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886B1 -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886B1
KR100652886B1 KR1020007002275A KR20007002275A KR100652886B1 KR 100652886 B1 KR100652886 B1 KR 100652886B1 KR 1020007002275 A KR1020007002275 A KR 1020007002275A KR 20007002275 A KR20007002275 A KR 20007002275A KR 100652886 B1 KR100652886 B1 KR 100652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wheel
coupling device
hydrodynamic coupling
synthet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3625A (ko
Inventor
샤세구에구스따브
쏘바쥬프레데릭
꼬쏘니에르필립쁘
Original Assignee
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9808674A external-priority patent/FR2781545B1/fr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filed Critical 발레오
Publication of KR20010023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16H41/28Details with respect to manufacture, e.g. blade attach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16H2041/243Connections between pump shell and cover shell of the turb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73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friction surface of the lock-up clutch
    • F16H2045/0278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friction surface of the lock-up clutch comprising only two co-acting friction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73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friction surface of the lock-up clutch
    • F16H2045/0294Single disk type lock-up clutch, i.e. using a single disc engaged between friction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동축과 연결되고 임펄스 스타터 휠(impulse starter wheel)내에 수용될 수 있는 터빈 휠을 포함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hydrokinetic coupling apparatus)에 관한 것으로, 임펄스 스타터 휠은 상기 임펄스 스타터 휠과 연결될 수 있는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피동축으로 토크의 유체동역학적 전달을 위하여 협동할 수 있고, 터빈 휠 및/또는 임펄스 스타터 휠은 허브(2)상에 고정된 외부 도넛형 부분(3) 및 선택적으로 내부 도넛형 부분(8)과 일체형인 블레이드(4)를 구비하는 휠의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 휠(1)은 합성 재료, 특히 열가소성 재료, 열경화성 재료 또는 합성 재료 합금내에 하나 또는 몇몇의 부분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성형되고, 특히 상기 재료는 저항 섬유(resistant fibres)로 보강된다.

Description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TURBINE WHEEL FOR HYDROKINETIC COUPLING APPARATUS, MADE OF PLASTIC MATERIAL}
본 발명은 1998년 3월 31일자의 프랑스 특허 출원 제 98/04216 호에 개시된 유형의 로크업(lock-up) 클러치를 갖는 유체동역학적(hydrokinetic)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는 피동축에 결합될 수 있고 임펄스 휠 케이싱내에 수용되는 터빈 휠을 포함하되, 임펄스 휠 케이싱은 상기 임펄스 휠과 결합될 수 있는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피동축에 유체동역학적으로 토크를 전달할 수 있고, 터빈 휠 및/또는 임펄스 휠은 외측 환형부(toroidal portion)에 고정된 블레이드와 함께 허브(2)상에 고정된 외측 환형부와, 되도록 내측 환형부를 포함하는 휠의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유체역학적 커플링 장치의 작동은 공지되어 있고, 단지 나머지에 의해 이하에서 반복될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유체역학적 커플링 장치는, 특히 차량에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적용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 개수의 감소 및 중량의 절약은 비용에 대한 이점을 달성하는데 관련된다.
특히, 본 발명은 외측 및 내측 환형부와 그것에 고정된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휠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형 휠(bladed wheel)은 임펄스 휠이나 또는 터빈 휠과 같이, 예를 들면 합성 재료로 몰딩된 유형의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프랑스 특허 출원 제 98/04216 호에 있어서, 블레이드형 휠은 3개의 부분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휠이 간단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블레이드 휠 및 그의 상이한 부품의 구조에 대해서는 별개로 하고, 상기 내측 환형부, 블레이드에 의한 외측 환형부 및 내측 환형부의 조립체(assembly), 외측 환형부를 허브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 및 그것이 임펄스 휠인 경우에 커버판에 대한 블레이드 휠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목적은 아래와 같이,
- 강(steel)을 합성 재료로 대체하는 것에 따른 중량의 감소,
- 하나 또는 2개의 편(piece)으로 터빈 또는 임펄스 휠의 제조의 단순화, 특히 이러한 구성요소가 강으로 제조되는 경우와 비교해 제조 공정시에 작동 수의 감소로 인한 비용의 감소,
- 통상의 강 제품과 비교했을 때 유체 손실[블레이드와 원환체(toruses) 사이의 누출]에 대한 개선,
- 보다 복잡한 형태가 블레이드에 달성될 수 있는 터빈 또는 임펄스 휠 블레이드를 몰딩하고 유체의 개선된 흐름을 제공하는 장치를 위한 출력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에 따르면, 상기 특허 출원의 개시에 규정된 유형의 유체역학적 커플링 장치는 블레이드 및 환형부가 합성 재료(synthetic material)로 일편(one piece)으로 성형되고, 합성 재료는 열가소성 재료, 열경화성 재료 또는 합성 재료의 합금으로 구성되고, 상기 재료는 보강 섬유(strenthening fibres)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상기 보강 섬유는 유리 섬유, "케블라 섬유(Kevlar fibres)" 등이 바람직하다.
몰딩된 터빈 휠은 클러치 디스크와 함께 결합되는 스프링용 아치형 안착부(arched seatings)를 수용할 수 있는 두꺼운 주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레이드와 환형부로 이루어지는 서브 조립체는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한 방식으로 달성되는데, 그에 따라 구성요소의 수가 감소될 수 있고, 이러한 휠, 특히 터빈 휠을 일체성형으로 제조하기가 매우 어려운 경우에 서브 조립체가 합성 재료로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몰딩은 매우 복잡하다. 또한, 블레이드는 보다 복잡한 형상을 취할 수 있으므로 동역학적인 관점에서 우수한 성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서 휠은 내측 환형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환형부와 분리되어 있는 안정화 허브(stabilising hub)는 블레이드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블레이드의 자유 측면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은 블레이드의 소정의 비틀림을 작동시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크라운(crown) 또는 치형 디스크로 구성되고, 그것은 블레이드 사이의 간극을 유지하고 블레이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단면 형상(profiled form)으로 되거나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이러한 수단은 다른 환형부로 구성된다.
상기 다른 부분은 금속이거나 합성 재료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블레이드는 주형과 구성요소 사이의 나선형 상대 이동을 갖는 주형으로부터 제거를 허용하도록 경사진다.
이러한 작동은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블레이드가 직선이면, 주형으로부터의 제거가 축방향으로 용이하게 실시될 수도 있다.
블레이드와 함께 일체성형으로 몰딩됨으로써 제조되는 환형부는 내측 환형부 또는 외측 환형부로 될 수도 있다.
변형예에서, 블레이드는 내측 환형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그리고 외측 환형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그 후 자유 단부의 영역에서, 예를 들면 접착제 또는 예컨대 레이저 용접에 의한 간접적인 열 사용에 의해 서로 조립된다.
따라서 유체역학적(hydraulic) 관점에서 보다 우수한 성능을 갖는 보다 복잡한 형상의 블레이드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적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다양한 방식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여 제한적인 아닌 예시적으로 설명되며, 이들 모두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휠의 축방향 반부 단면(half section)의 도면이고, 이들은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에서 임펄스 휠 또는 터빈 휠을 구성하며, 도 13은 도 1의 블레이드 및 외측 원환체를 구성하는 조립체의 사시도인 한편, 도 15는 이러한 휠의 축방향 일부 단면도이다.
도 1은 블레이드형 휠, 예를 들면 터빈 휠(1)이 강제 허브(steel hub)(2)에 고정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블레이드(4)가 고정되어 있는 환형 외측 포락부(envelope) 또는 부분(3)를 포함하며, 조립체(3, 4)는 일편으로 성형된 합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허브의 반경방향 판부(7)의 얇은 외주부(6)상에 리벳(5)(또는 볼트)의 크라운에 의해 고정된다. 허브(2)는 그것을 피동축에 회전식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스플라인(splined)이 형성되어 있다. 허브(2)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의 출력 요소를 구성한다.
도 2는 유사한 실시예로서, 공통 부분은 도 1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블레이드 휠은 내측 환형부(8)를 구비하고, 그것은 이러한 예에서 통상적으로 예를 들면 합성 재료이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방식으로 블레이드(4)에 의해 외측 환형부(3)상에 고정됨으로써, 환형 외측부(3)의 맞은편 측면상에 상기 블레이드(4)와 함께 고정된다. 따라서, 내측 환형부(8)는 블레이드를 안정화시키고 블레이드 사이의 간극을 유지하기 위해 블레이드의 자유 측면상에 배치된 스태빌라이징 수단을 구성한다.
도 3은 도 2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리벳 또는 볼트에 의한 고정을 피하기 위하여, 허브(2)의 반경방향 강판(7)은 얇은 주변부(6)내에 예를 들면 규칙적인 간격으로 이격되고 몰딩 작업시에 외측 환형부(3)의 합성 재료로 채워지는 일 세트의 구멍(9)을 구비함으로써, 외측 환형부(3)가 예를 들면 공지된 방식의 몰딩을 사용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6은 허브상의 고정을 동일한 방식으로 도시한 것이고, 또한 외측 환형부(3)에 대해 맞은편 측면상의 그들의 자유 단부상에 블레이드(4)가 유지되는 변형예는 합성 재료 또는 강(도 4)의 치형 크라운(10), 합성 재료 또는 강(도 5a 및 도 5b)의 치형 디스크(11)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또 합성 재료 또는 강(도 6)의 단면 치형 크라운(12)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의 자유 측면상에 배치된 이러한 크라운 또는 디스크는 상술한 안정화 수단을 구성한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크라운(10)은 축방향으로 배향되고, 빗(comb)의 형태이고, 그의 치형은 블레이드(4)를 강화하기 위하여 블레이드(4) 사이의 간극을 구성한다. 도 5a 및 도 5b에 있어서, 또한 디스크(11)는 크라운(10)과 같이 블레이드 사이에 치형을 갖는 빗의 형태이나, 디스크는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6에 있어서, 크라운(12)은 L자형 단면을 가지며, 블레이드(4)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배향되고 크라운(12)과 같이 축방향으로 배향된 연속적인 부분에 결합되는 치형을 구비한다.
상술한 모든 실시예에서, 외측 환형부(3)와 블레이드(4)는 합성 재료로 일편으로 성형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재료는 열가소성 재료, 열경화성 재료 또는 합성 재료의 혼합물일 수도 있고, 이러한 재료는 보강 섬유, 특히 유리(glass), 탄소(carbon), "케블라(Kevlar)" 등에 의해 보강될 수도 있다.
또한 외측 환형부(3)는 블레이드(4)와 함께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steel)인 외측 금속 셀(13)상에 현장에서 성형되는 합성 재료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블레이드형 휠(1)의 강성이 증가된다. 이러한 조립체를 허브의 반경방향 판부(7)상의 도면부호(15)에서 용접된 셀(13)의 내측 에지(14)에 의해 허브(2)상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고, 원형 열(row)의 리벳(5)(또는 볼트)은 이러한 에지(14)에서 외측 환형부(3)를 반경방향 판부(7)의 주변 에지의 외측에 고정시킨다. 내측 환형부는 이러한 조립체(13, 3, 4)의 블레이드(4)상에 부착된다.
도 11에 있어서, 외측 환형부(3) 및 블레이드(4)를 몰딩하는 일반적인 작업은 서브 조립체를 형성하기에 용이하도록 실시되는 것이 지지되고 있으나, 분리형 외측 환형부(3)가 합성 재료 또는 강으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고, 그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또한 도 9,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합성 재료의 동일한 유형으로 일편으로 성형된 내측 환형부(8) 및 블레이드(4)의 조립체상에 부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형 휠(1)의 다양한 부분을 서로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조립체의 다양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레이드형 휠(1)의 다양한 요소(3, 4, 8)를 서로 조립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 재료 또는 합금용 페놀계 접착제(phenolic adhesive)에 의한 접착 결합, 또는 용접, 또는 초음파 용접, 예를 들면 레이저 유형의 용접인 간접적인 가열에 의한 용접과 같은 열 발생의 소정의 다른 유형, 열가소성 재료용 전자기장 또는 고주파 전류, 또는 마찰, 진동, 리벳팅 또는 업세팅(upsetting)에 의한 용접이 가능하다.
또한 주형내에 배치된 용접가능한 금속 삽입물에 의한 커넥션(connections)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블레이드형 휠(1)의 조립에 대해서, 즉 터빈 휠과 강 터빈 허브의 조립 및/또는 강제(steel)인 펌프를 구동하는 허브와 임펄스 휠의 조립에 대해서는 도 3, 도 4, 도 5a, 도 5b 및 도 6에 도시된 현장 성형에 의해 또는 표준 리벳팅(도 1, 도 2 및 도 7)에 의해 또는 나사 또는 볼트 체결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각종 수단이 채용될 수도 있다.
- 스냅 고정(snap-fastening) : 휠(1)에 고정된 단면 요소는 대응하는 허브내에 형성된 하우징내로 도입된다.
- 강제 결합(force-fitting) : 2개의 요소 사이에 가압력이 가해져 기계적인 힘이 전달된다.
- 업세팅(upsetting) : 대응하는 허브가 위치설정된 후에, 헤드는 터빈 휠 및/또는 임펄스 휠의 풋에 제공된 쐐기(peg)상에 (열 또는 초음파의 사용에 의해) 형성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은 임펄스 휠의 경우에 기본적인 사용으로 참조부호(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판 또는 케이싱을 갖는 임펄스 휠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아래와 같은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 몰딩된 임펄스 휠 또는 외측 환형부를 갖지 않으나 블레이드에 고정된 내측 환형부를 갖는 임펄스 휠의 조립체의 강 셀내로 삽입함으로써, 블레이드를 수용하는 노치(notch)가 셀내에 형성된다.
- 또한, 임펄스 휠의 외측 환형부 및 블레이드로 구성된 조립체내에 강 크라운(16)(도 8)을 현장에서 몰딩함으로써, 크라운(16)은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를 커버판에 용접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환형부(8)는 블레이드(4)와 일편으로 제조될 수 있고, 상술한 방식으로 합성 재료로 일편으로 성형된다. 그 후 이것은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합성 재료의 합금일 수 있고, 이러한 재료는 유리, "케블라(Kevlar)" 또는 탄소 섬유와 같은 보강 섬유로 보강될 수도 있다. 환형부(8)는, 예를 들면 강 외측 환형부(steel outer toroidal)(3)상에 접착에 의해 부착된다.
도 10은 블레이드(4) 및 임펄스 휠의 내측 환형부(8)로 구성된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 이 조립체는 도 9에서 일편으로 성형되고, 강제인 외측 환형부(3)상에 클립핑(clipping)[또는 시밍(seaming)]에 의해 부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외측 환형부(3)는 블레이드(4)의 장부(tenon)(18)가 결합되는 안착부(17)를 구비한다. 내측으로, 블레이드(4)를 수용하기 위하여 도면부호(20)에서 슬롯된 외측 에지를 갖는 강 디스크(19)는 외측 환형부 또는 포락부(3)상에서 리벳팅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내측으로 블레이드형 휠(1)로 구성된 조립체를 보유한다. 도면부호(21)로 도시된 리벳은 도면부호(22)로 내주부의 영역에서 용접, 예컨대 레이저 용접에 의해서 허브(2)에 고정된 외측 환형부(3)의 압출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체가 밀봉된다.
이러한 구성은 임펄스 휠뿐만 아니라 터빈 휠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도 11의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복합 부분, 즉 블레이드(4) 및 외측 환형부(3)로 이루어진 조립체와, 내측 환형부(8)로 구성되는 터빈 휠(2)이 도시되어 있으며, 터빈 휠(2)은 본 예에서 현장에서의 몰딩에 의해 또는 내측 삽입부(23)상의 접착에 의해 형성된 스플라인 슬리브(2')에 의해 대체되고, 선택적인 반경방향 스톱은, 예를 들면 기계가공, 몰딩, 프레스 성형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제조하기가 간단하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임펄스 휠에 대해 적용가능하게 될 것이나 이러한 경우에 외측 삽입부(23)를 갖게 될 것이다.
도 12의 실시예에 있어서, 환형부(8)를 갖는 몰딩된 블레이드(4)는, 예를 들면 포락부(3)상에 프레스 성형되고 상기 블레이드(4)의 외측 에지를 수용하는 홈(24)에 의해 또한 예를 들면 프레스 성형된 노치에 의해 외측 환형부 또는 포락부(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임펄스 휠 또는 터빈 휠은 도 10의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압출 성형된 리벳(21)은 밀봉된 리벳(21')에 의해 대체되어 있음].
도 13은 경사진 블레이드(4)를 갖는 임펄스 또는 터빈 휠(1)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주형과 구성요소 사이에 나선형 상대 이동에 의해 주형으로부터 구성요소가 제거될 수 있도록 블레이드에 특정 형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것에 적용가능하다. 물론, 구조적으로 반전시킴으로써, 도 9, 도 10 및 도 12에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도 14 및 도 15는 도면부호(25)에서 두꺼운 주변부를 갖는 몰딩된 터빈 휠(1)을 도시하는 1998년 7월 7일자의 프랑스 특허 출원 제 FR 98/08674 호의 도 4 및 도 5에 각기 대응하고, 그것은 클러치 디스크(28)와 결합하는 스프링(27)용 아치형 안착부(26)를 수용할 수 있다. 원환체(8)는 상술한 방식으로 형성된 외측 원환체(1) 및 블레이드(4)로 구성된 서브 조립체에 부착된다.
이러한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의 작동이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작동유(hydraulic fluid)를 포함하는 챔버(11')를 포함하고, 작동유의 압력은 챔버(100)의 압력보다 크며, 따라서 클러치 디스크(28)의 라이너(18')는 임펄스 휠의 케이싱의 반경방향 벽(2a)으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됨으로써, 임펄스 휠로부터의 토크는 상기 커플링 장치내의 단지 유체동역학적 효과에 의해 미끄럼 이동으로 터빈 휠(1)에 전달되고, 그 후 스프링(28)이 움직이지 않게 된다. 한편 챔버(100)내의 압력이 챔버(11)내의 압력보다 크면, 라이너(18')는 반경방향 벽(2a)상에 마찰 결합하게 되며, 그에 따라 터빈 휠이 디스크(28)의 단면 러그(19', 21')를 통해 또한 스프링(27)에 의해 구동된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는 몰딩가능한 터빈 휠(1)의 재료를 몰딩에 의해 그 상에 부착시킬 수 있는 금속 삽입부(29) 형태의 아치형 안착부를 제공하는 가능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는 스프링(27)이 작동시에 재료상에 가해지는 주변력 또는 원심력의 효과하에서 이러한 재료내에 매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 터빈 휠은 피스톤(28)에 고정된 라이너(18')에 의해 케이싱(2a)의 부분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케이싱은 이러한 예에서 나사 요소에 의해 구동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나사 요소(참조부호로 도시하지 않음)중 하나는 도 14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도면에서, 피스톤(28)은, 그의 외주부에, 스프링(27)의 원주방향 단부와 결합하고 1998년 3월 3일자로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FR 98/02808 호에 개시된 방식으로 반경방향으로 스프링을 보유하기 위해 각기 단면 러그(19', 21')를 구성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러그(19', 21')는 상기 특허의 도 1에 개시된 방식으로 케이싱 부분의 횡벽과 피스톤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지된 디스크의 일부이다.
도 1에 있어서, 리벳은 물론 압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반경방향 판부(7)와 일체형으로 될 수 있다. 얇은 부분(6)은 외측 환형부(3)의 환상 내주부를 위한 배판(backing plate)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에, 부분(3)의 환상 링 부분은 판부(7)와 금속 환상 링 사이에 개재되고, 리벳은 이들 양자를 관통하고 있으며, 리벳의 자유 단부는 금속 환상 링과 접촉하도록 업셋(upset)되어 있다.
누출의 위험은 압출 성형된 리벳에 의해 감소된다.
임펄스 휠에 대한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 634 849 호의 도 1을 참조한다. 도 7, 도 9,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유형의 방식에 따르면,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 634 849 호의 구성요소(57 또는 62)의 외측 환형부상에 용접하는 것이 가능한 한편, 블레이드를 플라스틱 재료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블레이드는 상술한 방식으로 각기 외측 및 내측 환형부를 갖는 몰딩에 의해 일체형으로 각기 형성된 2개의 부분으로 될 수 있다.
그 후 블레이드의 자유 단부의 2개의 조립체는,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 초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것은 복잡한 형상의 블레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21)

  1. 피동축에 결합될 수 있고 임펄스 휠 케이싱내에 수용되며, 토크를 상기 임펄스 휠과 결합될 수 있는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피동축으로 유체동역학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협동할 수 있는 터빈 휠을 구비하고, 상기 터빈 휠 및/또는 임펄스 휠은 외측 환형부(3) 및/또는 내측 환형부(8), 상기 환형부(3, 8)에 고정된 블레이드(4)를 포함하는 휠(1)의 형태로 제조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 및 상기 환형부(3, 8)는 합성 재료로 일편으로 성형되고, 상기 합성 재료는 열가소성 재료, 열경화성 재료 또는 합성 재료의 합금으로 구성되며, 상기 재료들은 보강 섬유(strengthening fibres)로 보강될 수 있고, 상기 외측 환형부는 클러치 어셈블리의 스프링 부재를 수용하는 안착부 및 두꺼운 주변부(25)를 구비하면서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섬유는 유리 섬유, "케블라(Kevlar)" 섬유 또는 탄소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형 휠(1)은 강제 허브(steel hub)(2)에 고정되고, 상기 블레이드(4)와 함께 일편으로 성형되는 외측 환형부(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환형부(3)의 맞은편 측면상에서, 상기 블레이드(4)는 내측 환형부(8)에 의해 함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형 휠(1)은 상기 내측 환형부(8) 및 블레이드(4)를 포함하고, 일편으로 성형된 상기 내측 환형부(8)와 블레이드(4)의 조립체는 상기 외측 환형부(3)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4, 8)는 협동하는 장부 및 안착부(17, 18) 시스템에 의해 상기 외측 환형부(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4, 8)는 상기 외측 환형부(3)내에 가압 성형되고 상기 블레이드(4)의 외측 에지를 수용하는 홈(24)에 의해 상기 외측 환형부(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환형부(3)의 맞은편 측면상에서 상기 블레이드(4)는 치형 크라운(10)에 의해 함께 고정되고, 상기 치형 크라운은 보강 섬유로 보강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 열경화성 재료 또는 합성 재료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합성 재료로 구성되거나, 강(steel)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환형부(3)의 맞은편 측면상에서 상기 블레이드(4)는 치형 디스크(11)에 의해 함께 고정되고, 상기 치형 디스크는 보강 섬유로 보강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 열경화성 재료 또는 합성 재료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합성 재료로 구성되거나, 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환형부(3)의 맞은편 측면상에서 상기 블레이드(4)는 치형 단면 크라운(12)에 의해 함께 고정되고, 상기 치형 단면 크라운은 보강 섬유로 보강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 열경화성 재료 또는 합성 재료의 합금인 합성 재료로 구성되거나, 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를 갖는 상기 외측 환형부(3)는 외측 금속 셀(13)상에 현장에서 일편으로 성형되는 합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를 갖는 상기 외측 환형부(3)는 상기 허브(2)의 반경방향 판부(7)의 얇은 주변부(6)상에 리벳 또는 볼트(5)의 크라운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2)는 반경방향 판부(7)의 얇은 주변부(6)내에 1세트의 리세스(9)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성형 작업시에 상기 외측 환형부(3)의 합성 재료로 충전됨으로써, 상기 허브상에 상기 블레이드(4)와 함께 상기 외측 환형부(3)의 조립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를 갖는 상기 외측 환형부(3)는 상기 허브(2)의 반경방향 판부(7)상에 용접(22)에 의해 고정되며, 디스크(19)는 상기 블레이드(4)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형 외측 에지(20)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환형부(3)상에 리벳팅(21)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팅(21)은 상기 외측 환형부(3)의 압출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2)상에 상기 외측 환형부(3) 및 블레이드(4)의 조립체를 고정하는 것은 상기 허브의 반경방향 판부(7)상에 용접되는 상기 금속 셀(13)의 내측 에지(14)에 의해 달성되고, 리벳 또는 볼트(5)의 열(row)은 상기 내측 에지(14)상에 상기 외측 환형부(3)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환형부(3)는 현장에서 성형되거나 또는 터빈 휠용 내측 삽입부(23)상에 또는 임펄스 휠용 외측 삽입부상에 접착제로 부착되는 스플라인형 슬리브(2')와 일편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18. 피동축에 결합될 수 있고 임펄스 휠 케이싱내에 수용되며, 토크를 상기 임펄스 휠과 결합될 수 있는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피동축으로 유체동역학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협동할 수 있는 터빈 휠을 구비하고, 상기 터빈 휠 및/또는 임펄스 휠은 외측 환형부(3) 및/또는 내측 환형부(8), 상기 환형부(3, 8)에 고정된 블레이드(4)를 포함하는 휠(1)의 형태로 제조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각각 합성 재료로 제조된 상기 블레이드(4) 및 상기 환형부(3, 8)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합성 재료는 열가소성 재료, 열경화성 재료 또는 합성 재료의 합금으로 구성되며, 상기 재료들은 보강 섬유로 보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19. 피동축에 결합될 수 있고 임펄스 휠 케이싱내에 수용되며, 토크를 상기 임펄스 휠과 결합될 수 있는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피동축으로 유체동역학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협동할 수 있는 터빈 휠을 구비하고, 상기 터빈 휠 및/또는 임펄스 휠은 외측 환형부(3) 및/또는 내측 환형부(8), 상기 환형부(3, 8)에 고정된 블레이드(4)를 포함하는 휠(1)의 형태로 제조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각각 합성 재료로 제조된 상기 블레이드(4) 및 상기 환형부(3, 8)는 가열함으로써 서로 결합되며, 상기 합성 재료는 열가소성 재료, 열경화성 재료 또는 합성 재료의 합금으로 구성되며, 상기 재료들은 보강 섬유로 보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형 휠(1)은 임펄스 휠이고, 상기 임펄스 휠은 크라운(16)의 현장 성형에 의해 임펄스 휠 커버판과 함께 상기 임펄스 휠의 외측 환형부(3) 및 블레이드(4)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로 조립됨으로써, 상기 커버판에 용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는 주형과 구성요소 사이에 나선형 상대 이동으로 상기 주형으로부터 제거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KR1020007002275A 1998-07-07 1999-07-07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KR100652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8674 1998-07-07
FR9808674A FR2781545B1 (fr) 1998-07-07 1998-07-07 Convertisseur de couple hydrocinetique a embrayage de verrouillage
FR9905724 1999-05-05
FR99/05724 1999-05-05
PCT/FR1999/001698 WO2000001961A1 (fr) 1998-07-07 1999-07-07 Roue de turbine pour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en materiau plas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625A KR20010023625A (ko) 2001-03-26
KR100652886B1 true KR100652886B1 (ko) 2006-12-01

Family

ID=26234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275A KR100652886B1 (ko) 1998-07-07 1999-07-07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28276B1 (ko)
JP (1) JP2003523489A (ko)
KR (1) KR100652886B1 (ko)
DE (1) DE19981453T1 (ko)
HU (1) HUP0003672A3 (ko)
WO (1) WO2000001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5702A (ja) * 2000-06-12 2001-12-26 Exedy Corp 流体式羽根車
DE102004003949A1 (de) * 2004-01-26 2005-08-18 Voith Turbo Gmbh & Co. Kg Hydrodynamische Komponente, insbesondere hydroddynamische Kupplung
US7476080B2 (en) * 2004-07-26 2009-01-13 Yutaka Giken Co., Ltd. Impeller for fluid trans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07056526B4 (de) * 2007-11-22 2009-11-12 Voith Patent Gmbh Hydrodynamische Maschine, insbesondere hydrodynamische Kupplung eines Turbocompoundsystems
DE102012006539B4 (de) * 2012-04-02 2014-03-20 Voith Patent Gmbh Hydrodynamische Kupplung
DE102012023156A1 (de) * 2012-11-28 2014-05-28 Daimler Ag Antriebsstrang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12014003411T5 (de) * 2013-07-25 2016-04-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Turbinengehäuse, das einen Federaufnahmehohlraum definiert
KR102433048B1 (ko) * 2014-04-01 2022-08-18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에칭된 클러치 표면을 구비한 토크 컨버터의 제조 방법 및 에칭된 클러치 표면을 구비한 토크 컨버터
US10274066B2 (en) * 2016-02-23 2019-04-30 Valeo Embrayages Turbine assembly for hydrokinetic torque convert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10267397B2 (en) 2016-02-23 2019-04-23 Valeo Embrayages Turbine assembly for hydrokinetic torque convert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10428924B2 (en) * 2016-11-17 2019-10-01 Valeo Embrayages Turbine assembly for hydrokinetic torque convert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6727110B2 (ja) * 2016-12-20 2020-07-22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トルクコンバータ
JP2018100703A (ja) * 2016-12-20 2018-06-28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トルクコンバータ
US10865864B2 (en) * 2017-03-28 2020-12-15 Valeo Embrayages Turbine assembly, hydrokinetic torque converter,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10774909B2 (en) 2018-03-28 2020-09-15 Valeo Kapec Co., Ltd. Method for making turbine wheel of hydrokinetic torque converter
JP7219165B2 (ja) * 2019-06-06 2023-02-07 ジヤトコ株式会社 構造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6807A (en) * 1992-07-20 1993-07-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Plastic molded torque converter turbine
US5518368A (en) * 1993-10-26 1996-05-21 Robert Bosch Gmbh Turbine wheel having an integrally molded outer shell and blade insert
JPH09303528A (ja) * 1996-05-08 1997-11-25 Toyota Motor Corp 流体式トルクコンバータ
US5720595A (en) * 1996-08-05 1998-02-2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Composite wheel and metal hub for a torque converter or fluid coupli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3951U (ja) * 1982-08-12 1984-07-12 株式会社大金製作所 トルクコンバ−タ又は流体継手のブレ−ド取付け構造
JPH0640881Y2 (ja) * 1988-01-21 1994-10-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樹脂製インペラ
DE3823210C2 (de) 1988-07-08 1998-04-16 Mannesmann Sachs Ag Hydrodynamischer Drehmomentwandler mit Überbrückungskupplung und antriebsseitiger Lagerung des Kolbens
JPH0547887Y2 (ko) * 1988-09-29 1993-12-17
US5109604A (en) * 1989-04-20 1992-05-05 Borg-Warner Automotive Transmission & Engine Components Corporation Method of assembling a torque converter impeller
US5505590A (en) * 1994-04-26 1996-04-09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Composite torque converter components
US5465575A (en) * 1994-09-14 1995-11-14 Nelson Metal Products Corporation Torque convert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5507622A (en) 1995-01-11 1996-04-16 Ford Motor Company Plastic molded torque converter turbine
DE19513517A1 (de) * 1995-04-10 1996-10-17 Fichtel & Sach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ufeln und Schaufeln für Pumpen- und/oder Turbinenräder einer Flüssigkeitskupplung oder dergleichen
JPH09250621A (ja) * 1996-03-19 1997-09-22 Yamada Seisakusho Kk トルクコンバータ用ステータ
US5737836A (en) * 1996-05-03 1998-04-14 Borg-Warner Automotive, Inc. Method of making a splined turbine hub
JP3884119B2 (ja) * 1997-01-10 2007-02-21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トルクコンバータのインペラシェ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6807A (en) * 1992-07-20 1993-07-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Plastic molded torque converter turbine
US5518368A (en) * 1993-10-26 1996-05-21 Robert Bosch Gmbh Turbine wheel having an integrally molded outer shell and blade insert
JPH09303528A (ja) * 1996-05-08 1997-11-25 Toyota Motor Corp 流体式トルクコンバータ
US5720595A (en) * 1996-08-05 1998-02-2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Composite wheel and metal hub for a torque converter or fluid 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28276B1 (en) 2002-08-06
DE19981453T1 (de) 2001-05-31
KR20010023625A (ko) 2001-03-26
HUP0003672A3 (en) 2001-06-28
HUP0003672A2 (hu) 2001-02-28
JP2003523489A (ja) 2003-08-05
WO2000001961A1 (fr) 200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886B1 (ko)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JP4359393B2 (ja) 自動車用液圧結合装置
JP4933710B2 (ja) 自動車用流体動力結合装置
US6725988B2 (en) Hydrodynamic clutch device
US6296445B1 (en) Blade wheel
US5810140A (en) Locking clutch, notably for motor vehicles
US6123177A (en) Hydrokinetic coupling device with a blade driving member,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KR100542902B1 (ko) 자동차용블레이드구동부재를갖는유체동력학적커플링장치
US6640945B2 (en) Hydrokinetic coupling apparatus,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comprising improved means linking the piston with the cover
US6280333B1 (en) Hydrokinetic coupling apparatus with locking clutch for motor vehicle
KR100767331B1 (ko) 유체동력학 커플링 장치
KR100562608B1 (ko) 자동차용유체커플링장치용로크-업클러치
US11339861B2 (en) Turbine assembly, hydrokinetic torque converter,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CN104179827A (zh) 起动元件
US5904231A (en) Fluid coupling apparatus,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JP2003505651A (ja) 特に自動車用の流体力学的結合装置
KR100806604B1 (ko) 자동차용 유체 커플링 장치
KR100494959B1 (ko) 자동차용유체동력학커플링장치
JP2000515233A (ja) 自動車用油圧継手
US20180135737A1 (en) Turbine assembly for hydrokinetic torque convert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5755312A (en) Torsion damping device for a locking clutch,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MXPA00002308A (en) Turbine wheel for hydrokinetic coupling apparatus, made of plastic material
KR20020093597A (ko) 유체동역학적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