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606B1 -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발포 시트 및 이것으로부터 제조되는 용기 - Google Patents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발포 시트 및 이것으로부터 제조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606B1
KR100648606B1 KR1020000028146A KR20000028146A KR100648606B1 KR 100648606 B1 KR100648606 B1 KR 100648606B1 KR 1020000028146 A KR1020000028146 A KR 1020000028146A KR 20000028146 A KR20000028146 A KR 20000028146A KR 100648606 B1 KR100648606 B1 KR 100648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oam sheet
container
foa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7408A (ko
Inventor
알가타후세인
코브로산드로
세베리니토니노
Original Assignee
신코 리세르체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코 리세르체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신코 리세르체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00077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7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6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04Use of compounding ingredients,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which is unknown, broadly defined, or irrelev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J23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hydroxy and the carboxyl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6Foam or porous material co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9Contains 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9Contains 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 Y10T428/1383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is sandwiched between layers [continuous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6Void-containing component contains also a solid fiber or solid p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623Next to polyamide or polyim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681Next to polyester, polyamide or polyimide [e.g., alkyd, glue, or nylon,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Wrapp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Carton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및 식품 용기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700 ㎏/㎥ 이하의 밀도를 가지며, 120℃에서 5분 동안 가열되는 경우 결정도가 15%를 초과하지 않는 결정화율을 가진다. 발포 시트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시트에 생분해성 및/또는 혼합안정성(compostability)을 부여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혼합되거나 1 내지 10 중량%의 폴리아미드와 혼합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발포 시트, 연신, 생분해성, 혼합안정성

Description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발포 시트 및 이것으로부터 제조되는 용기 {STRETCHED POLYESTER FOAMED SHEETS AND CONTAINERS OBTAINED THEREFROM}
본 발명은 폴딩(folding)에 의하여 용기의 형태를 프레싱(pressing)하여 찍어낼 수 있는 디자인의 음료 또는 식품 용기의 제조에 적합하고 히트 씰 가능한(heat-sealable)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시트로부터 얻어지는 용기를 포함하며, 특히 과일 쥬스, 통상의 저장 수명을 가지는 우유, 차(茶) 등과 같은 음료 용기를 제조하는데 적당한 기체 차단 특성을 가지는 연신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과일 쥬스, 우유 등의 용기와 같은 음료 또는 식품 용기의 제조에 사용된 물질은 대체로 용기에 기계적 특성, 특히 강성(剛性)을 부여하는 기능성 카드보드(cardboard) 층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음료 또는 식품과 접촉하는 면에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그와 유사한 폴리머 물질이 코팅된 얇은 알루미늄 시트 층이 접착된 카드보드를 포함하기도 한다.
이러한 다층 물질로 제조된 용기는 다양한 층의 상이한 화학적 특성 때문에 재생되기 어렵다.
음료 또는 식품 용기를 형성하는 물질의 재생가능성은 재생으로 얻어질 수 있는 절약적인 측면 및 생태학적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이다.
재생가능한 물질을 실현하는 것이 당 기술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폴리머 물질로 제조되는 음료 및 액체용 용기가 있기는 하지만, 카드보드로 제조된 것에 견줄 만한 강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강성 용기의 제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이러한 물질로 제조되는 용기는 소형 쌕(파우치; pouches) 범주에 포함된다.
폴리머 물질을 사용하여 필요한 강성을 가지는 용기를 제조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으나 현재까지는 성공하지 못하였다.
용기의 강성은 벽의 두께와 관련된 함수이며, 보다 정확하게는 벽두께의 세제곱에 비례하여 변한다.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과 같은 폴리머 물질을 사용하기도 하나, 이 경우 용기를 밀폐하는 단계에서 폴딩되기 어렵기 때문에 비경제적이고 가공 불가능한 두께를 수반하는 문제점이 있다.
발포 폴리스티렌과 같은 그 밖의 물질은 박층으로 만들어지는 경우 취약성(fragility) 때문에 사용이 불가능하다.
미국특허 제5,000,991호에는 발포 폴리에스테르 물질의 시트 및 시트와 동일한 물성을 가지는 필름 또는 다른 폴리머 물질로 형성된 음료 또는 식품용 열성형(thermoformed) 용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강성 적층물(laminates)이 기재되어 있다. EP-A-836937에는 0.5 mm 내지 1.5 mm의 두께를 가지는 반강성(semi-rigid) 적층물로서, 폴리에스테르 발포층의 물질과는 다른 폴리머 물질로 만들어지는 기체 차단 특성을 가지는 층이 접착되어 있으며 밀도가 0.7 내지 1 g/㎤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을 포함하는 적층물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적층물들은 패킹용 제품의 열성형 제조에 사용된다.
물질에 프레스되는 디자인에 따라 폴딩에 의하여 용기의 형태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크리싱(creasing)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발포층을 포함하는 물질이 기재되어 있는 특허 문헌은 없다.
폴딩에 의하여 용기의 형태가 형성되는 디자인으로 크리싱되는 단층 또는 다층의 폴리머 발포 물질의 성능, 및 이러한 디자인에 따른 물질의 폴딩 가능성은 크리싱 및 폴딩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음료 및 식품 용기의 제조에 요구되는 필수 조건이다.
프레스된 디자인이 시간이 지나도 안정하게 유지되고 이 디자인이 스탬핑(stamping)되는 경우 물질의 폴딩 가능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물질이 크리싱에 적합한 물질이다.
또한 용기를 봉합하기 위해서 히트 씰 가능한 물질이라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 및 식품 용기의 제조에 적합한 물질로서 상기에서 언급된 크리싱 조건을 만족시키며 카드보드를 대체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나타내며 우수한 내충격성을 가지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 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트는 1축 또는 2축 연신 발포 시트로서, 120℃에서 5분 동안 가열되는 경우 결정화도가 15% 이하인 결정화율을 가지며 폴딩에 의하여 용기가 형성될 수 있는 디자인으로 프레스된다.
발포 시트의 제조에 사용되기에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2 내지 20 몰%의 테레프탈산 반복 단위가 이소프탈산 및/또는 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반복 단위로 치환된 코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다.
바람직한 코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이소프탈산 반복 단위를 4 내지 10%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수지의 고유 점도는 0.8 ㎗/g 이상이다(ASTM D 4603-86에 따라 25℃, 60/40 중량비의 페놀 및 테트라클로로에탄 용액에서 측정).
용융 강도(melt strength)는 280℃에서 2 센티 뉴톤(centinewton)보다 크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센티 뉴톤이다. 용융 점도는 0의 전단율에 대하여 280℃에서 적어도 1200 Pa·s ,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20,000 Pa·s 이다. 본 발명에서, "0의 전단율"이란 표현은 0에 가까운 전단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수지는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시산 이무수물,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2 중량%의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의 존재 하에서 160 내지 210℃의 온도에서 약 0.7 내지 0.75 ㎗/g 이하의 I.V.를 가지는 수지를 개량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발포 시트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바람직한 방법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 USP 5,362,763호에 기재되어 있다.
용융 강도 및 용융 점도는 이하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시트를 형성하는 수지의 용융 강도는 시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수지의 용융 강도보다 낮은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연신 발포 시트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50 내지 700 kg/m3,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 kg/m3의 벌크 밀도 및 0.5 내지 5 mm의 두께를 가지는 발포 시트를 연신하여 얻어진다.
연신 시트의 두께는 적용되는 연신율에 비례하여 감소되며, 일반적으로 0.2 내지 3 mm,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2 mm를 포함한다.
2축 방향 시트의 밀도는 연신 전의 시트의 밀도보다 일반적으로 높다.
사용되는 발포제가 액상 탄화수소인 경우는 밀도가 감소된다.
1축 연신 시트는 연신 전보다 낮은 밀도를 가진다(이렇게 낮은 밀도는 1축 연신에 사용되는 장치가 2축 연신에 사용되는 것과 상이하기 때문임).
1축 및 2축 연신의 경우 적용 가능한 연신율은 1.1:1 내지 5:1이다.
1축 연신 시트의 경우에는 1.2:1의 연신율은 원하는 기계적 특성, 특히 내충격성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하다.
낮은 밀도와 함께 우수한 내충격성은 음료 및 식품 용기의 제조에 특히 적합한 1축 연신된 시트를 가능하게 한다.
2축 (기계 방향 및 횡방향으로의) 연신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신 온도는 80 내지 120℃ 이다.
소요 시간은 수 초에서 60초 이상이다.
1축 연신은 상이한 원주 속도로 회전하는 95 내지 110℃로 가열된 일련의 롤에서 수행될 수 있다.
1축 연신은 기계 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연신 시트를 일반적으로 160 내지 220℃의 온도에서 열경화(heat-setting)하는 것이 편리하다.
히트 세팅은 시트를 치수적으로 안정화하고(수축이 현저하게 감소됨) 기계적 특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발포 시트의 기체 차단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또는 기체 차단 특성이 있는 그 밖의 다른 물질로 코팅할 수 있다.
시트를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코팅하는 경우, 필름에 차단 특성을 부여하는 표면가공을 수행하거나 알루미늄, 알루미늄 산화물 및 실리콘 산화물(Al2O3 및 SiOx)과 같이 차단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하여 필름에 차단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대표적인 표면가공 방법은 리튬 또는 칼륨 폴리실리케이트 층으로 상기 필름을 래커처리(lacquering)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공은 0.3 ㎖/㎡/24h/atm 이하의 매우 낮은 산소 투과율을 가지게 된다.
Al 및/또는 Si 산화물 층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도포한다.
표면가공 및 차단 물질의 침적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일반적으로 70 ㎖/㎡/24h/atm(ASTM 1434)보다 낮은 산소 투과율을 부여하는 방법을 선택하여 수행한다. 필름이 Al로 금속화(metallize)되거나 Al 산화물 및/또는 Si 산화물로 코팅되는 경우에는 산소 투과율이 0.3 ㎖/㎡/24h/atm보다 낮은 값으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산소 투과율이 10 ㎖/㎡/24h/atm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으로 금속화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Nurol S.p.A. 제품인 Nu Roll(Nu roll은 Nurol S.p.A.의 등록상표임)이라는 제품명으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다.
차단 특성을 가지는 필름이 시트에 접착되는 경우, 이 필름의 가공되지 않은 면은 용기 내부의 음료 또는 식품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잉크 등으로 인쇄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요구조건과 관련하여 이러한 요구조건에 대응하는 필름을 내부층으로 하고 필름이 접착된 발포 시트를 가지는 외부층으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차단 특성을 가지는 필름 또는 그 밖의 필름을 발포시트에 접착하는 공정은 접착제 처리(gluing) 또는 가열-적층 또는 공압출(coextrusion)에 의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다른 히트씰 폴리머 층으로 발포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커버할 수도 있다.
연신 발포 시트의 강성은 그 두께와 상관 있다: 두께가 증가하면 강성도 증가한다(비례하지는 않음). 무기물 충전재를 사용하면(약 20 중량% 이하 사용가능) 시트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충전재의 예로는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늄 디 옥사이드, 칼슘 카보네이트 등이 있다.
용기는 용기 형태를 형성하는 크리싱에 의하여 시트에 프레스된 디자인에 따라 폴딩하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용기는 그들의 궁극적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큐빅형, 타원형 또는 피라미드형이 사용될 수 있다. 음료 및 과일 쥬스용 용기의 일반적인 부피는 0.2 내지 2 리터이다.
연신 발포 시트의 표면 특성은 쉽게 잉크될 수 있는 적당한 상태를 제공한다.
연신 시트의 우수한 내충격성은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조건하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연신 발포 시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상기에 기재된 특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방향족 바이카르복시산,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을 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과 같은 2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디올과 중축합하거나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의 디메틸에스테르를 디올과 에스테르 교환반응시켜 히드록시 에스테르와 중축합하여 얻을 수 있다.
20 몰%의 테레프탈산 반복 단위가 이소프탈산 및/또는 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반복 단위로 치환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 시트에 생분해성 및/또는 혼합안정성(compostability)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시트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10 내지 35 중량%의 생분해성 지 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혼합하는데, 이 혼합물은 테트라카르복시산 이무수물,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시산 이무수물의 존재 하에서 고체 상태로 다중첨가(polyaddition) 반응되기 쉽다.
이무수물로는 피로멜리트산(pyromellitic) 무수물이 바람직하며, 이는 전체 수지 함량의 0.05 내지 2 중량% 함량으로 사용한다.
고체 상태의 다중첨가 반응은 약 150 내지 220℃의 온도에서 0.7 ㎗/g 이상의 수지 고유 점도(점도는 25℃, 페놀 및 테트라클로로에탄이 60/40의 중량비율로 섞인 혼합물 내에서 측정됨) 및 수지가 형성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높은 용융 강도를 얻기에 충분한 농도의 무수물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고유 점도는 0.8 내지 1.2 ㎗/g 이다.
적당한 용융 강도는 8 센티뉴톤 이상이며, 20 센티뉴톤 이상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2 내지 22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히드록시산 또는 이들의 락톤 또는 락티드(lactide)를 중축합하거나 2 내지 22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지방족 디카르복시산을 2 내지 22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올과 중축합하여 얻는다.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카프롤락톤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생분해 특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1 내지 10 중량%의 폴리아미드와 혼합될 수 있다.
제조 방법
ASTM D 3835에 따라 280℃에서 Goeffert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레올로지를 측 정하였다.
용융 강도는 Goeffert Rheometer 2002 모세관으로부터 압출되는 물질을 연신하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cN)를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Rheoten 장치를 Goeffert Rheometer 2002의 모세관의 출구에 적용하였다.
압출 조건은 다음과 같다:
피스톤 속력 0.2 mm/sec
다이 직경 2 mm
모세관 길이 30 mm
테스트 온도 280℃
사용되는 가속도 2.4 cm/sec2
모든 테스트는 2번씩 반복하고 얻어진 두 결과를 평균내어 그 값을 기록하였다.
ATR법(감쇠 전반사; Alternated Total Reflectance)에 따라 트랜스형과 고우시형의 비율로부터 결정도를 측정하였다. ATR 기구를 퍼킨 모델 2000 FT-IR에 장착하였다. 1410 cm-1의 흡광도를 기준밴드로 사용하였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20℃에서 5분 동안 가열하는 경우 결정도가 15%를 초과하지 않는 결정화율을 가지며, 두께가 0.7 mm이고 밀도가 375 kg/m3인 발포 COPET(4 중량%의 이소프탈산을 함유하는 코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1축 연신(연신율 1.1:1) 시트를 평형 육면체 형태의 용기를 폴딩한 후 적합한 디자인으로 크리싱하였다.
연신 시트는 450 kg/m3의 밀도, 1.1 mm의 두께, 300 미크론의 평균 셀 직경, 및 8%의 결정 함량을 가지는 발포 시트로부터 제조되었다.
Franctovis Ceast 충격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된 전체 충격 에너지는 0.41 J이었으며; 연신(연신율 1.2:1) 후 에너지는 0.59 J이었다.
상기 발포 시트는 280℃에서 150 cN의 용융 강도, 300℃ 및 10 rad/초에서 1800 Pa·s 의 용융 점도, 및 1.24 ㎗/g의 고유 점도를 가지는 COPET로부터 제조되며, 0.4 중량%의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의 존재하에서 210℃의 온도에서 0.7 ㎗/g의 I.V를 가지는 COPET를 개량하여 제조되었다.
히트씰하여 용기를 봉합하였다. 봉합은 공기차단 밀봉되었으며, 찢거나 절단 또는 그 밖의 다른 방법에 의하여 쉽게 오픈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기재된 특성을 가지는 1축 연신 발포 시트를 용기의 재생 가능성을 저해하지 않는 아교를 사용하여 15 미크론의 두께를 가지는 Nurol S.p.A.의 Nu Roll 금속화 필름에 접착시켰다.
상기 시트는 액체용 용기의 제조에 사용된다.
실시예 3
4%의 이소프탈산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코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10 중량%의 폴리카프롤락톤 UC PCL 787(Union Carbide 제품)과 혼합한 후, 0.85 dl/g의 고유 점도가 얻어질 때까지 180℃에서 고체 상태로 다중첨가 반응시켜 제조된 발포 시트-여기서 시트는 0.7 mm의 두께, 180 kg/m3의 밀도, 및 120℃에서 5분 동안 가열되는 경우 결정도가 15%를 초과하지 않는 결정화율을 가짐-로부터 얻어진 2축 연신 발포 시트(연신율은 양방향으로 3:1)를 평행 육면체 형태의 용기를 크리싱하여 형성되는 디자인에 따라 프레스하였다.
이렇게 크리싱된 시트는 통상의 저장-수명을 가지는 우유 및 과일 쥬스용 용기의 제조에 사용된다.
상기 용기는 히트씰하여 봉합된다. 봉합은 공기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며, 찢기, 자르기 또는 그 밖의 다른 방법에 의하여 쉽게 개봉될 수 있다. 혼합 공정에 사용되는 표준 조작 조건하에서 혼합된 용기는 혼합안정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3의 특성을 가지는 발포 PET 시트를 용기의 재생 가능성을 저해하지 않는 아교를 사용하여 두께가 15 미크론인 Nu Roll 금속화 필름(Nurol S.p.A 제품)에 접착시켰다.
상기 시트는 액체용 용기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우선권이 주장된 이탈리아 특허 출원 제MI99A001139호 및 E.P.A. 제99122046.8호의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되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 시트는 음료 및 식품 용기의 제조에 적합한 물질로서 충분한 강성 및 기체 차단 특성을 가지며 용도에 따른 형태로 가공 가능하다.

Claims (19)

  1. 음료 및 식품 용기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부터 제조된 1축 또는 2축 연신 발포 시트로서,
    50 내지 700 ㎏/㎥의 벌크 밀도, 및 120℃에서 5분 동안 가열되는 경우 결정화도가 15% 이하인 결정화도를 가지며 폴딩(folding)에 의해 용기를 형성할 수 있는 디자인이 프레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2 내지 20 몰%의 이소프탈산 및/또는 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코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1.1:1 내지 5:1의 비율로 연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2 cN보다 큰 용융 강도 및 0의 전단율에 대하여 1500 Pa·s 보다 높은 용융 점도(280℃에서 측정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10 내지 35 중량%의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시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70 ㎖/㎡/24h/atm보다 낮은 산소 투과율(ASTM 1434에 따라 측정됨)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더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알루미늄으로 금속화되거나, 알루미나층 또는 실리콘 산화물 층, 또는 리튬 또는 칼륨 폴리실리케이트층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시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된 발포 시트에, 기체 차단 특성을 가지는 필름이 접착제 또는 열 적층에 의하여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시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시트가 60 내지 500 ㎏/㎥의 벌크 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시트가 100 내지 400 ㎏/㎥의 벌크 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시트.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0.5 내지 3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0.7 내지 1.5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시트.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무기물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시트.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10 내지 35 중량%의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혼합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부터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시트.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1축으로 연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시트.
  16. 제1항 또는 제2항 기재의 시트로 제조된, 음료 또는 식품 용기.
  17. 제16항에 있어서,
    히트씰(heat-seal)에 의하여 봉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또는 식품 용기.
  18. 제1항 또는 제2항 기재의 시트를 사용하여 제조되며, 상기 시트에 70 ㎖/㎡/24h/atm보다 낮은 투과율에 대응하는 산소 차단 특성을 가지는 필름이 접착된, 과일 쥬스 또는 멸균 우유용 용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 접착된 필름이 10 ㎖/㎡/24h/atm보다 낮은 산소 투과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쥬스 또는 멸균 우유용 용기.
KR1020000028146A 1999-05-24 2000-05-24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발포 시트 및 이것으로부터 제조되는 용기 KR100648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99A001139 1999-05-24
IT1999MI001139A ITMI991139A1 (it) 1999-05-24 1999-05-24 Film espansi biorientati in resina poliestere
EP99122046.8 1999-11-15
EP19990122046 EP1055697B1 (en) 1999-05-24 1999-11-15 Mono- or biaxially-stretched polyester resin foamed sheets
EP19990125951 EP1055698B1 (en) 1999-05-24 1999-12-27 Stretched polyester foamed sheets and containers obtained therefrom
EP99125951.6 1999-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7408A KR20000077408A (ko) 2000-12-26
KR100648606B1 true KR100648606B1 (ko) 2006-11-23

Family

ID=433049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145A KR100684815B1 (ko) 1999-05-24 2000-05-24 1축 또는 2축-연신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 재료
KR1020000028146A KR100648606B1 (ko) 1999-05-24 2000-05-24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발포 시트 및 이것으로부터 제조되는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145A KR100684815B1 (ko) 1999-05-24 2000-05-24 1축 또는 2축-연신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 재료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6472035B1 (ko)
EP (2) EP1055697B1 (ko)
JP (2) JP2001002822A (ko)
KR (2) KR100684815B1 (ko)
CN (2) CN1276287A (ko)
AR (1) AR024005A1 (ko)
AT (2) ATE275601T1 (ko)
AU (2) AU3636400A (ko)
BR (2) BR0001862A (ko)
CA (2) CA2309283C (ko)
DE (2) DE69919988T2 (ko)
DK (1) DK1055697T3 (ko)
ES (2) ES2224529T3 (ko)
HU (1) HUP0001986A3 (ko)
IT (1) ITMI991139A1 (ko)
MX (1) MXPA00005067A (ko)
NO (2) NO20002657L (ko)
PL (2) PL201643B1 (ko)
TW (2) TW5729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991139A1 (it) * 1999-05-24 2000-11-24 Sinco Ricerche Spa Film espansi biorientati in resina poliestere
ITMI20011510A1 (it) * 2001-07-16 2003-01-16 Sinco Ricerche Spa Bottiglie flessibili in resina poliester
WO2004083279A1 (ja) * 2003-03-19 2004-09-30 Toyo Seikan Kaisha, Ltd. ラミネート用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て成るラミネート材
CN100387633C (zh) * 2003-03-19 2008-05-14 东洋制罐株式会社 层压用薄膜及使用该薄膜的层压材料
US20070059511A1 (en) * 2004-03-31 2007-03-15 Edwards Walter L Low density foamed polymers
CN101155863B (zh) * 2005-03-30 2012-04-04 旭化成化学株式会社 聚酯泡沫片
JP4236681B2 (ja) * 2006-12-15 2009-03-11 東洋鋼鈑株式会社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1980921B (zh) * 2008-03-27 2012-08-22 东洋制罐株式会社 拉伸发泡塑料容器及其制造方法
KR102142394B1 (ko) * 2013-06-11 2020-08-07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포장체
US11192342B2 (en) 2015-09-30 2021-12-07 Huvis Corporatio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automobile comprising polyester resin foam layer and fiber layer
DE102016210374A1 (de) * 2016-06-10 2017-12-14 Huhtamaki Flexible Packaging Germany Gmbh & Co. Kg Siegelbare Polyolefinfolie, Verpackung mit einer siegelbaren Polyolefinfoli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siegelbaren Polyolefinfolie
WO2019124948A1 (ko) * 2017-12-18 2019-06-27 주식회사 휴비스 내열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식품용기용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9226B1 (ko) * 2018-06-28 2021-01-06 주식회사 휴비스 식품 포장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0237B1 (ko) * 2018-06-28 2019-11-06 주식회사 휴비스 가스 베리어층을 포함하는 성형체,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및 성형체의 제조방법
KR102160456B1 (ko) * 2018-06-29 2020-09-28 주식회사 휴비스 성형성이 우수한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용기
KR102160454B1 (ko) * 2018-06-29 2020-09-28 주식회사 휴비스 내열성이 우수한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KR102160455B1 (ko) * 2018-06-29 2020-09-28 주식회사 휴비스 가공성이 우수한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WO2020138571A1 (ko) * 2018-12-28 2020-07-02 주식회사 휴비스 스킨층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US11926123B2 (en) 2019-05-17 2024-03-12 Mucell Extrusion, Llc Multi-layer polymer foam film for packaging applications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RU2717050C1 (ru) * 2019-08-16 2020-03-17 Дмитрий Сергеевич Расторгуев Полимер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WO2023091585A1 (en) * 2021-11-18 2023-05-25 Mucell Extrusion, Llc Multi-layer polymer foam film for packaging applications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6425A (en) * 1971-01-12 1974-09-17 Ludlow Corp Thin, flexible barrier material
US5000991B2 (en) * 1988-12-01 2000-07-11 Sekisui Plastics Process for producing polyester resin foam and polyester resin foam sheet
IT1252223B (it) * 1991-12-16 1995-06-05 M & G Ricerche Spa Resine poliestere cellulari e loro procedimento di preparazione
US5482977A (en) * 1995-05-08 1996-01-09 Eastman Chemical Company Foamable branched polyesters
US6312772B1 (en) * 1997-10-20 2001-11-06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Multilayer laminate formed from a substantially stretched non-molten wholly aromatic liquid crystalline polymer and non-polyester thermoplastic polymer
IT1296878B1 (it) * 1997-12-17 1999-08-02 Sinco Ricerche Spa Schiume di poliestere flessibili
ITMI991139A1 (it) * 1999-05-24 2000-11-24 Sinco Ricerche Spa Film espansi biorientati in resina polieste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0001986A2 (hu) 2001-12-28
AR024005A1 (es) 2002-09-04
ATE325832T1 (de) 2006-06-15
CN1276287A (zh) 2000-12-13
DK1055697T3 (da) 2005-01-24
KR20000077408A (ko) 2000-12-26
JP2001018942A (ja) 2001-01-23
BR0001861A (pt) 2001-01-02
PL340234A1 (en) 2000-12-04
NO20002658D0 (no) 2000-05-24
EP1055698B1 (en) 2006-05-10
DE69919988T2 (de) 2005-09-29
PL201643B1 (pl) 2009-04-30
CN1276286A (zh) 2000-12-13
EP1055697A1 (en) 2000-11-29
TW572944B (en) 2004-01-21
ATE275601T1 (de) 2004-09-15
EP1055698A1 (en) 2000-11-29
CA2309283A1 (en) 2000-11-24
CA2309283C (en) 2009-11-17
EP1055697B1 (en) 2004-09-08
ES2260884T3 (es) 2006-11-01
KR100684815B1 (ko) 2007-02-22
DE69931245T2 (de) 2007-01-11
AU3636400A (en) 2000-11-30
MXPA00005067A (es) 2002-03-08
PL201642B1 (pl) 2009-04-30
PL340235A1 (en) 2000-12-04
CA2309227C (en) 2009-09-08
NO20002657D0 (no) 2000-05-24
JP4180770B2 (ja) 2008-11-12
HU0001986D0 (en) 2000-07-28
NO20002657L (no) 2000-11-27
KR20000077407A (ko) 2000-12-26
TW476769B (en) 2002-02-21
AU3636500A (en) 2000-11-30
NO20002658L (no) 2000-11-27
HUP0001986A3 (en) 2003-02-28
US6472035B1 (en) 2002-10-29
ES2224529T3 (es) 2005-03-01
JP2001002822A (ja) 2001-01-09
ITMI991139A1 (it) 2000-11-24
DE69931245D1 (de) 2006-06-14
US6696146B1 (en) 2004-02-24
CA2309227A1 (en) 2000-11-24
BR0001862A (pt) 2001-01-02
DE69919988D1 (de)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8606B1 (ko)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발포 시트 및 이것으로부터 제조되는 용기
KR100589081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 시트
KR20050045866A (ko) 공압출, 필러블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 방법
WO2006075151A1 (en) Breathable, heat-sealable composite polymeric film
KR100822943B1 (ko) 열 밀봉 코팅 및 코팅된 필름
KR100372221B1 (ko) 재생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다층 재료
JP3229463B2 (ja) ヒートシール性に優れるポリエステルシート及びその成形品
MXPA00005066A (en) Stretched polyester foamed sheets and containers obtained therefrom
US7182985B1 (en) Recyclable multi-layer material of polyester resin
RU2194657C2 (ru) Термосвариваемый многослойный листовой материал и контейнер из него
MXPA99008816A (en) Polyester resin foamed sheets
ITMI982208A1 (it) Foglia poliestere espansa composta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