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740B1 - 철도 건널목 포장용 판 구조물 - Google Patents

철도 건널목 포장용 판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740B1
KR100647740B1 KR1020050088587A KR20050088587A KR100647740B1 KR 100647740 B1 KR100647740 B1 KR 100647740B1 KR 1020050088587 A KR1020050088587 A KR 1020050088587A KR 20050088587 A KR20050088587 A KR 20050088587A KR 100647740 B1 KR100647740 B1 KR 100647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der
reinforcing
plate
screw hole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784A (ko
Inventor
전영수
Original Assignee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88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740B1/ko
Publication of KR2006002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4Pavings for railroad level-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8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rubber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건널목 포장용 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철도 건널목에 설치되어 통행용 도로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장방형 육면체로 형성되어 레일(12) 내측 또는 외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블록식으로 배치되고, 소정 간격을 따라 고정용 나사(400)가 통과하는 나사공(240a)이 형성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소정 간격으로 사선 방향의 보강살홈(230)이 교차 형성된 판 부재(200); 상기 다수개의 판 부재(200)가 이루는 단위 면적의 크기로 형성되며, 레일(12)과 동일 방향의 종테두리부(110)와 수직 방향의 횡테두리부(120), 이를 종횡으로 분할하는 중간테두리부(125)가 이루는 장방형 테두리 내에 사선 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살부(130)가 교차 형성되되, 상기 보강살부(130)는 상기 상부 보강살홈(2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삽입식으로 결합 가능하며, 상기 판 부재(200)의 나사공(240a)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또다른 나사공(140a)이 형성된 고정부(140)를 구비한 상부 보강부재(100); 상기 다수개의 판 부재(200)가 이루는 단위 면적의 크기로 형성되며, 레일(12)과 동일 방향의 종테두리부(310)와 수직 방향의 횡테두리부(320), 이를 종횡으로 분할하는 중간테두리부(325)가 이루는 장방형 테두리 내에 사선 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살부(330)가 교차 형성되되, 상기 보강살부(330)는 상기 하부 보강살홈(2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삽입식으로 결합 가능하며, 상기 판 부재(200)의 나사공(240a)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또다른 나사공(340a)이 형성된 고정부(340)를 구비한 하부 보강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뤄지며,
다수개의 판 부재로 이뤄져 설치성이 양호하며, 판 부재를 커버하는 상하부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시의 내구성 및 견고함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철도 건널목, 포장

Description

철도 건널목 포장용 판 구조물{Plate structure for railroad crossing}
도 1은 종래의 철도 건널목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부설 작업 중에 있는 종래의 철도 건널목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판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판 부재의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판 구조물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300: 상하부 보강부재 110,310: 종테두리부
120,320: 횡테두리부 130,330: 보강살부
140,340: 고정부 140a,340a: 나사공
200: 판 부재 221: 강판
222: 고무층 230: 보강살홈
231: 합성수지 발포체 233: 경질 고무층
240: 고정부홈 240a: 나사공
400: 고정용 나사
본 발명은 철도 건널목 포장용 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건널목에 레일과 거의 같은 높이로 부설되어 자동차나 보행자의 통행시 편의를 제공하는 포장용 판 구조물로서, 특히 다수개의 판 부재로 이뤄져 설치성이 양호하며, 판 부재를 커버하는 상하부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시의 내구성 및 견고함이 향상된 철도 건널목 포장용 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철도 건널목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부설 작업 중에 있는 종래의 철도 건널목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예시된 건널목을 보면, 레일(12)을 따라 연장되도록 침목(10) 위에 탈선 방지 가드(14)가 장착되고,자동차나 보행자가 원활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포장 도로판(16)이 레일(12) 내외측에 장착된다.
포장 도로판(16)은 탈선 방지 가드(14) 사이에 위치하고 침목(10) 위에 필요한 수만큼 구비되어 레일 방향을 따라 2 열로 전후 상접하도록 배치된 주 포장 도로판(16a)과, 레일(12)의 외측에 위치하고 침목(10) 위에 필요한 수만큼 구비되어 레일 방향을 따라 1 열로 전후 상접하도록 배치된 또다른 주 포장 도로판(16b)으로 구성된다.
주 포장 도로판(16a,16b)은 본 예에서는 침목 부설 피치의 2 배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일반적으로는 적절한 정수배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그 단면을 침목 중심선에 일치시키는 형태로 부설된다.이와 함께, 단부 포장 도로판(16c,16d)이 주 포장 도로판(16a,16b)의 외단에 접하도록 부설된다.
각각의 포장 도로판(16a,16b,16c,16d)은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제조되며, 길이 방향 중앙에 관통공(18)을 구비한다. 이러한 포장 도로판은 일반 나사못(30)이나 T볼트-앵커 장치 등을 통해 침목에 고정된다. 미설명된 부호 36은 침목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 볼트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건널목에 설치된 포장 도로판에는 열차 통과나 자동차의 통행에 의한 진동이 반복 작용하게 되고, 그 결과 포장 도로판을 고정 결합하고 있는 나사못이나 T볼트가 느슨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이렇게 느슨해지는 상태가 심해지면 포장 도로판은 고정 결합 상태가 완전히 해제되어 침목으로부터 이탈되는 극히 위험한 상태가 발생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철도 건널목에 레일과 거의 같은 높이로 부설되어 자동차나 보행자의 통행시 편의를 제공하는 포장용 판 구조물로서, 특히 다수개의 판 부재로 이뤄져 설치성이 양호하며, 판 부재를 커버하는 상하부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시의 내구성 및 견고함이 향상된 철도 건널목 포장용 판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 건널목에 설치되어 통행용 도로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장방형 육면체로 형성되어 레일(12) 내측 또는 외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블록식으로 배치되고, 소정 간격을 따라 고정용 나사(400)가 통과하는 나사공(240a)이 형성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소정 간격으로 사선 방향의 보강살홈(230)이 교차 형성된 판 부재(200); 상기 다수개의 판 부재(200)가 이루는 단위 면적의 크기로 형성되며, 레일(12)과 동일 방향의 종테두리부(110)와 수직 방향의 횡테두리부(120), 이를 종횡으로 분할하는 중간테두리부(125)가 이루는 장방형 테두리 내에 사선 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살부(130)가 교차 형성되되, 상기 보강살부(130)는 상기 상부 보강살홈(2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삽입식으로 결합 가능하며, 상기 판 부재(200)의 나사공(240a)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또다른 나사공(140a)이 형성된 고정부(140)를 구비한 상부 보강부재(100); 상기 다수개의 판 부재(200)가 이루는 단위 면적의 크기로 형성되며, 레일(12)과 동일 방향의 종테두리부(310)와 수직 방향의 횡테두리부(320), 이를 종횡으로 분할하는 중간테두리부(325)가 이루는 장방형 테두리 내에 사선 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살부(330)가 교차 형성되되, 상기 보강살부(330)는 상기 하부 보강살홈(2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삽입식으로 결합 가능하며, 상기 판 부재(200)의 나사공(240a)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또다른 나사공(340a)이 형성된 고정부(340)를 구비한 하부 보강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및 하부 보강부재(100,300)의 고정부(140,340)는 사선 방향으로 교차된 각 보강살부(130,330)가 이루는 교차 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40,340)의 위치에 대응하는 판 부재(200)의 면에는 해당 고정부(140,340)가 삽입식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고정부홈(240)이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판 부재(200)는, 상부측으로부터 고무층(222) 및 강판(221), 합성수지 발포체(231), 경질 고무층(233)의 층 구조로 이뤄진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판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판 부재의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판 구조물의 사용 상태도이다.
장방형 육면체로 형성되어 레일(12) 내측 또는 외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블록식으로 배치되는 판 부재(20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12) 내측에 2열, 레일(12) 외측의 양 위치에 각 1열씩 설치될 수 있는 크기로 판 부재(200)의 폭이 형성되며, 통상적인 건널목의 폭을 고려하여 3~4개 정도로 배치된 판 부재(200)의 전체 길이가 건널목의 폭 정도의 크기가 되도록 각 판 부재(200)의 길이가 형성된다. 또한, 판 부재(200)의 높이는 레일(12)과 같은 정도의 높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판 부재의 폭이나 길이가 현장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변형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 판 부재(200)에는 소정 간격을 따라 고정용 나사(400)가 통과하는 나사공(240a)이 형성되며,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사선 방향의 보강살홈(230)이 교차 형성된다.
레일(12) 내측 또는 외측에 소정 갯수의 판 부재(200)가 하나의 집합체 상태로 배치된 때의 이 집합체의 면적을 단위 면적이라고 본다면, 레일 내측 또는 외측의 각 단위 면적의 크기로 형성된 상부 보강부재(100) 및 하부 보강부재(300)가 구비된다.
상부 보강부재(100)는 레일(12)과 동일 방향의 종테두리부(110)와 수직 방향의 횡테두리부(120), 이를 종횡으로 분할하는 중간테두리부(125)가 이루는 장방형 테두리 내에 사선 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살부(130)가 교차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한편, 하부 보강부재(300)도 상부 보강부재(100)와 동일한 형태 및 설치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시된 상부 보강부재(100)는 2열로 3개(총 6개)가 배치된 판 부재(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지만, 레일 외측에 1열로 배치된 판 부재(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1열 너비의 보강부재(도면 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되며, 판 부재(200)의 갯수 변화에 대응하여 상부 보강부재(100)의 길이 규격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보강부재(100)의 보강살부(130)는 판 부재(200)의 보강살홈(2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삽입식으로 결합되며, 각 판 부재(200)를 하나의 집합체 형태로서 결합하여 침목(10)측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각 판 부재(200)의 나사공(240a)에 대응하는 상부 보강부재(100)의 고정부(140)가 형성되며, 각 고정부(140)에는 고정용 나사(4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또다른 나사공(140a)이 형성된다.
상부 보강부재(100)의 고정부(140)는 사선 방향으로 교차된 각 보강살부 (130)가 이루는 교차 지점에 형성되며, 각 고정부(140)의 위치에 대응하는 판 부재(200)의 상부면에는 해당 고정부(140)가 삽입식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고정부홈(240)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건널목에 해당하는 레일(12) 내외측의 침목(10) 상에 다수개의 판 부재(200)가 블록식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개별 판 부재(200)가 각각 침목(10) 상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 보강부재(100) 및 이와 동일한 형태로서 반대측에 위치한 하부 보강부재(300)에 의해 하나의 집합체 형태로 결합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상부 보강부재(100)는 집합체 형태로 배치된 판 부재(200)의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판 부재(200)의 상부측 보강살홈(230)에 삽입식으로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에 의해 전체 판 부재(200)는 하나의 집합체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하부 보강부재(300)도 이와 동일한 형태로 판 부재(200)의 하부측 보강살홈(230)에 삽입식으로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상하부 보강부재(100,300)의 각 고정부(140,340)에 형성된 나사공(140a,340a)과 판 부재(200)에 형성된 또다른 나사공(240a)을 고정용 나사(400)가 관통하여 침목(10)측에 고정시키게 된다. 고정용 나사(400)는 일반 나사못이나 앵커 장치에 체결되는 T볼트 등 공지의 나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판 부재(200)는, 상부측으로부터 고무층(222) 및 강판(221), 합성수지 발포체(231), 경질 고무층(233)의 층 구조로 이뤄진다.
고무층(222)은 건널목을 통행하는 보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예를 들어 20 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강판(221)은 판 부재(200)에 강성과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5~10 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합성수지 발포체(231)는 적절한 충격 및 소음 흡수 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 프로필렌 수지, 폴리 염화 비닐 수지, 폴리스틸렌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나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 에테르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 등의 합성수지를 발포시킨 것으로서, 발포 비율 10~35 배 정도의 것이 사용되는 것이 좋다.
경질 고무층(233)은 판 부재(200) 저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침목과의 밀착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부착된다.
예시된 판 구조물의 설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레일 내측에는 내측 단위 면적(6개의 면적)에 맞게 규격화된 하부 보강부재(300)를 설치하며, 레일 외측에는 외측 단위 면적(3개의 면적)에 맞게 규격화된 하부 보강부재(300)를 설치한다.
이후, 레일(12) 내측에 2열, 레일(12) 외측의 양 위치에 각 1열씩 판 부재(200)를 배치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건널목의 폭을 고려하여 3개를 길이 방향으로 배치한다.
배치된 판 부재(200)를 보면, 레일(12) 내측으로는 총 6개의 판 부재(200)가 하나의 단위 면적을 구성하게 되며, 레일(12) 외측으로는 총 3개의 판 부재(200)가 레일(12) 양측으로 각각의 단위 면적을 구성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레일 내측에는 내측 단위 면적(6개의 면적)에 맞게 규격화된 상부 보강부재(100)를 설치하며, 레일 외측에는 외측 단위 면적(3개의 면적)에 맞게 규격화된 상부 보강부재(100)를 설치한다.
이때 상부 보강부재(100)의 보강살부(130)는 판 부재(200)의 보강살홈(230)에 삽입식으로 결합되며, 각 보강살부(130)가 이루는 교차 지점에 형성된 고정부(140)도 판 부재(200)의 고정부홈(240)에 삽입식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다수개의 판 부재(200)는 하나의 집합체 형태로 묶여지게 된다.
판 부재(200)의 하부면에서는 이와 동일한 형태로 하부 보강부재(300)가 결합된다.
이후, 상하부 보강부재(100,300)의 각 고정부(140,340)에 형성된 나사공(140a,340a)과 판 부재(200)에 형성된 또다른 나사공(240a)을 통해 고정용 나사(400)를 관통시켜 침목(10)측에 판 부재(200)와 상하부 고정부재(100,300)를 함께 고정시킨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레일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는 판 부재의 폭이나 길이, 내외측 단위 면적을 형성하는 판 부재의 갯수는 적절하게 변형 가능하며, 이에 대응한 보강부재의 면적, 보강살의 간격 및 갯수 등도 적절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개의 판 부재로 이뤄져 설치성이 양호하며, 판 부재를 커버하는 상하부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시의 내구성 및 견고함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판 부재를 적절한 층 구조로 형성하므로, 보행 편의성과 전체적인 내구성도 우수하다.
특히, 판 부재를 집합체 형태로서 지지하는 하부 보강부재가 판 부재의 하측면에 별도 구비되므로, 판 부재의 지지 및 고정면에서 더욱 향상된 내구성 및 견고함을 제공한다.

Claims (3)

  1. 철도 건널목에 설치되어 통행용 도로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장방형 육면체로 형성되어 레일(12) 내측 또는 외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블록식으로 배치되고, 소정 간격을 따라 고정용 나사(400)가 통과하는 나사공(240a)이 형성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소정 간격으로 사선 방향의 보강살홈(230)이 교차 형성된 판 부재(200);
    상기 다수개의 판 부재(200)가 이루는 단위 면적의 크기로 형성되며, 레일(12)과 동일 방향의 종테두리부(110)와 수직 방향의 횡테두리부(120), 이를 종횡으로 분할하는 중간테두리부(125)가 이루는 장방형 테두리 내에 사선 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살부(130)가 교차 형성되되, 상기 보강살부(130)는 상기 상부 보강살홈(2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삽입식으로 결합 가능하며, 상기 판 부재(200)의 나사공(240a)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또다른 나사공(140a)이 형성된 고정부(140)를 구비한 상부 보강부재(100);
    상기 다수개의 판 부재(200)가 이루는 단위 면적의 크기로 형성되며, 레일(12)과 동일 방향의 종테두리부(310)와 수직 방향의 횡테두리부(320), 이를 종횡으로 분할하는 중간테두리부(325)가 이루는 장방형 테두리 내에 사선 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살부(330)가 교차 형성되되, 상기 보강살부(330)는 상기 하부 보강살홈(2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삽입식으로 결합 가능하며, 상기 판 부재(200)의 나사공(240a)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또다른 나사공(340a)이 형성된 고정부(340) 를 구비한 하부 보강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건널목 포장용 판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보강부재(100,300)의 고정부(140,340)는 사선 방향으로 교차된 각 보강살부(130,330)가 이루는 교차 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40,340)의 위치에 대응하는 판 부재(200)의 면에는 해당 고정부(140,340)가 삽입식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고정부홈(2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건널목 포장용 판 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재(200)는, 상부측으로부터 고무층(222) 및 강판(221), 합성수지 발포체(231), 경질 고무층(233)의 층 구조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건널목 포장용 판 구조물.
KR1020050088587A 2005-09-23 2005-09-23 철도 건널목 포장용 판 구조물 KR100647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587A KR100647740B1 (ko) 2005-09-23 2005-09-23 철도 건널목 포장용 판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587A KR100647740B1 (ko) 2005-09-23 2005-09-23 철도 건널목 포장용 판 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355U Division KR200370281Y1 (ko) 2004-09-23 2004-09-23 철도 건널목 포장용 판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784A KR20060027784A (ko) 2006-03-28
KR100647740B1 true KR100647740B1 (ko) 2006-11-23

Family

ID=37138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587A KR100647740B1 (ko) 2005-09-23 2005-09-23 철도 건널목 포장용 판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7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18872A1 (en) * 2020-10-19 2022-04-21 Beam Global Portable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station configured for regulatory parking com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784A (ko) 200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740B1 (ko) 철도 건널목 포장용 판 구조물
KR200370281Y1 (ko) 철도 건널목 포장용 판 구조물
KR100647739B1 (ko) 철도 건널목 포장용 판 구조물
KR200370270Y1 (ko) 철도 건널목 포장용 판 구조물
KR102066107B1 (ko) 탄성 결속구를 이용한 방음터널의 상부 방음판 고정장치
JP5913033B2 (ja) 鉄道線路横断用舗装板及びその舗装構造
DE102014113295B3 (de) Bahnübergangsbelagssystem
RU176621U1 (ru) Настил для пешеходного перехода через рельсовый путь
JP4355234B2 (ja) 踏切用舗装板及び踏切用舗装構造
JP3657083B2 (ja) 踏切舗装構造の施工方法
US11891760B2 (en) Rail assembly for rail vehicles having flanged wheels
JP3519885B2 (ja) 踏切路床板
JP4698465B2 (ja) 防音壁
EP1321577A2 (en) Under-ballast damping device for railroads
US1130997A (en) Flangeway-guard for highway-crossings.
JP6141657B2 (ja) 踏切用舗装板
JPH1171704A (ja) 踏切用ブロック、及び踏切構造
JPH0118641Y2 (ko)
KR100622219B1 (ko)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
JP2004339787A (ja) 踏切舗装板構造
EP1726714A2 (en) Vehicle supporting surface for a level crossing
JP7057739B2 (ja) 軌道内ケーブル防護板
JP5922595B2 (ja) 踏切構造
JP2001271304A (ja) 防滑ゴムマット
JP2930586B1 (ja) 踏切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