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037B1 - 전자악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악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037B1
KR101433037B1 KR1020140049961A KR20140049961A KR101433037B1 KR 101433037 B1 KR101433037 B1 KR 101433037B1 KR 1020140049961 A KR1020140049961 A KR 1020140049961A KR 20140049961 A KR20140049961 A KR 20140049961A KR 101433037 B1 KR101433037 B1 KR 101433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formation
sound signal
converter
electronic mus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홍
Original Assignee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140049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8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e.g. radio, light, infrar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11Wireless transmission, e.g. of music parameters or control data by radio, infrared or ultra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악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악기 제어장치는, 꽹과리, 징, 장구, 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전자악기에 형성된 타격판이 타격되는 경우 타격정보를 생성하는 타격정보 생성부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통신장치와 기 설정된 주파수의 통신을 설정하는 통신부와, 상기 타격정보 및 상기 전자악기의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악기에 대하여 기 설정된 소리신호를 선택하는 소리신호 선택부와, 상기 소리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자악기에 타격되는 정보를 소리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악기 제어장치{ELECTRONIC INSTRUMENT CONTROLLER}
본 발명은 전자악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악기에 가해지는 타격정보를 소리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최근들어 디지털 기기의 보급으로 인해 일반악기들을 전자화시키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기타나 피아노와 같은 악기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전자기타나 전자피아노로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악기는 스피커를 통해 증폭된 소리를 낼 수 있으며, 사용자 편의에 의해 편곡 등이 가능하도록 하여 음악가들에게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43474호(2002년 06월 10일 공개)는 한국 전통악기 장고를 이용한 아케이드 게임장용 리듬게임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게임의 모든 정보를 보여주는 게임기 스크린, 미리 입력된 배경음악을 출력해 주는 스피커 시스템, 양편에 센서가 부착되어 플레이어의 연주에 따라 그 연주된 입력내용을 본체로 전송해주는 센서 악기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아케이드 게임장용 리듬게임기는 전동악기인 장고를 이용하여 전자악기처럼 이용하는 기술이나, 사용자가 역동적인 움직임을 가지면서 사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즉, 서양악기와 달리 전통 사물놀이 악기의 경우 가만히 앉아서 연주를 할 수도 있으나, 무대를 이동하면서도 연주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악기는 대부분 유선으로 시스템 본체나 스피커에 연결됨으로써 움직임이 많은 공연장에서 실연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전자악기에 타격되는 정보를 소리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으로 전원을 충전할 수 있으며, 전자악기 표면에 타격유도정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타격지점을 확인할 수 있어 혼자서도 연습을 할 수 있는 전자악기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악기 제어장치는, 꽹과리, 징, 장구, 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전자악기에 형성된 타격판이 타격되는 경우 타격정보를 생성하는 타격정보 생성부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통신장치와 기 설정된 주파수의 통신을 설정하는 통신부와, 상기 타격정보 및 상기 전자악기의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악기에 대하여 기 설정된 소리신호를 선택하는 소리신호 선택부와, 상기 소리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타격정보는 상기 타격판의 기울기정보, 가속도정보, 타격위치정보 및 타격강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격판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판와,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하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판을 통해 기 설정된 소리신호에 대응하는 타격유도정보를 생성하도록 하여, 상기 상부판의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타격유도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통신장치는 복수의 상기 전자악기로부터 복수의 상기 소리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소리신호를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통신장치가 복수의 상기 소리신호를 선택하는 경우, 복수의 상기 소리신호를 결합한 혼합소리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외부 충전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제1 교류 전력을 수신하는 제1 송수신 패드와, 상기 제1 교류 전력을 제1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는 제1 정류부와, 상기 제1 직류 전력을 기 설정된 전압레벨의 제2 직류 전력으로 변압하는 제1 컨버터와, 상기 제2 직류 전력을 기 설정된 전압레벨의 제2 교류 전력으로 변압하는 제2 컨버터와, 상기 제2 컨버터의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교류 전력을 상기 제1 송수신 패드를 통해 송신하는 제1 제어부 및 데이터 통신을 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1 무선칩과, 상기 기판의 상면과 상기 제1 무선칩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무선칩으로부터 상기 제2 교류 전력을 수신하는 제2 송수신 패드와, 상기 제2 교류 전력을 제3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는 제2 정류부와, 상기 제3 직류 전력을 기 설정된 전압레벨의 제4 직류 전력으로 변압하는 제3 컨버터와, 상기 제4 직류 전력을 기 설정된 전압레벨의 제4 교류 전력으로 변압하는 제4 컨버터와, 상기 제4 컨버터의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4 교류 전력을 상기 제2 송수신 패드를 통해 송신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1 통신부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악기에 타격되는 정보를 소리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으로 전원을 충전할 수 있으며, 전자악기 표면에 타격유도정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타격지점을 확인할 수 있어 혼자서도 연습을 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 사물놀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악기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전자악기 제어장치에 의해 전자악기의 타격판에서 타격유도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악기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무선 전원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전자악기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무선 전원부의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따른 전자악기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무선 전원부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전자 사물놀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사물놀이 시스템은 전자악기 및 외부 통신장치를 포함한다.
전자악기(10)는 꽹과리, 징, 장구, 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진다. 이 경우, 전자악기(10)에는 타격판(11)이 형성되며, 전자악기(1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전자악기 제어장치(100)가 형성된다. 전자악기(10)는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크기 및 형상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전자악기(10)의 형상은 사물놀이에 사용되는 꽹과리, 징, 장구, 북 외에 다른 국악악기일 수도 있다.
전자악기(10)에 형성된 타격판(11)을 사용자의 손이나 막대로 타격하는 경우, 타격판(11)의 기울기정보, 타격판(11)에서의 타격위치정보 및 타격강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그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소리신호가 외부 통신장치(20)로 전송된다. 여기서, 타격판(11)의 기울기 정보는 타격판(11)에 대한 x축, y축, z축 좌표일 수 있다. 타격위치정보는 타격판(11) 내 타격되는 부위의 좌표정보 또는 영역정보일 수 있다. 타격강도정보는 타격판(11)에 가압되는 강도를 감지한 세기정보일 수 있다. 또한, 타격판(11)의 움직임정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악기(10)는 타격판(11)에 타격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가장 근접하는 소리신호를 선택하여 외부 통신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전자악기(10)는 오디오 출력모듈을 구비하여 이어폰이 삽입될 수 있는 접속포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외장스피커를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부 통신장치(20)는 전자악기(10)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예를 들어 고정형 POS(point of sales) 단말기, 키오스크(Kiosk), 데스크탑과 같은 고정형 단말기이거나 이동형 POS(point of sales) 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노트북, 블루투스 헤드폰과 같은 이동형 단말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통신장치(20)는 전자악기(10)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외부 통신장치(20)는 복수의 전자악기(10)로부터 동시에 소리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이 중 하나의 소리신호만을 선택하여 재생하거나, 복수의 소리신호를 혼합하여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자악기(10)로부터 제1 소리신호를 수신하고, 외부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기 저장된 제2 소리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전자악기(10)를 통해 연습을 하면서 다른 악기의 소리신호와 함께 결합하여 합주를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악기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악기 제어장치(100)는 타격정보 생성부(110), 통신부(120), 소리신호 선택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타격정보 생성부(110)는 전자악기에 형성된 타격판이 타격되는 경우 타격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타격정보는 타격판의 기울기정보, 가속도정보, 타격위치정보 및 타격강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격판의 기울기정보와 가속도정보는 사용자가 전자악기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나, 이동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타격위치정보 및 타격강도정보는 타격되는 위치나 강도를 확인하여 손으로 타격하는 것인지 도구를 이용하여 타격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타격정보 생성부(110)는 타격판에 형성된 압력감지센서, 조도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타격판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자극을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타격정보 생성부(110)는 변환된 전기신호를 내장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소리신호 선택부(130) 또는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타격정보 생성부(110)는 타격판의 형상에 따라 타격정보를 다르게 인식할 수 있다. 즉, 타격판은 일반적으로 원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바닥면과 측면에서 타격되는 위치에 따라 전기신호를 다르게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통신장치와 기 설정된 주파수의 통신을 설정한다. 통신부(120)는 3g, 4g, 와이브로(wibro)와 같은 장거리 통신은 물론,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다. 통신부(120)는 기 설정된 암호키를 공유하는 외부 통신장치와 통신채널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후술하는 소리신호 선택부(130)에서 선택된 소리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소리신호 선택부(130)는 타격정보 및 전자악기의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악기에 대하여 기 설정된 소리신호를 선택한다. 이 경우, 타격정보는 앞서 설명한 타격판의 기울기정보, 가속도정보, 타격위치정보 및 타격강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기기정보는 전자악기가 꽹과리, 징, 장구, 북 중 어느 종류인지 판별하는 정보이며, 사용자 고유의 아이디 정보도 포함하는 정보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전자악기의 기기정보와 사용자의 전자악기에 타격된 타격정보를 조합하여 하나의 소리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같은 종류의 전자악기라도 타격정보에 따라 선택되는 소리신호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소리신호 선택부(130)는 내부 메모리에 기 저장된 소리신호 데이터에서 최적의 소리신호를 선택하는 것 외에,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소리신호 서버에 접속하여 소리신호를 탐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리신호 선택부(130)에서 선택된 소리신호는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된다. 이 경우, 외부 통신장치의 사용자는 자신이 타격한 전자악기의 소리신호를 헤드폰을 통해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주변에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소리신호 선택부(130)는 전자악기의 타격판이 직접적으로 타격되어 선택된 소리신호 외에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다른 전자악기의 소리신호를 결합한 소리신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가 혼자서 연습하는 경우 다른 전자악기와의 협주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미리 저장된 전자악기의 소리신호를 선택하여 실제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악기의 소리신호와 결합함으로써 동시에 협주를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어부(140)는 소리신호 선택부(130)에서 선택된 소리신호를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하도록 한다. 제어부(140)는 앞서 설명한 타격정보 생성부(110), 통신부(120), 소리신호 선택부(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듈이다. 제어부(140)는 타격정보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타격정보를 이용하여 소리신호 선택부(130)에서 소리신호를 선택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악기 제어장치(100)는 내부 전원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전원부(150)는 타격정보 생성부(110), 통신부(120), 소리신호 선택부(130) 및 제어부(140)에 전원을 공급한다. 내부 전원부(150)는 니켈 카드뮴(Ni-Cd), 알카라인 전지, 니켈 수소(Ni-Mh), 밀폐형납산(SLA), 리튬 이온(Li-ion), 리튬폴리머(Li-polymer) 등의 충전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악기 제어장치(100)는 무선 전원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원부(160)는 외부 충전장치와 자기적 결합, 전기적 결합을 유도하여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무선 전원부(160)와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전자악기 제어장치에 의해 전자악기의 타격판에서 타격유도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다구체적으로 전자악기의 타격판(11)은 상부판(12) 및 하부판(13)을 포함한다. 상부판(12)에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관통공(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공(12-1)은 후술하는 하부판(13)으로부터 출력되는 타격유도정보(13-1)가 외부로 도트(dot)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부판(12)은 감압식 또는 정전식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포함된다.
하부판(13)은 상부판(12)의 하부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다. 하부판(13)은 LCD, LED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타격유도정보(13-1)가 출력된다. 여기서 타격유도정보(13-1)는 전자악기 제어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정보로, 사용자가 육안으로 타격판(11) 상에 타격을 유도하도록 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즉, 하부판(13) 상에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면 상부판(12)의 관통공(12-1)을 통해 도트 형상의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된다.
예를 들어, 타격유도정보(13-1)는 'O', 'X'와 같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타격유도정보(13-1)가 표시되는 영역을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타격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곡을 연주하기 위해 타격판(11)의 어느 위치를 어느 강도로 타격해야 하는지 안내해주기 때문에 보다 손쉽게 연주를 할 수 있다. 전자악기 제어장치의 제어부에서는 기 설정된 소리신호에 대응하는 타격유도정보(13-1)를 생성하도록 하여, 상부판(12)의 관통공(12-1)을 통해 타격유도정보(13-1)가 표시되도록 하부판(13)의 출력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악기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무선 전원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전자악기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무선 전원부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악기 제어장치 중 무선 전원부(400)는 기판(410), 제1 무선칩(420) 및 제2 무선칩(430)을 포함한다.
기판(410)은 PCB(Printed Circuit Board)로 다수의 금속선 형태의 신호선이 인쇄되어 있으며, 복수의 무선칩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기판(410)은 커넥팅 라인부(5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내부 전원부(150)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기판(410)은 전자악기의 타격판의 일 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무선칩(420)은 기판(410)의 상부에 적층되는 무선칩들 중 최상부에 적층되어 외부 충전장치(30)로부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무선칩이다. 예를 들어, 제1 무선칩(420)은 제1 송수신 패드(421)를 통해 입력받은 교류 전력을 수신하고, 이를 평활하여 일정한 전압레벨로 승압하여 커넥팅 라인부(500)를 통해 본체부(3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무선칩(420)은 기 설정된 전압레벨의 교류 전력을 생성하여 제1 송수신 패드(421)를 통해 제2 무선칩(430)과 자기적 결합 또는 전기적 결합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무선칩(420)은 외부의 통신장치 또는 제2 무선칩(430)과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제2 무선칩(430)은 기판(410)의 상부와 제1 무선칩(420) 사이에 적층되어 제1 무선칩(420)으로부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무선칩이다. 예를 들어, 제2 무선칩(430)은 제2 송수신 패드(431)를 통해 입력받은 교류 전력을 수신하고, 이를 평활하여 일정한 전압레벨로 승압하여 커넥팅 라인부(500)를 통해 본체부(3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무선칩(430)은 기 설정된 전압레벨의 교류 전력을 생성하여 제2 송수신 패드(431)를 통해 제1 무선칩(420)과 자기적 결합 또는 전기적 결합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무선칩(430)은 외부 통신장치 또는 제1 무선칩(420)과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무선칩(420)과 제2 무선칩(430) 간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며 그 사이에는 스페이서(440)를 이용하여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440)는 페라이트(ferrite)와 같은 자성체이거나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는 유전체일 수 있다. 이는 제1 무선칩(420)과 제2 무선칩(430) 간의 무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제1 무선칩(420)의 제1 송수신 패드(421)와 제2 무선칩(430)의 제2 송수신 패드(431)는 자기적 결합을 유도하는 인덕터 안테나이거나, 전기적 결합을 유도하는 캐패시터 안테나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인덕터 또는 캐패시터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금속선 형태의 신호선을 패터닝하여 인덕터 또는 캐패시터로 이용할 수 있다. 제1 송수신 패드(421) 및 제2 송수신 패드(431)는 동일 축 상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무선 전원부(400)에 사용되는 집적회로의 면적을 줄일 수 있어 소형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따른 전자악기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무선 전원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악기 제어장치의 무선 충전부(400) 중 제1 무선칩(420)은 제1 송수신 패드(421), 제1 정류부(422), 제1 컨버터(423), 제2 컨버터(424), 제1 제어부(425) 및 제1 통신부(426)를 포함한다.
제1 송수신 패드(421)는 외부 충전장치(30)로부터 무선으로 제1 교류 전력을 수신한다. 이 경우, 제1 송수신 패드(421)는 자기적 결합을 유도하는 인덕터 안테나이거나, 전기적 결합을 유도하는 캐패시터 안테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수신 패드(421)는 외부 통신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제1 정류부(422)는 제1 송수신 패드(421)로부터 수신한 제1 교류 전력을 제1 직류 전력으로 정류한다. 제1 정류부(422)는 제1 직류 전력을 후술하는 제1 컨버터(423)로 출력한다.
제1 컨버터(423)는 제1 정류부(422)로부터 입력된 제1 직류 전력을 기 설정된 전압레벨의 제2 직류 전력으로 승압하는 DC-DC 컨버터이다. 제1 컨버터(423)는 본체부(300)에 공급된 전력 또는 제2 무선칩(430)으로 공급될 전력의 전압 레벨에 따라 승압을 달리할 수 있다.
제2 컨버터(424)는 제2 직류 전력을 제2 교류 전력으로 변압한다. 이는 제2 무선칩(430)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제2 컨버터(424)는 DC-AC 컨버터이다. 제1 무선칩(420)과 제2 무선칩(430)은 상호간에 전기적 또는 자기적 결합을 통해 전력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제1 제어부(425)는 제2 컨버터(424)의 스위치를 제어하여 제2 교류 전력을 제1 송수신 패드(421)를 통해 제2 무선칩(430)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1 제어부(425)는 통신모드에 따라 제1 컨버터(423) 또는 제2 컨버터(424)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칩(420)이 송신 모드인 경우 제1 컨버터(423)를 오프, 제2 컨버터(424)를 온시키고, 제1 무선 칩이 수신 모드인 경우 제1 컨버터(423)를 온, 제2 컨버터(424)를 오프시킬 수 있다.
제1 통신부(120)(426)는 외부 통신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426)는 제2 무선칩(430)과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자악기 제어장치 중 무선 전원부의 제2 무선칩(430)은 제2 송수신 패드(431), 제2 정류부(432), 제3 컨버터(433), 제4 컨버터(434), 제2 제어부(435) 및 제2 통신부(436)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2 송수신 패드(431), 제2 정류부(432), 제3 컨버터(433), 제4 컨버터(434), 제2 제어부(435) 및 제2 통신부(436)는 각각 제1 무선칩(420)의 제1 송수신 패드(421), 제1 정류부(422), 제1 컨버터(423), 제2 컨버터(424), 제1 제어부(425) 및 제1 통신부(426)와 대응하는 구성이다.
제2 송수신 패드(431)는 제1 무선칩(420)으로부터 제2 교류 전력을 수신하며, 제1 송수신 패드(421)와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인 결합이 가능하다. 제2 정류부(432)는 제2 교류 전력을 제3 직류 전력으로 정류한다. 제3 컨버터(433)는 제3 직류 전력을 기 설정된 전압레벨의 제4 직류 전력으로 변압하는 DC-DC 컨버터이다. 제4 컨버터(434)는 제4 직류 전력을 기 설정된 전압레벨의 제4 교류 전력으로 변압하는 DC-AC 컨버터이다. 제2 제어부(435)는 제4 컨버터(434)의 스위치를 제어하여 제4 교류 전력을 제2 송수신 패드(431)를 통해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제2 제어부(435)는 통신모드에 따라 제3 컨버터(433)와 제4 컨버터(434)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무선칩(430)이 송신 모드인 경우 제3 컨버터(433)를 오프, 제4 컨버터(434)를 온시키고, 제2 무선 칩이 수신 모드인 경우 제3 컨버터(433)를 온, 제4 컨버터(434)를 오프시킬 수 있다. 제2 통신부(436)는 제1 통신부(426) 또는 외부 통신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악기 제어장치는, 전자악기에 타격되는 정보를 소리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으로 전원을 충전할 수 있으며, 전자악기 표면에 타격유도정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타격지점을 확인할 수 있어 혼자서도 연습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전자악기 11 : 타격판
12 : 상부판 12-1 : 관통공
13 : 하부판 13-1 : 타격유도정보
20 : 외부 통신장치 30 : 외부 충전장치
100 : 전자악기 제어장치 110 : 타격정보 생성부
120 : 통신부 130 : 소리신호 선택부
140 : 제어부 150 : 내부 전원부
160 : 무선 전원부
400 : 무선 전원부 410 : 기판
420 : 제1 무선칩 421 : 제1 송수신 패드
422 : 제1 정류부 423 : 제1 컨버터
424 : 제2 컨버터 425 : 제1 제어부
426 : 제1 통신부 430 : 제2 무선칩
431 : 제2 송수신 패드 432 : 제2 정류부
433 : 제3 컨버터 434 : 제4 컨버터
435 : 제2 제어부 436 : 제2 통신부
440 : 스페이서
500 : 커넥팅 라인부

Claims (5)

  1. 꽹과리, 징, 장구, 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전자악기에 형성된 타격판이 타격되는 경우 상기 타격판의 기울기정보, 가속도정보, 타격위치정보 및 타격강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타격정보를 생성하는 타격정보 생성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통신장치와 기 설정된 주파수의 통신을 설정하는 통신부;
    상기 타격정보 및 상기 전자악기의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악기에 대하여 기 설정된 소리신호를 선택하는 소리신호 선택부;
    상기 소리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타격판의 일 면에 형성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어, 외부 충전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제1 교류 전력을 수신하는 제1 송수신 패드와, 상기 제1 교류 전력을 제1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는 제1 정류부와, 상기 제1 직류 전력을 기 설정된 전압레벨의 제2 직류 전력으로 변압하는 제1 컨버터와, 상기 제2 직류 전력을 기 설정된 전압레벨의 제2 교류 전력으로 변압하는 제2 컨버터와, 상기 제2 컨버터의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교류 전력을 상기 제1 송수신 패드를 통해 송신하는 제1 제어부 및 데이터 통신을 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1 무선칩;
    상기 기판의 상면과 상기 제1 무선칩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무선칩으로부터 상기 제2 교류 전력을 수신하는 제2 송수신 패드와, 상기 제2 교류 전력을 제3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는 제2 정류부와, 상기 제3 직류 전력을 기 설정된 전압레벨의 제4 직류 전력으로 변압하는 제3 컨버터와, 상기 제4 직류 전력을 기 설정된 전압레벨의 제4 교류 전력으로 변압하는 제4 컨버터와, 상기 제4 컨버터의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4 교류 전력을 상기 제2 송수신 패드를 통해 송신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1 통신부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2 무선칩; 및
    상기 제1 무선칩과 상기 제2 무선칩 사이에 형성되어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전자악기 제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판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판; 및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하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판을 통해 기 설정된 소리신호에 대응하는 타격유도정보를 생성하도록 하여, 상기 상부판의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타격유도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전자악기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신장치는
    복수의 상기 전자악기로부터 복수의 상기 소리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소리신호를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통신장치가 복수의 상기 소리신호를 선택하는 경우, 복수의 상기 소리신호를 결합한 혼합소리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전자악기 제어장치.
  5. 삭제
KR1020140049961A 2014-04-25 2014-04-25 전자악기 제어장치 KR101433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961A KR101433037B1 (ko) 2014-04-25 2014-04-25 전자악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961A KR101433037B1 (ko) 2014-04-25 2014-04-25 전자악기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037B1 true KR101433037B1 (ko) 2014-08-21

Family

ID=51751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961A KR101433037B1 (ko) 2014-04-25 2014-04-25 전자악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0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859B1 (ko) * 2016-05-19 2017-06-20 김형산 전기식 현악기
KR101777204B1 (ko) * 2015-12-10 2017-09-11 주식회사 영창뮤직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피아노 녹음장치
US9779710B2 (en) 2015-04-17 201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4293B2 (ja) * 2003-05-26 2005-06-02 ヤマハ株式会社 電子ドラム装置
KR20080053808A (ko) * 2006-12-11 2008-06-16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접점 충전용 배터리팩 및 무접점 배터리팩이 내재된휴대용 단말기
KR20130058384A (ko) * 2011-11-25 2013-06-04 주식회사 지에스엘앤씨 휴대용 드럼연주시스템
JP2013186215A (ja) * 2012-03-07 2013-09-19 Casio Comput Co Ltd 習熟度判定装置、習熟度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4293B2 (ja) * 2003-05-26 2005-06-02 ヤマハ株式会社 電子ドラム装置
KR20080053808A (ko) * 2006-12-11 2008-06-16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접점 충전용 배터리팩 및 무접점 배터리팩이 내재된휴대용 단말기
KR20130058384A (ko) * 2011-11-25 2013-06-04 주식회사 지에스엘앤씨 휴대용 드럼연주시스템
JP2013186215A (ja) * 2012-03-07 2013-09-19 Casio Comput Co Ltd 習熟度判定装置、習熟度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9710B2 (en) 2015-04-17 201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77204B1 (ko) * 2015-12-10 2017-09-11 주식회사 영창뮤직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피아노 녹음장치
KR101748859B1 (ko) * 2016-05-19 2017-06-20 김형산 전기식 현악기
WO2017200135A1 (ko) * 2016-05-19 2017-11-23 김형산 전기식 현악기 및 그 전기식 현악기와 모바일 기기가 연계된 실시간 음향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8242B2 (ja) 楽音発生制御システム
CN103915879B (zh) 在电子装置中显示关于无线充电板的信息的方法和设备
CN104798012B (zh) 提供语音识别服务的便携式装置和方法
US9207764B2 (en) Orientation adjustable multi-channel haptic device
CN108008930B (zh) 确定k歌分值的方法和装置
US20150022194A1 (en) Magnetometer for aligning a portable device on a planar charging surface of an inductive charging unit
CN109448761B (zh) 播放歌曲的方法和装置
US20130236869A1 (en) Skill judging device, skill judg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433037B1 (ko) 전자악기 제어장치
CN109361977A (zh) 无线耳机及充电装置
CN111105769B (zh) 检测音频的中频节奏点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09688461A (zh) 视频播放方法及装置
CN109147757A (zh) 歌声合成方法及装置
US92756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that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a function selected based on a positional relation, and system
CN108922562A (zh) 演唱评价结果显示方法及装置
CN111261185A (zh) 播放音频的方法、装置、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06684962A (zh) 无线充电位置校准方法及装置
JP6299121B2 (ja) 音波形データ処理装置
CN108430004B (zh) 一种扬声器振幅调节装置、调节方法及移动终端
CN203812192U (zh) 具乐器演奏功能的空中飞鼠
US11123603B2 (en) Motion measurement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otion measuring method
KR101976214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 및 이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1002162B1 (ko) 휴대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증폭기
US20220246121A1 (en) Portabl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N110556089B (zh) 一种多功能柔性屏电子钢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