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997B1 -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997B1
KR100644997B1 KR1020040069629A KR20040069629A KR100644997B1 KR 100644997 B1 KR100644997 B1 KR 100644997B1 KR 1020040069629 A KR1020040069629 A KR 1020040069629A KR 20040069629 A KR20040069629 A KR 20040069629A KR 100644997 B1 KR100644997 B1 KR 100644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nt
hangul
output data
screen outpu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0909A (ko
Inventor
김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마사 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마사 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마사 소프트
Priority to KR1020040069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997B1/ko
Publication of KR20060020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한글 폰트와, 각각의 폰트 데이타가 상기 한글 폰트와 동일한 크기의 이미지로 구성되는 한자 폰트와, 다수의 어휘 및 각 어휘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사전 DB를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키조작에 따라 상기 저장된 사전 DB로부터 선택된 문자열 인덱스에 대응하는 한글 및 한자들을 상기 한글 폰트 및 한자 폰트를 각각 참조하여 배열함으로써 한글 및 한자들이 하나의 화면에 출력되는 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화면출력 데이타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여 출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항시 휴대하고 다니면서 빈번하게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 화면에 한글과 한자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어 이를 열람하는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한자 학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한글, 한자, 학습

Description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Mobile phone had a function of learning for a Chinese characte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출력 모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휘 사전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자성어 사전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메모리부
111 : 한글 폰트 112 : 한자 폰트
113 : 사전 DB 114 : 영문 폰트
115 : 문제 DB 120 : 키조작부
130 : 키입력 오토마타 140 : 제어부
141 : 메뉴 선택부 142 :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
143 : 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 144 : 표시 제어부
150 : 표시부
본 발명은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내에서 한글과 한자를 하나의 화면상에서 구현하는 문자 출력 기술과 관련된다.
1970년 국내 교과서의 문자정책이 '한글전용'으로 강행된 후 한자를 병행하지 않은 한글만의 사용이 교육, 언론, 출판 등 각 계에 파급되어 최근에는 한자 사용이 빈번하지 않으므로, 젊은층의 경우 한자를 많이 알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일부에서는 한자를 사용하지 않고 한글만을 사용함에 의해 문화의 표피화, 공동화 현상을 초래함으로써 문화 경쟁력 저하와 한자문화권에서의 고립, 그리고 통일 후 한자 교육 불균형 등 문화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에 대해 조심스럽게 경고하고 있다.
현재 초등학교의 경우 한자 교과서가 선택 과목(3∼6년)에 포함되어 있으나, 필수 과목인 영어 시간의 증대로 사실상 한자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 현실이며, 중/고등학교의 경우 한자 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나, 이 또한 대학 입학 학력 평가인 수능 교육의 편중으로 그 효과가 미비하다.
따라서, 한자 교육의 부재로 인해 정확한 어휘 이해 부족 등 문장력, 사고력 저하를 초래하고 교양, 실용, 전문적인 언어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함에 의해 업무 수행 능력이 현저히 감소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항시 휴대하고 다니면서 빈번하게 이용하는 휴대폰, PDA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 화면에 한글과 한자를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한자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항시 휴대하고 다니면서 빈번하게 이용하는 휴대폰, PDA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 화면에 한글과 한자를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한자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한글 폰트와, 각각의 폰트 데이타가 상기 한글 폰트와 동일한 크기의 이미지로 구성되는 한자 폰트와, 다수의 어휘 및 각 어휘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사전 DB를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키조작에 따라 상기 저장된 사전 DB로부터 선택된 문자열 인덱스에 대응하는 한글 및 한자들을 상기 한글 폰트 및 한자 폰트를 각각 참조하여 배열함으로써 한글 및 한자들이 하나의 화면에 출력되는 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화면출력 데이타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항시 휴대하고 다니면서 빈번하게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화면에 한글과 한자를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한자 학습이 가능해진다.
먼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채택한 유니코드(Unicode)에 대해서 알아본다.
휴대폰, PDA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리 제한이 크기 때문에 조합형 한글 코드를 사용하여 한글을 구현해 왔다. 그러나,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점점 그 메모리 한계가 극복되는 추세이므로, 완성형 폰트를 적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상에서 한글을 구현해도 크게 문제가 없다.
영어와 같이 문자(Character) 셋이 255자를 넘지 않는 언어는 1byte 체계로 문자 셋을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한글, 한자, 일본어 등 문자 셋이 255자를 넘는 언어는 2byte 체계로 문자 셋을 표현해야 한다.
유니코드(Unicode)는 1988년 애플(Apple)과 제록스(Xerox)에 의해 표준화된 문자 셋(Charater Set)이다. 이 유니코드는 ASCII 코드(0x0021∼0x007E), 라틴어 코드(0x0080∼0x00FF), 아라비아어 코드(0x0600∼0x06FF), 일본어 히라가나 코드(0x3040∼0x309F), 일본어 카다가나 코드(0x30A0∼0x30FF), 한자 코드(0x4E00∼0x9FAF), 한글 코드(0xAC00∼0xD7AF) 등 각 나라 언어, 수학기호, 특수 기호, 발음 기호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각 나라 언어 문자를 포함하는 유니코드를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상에서 한글과 한자를 하나의 화면상에 구현하여 한자 학습 효과를 향상 시키도록 함에 그 기술적 요지가 있다.
그런데, 유니코드 폰트 자체는 약 6만자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그 용량이 상당하다. 16 ×16 기준으로 전체 유니코드 문자를 추출했을 때 약 2 Mbyte의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체 유니코드 문자 중 ASCII 코드, 한자 코드, 한글 코드 영역만을 추출하여 영문 폰트, 한자 폰트, 한글 폰트를 생성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는 폰트 크기를 줄였다. 상기한 유니코드로부터 문자를 추출하여 폰트를 생성하는 기술은 상용화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모리부(110)와, 키조작부(120)와, 키입력 오토마타(130)와, 제어부(140)와,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한편, 도면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한 구성 이외에도 기지국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스피커 및 마이크 등을 더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와,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음성 또는 데이타 통신에 관련한 구성 및 이들이 수행하는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 출원의 요지를 벗어나는 범위라 판단되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 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110)는 한글 폰트(111)와, 각각의 폰트 데이타가 상기 한글 폰트와 동일한 크기의 이미지로 구성되는 한자 폰트(112)와, 다수의 어휘 및 각 어휘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사전 DB(113)를 저장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14 는 영문 폰트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메모리 저장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유니코드로부터 문자를 추출하여 폰트를 생성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유니코드로부터 한글 코드(0xAC00∼0xD7AF) 영역을 추출하여 한글 폰트(111)를, 한자 코드(0x4E00∼0x9FAF) 영역을 추출하여 한자 폰트(112)를, ASCII 코드(0x0021∼0x007E) 영역을 추출하여 영문 폰트(114)를 생성한다.
그리고, 다수의 어휘와 각 어휘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되, 상기 각 어휘를 이루는 문자열을 상기 한글 폰트(111) 및 한자 폰트(112)로부터 참조하기 위한 인덱스(Index)값을 가지도록 구현한 사전 DB(113)를 미리 구축한다.
위와같이 생성한 한글 폰트(111)와, 한자 폰트(112)와 영문 폰트(114) 및 사전 DB(113)를 본 발명에 따른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메모리부(110)에 저장한다. 이러한 과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사에서 출하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조작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사용자는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키조작부(120)를 통해 다양한 입력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입력중의 하나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상에 한글과 한자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메뉴 선택 명령이나, 상기 메뉴 선택시 메뉴 내부에서 요구되는 사용자 입력이다.
상기 키입력 오토마타(130)는 상기 키조작부(12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키입력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키입력 오토마타(130)로부터 출력된 키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 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사전 DB(113)로부터 선택된 문자열 인덱스에 대응하는 한글 및 한자들을 상기 한글 폰트(111) 및 한자 폰트(112)를 각각 참조하여 배열함으로써 한글 및 한자들이 하나의 화면에 출력되는 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하는 화면출력 모듈을 포함한다.
즉, 이 제어부(140)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존재하는 화면출력 모듈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 화면에 한글 및 한자를 동시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하는데, 이 때, 상기 사전 DB(113)로부터 선택(초기의 경우 화면출력 모듈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되고, 이후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해 선택)된 문자열 인덱스에 대응하는 한글 및 한자들을 상기 한글 폰트(111) 및 한자 폰트(112)를 각각 참조하여 배열하여 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한다.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제어부(140)의 화면출력 모듈에 의해 생성된 화면출력 데이타를 화면 표시하여 한글 및 한자들을 하나의 화면에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부(140)로부터 상기 화면출력 모듈에 의해 생성된 화면출력 데이타에 대한 화면 출력 명령이 전송되면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화면출력 모듈에 의해 생성된 화면출력 데이타를 화면 표시함으로써 한글 및 한자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하나의 화면을 통해 동시에 출력되는 한글 및 한자를 열람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인 한자 학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2 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140)에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존재하는 화면출력 모듈에 대해 좀더 상세히 알아보자.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출력 모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면출력 모듈은 메뉴 선택부(141)와,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와, 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3)와, 표시 제어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메뉴 선택부(141)는 메뉴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 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뉴를 선택받는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해 한자 학습 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화면출력 모듈은 상기 메뉴 선택부(141)를 통해 메뉴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 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뉴 선택을 받는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메뉴 항목은 예컨데, 어휘 사전, 유의어/반의어 사전, 한자성어 사전, 문제풀이 게임 등일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는 상기 메뉴 선택부(141)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사전 DB(113)로부터 선택된 초기화 면 출력될 문자열 인덱스에 대응하는 한글 및 한자들을 상기 한글 폰트(111) 및 한자 폰트(112)를 각각 참조하여 배열하여 초기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한다.
사용자가 상기 메뉴 선택부(141)를 통해 의해 어휘 사전, 유의어/반의어 사전, 한자성어 사전, 문제풀이 게임 등의 메뉴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화면출력 모듈은 상기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를 통해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초기화면을 생성한다. 이 때, 사전 DB(113)로부터 상기 화면출력 모듈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된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초기화면에 포함되는 문자열 인덱스에 대응하는 한글 및 한자들을 상기 한글 폰트(111) 및 한자 폰트(112)를 각각 참조하여 배열함으로써 초기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한다. 선택된 메뉴가 어휘 사전일 경우의 초기화면의 일 예를 도 3 의 좌측에, 선택된 메뉴가 한자성어 사전일 경우의 초기화면의 일 예를 도 4 의 좌측에 도시하였다.
상기 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3)는 키입력 오토마타(130)로부터 수신된 키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사전 DB(113)로부터 선택된 문자열 인덱스에 대응하는 한글 및 한자들을 상기 한글 폰트(111) 및 한자 폰트(112)를 각각 참조하여 배열하여 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한다.
즉, 상기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에 의해 생성된 초기화면이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되면, 상기 화면출력 모듈은 사용자 입력 대기상태가 되고, 상기 키조작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키입력을 받는다. 사용자가 방향키나 확인키 등을 누르면 상기 키입력 오토마타(130)에 의해 키입력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화면출력 모듈은 이 키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3)를 통해 화면 을 갱신하기 위한 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한다. 이 때, 사전 DB(113)로부터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선택된 문자열 인덱스에 대응하는 한글 및 한자들을 상기 한글 폰트(111) 및 한자 폰트(112)를 각각 참조하여 배열함으로써 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한다. 선택된 메뉴가 어휘 사전일 경우의 갱신된 화면의 일 예를 도 3 의 우측에, 선택된 메뉴가 한자성어 사전일 경우의 갱신된 화면의 일 예를 도 4 의 우측에 도시하였다.
상기 표시 제어부(144)는 상기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 및 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3)에 의해 생성된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및 화면출력 데이타를 상기 표시부(150)를 통해 화면 출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에 의해 초기화면출력 데이타가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3)에 화면출력 데이타가 생성되면, 상기 화면출력 모듈은 상기 표시 제어부(144)를 통해 이를 상기 표시부(150)로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한글과 한자가 표시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화면을 열람함에 의해 휴대가 용이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장소의 구애없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한자 학습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메뉴 선택부(141)에 의해 선택된 메뉴가 어휘 사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가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사전 DB(113)로부터 선택된 초기화면 출력될 어휘에 대한 한글 및 한자를 상 기 한글 폰트(111) 및 한자 폰트(112)를 각각 참조하여 배열하여 초기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한다.
그러면, 상기 화면출력 모듈은 상기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에 의해 생성된 어휘 사전 메뉴에 대한 초기화면을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 대기상태가 되어, 상기 키조작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키입력을 받고, 키 입력이 있으면, 키입력 오토마타(130)에 의해 검출되어 키입력 신호가 제어부(140)로 출력된다.
상기 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는 키입력 오토마타(130)로부터 수신된 키입력 신호가 확인키일 경우에는 해당 어휘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는 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하고, 방향키일 경우에는 해당 어휘의 바로 이전 또는 바로 이후의 어휘에 대한 한글 및 한자를 상기 한글 폰트(111) 및 한자 폰트(112)를 각각 참조하여 배열하여 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한다.
그러면, 상기 화면출력 모듈은 상기 표시 제어부(144)를 통해 상기 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에 의해 생성된 화면출력 데이타를 상기 표시부(150)로 전송하여 해당 선택된 어휘에 대한 설명이나, 해당 어휘의 바로 이전 또는 바로 이후의 어휘에 대한 한글 및 한자를 표시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한글과 한자가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화면을 열람함에 의해 휴대가 용이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장소의 구애없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어휘 학습이 가능해 진다. 이러한 어휘 사전 화면의 일 예를 도 3 에 도시하였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휘 사전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메뉴 선택부(141)에 의해 선택된 메뉴가 유의어 또는 반의어 사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가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사전 DB(113)로부터 선택된 초기화면 출력될 어휘에 대한 한글 및 한자를 상기 한글 폰트(111) 및 한자 폰트(112)를 각각 참조하여 배열하여 초기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한다.
그러면, 상기 화면출력 모듈은 상기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에 의해 생성된 유의어 또는 반의어 사전 메뉴에 대한 초기화면을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 대기상태가 되어, 상기 키조작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키입력을 받고, 키 입력이 있으면, 키입력 오토마타(130)에 의해 검출되어 키입력 신호가 제어부(140)로 출력된다.
상기 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는 키입력 오토마타(130)로부터 수신된 키입력 신호가 확인키일 경우에는 해당 어휘의 유의어 또는 반의어에 대한 한글 및 한자를 상기 한글 폰트(111) 및 한자 폰트(112)를 각각 참조하여 배열하여 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하고, 방향키일 경우에는 해당 어휘의 바로 이전 또는 바로 이후의 어휘에 대한 한글 및 한자를 상기 한글 폰트(111) 및 한자 폰트(112)를 각각 참조하여 배열하여 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한다.
그러면, 상기 화면출력 모듈은 상기 표시 제어부(144)를 통해 상기 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에 의해 생성된 화면출력 데이타를 상기 표시부(150)로 전송하 여 해당 선택된 어휘에 대한 유의어 또는 반의어나, 해당 어휘의 바로 이전 또는 바로 이후의 어휘에 대한 한글 및 한자를 표시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한글과 한자가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화면을 열람함에 의해 휴대가 용이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장소의 구애없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어휘에 대한 유의어 또는 반의어 학습이 가능해 진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메뉴 선택부(141)에 의해 선택된 메뉴가 한자성어 사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가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사전 DB(113)로부터 선택된 초기화면 출력될 한자성어에 대한 한글 및 한자를 상기 한글 폰트(111) 및 한자 폰트(112)를 각각 참조하여 배열하여 초기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한다.
그러면, 상기 화면출력 모듈은 상기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에 의해 생성된 한자성어 사전 메뉴에 대한 초기화면을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 대기상태가 되어, 상기 키조작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키입력을 받고, 키 입력이 있으면, 키입력 오토마타(130)에 의해 검출되어 키입력 신호가 제어부(140)로 출력된다.
상기 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는 키입력 오토마타(130)로부터 수신된 키입력 신호가 확인키일 경우에는 해당 한자성어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는 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하고, 방향키일 경우에는 해당 한자성어의 이전 또는 바로 이후의 한자성어에 대한 한글 및 한자를 상기 한글 폰트(111) 및 한자 폰트(112)를 각각 참 조하여 배열하여 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한다.
그러면, 상기 화면출력 모듈은 상기 표시 제어부(144)를 통해 상기 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에 의해 생성된 화면출력 데이타를 상기 표시부(150)로 전송하여 해당 선택된 한자성어에 대한 설명이나, 해당 한자성어의 바로 이전 또는 바로 이후의 한자성어에 대한 한글 및 한자를 표시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한글과 한자가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화면을 열람함에 의해 휴대가 용이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장소의 구애없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한자성어 학습이 가능해 진다. 이러한 한자성어 사전 화면의 일 예를 도 4 에 도시하였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자성어 사전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10)가 문제 DB(1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뉴 선택부(141)에 의해 선택된 메뉴가 한자의 어휘 또는 유의어/반의어 또는 한자성어에 대한 문제풀이 게임일 수 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가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문제 DB(115)로부터 선택된 문제를 제출하기 위한 초기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한다.
그러면, 상기 화면출력 모듈은 상기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에 의해 생성된 문제풀이 게임 메뉴에 대한 초기화면 즉, 제출문제를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 대기상태가 되어, 상기 키조작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키입력 즉, 답안 입력을 받고, 키 입력이 있으면, 키입력 오토마타(130)에 의 해 검출되어 키입력 신호가 제어부(140)로 출력된다.
상기 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는 키입력 오토마타(130)로부터 수신된 답안 신호로부터 판단한 정답 또는 오답에 대한 채점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한다.
그러면, 상기 화면출력 모듈은 상기 표시 제어부(144)를 통해 상기 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142)에 의해 생성된 화면출력 데이타를 상기 표시부(150)로 전송하여 상기 답안 신호로부터 판단한 정답 또는 오답에 대한 채점 결과에 대한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한글과 한자가 표시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휴대가 용이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장소의 구애없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한자의 어휘 또는 유의어/반의어 또는 한자성어에 대한 문제풀이가 가능하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함에 의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에 따른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항시 휴대하고 다니면서 빈번하게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 화면에 한글과 한자를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한자에 대한 어휘 학습, 유의어 또는 반의어 학습, 한자성어 학습, 문제풀이 게임을 통한 한자 학습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 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한글 폰트와, 각각의 폰트 데이타가 상기 한글 폰트와 동일한 크기의 이미지로 구성되는 한자 폰트와, 다수의 어휘 및 각 어휘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사전 DB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사용자 입력을 위한 키조작부와; 상기 키조작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키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 오토마타와; 상기 키입력 오토마타로부터 출력된 키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 처리를 수행하되, 메뉴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뉴를 선택받는 메뉴 선택부와, 상기 메뉴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전 DB로부터 선택된 초기화면 출력될 문자열 인덱스에 대응하는 한글 및 한자들을 상기 한글 폰트 및 한자 폰트를 각각 참조하여 배열하여 초기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하는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와, 키입력 오토마타로부터 수신된 키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전 DB로부터 선택된 문자열 인덱스에 대응하는 한글 및 한자들을 상기 한글 폰트 및 한자 폰트를 각각 참조하여 배열하여 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하는 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와, 상기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 및 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및 화면출력 데이타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화면 출력하도록 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면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화면출력 모듈에 의해 생성된 화면출력 데이타를 화면 표시하여 한글 및 한자들을 하나의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메뉴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메뉴가 유의어 또는 반의어 사전이고;
    상기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전 DB로부터 선택된 초기화면 출력될 어휘에 대한 한글 및 한자를 상기 한글 폰트 및 한자 폰트를 각각 참조하여 배열하여 초기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하고;
    상기 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가 키입력 오토마타로부터 수신된 키입력 신호가 확인키일 경우에는 해당 어휘의 유의어 또는 반의어에 대한 한글 및 한자를 상기 한글 폰트 및 한자 폰트를 각각 참조하여 배열하여 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하고, 방향키일 경우에는 해당 어휘의 바로 이전 또는 바로 이후의 어휘에 대한 한글 및 한자를 상기 한글 폰트 및 한자 폰트를 각각 참조하여 배열하여 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가 문제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뉴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메뉴가 한자의 어휘 또는 유의어/반의어 또는 한자성어에 대한 문제풀이 게임이고;
    상기 초기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문제 DB로부터 선택된 문제를 제출하기 위한 초기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하고;
    상기 화면출력 데이타 생성부가 키입력 오토마타로부터 수신된 답안 신호로부터 판단한 정답 또는 오답에 대한 채점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출력 데이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69629A 2004-09-01 2004-09-01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44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629A KR100644997B1 (ko) 2004-09-01 2004-09-01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629A KR100644997B1 (ko) 2004-09-01 2004-09-01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909A KR20060020909A (ko) 2006-03-07
KR100644997B1 true KR100644997B1 (ko) 2006-11-10

Family

ID=3712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629A KR100644997B1 (ko) 2004-09-01 2004-09-01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9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909A (ko) 200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23426A1 (en) Japanese language entry mechanism for small keypads
US20020126097A1 (en) Alphanumeric data entry method and apparatus using reduced keyboard and context related dictionaries
CN100592385C (zh) 用于对多语言的姓名进行语音识别的方法和系统
KR100644997B1 (ko) 한자 학습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86425A (ko) 극동어를 필터링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4748589A (en) Electronic translator
US20060271882A1 (en) Method for implementing a fuzzy spelling while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into a mobile phone
US11705115B2 (en) Phonetic keyboard and system to facilitate communication in English
JP3306993B2 (ja) 電子翻訳機
JPH081639B2 (ja) ワードプロセッサ
JPH0715696B2 (ja) 翻訳装置
JP2009266024A (ja) 電子辞書装置および表示端末
KR200215569Y1 (ko) 휴대용 다국어 문장 통역 및 표시기
JPH0350668A (ja) 文字処理装置
JP2001134564A (ja) 電子辞書
JP2013254498A (ja) 電子辞書装置
JPH0314162A (ja) 文書処理装置
JPS62209667A (ja) 文章作成装置
JPS60112175A (ja) 仮名漢字変換装置における略称語変換方式
JPS62174868A (ja) 中文入力装置
JPS60217452A (ja) 日本語入力処理装置
KR20060018565A (ko)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치의 문자입력 방법
KR20020022480A (ko) 휴대용 다국어 문장 통역 및 표시기
JP2004303270A (ja) 電子辞書
JPH1123806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