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712B1 -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712B1
KR100655712B1 KR1020050092336A KR20050092336A KR100655712B1 KR 100655712 B1 KR100655712 B1 KR 100655712B1 KR 1020050092336 A KR1020050092336 A KR 1020050092336A KR 20050092336 A KR20050092336 A KR 20050092336A KR 100655712 B1 KR100655712 B1 KR 100655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tilt
steering column
clutch
lock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욱
김길중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2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제1/제2텔레스코픽 슬롯이 형성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의 제1텔레스코픽 슬롯 위치에 틸트 힌지의 개재로 장착되는 틸트 브라켓과, 틸트 브라켓에 고정되며 스티어링 샤프트를 지지하는 스티어링 칼럼과, 브라켓의 내측으로 장착되며, 틸트 슬롯이 형성되는 클러치와, 브라켓의 타 측의 제2텔레스코픽 슬롯 위치에 장착되며, 락킹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그 회전에 따른 락킹 플레이트의 이동 가압으로 상기 클러치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락킹 스크류와, 락킹 스크류의 일 단에 장착되어, 그 회전에 따라 상기 락킹 스크류의 회전을 유도하는 레버부재를 구비한다.
스티어링 칼럼, 틸트, 텔레스코픽, 클러치

Description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A STRUCTURE FOR STEERING COLUMN BRACKET RING CAG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일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타 측면도.
도 4는 락킹 스크류 및 락킹 플레이트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브라켓 11...제1텔레스코픽 슬롯
13...제2텔레스코픽 슬롯 20...틸트 브라켓
30...클러치 31...틸트 슬롯
33...락킹 플레이트 35...레버부재
40...락킹 스크류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 게는 스티어링 컬럼의 틸티 및 텔레스코픽 작동시에,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하는 브라켓의 강성이 약해지지 않도록 하는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시스템은 운전자가 발생시킨 회전력을 차량의 바퀴에 전달할 수 있도록, 운전석에 설치되는 스티어링 휠과, 이 스티어링 휠에 연결되는 스티어링 샤프트와, 이 스티어링 샤프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외부에 설치되는 스티어링 컬럼을 구비한다.
이러한 스티어링 컬럼은 브라켓에 2개의 레버에 의해 지지되며, 스티어링 컬럼의 하단에 의해 틸트와 텔레스코픽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틸트 슬롯에 있는 틸트레버를 돌리면, 볼트와 너트가 풀리고, 브라켓이 변형을 일으켜 레버의 클러치와 브라켓에 장착된 클러치를 분리 시켜준다. 이에따라, 스티어링 칼럼은 움직일 수 없으며, 틸트와 텔렉스코픽 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틸트는 틸트 힌지 포인트를 중심으로 틸트 슬롯 만큼 틸트되게 되며, 텔레스코픽은 상/하 레버에 의해 텔레스코픽 슬롯을 따라서 움직이게 된다.
그러나, 틸트 힌지 포인트가 낮아 틸트시 스티어링 컬럼의 전후 방향 움직임이 커지게 되며, 대쉬보드와의 간격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브라켓의 변형을 이용하여 LOCK/UNLOCK을 함으로 브라켓의 강성이 약하며, 레버로 컬럼을 지지함으로써 횡강성이 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서, 스티어링 컬럼의 틸티 및 텔레스코픽 작동시에,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하는 브라켓의 강성이 약해지지 않도록 하는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는,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제1/제2텔레스코픽 슬롯이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제1텔레스코픽 슬롯 위치에 틸트 힌지의 개재로 장착되는 틸트 브라켓; 상기 틸트 브라켓에 고정되며 스티어링 샤프트를 지지하는 스티어링 칼럼; 상기 브라켓의 내측으로 장착되며, 틸트 슬롯이 형성되는 클러치; 상기 브라켓의 타 측의 제2텔레스코픽 슬롯 위치에 장착되며, 락킹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그 회전에 따른 락킹 플레이트의 이동 가압으로 상기 클러치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락킹 스크류; 및 상기 락킹 스크류의 일 단에 장착되어, 그 회전에 따라 상기 락킹 스크류의 회전을 유도하는 레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락킹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부재의 양 단에 각각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일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타 측면도이고, 도 4는 락킹 스크류 및 락킹 플레이트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는,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제1/제2텔레스코픽 슬롯(11)(13)이 형성되는 브라켓(10)과, 브라켓(10)의 제1텔레스코픽 슬롯(11) 위치에 틸트 힌지의 개재로 장착되는 틸트 브라켓(20)과, 틸트 브라켓(20)에 고정되며 스티어링 샤프트를 지지하는 스티어링 칼럼(22)과, 틸트 브라켓(20)의 내측으로 장착되며 틸트 슬롯(31)이 형성되는 클러치(30)와, 브라켓(10)의 타 측의 제2텔레스코픽 슬롯(13) 위치에 장착되며 락킹 플레이트(33)가 장착되어 그 회전에 따른 락킹 플레이트(33)의 이동 가압으로 클러치(3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락킹 스크류(40)와, 락킹 스크류(40)의 일 단에 장착되어 그 회전에 따라 락킹 스크류(40)의 회전을 유도하는 레버부재(35)를 구비한다.
상기 브라켓(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에는 제1텔레스코픽 슬롯(11)이 형성되며, 타 측에는 제2텔레스코픽 슬롯(13)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10)의 제1텔레스코픽 슬롯(11) 측에는 힌지(15)의 개재로 틸트 브라켓(2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0)의 제2텔레스코픽 슬롯(13)에는 후술하는 락킹 스크류(40)의 장착이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10)의 내측에는 클러치(30)의 장착이 이루어진다.
상기 틸트 브라켓(20)은 브라켓(10)의 제1텔레스코픽 슬롯(11) 측에 장착된 다. 상기 틸트 브라켓(20)에는 스티어링 샤프트(21)를 지지하는 스티어링 칼럼(22)이 장착된다.
상기 클러치(30)는 브라켓(10)의 내측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틸트 슬롯(31)이 형성된다. 상기 틸트 슬롯(31)은 제2텔레스코픽 슬롯(13)에 크로스(cross)되는 각도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락킹 스크류(40)의 개재로 브라켓(10)에 장착된다. 상기 틸트 슬롯(31)과 제2텔레스코픽 슬롯(13) 간의 각도는 틸트 브라켓(20)의 기설정된 틸팅 각도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락킹 스크류(40)는 클러치(30)의 틸트 슬롯(31)과 제2텔레스코픽 슬롯(13)에 함께 삽입된다.
상기 락킹 스크류(4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30)의 틸트 슬롯(31)과 제2텔레스코픽 슬롯(13)에 함께 삽입 장착되는 것으로서, 그 양단에는 락킹 플레이트(33)가 장착된다. 상기 락킹 스크류(40)의 일단에는 레버부재(35)가 장착되어, 레버부재(35)의 회전에 따라 락킹 스크류(4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레버부재(3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락킹 스크류(40)의 일방향 회전이 발생되어 락킹 플레이트(33)의 클러치(30) 가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락킹 플레이트(33)의 클러치(30) 가압이 이루어지면, 락킹 플레이트(33)의 가압을 통해 브라켓(10)과 클러치(30)의 상대 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레버부재(35)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락킹 스크류(40)의 타방향 회전이 발생되어 락킹 플레이트(33)의 클러치(30) 가압력의 해제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락킹 플레이트(33)의 클러치 가압력의 해제 작동이 이루어지면, 락킹 플레이트(33)와 클러 치(30)의 간격 확보에 따른 틸팅 및 텔레 스코픽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브라켓(10)의 힌지 장착 위치에는 수지 부쉬가 장착되어 스티어링 칼럼과 브라켓의 간격을 보정하고 움직임을 원활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레버부재(35)의 일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면, 락킹 스크류(40)의 일방향 연동 회전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락킹 스크류(40)의 일방향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면, 락킹 스크류(40)에 장착된 락킹 플레이트(33)의 클러치(30) 방향으로의 이동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클러치(30)는 락킹 플레이트(33)의 가압으로 브라켓(10)과 고정됨으로서, 브라켓(10)과 클러치(30)의 상대 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레버부재(35)의 타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면, 락킹 스크류(40)의 타방향 회전 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락킹 플레이트(33)의 클러치(30) 가압 해제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락킹 플레이트(33)와 클러치(30)의 간격 확보에 따른 틸팅 및 텔레 스코픽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브라켓이 고정되고 락킹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클러치의 잠김/해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브라켓의 강성이 강해진다.
또한, 브라켓 자체로 스티어링 칼럼을 지지함으로 횡강성이 강해진다.
그리고, 1개의 힌지 포인트만 존재함으로 유격 발생요소를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제1/제2텔레스코픽 슬롯이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제1텔레스코픽 슬롯 위치에 틸트 힌지의 개재로 장착되는 틸트 브라켓;
    상기 틸트 브라켓에 고정되며 스티어링 샤프트를 지지하는 스티어링 칼럼;
    상기 브라켓의 내측으로 장착되며, 틸트 슬롯이 형성되는 클러치;
    상기 브라켓의 타 측의 제2텔레스코픽 슬롯 위치에 장착되며, 락킹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그 회전에 따른 락킹 플레이트의 이동 가압으로 상기 클러치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락킹 스크류; 및
    상기 락킹 스크류의 일 단에 장착되어, 그 회전에 따라 상기 락킹 스크류의 회전을 유도하는 레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부재의 양 단에 각각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
KR1020050092336A 2005-09-30 2005-09-30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 KR100655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336A KR100655712B1 (ko) 2005-09-30 2005-09-30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336A KR100655712B1 (ko) 2005-09-30 2005-09-30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5712B1 true KR100655712B1 (ko) 2006-12-08

Family

ID=3773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336A KR100655712B1 (ko) 2005-09-30 2005-09-30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5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538B1 (ko) 2006-07-31 2008-11-04 주식회사 만도 텔레스코픽 조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538B1 (ko) 2006-07-31 2008-11-04 주식회사 만도 텔레스코픽 조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2066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897262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JP5086724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5472379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032983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0972142B1 (ko) 플레인 와셔를 구비한 틸트 앤 텔레스코픽 조향장치
KR100655712B1 (ko)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
JP2005014681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5293380B2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4858414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70027970A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장치
JP5358932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970992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316211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JP2007223549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464179B1 (ko) 스티어링 칼럼
JP6350419B2 (ja) 自動車のペダル後退防止構造
JP2012116290A (ja) 作業車両の駐車ブレーキ操作装置
JP5966700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97099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970989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104142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836370B1 (ko)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레버구조
KR100885108B1 (ko) 자동차 스티어링 장치의 틸트 레버 구조
JP4978120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