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955B1 -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955B1
KR100645955B1 KR1020050109489A KR20050109489A KR100645955B1 KR 100645955 B1 KR100645955 B1 KR 100645955B1 KR 1020050109489 A KR1020050109489 A KR 1020050109489A KR 20050109489 A KR20050109489 A KR 20050109489A KR 100645955 B1 KR100645955 B1 KR 100645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ffic
voice
received
rfid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정
박남효
Original Assignee
박인정
박남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정, 박남효 filed Critical 박인정
Priority to KR1020050109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39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 G06K7/1447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extracting optical codes from image or text carrying said optical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또는 외부지역 거주자 등의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은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또는 외부지역 거주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교통약자 각각의 "분야별 태그 값"이 기록되어 있는 알에프아이디 태그와,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태그 값으로 변환하여 각각의 교통약자의 분야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여 소정 음성 안내방송용 스피커로 전송하는 알에프아이디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는 소정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의 하단에 구비되어지는 것과 상기 알에프아이디 단말의 구성요소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소정 보도블록에 매설되어 구비되어지거나 보도블록의 하부에 거치되어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판을 읽을 수 없는 시각장애인 등의 교통약자가 원하는 목적지를 보다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횡단보도나 건널목에서 교통신호와 연계하여 보다 안전한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알에프아이디 태그(RFID Tag), 알에프아이디 단말(RFID Reader)

Description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Voice information system for disabled persons and method therefor }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예 및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및 보도블록을 설명하는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아이디 단말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보도블록과 결합되는 모양을 설명하는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이 설치되는 예를 설명하는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주요부호의 설명>
100: 알에프아이디 태그, 200: 알에프아이디 단말,
300: 음성 안내방송용 스피커, 400: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410: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의 하단, 500: 보도블록,
600: 교통신호 제어기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또는 외부지역 거주자 등의 교통약자를 위 한 음성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도블록의 내부 또는 하부에 알에프아이디 단말을 구성하는 요소의 일부(예컨대, 알에프 송수신부의 안테나 등) 또는 전부를 소정 보도블록의 내부에 매설시키거나 아니면 보도블록의 하부에 거치시켜서 지하도의 출구나 지하철역의 출입구 또는 횡단보도의 측단 또는 특정건물의 입구 등의 다양한 장소에 시설한 후 시각장애인 등의 교통약자에게 보급된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상기 보도블록에 접근했을 경우,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에 기록되어 있는 태그 값을 독출하여 상기 교통약자가 시각장애인인지 또는 노약자인지 등을 판독한 후, 대응되는 음성 안내방송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시각장애인 등이 촉감 등을 이용하여 위험지역의 여부 또는 횡단보도 인지의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점자블록 등이 시설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보도블록의 내부에 메모리 카드 등을 매설하고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감지센서 등을 부착한 후, 감지센서가 메모리 카드 등에 접근했을 경우 진동을 발생시켜 시각장인에게 위험 또는 도로의 이탈 등을 알리거나 시각장애인의 이어폰 등에 경보음 등을 발생시키는 방법 등이 일부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경우는, 시각장애인 등의 교통약자에 단순히 위험 또는 도로의 이탈 등만을 알릴 수 있을 뿐, 현재 장소의 위치가 어디인지 또는 현재 방향으로 계속하여 나아갈 경우 원하는 목적지로 갈 수 있는지 등의 보다 구체적인 안내를 하는 것은 불가능 하였으며, 또한 시각장애인이 이외의 안내문을 읽을 수 없는 노약자 등에게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 등이 있어왔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나 안내문 등을 읽을 수 없는 노약자 또는 외부지역 거주자 등의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은,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또는 외부지역 거주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교통약자 각각의 "분야별 태그 값"이 기록되어 있는 알에프아이디 태그(100)와,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태그 값으로 변환한 후 각각의 교통약자별 분야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여 소정 음성 안내방송용 스피커(300)로 전송하는 알에프아이디 단말(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의 상기 알에프아이디 단말(200)은,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또는 외부지역 거주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교통약자의 "분야별 태그 값"을 등록받아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d201)를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식별정보 등록부(h201)와, 소정 장소의 명칭, 위치, 방향, 번지수 또는 대표건물의 명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음성으로 출력되어지는 것이 가능한 "음성 데이터"를 등록받아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를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안내정보 등록부(h202)와, 상기 교통약자가 신체의 소정 부위에 부착하거나 소지하고 있는 알에프아이디 태그(100)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알에프 아이디 태그(100)로부터 반사되는 알에프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알에프 송수신부(h203)와,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판독이 가능한 태그 값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 처리부(h204)와, 상기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로부터 상기 장소를 안내하는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여 음성 안내방송용 스피커(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음성 출력부(h205) 및 상기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d201)를 조회하여 변환된 상기 태그 값에 대응되는 교통약자의 "분야별 태그 값"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기능과, 상기 식별정보 등록부(h201)와 상기 안내정보 등록부(h202)와 상기 알에프 송수신부(h203)와 상기 신호 처리부(h204) 및 상기 음성 출력부(h205)가 원활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동작 제어부(h20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제어부(h206)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로부터 소정 알에프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과, 상기 알에프 송수신부(h203)는 소정의 알에프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다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으며,
아울러 상기 알에프 송수신부(h203)는 상기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d201)에 변환된 태그 값에 대응되는 "분야별 태그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다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게다가 상기 동작 제어부(h206)는 소정 사용자로부터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를 종료하라는 종료명령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종료명령이 수신된 경우에는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를 종료하는 것과, 상기 알에프 송수신부(h203)는 종료명령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다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더욱이 상기 안내정보 등록부(h202)는 소정 교통신호 제어기(60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상태의 교통신호에 대응되어 음성으로 출력되어지는 것이 가능한 "교통신호안내 음성 데이터"를 등록받아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과, 상기 동작 제어부(h206)는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600)로부터 현재 상태의 교통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과, 상기 음성 출력부(h205)는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600)로부터 현재 상태의 교통신호가 수신되어진 경우 상기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로부터 현재의 교통신호에 대응되는 교통신호안내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여 음성 안내방송용 스피커(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의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는, 소정 시각장애인용 지팡이(400)의 하단(410)에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도 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상기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의 상기 알에프아이디 단말(200)의 구성요소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소정 보도블록에 매설되어 구비(510)되어지거나 소정 보도블록의 하부에 거치되어 구비(520)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방법은 (a) 소정 단말이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또는 외부지역 거주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교통약자의 "분야별 태그 값"을 등록받아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d201)를 구축하는 단계(s201)와, (b) 상기 단말이 소정 장소의 명칭, 위치, 방향, 번지수 또는 대표건물의 명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음성으로 출력되어지는 것이 가능한 "음성 데이터"를 등록받아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를 구축하는 단계(s202)와, (c) 상기 단말은 상기 교통약자가 신체의 소정 부위에 부착하거나 소지하고 있는 알에프아이디 태그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s203)하고,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로부터 반사되는 알에프 신호를 수신(s204, yes)하는 단계와, (d) 상기 단말은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판독이 가능한 태그 값으로 변환(s205)하고, 상기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d201)를 조회하여 변환된 상기 태그 값에 대응되는 교통약자의 "분야별 태그 값"이 존재하는지를 판단(s206)하는 단계와, (e) 상기 단말은 교통약자의 "분야별 태그 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로부터 상기 장소를 안내하는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여 음성 안내방송용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s2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방법의 상기 (c) 단계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로부터 소정 알에프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04)를 더 포함하고, 소정의 알에프 신호가 수신된 경우(s204, yes)에는 상기 (d) 단계를 실행하는 것과, 소정의 알에프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s204, no)에는 상기 알에프 아이디 태그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s203)을 다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도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방법의 상기 (d) 단계는, 상기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변환된 태그 값에 대응되는 "분야별 태그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s206, no)에는 상기 (c) 단계를 다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으며,
게다가 상기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방법은, (f) 상기 단말은 소정 사용자로부터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를 종료하라는 종료명령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08)를 더 포함하고, 종료명령이 수신된 경우(s208, yes)에는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를 종료하는 것과, 종료명령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s208,no)에는 상기 (c) 단계를 다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방법의 상기 (b)단계는, 상기 단말이 소정 교통신호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상태의 교통신호에 대응되어 음성으로 출력되어지는 것이 가능한 "교통신호안내 음성 데이터"를 등록받아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에 저장하는 단계(s211)를 더 포함하는 것과, 상기 (e)단계는, 상기 단말은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로부터 현재 상태의 교통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212)하고, 현재 상태의 교통신호가 수신되어진 경우(s212, yes) 상기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로부터 현재의 교통신호에 대응되는 교통신호안내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여 음성 안내방송용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s2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들은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위 프로그램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 및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알에프아이디(RFID,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개념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태그(Tag)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비 접촉식으로 독출하거나 기록하는 기술로서, 태그가 부착된 물건이나 동물, 사람 등을 인식ㅇ추적ㅇ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은 고유한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물건이나 동물 등에 부착되는 태그와, 이 태그가 가지고 있는 식별정보를 읽거나 또는 쓰기 위한 리더(Reader)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알에프아이디 태그는 통상 IC 칩과 안테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IC 칩에는 알에프(RF) 송수신회로, 제어로직 및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는 능동형 태그(Active Tag)와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지 않는 수동형 태그(Passive Tag)로 구분되며, 다양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진다.
또한 알에프아이디 리더는 특정 주파수대역의 알에프 신호를 알에프아이디 태그로 전송함과 아울러 알에프아이디 태그에서 반사되어 오는 알에프 신호를 수신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알에프아이디 리더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는 알에프 송수신부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리더에서 전송되는 알에프 신호를 반사함과 아울러 반사되는 알에프 신호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변조시켜 송신한다. 한편, 상기 알에프아이디 리더는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알에프아이디 리더에서 독출된 테이터는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의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게 된다.
배터리가 내장되지 않은 수동형 태그의 경우는, 알에프아이디 리더와의 사이에 정보 제공 등의 통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알에프아이디 태그에 전원을 공급하여 활성화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알에프아이디 리더는 소정 주파수대역의 고주파를 이용하여 질문신호와 함께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알에프아이디 리더가 알에프아이디 태그의 IC 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력 전송방법으로는 자계결합 방식과 고주파 방식이 있다. 자계결합 방식은 알에프아이디 리더와 알에프아이디 태그의 다권선 코일 사이의 유도 작용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것으로 태그의 다권선 코일에 흐르는 교류전류를 정류하여 직류전원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계결합 방식은 알에프아이디 태그의 인식거리가 매우 짧기 때문에 물류관리, 출입관리 및 교통카드 등 한정된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반면에 고주파 방식은 IC 칩을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동작전원을 알에프아이디 리더의 고주파 신호로부터 공급받는다. 즉, 알에프아이디 리더에서 전송되는 무선 주파수는 태그 안테나에 교류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교류는 정류기를 통해서 정류된 후 IC 칩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직류전원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전력공급 방식을 이용하면 알에프아이디 태그와 알에프아이디 리더간의 통신거리를 4m~10m 이상으로 늘릴 수도 있다. 또한 이론적으로는 알에프아이디 리더가 송출하 는 고주파의 송신출력을 증대시키면 태그와 리더간의 통신거리는 더욱 늘릴 수도 있다. 그러나 알에프아이디 리더의 송신 출력이 커질수록 인접한 알에프아이디 리더 사이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서비스 사이에 주파수 간섭이 일어난다.
이러한 대부분의 수동형 태그는 단순히 식별코드를 저장하는 기능에 머물렀으므로 알에프아이디 리더가 정보를 요청할 때에만 일시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에 반하여 능동형 태그의 경우는 프로세서와 메모리가 장착되어 읽기 및 쓰기 등도 가능하며 알에프아이디 리더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계속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능동형 태그는 자체적으로 배터리가 내장되어야 하므로 가격이 비싸고 소형화가 어려우며 배터리 수명에 따라 사용 기간이 제한 받는 단점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토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사용예를 설명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의 참고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이 사용되기 위해서는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알에프아이디 태그(100)와 상기 태그로부터 알에프 신호를 수신받아 안내방송 여부를 결정한 후 필요한 경우 음성 데이터를 음성 안내방송용 스피커(300)에 전송하는 알에프아이디 단말(200)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알에프아이디 태그(100)는 교통약자의 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되어 질 수 있는데 일예로 시각장애인용 알에프아이디 태그는 RFID-001로하고, 안내문을 읽을 수 없는 노약자는 RFID-002로하고, 초행길에 있는 외지인의 경우는 RFID-003 등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태그 값을 다르게 기록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는 각각의 태그 값에 따라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다르게 선택하는 등 본 발명을 보다 다양하게 이용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알에프아이디 단말(200)은 식별정보 등록부(h201)와 안내정보 등록부(h202)와 알에프 송수신부(h203)와 신호 처리부(h204)와 음성 출력부(h205) 및 동작 제어부(h206)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되는데, 상기 식별정보 등록부(h201)는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또는 외부지역 거주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교통약자의 분야별 태그 값을 등록받아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d201)를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안내정보 등록부(h202)는 소정 장소의 명칭, 위치, 방향, 번지수 또는 대표건물의 명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음성으로 출력되어지는 것이 가능한 음성 데이터를 등록받아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를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알에프 송수신부(h203)는 상기 교통약자가 신체의 소정 부위에 부착하거나 소지하고 있는 알에프아이디 태그(100)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로부터 반사되는 알에프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h204)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판독이 가능한 태그 값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h205)는 상기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로부터 상기 장소를 안내하는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여 음성 안내방송용 스피커(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동작 제어부(h206)는 상기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d201)를 조회하여 변환된 상기 태그 값에 대응되는 교통약자의 분야별 태그 값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기능과, 상기 식별정 보 등록부(h201)와 상기 안내정보 등록부(h202)와 상기 알에프 송수신부(h203)와 상기 신호 처리부(h204) 및 상기 음성 출력부(h205)가 원활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동작 제어부(h206)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로부터 소정 알에프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알에프 송수신부(h203)는 소정의 알에프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다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알에프 송수신부(h203)는 상기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d201)에 변환된 태그 값에 대응되는 분야별 태그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다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동작 제어부(h206)는 소정 사용자로부터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를 종료하라는 종료명령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종료명령이 수신된 경우에는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를 종료하는 것과, 상기 알에프 송수신부(h203)는 종료명령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다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은 이상에서 설명한 교통약자에 대한 장소 등의 안내 방송에 더하여, 교통약자가 보다 안전하게 횡단보도 등을 횡단할 수 있도록 횡단보도나 건널목 등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등의 교통신호 제어기(600) 등과 연계하는 것(예컨대, 교통약자가 접근되었음이 인지된 상태에서 교통신호가 "보행"상태로 변경된 경우에 "삐~삐~삐~"등의 신호음이나 "보행신호로 변경 되었습니다" 등과 같은 안내방송을 출력하는 등)도 당연히 가능할 것인데, 이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안내정보 등록부(h202)는 현재 상태의 교통신호에 대응되어 교통약자에게 음성으로 안내되어질 신호음 또는 기타의 교통신호안내 음성 데이터를 등록받아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에 더 저장하여야 할 것이다. 이후 상기 동작 제어부(h206)는 교통약자가 인지된 상태 하에서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600)로부터 현재 상태의 교통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600)로부터 "정지" 또는 "보행" 등의 현재 상태의 교통신호가 수신되어진 경우라면 상기 음성 출력부(h205)는 상기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로부터 현재의 교통신호에 대응되는 교통신호안내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여 음성 안내방송용 스피커(300)로 전송하게 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및 보도블록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아이디 단말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보도블록과 결합되는 모양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는 신용카드 등의 카드나 이름표 등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나 사각장애인 등의 교통약자라면 시각장애인용 지팡이(400)의 하단(410)에 구비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알에프아이디 단말(200)은 구성요소인 식별정보 등록부(h201)와 안내정보 등록부(h202)와 알에프 송수신부(h203)와 신호 처리부(h204)와 음성 출력부(h205) 및 동작 제어부(h206)의 일부 또는 전부가 도시된 부호 200a와 부호 200b와 같이 분리되어 지는 것도 가능할 것인데, 이는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예컨대, 200a와 같은) 또는 전부가 보도블록(500)에 매설되어 구비(510)되어지거나 보도블록(500)의 하부에 거치되어 구비(520)되어지는 것 모두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보도블록(500)은 지면(600)의 위에 놓여져서 설치되는게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알에프아이디 단말(200)의 일부(200a) 또는 전부(200a 및 200b)가 매설되어 있거나 하부에 거치되어 있는 보도블록(5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횡단보도의 측단(도 4a)이나 지하철 승강장(도 4b)이나 육교의 진입구(도 4c) 또는 지하도의 계단 입구나 건물의 입구 등 다양한 장소에 시설되어지는 것이 가능한데, 일예로 알에프아이디 태그(100)를 구비하고 있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가 근접할 경우, 상기 알에프아이디 단말(200)은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로부터 수신되는 알에프 신호를 판독하여 시각장애인임을 확인하고 상기 음성정보 데이터베이스(d102)로부터 시각장애인에 해당되는 음성데이터(예컨대, "이곳은 사당역 제 4번 출구로서, 계속하여 진행하실 경우 남태령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등)와 같은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여 음성 안내방송이 가능한 음성 안내방송용 스피커(3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음성 안내방송용 스피커(300)는 상기 보도블록(500)의 내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음성 안내방송 전용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안내방송용 스피커 중 보도블록(500)과 가까운 거리에 있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안내 방송이 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말(또는 알에프아이디 단말)이 우선,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또는 외부지역 거주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교통약자의 분야별 태그 값을 등록받아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d201)를 구축(s201)하고 또한 상기 보도블록이 설치되어 있는 소정 장소의 명칭, 위치, 방향, 번지수 또는 대표건물의 명칭 등을 포함하여 음성으로 출력되어지는 것이 가능한 음성 데이터를 등록받아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를 구축(s202)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도블록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가 횡단보도 또는 건널목 등 교통신호 제어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라면 상기 단말은 교통신호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정지" 또는 "보행" 등의 현재 상태의 교통신호에 대응되어 음성으로 출력되어지는 것이 가능한 신호음 또는 기타의 교통신호안내 음성 데이터를 등록받아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에 더 저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교통약자가 신체의 소정 부위에 부착하거나 소지하고 있는 알에프아이디 태그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s203)하고,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로부터 반사되는 알에프 신호를 수신(s204, yes)하게 되는데, 만약 알에프 신호 수신여부를 판단(s204)한 결과 수신된 신호가 없는 경우(s204, no)에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또는 다른 알에프아이디 태그) 등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s203)을 다시 실행하게 될 것이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판독이 가능한 태그 값으로 변환(s205)하고, 상기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d201)를 조회하여 변환된 상기 태그 값에 대응되는 교통약자의 분야별 태그 값(예컨대, 시각장애인 또는 노약자 또는 외지인 등으로 분류되어 분야별로 태그 값이 지정되어 등록된 경우 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s206)하게 될 것이다. 만 약 교통약자의 분야별 태그 값이 존재하는 경우(s206, yes)라면 상기 단말은 상기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로부터 상기 장소를 안내하는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여 음성 안내방송용 스피커로 전송(s207)하게 될 것이고, 상기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변환된 태그 값에 대응되는 분야별 태그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s206, no)에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또는 다른 알에프아이디 태그) 등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s203)을 다시 실행하게 될 것이다. 이때 횡단보도 또는 건널목 등 교통신호 제어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라면, 상기 단말은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로부터 현재 상태의 교통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212)하고, 현재 상태의 교통신호가 수신되어진 경우(s212, yes)에는 상기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로부터 현재의 교통신호에 대응되는 교통신호안내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여 음성 안내방송용 스피커로 더 전송(s213)하며 교통약자가 횡단보도 등을 신호가 바뀌기 전에 안전하게 횡단하거나 아니면 교통신호가 바뀔 때까지 대기하도록 하는 등의 안내방송을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후, 상기 단말은 소정 사용자로부터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를 종료하라는 종료명령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s208)하는 것을 더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데, 만약 종료명령이 수신된 경우(s208, yes)라면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를 종료하게 될 것이고, 종료명령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s208,no)라면 계속하여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또는 다른 알에프아이디 태그) 등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s203)을 반복하여 실행하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위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경우라면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나 안내문 등을 읽을 수 없는 노약자 또는 외부지역 거주자 등의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각장애인 등의 교통약자에 단순히 위험 또는 도로의 이탈 등만을 알릴 수 있을 뿐, 현재 장소의 위치가 어디인지 또는 현재 방향으로 계속하여 나아갈 경우 원하는 목적지로 갈 수 있는지 등의 보다 구체적인 안내를 하는 것은 불가능 하였으며, 또한 시각장애인이 이외의 안내문을 읽을 수 없는 노약자 등에게는 적용할 수 없는 등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신체의 일부에 부착 또는 소지하고 있는 시각장애인 또는 안내판을 읽을 수 없는 노약자 등의 교통약자가 원하는 목적지를 보다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교통약자에 대한 장소 등의 안내에 더하여, 횡단보도나 건널목 등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등 등의 교통신호 제어기와 연계하여 "보행 또는 정지" 등의 신호음 또는 안내방송을 더 실시할 경우 교통약자가 보다 안전하게 횡단 또는 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도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또는 외부지역 거주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교통약자 각각의 "분야별 태그 값"이 기록되어 있는 알에프아이디 태그(100); 와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태그 값으로 변환한 후 각각의 교통약자별 분야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여 소정 음성 안내방송용 스피커(300)로 전송하는 알에프아이디 단말(200);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아이디 단말(200)은,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또는 외부지역 거주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교통약자의 "분야별 태그 값"을 등록받아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d201)를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식별정보 등록부(h201); 와
    소정 장소의 명칭, 위치, 방향, 번지수 또는 대표건물의 명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음성으로 출력되어지는 것이 가능한 "음성 데이터"를 등록받아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를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안내정보 등록부(h202); 와
    상기 교통약자가 신체의 소정 부위에 부착하거나 소지하고 있는 알에프아이디 태그(100)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로부터 반사되는 알에프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알에프 송수신부(h203); 와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판독이 가능한 태그 값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 처리부(h204); 와
    상기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로부터 상기 장소를 안내하는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여 음성 안내방송용 스피커(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음성 출력부(h205); 및
    상기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d201)를 조회하여 변환된 상기 태그 값에 대응되는 교통약자의 "분야별 태그 값"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기능과, 상기 식별정보 등록부(h201)와 상기 안내정보 등록부(h202)와 상기 알에프 송수신부(h203)와 상기 신호 처리부(h204) 및 상기 음성 출력부(h205)가 원활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동작 제어부(h206);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h206)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로부터 소정 알에프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 과
    상기 알에프 송수신부(h203)는, 소정의 알에프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다시 실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 송수신부(h203)는, 상기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d201)에 변환된 태그 값에 대응되는 "분야별 태그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다시 실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h206)는, 소정 사용자로부터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를 종료하라는 종료명령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종료명령이 수신된 경우에는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를 종료하는 것; 과
    상기 알에프 송수신부(h203)는, 종료명령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다시 실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정보 등록부(h202)는, 소정 교통신호 제어기(60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상태의 교통신호에 대응되어 음성으로 출력되어지는 것이 가능한 "교통신호안내 음성 데이터"를 등록받아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 과
    상기 동작 제어부(h206)는,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600)로부터 현재 상태의 교통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 과
    상기 음성 출력부(h205)는,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600)로부터 현재 상태의 교통신호가 수신되어진 경우 상기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로부터 현재의 교통신호에 대응되는 교통신호안내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여 음성 안내방송용 스피커(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100)는, 소정 시각장애인용 지팡이(400)의 하단(410)에 구비되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아이디 단말(200)의 구성요소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소정 보도블록에 매설되어 구비(510)되어지거나 소정 보도블록의 하부에 거치되어 구비(520)되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9. (a) 소정 단말이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 또는 외부지역 거주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교통약자의 "분야별 태그 값"을 등록받아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d201)를 구축하는 단계(s201); 와
    (b) 상기 단말이 소정 장소의 명칭, 위치, 방향, 번지수 또는 대표건물의 명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음성으로 출력되어지는 것이 가능한 "음성 데이 터"를 등록받아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를 구축하는 단계(s202); 와
    (c) 상기 단말은 상기 교통약자가 신체의 소정 부위에 부착하거나 소지하고 있는 알에프아이디 태그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s203)하고,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로부터 반사되는 알에프 신호를 수신(s204, yes)하는 단계; 와
    (d) 상기 단말은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판독이 가능한 태그 값으로 변환(s205)하고, 상기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d201)를 조회하여 변환된 상기 태그 값에 대응되는 교통약자의 "분야별 태그 값"이 존재하는지를 판단(s206)하는 단계; 와
    (e) 상기 단말은 교통약자의 "분야별 태그 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로부터 상기 장소를 안내하는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여 음성 안내방송용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s20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로부터 소정 알에프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04); 를 더 포함하고,
    소정의 알에프 신호가 수신된 경우(s204, yes)에는 상기 (d) 단계를 실행하는 것과, 소정의 알에프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s204, no)에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에 알에프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s203)을 다시 실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변환된 태그 값에 대응되는 "분야별 태그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s206, no)에는 상기 (c) 단계를 다시 실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f) 상기 단말은 소정 사용자로부터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를 종료하라는 종료명령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08); 를 더 포함하고,
    종료명령이 수신된 경우(s208, yes)에는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를 종료하는 것과, 종료명령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s208,no)에는 상기 (c) 단계를 다시 실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단말이 소정 교통신호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상태의 교통신호에 대응되어 음성으로 출력되어지는 것이 가능한 "교통신호안내 음성 데이터"를 등록받아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에 저장하는 단계(s211); 와
    상기 (e)단계는,
    상기 단말은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로부터 현재 상태의 교통신호가 수신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s212)하고, 현재 상태의 교통신호가 수신되어진 경우(s212, yes) 상기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d202)로부터 현재의 교통신호에 대응되는 교통신호안내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여 음성 안내방송용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s21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방법.
  14. 제 9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109489A 2005-11-16 2005-11-16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45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489A KR100645955B1 (ko) 2005-11-16 2005-11-16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489A KR100645955B1 (ko) 2005-11-16 2005-11-16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955B1 true KR100645955B1 (ko) 2006-11-14

Family

ID=37654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489A KR100645955B1 (ko) 2005-11-16 2005-11-16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95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51B1 (ko) 2006-12-01 2008-09-02 주식회사 이비 시각 장애인용 전자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길 안내 방법
WO2009001991A1 (en) * 2007-06-22 2008-12-31 Core Global It Co., Ltd. Voice guidance apparatus for visually handicapped
KR101421934B1 (ko) 2012-06-28 2014-07-23 진병무 시각장애인 유도 및 안내정보 자동 발생기능을 구비한 전자보도블록
KR20160018025A (ko) 2014-08-07 2016-02-1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교통 약자 보호장치 및 방법
CN105575297A (zh) * 2016-03-03 2016-05-11 厦门精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帮盲人指路的地名标志
CN109000652A (zh) * 2018-06-04 2018-12-14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路线导航装置、系统及盲道
KR20230124139A (ko) * 2022-02-17 2023-08-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Rfid를 활용한 이동정보 제공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51B1 (ko) 2006-12-01 2008-09-02 주식회사 이비 시각 장애인용 전자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길 안내 방법
WO2009001991A1 (en) * 2007-06-22 2008-12-31 Core Global It Co., Ltd. Voice guidance apparatus for visually handicapped
KR101421934B1 (ko) 2012-06-28 2014-07-23 진병무 시각장애인 유도 및 안내정보 자동 발생기능을 구비한 전자보도블록
KR20160018025A (ko) 2014-08-07 2016-02-1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교통 약자 보호장치 및 방법
CN105575297A (zh) * 2016-03-03 2016-05-11 厦门精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帮盲人指路的地名标志
CN109000652A (zh) * 2018-06-04 2018-12-14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路线导航装置、系统及盲道
KR20230124139A (ko) * 2022-02-17 2023-08-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Rfid를 활용한 이동정보 제공 시스템
KR102610979B1 (ko) * 2022-02-17 2023-12-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Rfid를 활용한 이동정보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955B1 (ko) 교통약자를 위한 음성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78307B1 (ko) 저 전력 리더-태그 통신을 위한 지능형 무선주파수인식시스템 및 그 방법
AU2005298628B2 (en) Navigation system for disabled persons, in particular visually impaired persons
KR100778306B1 (ko) 저전력 리더-태그 통신을 위한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그 방법
US726677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that equates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with user-entered position information
Na The blind interactive guide system using RFID-based indoor positioning system
JPWO2009001408A1 (ja) Rfidリーダ、電子タグ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への通知データの送信方法
JP3679388B2 (ja) 視覚障害者誘導システム
JP2004309305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KR20150093000A (ko) 능동형 rfid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안내장치
KR100861094B1 (ko)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방법
JP4816609B2 (ja) 所在管理システムなら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読取り装置および端末器
KR101944753B1 (ko) 출입관리시스템 및 출입관리방법
KR20050043836A (ko)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 위치 정보제공 시스템
KR20060135259A (ko) 탑승객 관리방법 및 장치
JP2001338385A (ja) 位置処理システム
KR20120116035A (ko) 교통약자용 지하철 음성안내 시스템
KR100789099B1 (ko) 장애인 차량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JP2003060556A (ja) 携帯電話の使用可否管理システム、携帯電話装置、質問装置及び応答装置並びに携帯電話装置の使用可否管理方法
JPH0622998A (ja) 盲人誘導装置
KR101130056B1 (ko) 장애인용 교통 편의 장치
JP3887650B2 (ja) 歩行者に施設情報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3809107B2 (ja) 情報受信システム
US20090224934A1 (en) Caneye process
KR20080009820A (ko) 리더-태그 통신을 위한 확장형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