114-1)의 진동에 기인하여 공명통(114)의 내부에 생성된 진동음은 공명통(114)의 내부에 장착된 소형 마이크(180)를 통해 감지된다.
압전소자(160)와 소형 마이크(180)는 복판(114-1)의 진동과 공명통(114) 내부의 진동음을 각각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압전소자(160)와 소형 마이크(180)를 통해 각각 출력된 전기신호는 제1 및 제2 전기도선(152, 181)을 통해 스테레오 잭(151)으로 전달된다.
스테레오 잭(151)으로 전달된 전기신호는 스테레오 잭(151)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스테레오 플러그(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외부의 이퀄라이저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출력된다. 이때, 출력신호는 모노 타입이 아닌 스테레오 타입으로서 고객에게 현대 음악에 걸맞게 음량이 크고 풍부하면서도 원음에 가까운 섬세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대한민국의 전통 악기인 해금을 위주로 기술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국악의 전통 악기인 해금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해금과 유사한 중국의 전통악기인 얼후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해금과 얼후는 공명통의 재료와 형상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먼저, 재료에 있어서, 해금은 보통 오동나무판을 사용하지만, 얼후는 보통 뱀가죽을 사용한다. 그리고, 형상에 있어서, 해금은 공명통이 원통형에 중앙부위가 볼록한 구조를 갖는데 반해, 얼후는 공명통이 원통형, 육각통형, 팔각통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외에 다른 구성은 해금과 얼후가 거의 동일하다. 이에 따라 실험 결과 얼후의 공명통의 내부에 본 고안에 따른 압전 박막 필름을 포함하는 압전소자와 소형 마이크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음량이 크고 풍부하면서도 원음에 가까운 섬세한 소리를 얻을 수 있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해금 111 : 줏대
112 : 주아 113 : 원산
114 : 공명통 115 : 현
114-1 : 복판 114-2 : 삽입공
151 : 스테레오 잭 160 : 압전소자
161 : 제1 전극판 162 : 압전체
163 : 제2 전극판 152 : 제1 전기도선
171 : 접착수단 180 : 소형 마이크
181 : 제2 전기도선

Claims (4)

  1. 줏대;
    상기 줏대의 일측부에 장착된 주아;
    상기 줏대의 타측부에 장착된 공명통;
    상기 공명통의 복판에 장착된 원산;
    일측부가 상기 주아를 감고 타측부가 상기 원산을 경유하여 상기 공명통에 체결된 현;
    상기 공명통의 측부에 마련된 삽입공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된 스테레오 잭;
    제1 및 제2 전극판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된 압전 박막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원산과 대향하도록 상기 복판의 내측면에 접착수단을 통해 부착되며, 상기 복판의 진동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스테레오 잭으로 전달하는 압전소자; 및
    상기 공명통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복판의 진동에 기인하여 생성된 상기 공명통의 진동음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스테레오 잭으로 전달하는 소형 마이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해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마이크는 상기 스테레오 잭의 일측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해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마이크는 입력측이 상기 복판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해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박막 필름은 PVDF(Polyvinylidene Fluorid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해금.
KR2020130001179U 2013-02-18 2013-02-18 전기식 해금 KR201400055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179U KR20140005536U (ko) 2013-02-18 2013-02-18 전기식 해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179U KR20140005536U (ko) 2013-02-18 2013-02-18 전기식 해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536U true KR20140005536U (ko) 2014-10-28

Family

ID=52451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179U KR20140005536U (ko) 2013-02-18 2013-02-18 전기식 해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53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2919A (zh) * 2018-03-12 2018-08-28 齐鲁师范学院 一种用于二胡可调节的拾音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2919A (zh) * 2018-03-12 2018-08-28 齐鲁师范学院 一种用于二胡可调节的拾音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05669A1 (en) Sound Pickup Device for Acoustic String Instrument
KR20100120629A (ko) 어쿠스틱 전자 겸용 바이올린족 현악기
CN202352325U (zh) 一种新型压电式蜂鸣器
EP1868181A1 (en) Electr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and pickup unit incorporated therein for converting vibrations to signal
US7157640B2 (en) Undersaddle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O2012014888A1 (ja) 変換装置
JP6016469B2 (ja) 弦楽器用ピックアップケーブル
CN201294088Y (zh) 打击乐器拾音装置
JP2005010535A (ja) 弦楽器用駒および弦楽器
JP2011155641A (ja) ドラムエアパワーシステム
CN111108547B (zh) 采用反馈和输入驱动器增强的原声乐器
CN103347225A (zh) 耳道麦克风
KR20140005536U (ko) 전기식 해금
JP3788382B2 (ja) 弦楽器
WO2017046843A1 (ja) ピックアップ及びピックアップを備えた弦楽器
KR200468630Y1 (ko) 전기식 현악기
JP2009139730A (ja) 楽音信号出力装置および弦楽器
CN110010111A (zh) 一种底鼓放声系统
KR101453511B1 (ko) 다채널 음향 픽업 기능을 구비한 현악기
JP2006251244A (ja) 撥弦楽器および撥弦楽器用ピックアップ
US20180315408A1 (en) Mechanical reverberation device
KR102277583B1 (ko)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 확성장치
RU2800552C1 (ru) Микрофон
CN211125010U (zh) 一种压电拾音条
KR101817009B1 (ko) 전자 현악기의 플렉시블 피에조 압전소자용 노이즈 차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829

Effective date: 2015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