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323B1 -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323B1
KR100657323B1 KR1020050059666A KR20050059666A KR100657323B1 KR 100657323 B1 KR100657323 B1 KR 100657323B1 KR 1020050059666 A KR1020050059666 A KR 1020050059666A KR 20050059666 A KR20050059666 A KR 20050059666A KR 100657323 B1 KR100657323 B1 KR 100657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scanner
motor
impeller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9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323B1/ko
Priority to CNA2006101285121A priority patent/CN1901599A/zh
Priority to US11/480,548 priority patent/US2007001396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1/0473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in subscanning direction, e.g. picture start or line-to-line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Optical Transfor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캐너에서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는, 화상을 인식하는 센서가 설치된 캐리어, 상기 캐리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캐너에서,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축 센서; 및 상기 검출신호로부터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a carrier in a scann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캐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캐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를 포함하는 스캐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임펠러 및 구동축 센서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축에 설치된 임펠러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스캐너가 잠금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고, 캐리어의 위치 검출을 위한 홈 위치를 검출하지 못하더라도 캐리어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 및 방 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캐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캐너 장치는 사진(10)이 놓여지는 글라스 플레이트(11)와, 사진(10)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또는 CIS(Contact Image Sensor: 접촉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캐리어(12)와, 캐리어(12)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스캔 모터(13)와, 스캔 모터(13)의 구동력을 가감시키는 기어트레인(gear train)(14)과, 스캔 모터(13)의 구동력으로 캐리어(12)를 이동시키는 벨트(15)와, 스캔 모터(13)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벨트(15)에 전달하는 풀리(16)와, 벨트(15)의 장력을 조절하는 벨트 텐션 장치(17)와, 캐리어(12)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캐리어(12)의 이동을 가이드해 주는 가이드 샤프트(18)와, 스캔 데이터 및 스캔 메카니즘 구동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PB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19)와, 스캔이 완료된 후 스캔 데이터를 출력하는 케이블(2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스캐너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진(10)의 이미지를 스캔하기 위해 컴퓨터와 스캐너를 구동한 다음, 스캐너 커버(미도시)를 오픈하여 글라스 플레이트(11)상의 스캔 위치에 사진(10)을 올린 후 스캐너 커버를 덮는다. 다음으로, 컴퓨터에서 스캔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19)를 통하여 스캔 모터(13)가 구동하게 되며, 그 구동력은 기어트레인(14)을 통하여 풀리(16)에 전달됨으로써 벨트(15)가 구동하게 된다. 이어서, 벨트(15)에 연결된 캐리어(12)는 벨트(15)의 구동력에 의하여 가이드 샤프트 (18)를 따라 이동하면서 스캔을 시작하게 된다. 이 때, 벨트(15)는 벨트 텐션 장치(17)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장력으로 유지된다. 캐리어(12)가 이동하면서 스캔을 완료하면 스캔 데이터는 케이블(20)을 통하여 출력된다. 한편, 이렇게 출력된 이미지는 컴퓨터의 모니터 상에 나타나게 되며,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출력 이미지를 편집하거나 수정하여 원하는 이미지 파일 포맷으로 저장하면서 일련의 스캔 동작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스캐너에 있어서, 화상인식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캐리어의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는 캐리어의 위치가 파악되지 않으면 인식될 화상에 대한 정확한 위치 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캐리어는 홈 위치(Home Position)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즉 상기한 바와 같은 홈 위치 검출센서를 포함하게 된다.
도 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캐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스캐너는 화상을 인식하기 전에 먼저 캐리어(12)가 홈 위치(22)에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만일 캐리어(12)가 홈 위치(22)에 있지 않는 경우에는 캐리어(12)를 B방향으로 움직여 홈 위치(22)에 위치시킨다. 캐리어(12)가 홈 위치(22)에 있는지의 확인은, 예를 들어 캐리어(12)에 장착된 홈 위치 검출센서(24)와 홈 위치(22)를 표시하는 구성부재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달성된다. 캐리어(12)가 홈 위치(22)에 위치하고 있음이 확인되면, 캐리어(12)는 해당 원고의 화상 인식을 위해 A방향으로 이동한다. 화상 인식을 위해 이동하는 캐리어(12)는 미리 입력되거나 또는 재설정된 시간, 거리 또는 센싱 등의 방법에 의해 결 정되는 구간을 이동하고, 이동 완료가 확인되면 다시 홈 위치(22)를 찾아 B 방향으로 이동한다. 캐리어(12)가 홈 위치(22)에 다시 위치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화상 인식 과정이 완료된 것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기술의 스캐너에 있어서, 캐리어(12)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홈 위치 검출센서(24)에 의존하게 된다. 홈 위치 검출센서(24)를 기준으로 모터의 펄스를 카운트하여 홈 위치(22)를 기준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스캐닝 도중 스캐너 파워가 오프(off)된 후 다시 온(on)된 경우, 캐리어(12)의 위치를 알 수 없으므로, 홈 위치(22)를 검출할 때까지 캐리어(12)를 이동시켜야 한다. 이 때, 홈 위치 검출센서(24)가 노화된 경우, 검출된 값이 하이레벨이나 로우레벨이 아닌 중간레벨인 경우 등으로 인해 홈 위치(22)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 엔드(end) 벽면에 충돌하여 캐리어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모터에 스트레스(stress)가 발생한다.
또한, 캐리어(110)의 이동으로 인한 스캐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캐리어(110)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스캐너를 잠금(lock)시키는 기능이 있다. 사용자가 스캐너 잠금을 확인하지 못하고, 스캐너를 작동시킬 경우, 소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모터(125)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발생시켜 모터(125)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터축에 설치된 임펠러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스캐너가 잠금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고, 홈 위치를 검출하지 못하더라도 임펠러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캐리어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는, 화상을 인식하는 센서가 설치된 캐리어, 상기 캐리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캐너에서,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축 센서; 및 상기 검출신호로부터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축 센서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임펠러를 통과하여 상기 수광부에 도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캐너의 파워 온시 상기 모터 구동부로 소정 수의 펄스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축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스캐너가 잠금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소정 수는 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모터 구동부로 출력되는 펄스의 수를 검출하는 펄스수 검출부; 상기 펄스수 검출부에서 검출된 펄스수와 상기 구동축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인 임펠러 회전수를 비교하여 오차를 계산하는 오차 계산부; 및 상기 오차를 보정하여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하는 오차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방법은, 화상을 인식하는 센서가 설치된 캐리어, 상기 캐리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캐너에서,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스캐너가 파워 온된 경우, 상기 모터 구동부로 소정 수의 펄스를 출력하여 상기 스캐너가 잠금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스캐너가 잠금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스캐너를 초기화하는 단계; 및 (c) 스캐닝 명령이 입력되어 상기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임펠러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단계는 (c1) 스캐닝 명령이 입력되어 상기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모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펄스수를 검출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임펠러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단계; (c2) 상기 펄스수 및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를 비교하여 오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c3) 상기 오차를 보정하여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를 포함하는 스캐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캐너는 캐리어(110), 모터 구동부(120), 모터(125), 제 어부(130), 타이밍 벨트(140), 가이드 샤프트(150), 임펠러(160) 및 구동축 센서(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캐리어(110)에는 화상을 인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스캐닝부가 탑재되어 있다.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센서를 주로 사용한다. 캐리어(110)는 모터 구동부(120)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125)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이동된다. 캐리어(110)는 베이스(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며, 베이스에는 캐리어(110)의 원점 위치를 나타내는 홈 위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캐리어(110)에는 홈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홈 위치 검출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125)는 회전 구동력을 타이밍 벨트(140)에 전달하여 상기 캐리어(110)를 직선 왕복 운동시킬 수 있도록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가이드 샤프트(150)는 캐리어(11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캐리어(11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제어부(130)는 모터(125)를 구동하기 위한 펄스를 모터 구동부(120)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구동축 센서(170)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캐리어(110)의 위치를 검출한다.
제어부(130)는 스캐너의 파워온시 모터 구동부(120)로 소정 수의 펄스를 출력하고, 구동축 센서(170)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스캐너가 잠금(lock)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 때, 모터 구동부(120)로 가해지는 펄스수는 4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 구동부(120)로 출력된 펄스에 따라 모터(125)가 구동되더라 도, 임펠러(160)가 회전하지 않아서 구동축 센서(170)로부터의 검출된 신호가 로우레벨인 경우에는, 스캐너가 잠금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스캐너의 잠금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모터에 주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임펠러(160)는 모터(125)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모터(125)가 구동됨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임펠러(160)는 모터(125)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켜 모터(125)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축 센서(170)는 임펠러(160)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구동축 센서(160)는 임펠러(160)의 회전수를 검출한 검출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도 4에는 임펠러(160) 및 구동축 센서(170)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160)는 90°간격으로 이루어진 4개의 회전 날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임펠러(160)는 45°간격으로 이루어진 8개의 회전 날개를 가질 수도 있다.
구동축 센서(170)는 일측에 발광부를 가지고, 다른 측에 수광부를 가진다. 발광부에서 발생된 빛이 임펠러(160)의 회전 날개와 날개 사이를 통과하여 수광부에 도달하는 경우 하이레벨을 출력하고,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로우레벨을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는 모터 구동부(120), 모터(125), 제어부(130) 및 구동축 센서(170)를 포함하여, 이들 구성요소의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하였 다.
제어부(130)는 펄스수 검출부(131), 오차 계산부(132) 및 오차 보정부(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펄스수 검출부(131)는 모터(125)를 구동하기 위해 모터 구동부(120)로 출력되는 펄스의 수를 검출한다. 제어부(130)의 펄스 발생부(미도시)는 모터(125)를 구동하기 위한 펄스를 발생하여 모터 구동부(120)로 출력하고, 펄스수 검출부(131)는 모터 구동부(120)로 출력되는 펄스의 수를 검출한다. 이 펄스수를 합산하여 캐리어(110)의 위치를 검출한다. 그러나, 펄스가 발생되더라도 모터(125)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펄스수를 합산하여 검출된 위치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오차 계산부(132)는 펄스수 검출부(131)에서 검출된 펄스수와 상기 구동축 센서(170)로부터의 검출신호인 임펠러 회전수를 비교하여 오차를 계산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홈 위치를 찾지 않더라도 캐리어(110)의 위치 오차를 계산할 수 있다.
오차 보정부(133)는 오차를 보정하여 캐리어(110)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한다. 캐리어(110)의 위치를 정확히 검출함으로써, 스캔된 원고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의 위치 검출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3 및 도 5의 구성요소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S600 단계에서 사용자가 스캐너를 파워 온 시키면, S605 단계에서는 제어부(130)는 모터 구동부(120)로 소정 수의 펄스를 출력하여 스캐너의 잠금 여부를 확인한다. 이 때, 모터 구동부(120)로 출력되 는 펄스는 4이상의 펄스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 구동부(120)로 펄스가 출력될 때, 구동축 센서(170)는 임펠러(160)의 회전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구동축 센서(170)로부터의 검출신호로부터 스캐너가 잠금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스캐너가 잠금되어 있으면, S615 단계에서는 제어부(130)는 스캐너 본체 외부에 설치되는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해 스캐너가 잠금되어 있음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캐너 잠금을 해제한다.
스캐너가 잠금되어 있지 않으면, S620 단계에서는 모터 구동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하에 모터(125)를 구동시켜 캐리어(110)를 이동시킨다. 캐리어(110)가 이동되면서 홈 위치 검출센서는 홈 위치의 검출을 시도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구동축 센서(170)로부터 검출된 임펠러(160)의 회전수로부터 캐리어(110)가 얼마만큼 이동했는지를 조사한다. S625 단계에서는 제어부(130)는 홈 위치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홈 위치가 검출되지 않았으면, 캐리어(110)를 계속 이동시킨다. 홈 위치가 검출되었으면, S630 단계에서는 스캐너는 쉐이딩(shading)한 후, 다음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 쉐이딩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설명한 S620 단계 내지 S630 단계는 스캐너의 초기화하는 과정에 해당된다. 스캐너를 초기화하는 과정에서도 구동축 센서(170)에서 검출된 임펠러(160)의 회전수로부터 캐리어(110)의 이동거리를 조사함으로써, 캐리어(110)가 엔드 벽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635 단계에서 스캐닝명령이 입력되었으면, S640 단계에서는 모터 구동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하에 모터(125)를 구동시켜 스캐닝 위치까지 캐리어(110)를 이동시킨다. S645 단계에서는 펄스수 검출부(131)는 모터(125)를 구동하기 위해 모터 구동부(120)로 출력하는 펄스의 수를 검출하고, 구동축 센서(170)는 임펠러(160)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S650 단계에서는 오차 계산부(132)는 펄스수 검출부(131)에서 검출된 펄스수와 상기 구동축 센서(170)로부터의 검출신호인 임펠러 회전수를 비교하여 오차를 계산한다. S655 단계에서는 오차 보정부(133)는 오차를 보정하여 캐리어(110)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한다.
S635 단계 내지 S655 단계의 스캐너 동작시 홈 위치를 찾지 못하더라도 구동축 센서(170)로부터 검출된 임펠러(160)의 회전수로부터 캐리어(100)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캐리어(110)가 엔드 벽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축에 설치된 임펠러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스캐너가 잠금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스캐너 잠금으로 인한 소음, 및 모터에 주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스캐닝 도중 홈 위치를 검출하지 못하더라도 임펠러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캐리어의 이동시 발생하는 캐리의 위치 오차를 더욱 정밀하게 보정함으로써, 스캐닝된 원고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캐너 초기화시 또는 스캐너 작동중에 홈 위치를 찾지 못하여 캐리어가 엔드 벽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화상을 인식하는 센서가 설치된 캐리어, 상기 캐리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캐너에서,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축 센서; 및
    상기 검출신호로부터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센서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임펠러를 통과하여 상기 수광부에 도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캐너의 파워 온시 상기 모터 구동부로 소정 수의 펄스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축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스캐너가 잠금되어 있는지의 여부 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수는
    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모터 구동부로 출력되는 펄스의 수를 검출하는 펄스수 검출부;
    상기 펄스수 검출부에서 검출된 펄스수와 상기 구동축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인 임펠러 회전수를 비교하여 오차를 계산하는 오차 계산부; 및
    상기 오차를 보정하여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하는 오차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90°간격으로 이루어진 4개의 회전 날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45°간격으로 이루어진 8개의 회전 날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
  8. 화상을 인식하는 센서가 설치된 캐리어, 상기 캐리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캐너에서,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스캐너가 파워 온된 경우, 상기 모터 구동부로 소정 수의 펄스를 출력하여 상기 스캐너가 잠금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스캐너가 잠금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스캐너를 초기화하는 단계; 및
    (c) 스캐닝 명령이 입력되어 상기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임펠러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스캐닝 명령이 입력되어 상기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모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펄스수를 검출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임펠러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단계;
    (c2) 상기 펄스수 및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를 비교하여 오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c3) 상기 오차를 보정하여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방법.
KR1020050059666A 2005-07-04 2005-07-04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 및 방법 KR100657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666A KR100657323B1 (ko) 2005-07-04 2005-07-04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 및 방법
CNA2006101285121A CN1901599A (zh) 2005-07-04 2006-07-04 用于检查扫描仪中载体位置的装置和方法
US11/480,548 US20070013966A1 (en) 2005-07-04 2006-07-05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carrier in scan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666A KR100657323B1 (ko) 2005-07-04 2005-07-04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7323B1 true KR100657323B1 (ko) 2006-12-14

Family

ID=3765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666A KR100657323B1 (ko) 2005-07-04 2005-07-04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013966A1 (ko)
KR (1) KR100657323B1 (ko)
CN (1) CN19015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06857A (zh) * 2012-12-26 2013-05-15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装置
CN104111225A (zh) * 2014-05-26 2014-10-22 宁波江丰生物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数字切片扫描仪平台锁定装置
JP6627446B2 (ja) * 2015-11-18 2020-01-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2537543B1 (ko) * 2016-03-24 2023-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능형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13966A1 (en) 2007-01-18
CN1901599A (zh)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7323B1 (ko) 스캐너의 캐리어 위치 검출장치 및 방법
US7821685B2 (en) Image reading method, image read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on
US7800797B2 (en) Document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position of carriage
WO2004091917A1 (ja) 液体吐出装置、液体吐出システム、及び、液体吐出方法
US10291801B2 (en) Image scann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for
US20060268374A1 (en) Position control device, and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319554B2 (en) Image read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method
JP2007174221A (ja) 画像読取装置
US7315145B2 (en) System of controlling a sliding member for a vehicle
KR102391226B1 (ko) 실린더형 인사이드 핸들 감지 센서
US11330115B2 (en) Image scanning device
KR20060010943A (ko) 스캐너 및 스캐닝 유닛의 위치제어방법
JP4967574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7013702A (ja)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読み取り装置の光電変換部固定検出方法
JP2002247309A (ja) イメージスキャナ
JP2004361563A (ja) 画像読取装置
JP4147586B2 (ja) 画像読取装置
JPH09244140A (ja) 画像傾き補正方法
JP2000115479A (ja) 画像読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4631835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方法
JP2005134733A (ja) 画像形成装置
CN114943760A (zh) 一种cis小车撞墙判断方法和装置
KR20050006659A (ko) 스캐닝 장치
JP5496764B2 (ja) スキャナ装置
JPH0655796A (ja) プリンタ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