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909B1 - 용광로의 출선구용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용광로의 출선구용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909B1
KR100644909B1 KR1019990064542A KR19990064542A KR100644909B1 KR 100644909 B1 KR100644909 B1 KR 100644909B1 KR 1019990064542 A KR1019990064542 A KR 1019990064542A KR 19990064542 A KR19990064542 A KR 19990064542A KR 100644909 B1 KR100644909 B1 KR 100644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
outlet
exit port
exi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4364A (ko
Inventor
김재식
안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64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909B1/ko
Publication of KR20010064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광로에서 용융물이 배출되는 출선구를 관리하는 여러 가지 공정 중에서 출선구의 굴착 개공 직후부터 용융물 배출완료 후 출선구를 폐쇄하기 까지의 과정 중에서 출선구 개공 완료후에 출선구면과 하부에 용융물 중 일부가 흘러내려서 누적되고 고착되어지는 현상으로서 용융물 배출 완료후 출선구 폐쇄작업을 위해 출선구면 고착용융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출선구 폐쇄 지연과 출선구 폐쇄실패를 방지하는 용광로의 출선구용 이물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용광로의 출선구 하부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출선구에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서 일면에는 내열내화물이 부착되며 타면에는 복수개의 완충바가 설치된 원판과, 상기 원판의 일면에 설치된 고정플레이트에 지지되고 타측에는 구동모터가 구비된 지지프레임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 단부에 결합되는 정리바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유동프레임이 이동되도록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원격제어부와, 상기 원격제어부에 의해서 작동되어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주행모터와, 상기 주행모터의 사이에 수직형태로 설치되어 위치센서에 의해서 감지되는 위치에 따라서 회전되는 선회모터를 포함하여서 된것이다.
출선구, 이물질, 용융물

Description

용광로의 출선구용 이물질 제거장치{ADHESION METAL REMOVE APPARATUS OF BLAST FUNRNACE TAPPING HOLE}
도 1은 종래의 출선구의 이물질 제거작업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선구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출선구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선구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판 12 : 완충바
20 : 고정플레이트 24 : 고정프레임
25 : 구동모터 26 : 지지프레임
30 : 원격제어부 32 : 주행모터
33 : 주행레일 40 : 선회모터
41 : 위치센서 43 : 유동프레임
본 발명은 용광로에서 용융물이 배출되는 출선구를 관리하는 여러 가지 공정 중에서 출선구의 굴착 개공 직후부터 용융물 배출완료 후 출선구를 폐쇄하기 까지의 과정 중에서 출선구 개공 완료후에 출선구면과 하부에 용융물 중 일부가 흘러내려서 누적되고 고착되어지는 현상으로서 용융물 배출 완료후 출선구 폐쇄작업을 위해 출선구면 고착용융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출선구 폐쇄 지연과 출선구 폐쇄실패를 방지하는 용광로의 출선구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광로 조업은 철광석과 코크스(coke)를 용광로 내에 장입시키고, 고온의 열풍을 용광로 내부에 불어 넣음으로써 환원융융 반응을 일으켜서 형성된 융융물은 출선구 개공작업을 통하여 용광로 외로 배출되어지고, 배출된 용강과 슬래그는 각기 특수한 장치에 의해 분리 운반되어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한 과정중 출선구 개공작업을 위해서 출선구면을 관리하여야 하며 이러한 관리작업의 한 방법으로 출선구면 하부에 모래를 살포하는 과정을 반드시 실시하게 되는데, 이후 출선구 개공과 이로 인한 용융물 배출이 시작되면 배출되고 있는 용융물 중 일부가 출선구면 하부로 흘러내려 이미 살포되어진 모래와 함께 누적, 고착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이를 제거하는 작업과 이로 인한 출선구 폐쇄작업 지연이 유발되고 고착용융물 제거작업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 출선구면 손상과 유출현상이 발생되어 더욱 심한 출선구 폐쇄실패현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되므로 배출구를 정리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업자(4)가 특수하게 제작된 보호구(방열복 상, 하의 방열장갑, 방열유리가 부착된 밀폐형식의 보호면 이하 보호구라 칭함)를 착용후 출선구(1) 측면(약 2m)에 진입하여 끝부분이 뾰족한 지렛대(2)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제거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출선구(1)는 대탕도(3)를 통하여 이동하는 약 1520℃ 이상의 용강을 배출하는 곳으로서 출선작업에 관한 전공정을 자동화 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뿐만 아니라 출선구면 하부에 누적, 고착된 용융물과 모래를 작업자가 지렛대(2)로 제거하므로 작업자(4)의 안전확보를 위하여 작업전 특수제작된 보호구를 필히 착용한 후, 일정수준 이상의 숙련도를 지닌 일부 한정된 작업자만이 수행할 수 있는 작업 방법으로서 고열개소, 작업장소 협소, 용융물 비산분출 등 위험 요소가 산재하고 있어 작업자(4)의 안전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출선구면 하부에 고착된 용융물의 제거가 완전하지 못한 경우에는 출선구면 손상과 출선구 폐쇄지연, 출선구 폐쇄실패 현상 등이 반복적이며, 주기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이에 따른 정상화를 위한 수작업조치 역시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한 것으로서, 용광로의 용융물 배출 설비인 출선구면에 고착된 용융물의 제거공정을 자동화하여 작업자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학보할 수 있는 용광로의 출선구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광로의 출선구 하부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출선구에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서 일면에는 내열내화물이 부착되며 타면에는 복수개의 완충바가 설치된 원판과, 상기 원판의 일면에 설치된 고정플레이트에 지지되고 타측에는 구동모터가 구비된 지지프레임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 단부에 결합되는 정리바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유동프레임이 이동되도록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원격제어부와, 상기 원격제어부에 의해서 작동되어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주행모터와, 상기 주행모터의 사이에 수직형태로 설치되어 위치센서에 의해서 감지되는 위치에 따라서 회전되는 선회모터를 포함하여서 된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선구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출선구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발명은 출선구(1)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된 원판(10)의 일면에 내열내화물(11)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이 내열내화물(11)이 고정된 반대면에는 복수개의 완충바(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바(12)는 보조플레이트(14)에 형성된 삽입공(15)에 삽입되어 스프링(13)으로 탄력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완충바(12)의 단부에는 완충바(12)가 분리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12a)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고정플레이트(20)의 일면에는 완충바(12)에 의해서 작동되는 한쌍의 리미트 스위치(21) 및 보조플레이트(14)가 과다하게 근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링(2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0)의 둘레면에는 출선구면 접촉을 검지할 수 있는 검지센서(23)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면에는 이를 지지하는 고정프레임(2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4)에는 구동모터(25)가 설치된 지지프레임(26)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25)의 회전축(25a)은 순차적으로 설치된 고정프레임(24)과 고정플레이트(20) 및 보조플레이트(14) 그리고 원판(10)의 중앙을 관통하여 그 단부는 원판(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회전축(25a)의 단부에는 출선구면을 정리하기 위한 정리바(27)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앙운전실 원격제어부(30)에서 조작할 수 있으며 운전조건은 감시카메라(31)가 정상일때 로컬(local) 또는 시퀸스 조작할 수 있다.
즉 중앙운전실에서 동작시키게 되면 주행모터(32)가 동작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주행레일(33)을 이용하여 전진하고 상기 주행모터(32)의 선단부에 부착된 주행 리미트 스위치(34)가 동작되면 정지한다.
또한 선회모터(40)는 16개의 위치센서(41)가 원격제어부(30)에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레일수평방향이 0°에서 시계방향으로 22.5°씩 조작되게 되어 있으므로 출선구와 내열 원판(10)에 설치된 포토센서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 좌우 1포인트(point) 회전시켜 위치를 일치시키고 이와같이 검출장치가 일치된 상태에서 실린더 유압펌프(35)가 가동되면서 구동실린더가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출선구면 하부선단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실린더(42a)(42b)(42c)(42d)가 작동하여 유동프레임(43)이 이동하면서 정리바(27)를 출선구 하부이물에 밀착시키고 밀착완료 신호는 원판(10)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21)가 동작되면서 작동실린더는 정지되고 이와같이 밀착완료후 구동모터(25)가 가동되면서 출선구 하부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고 상기 이물의 제거작업이 완료되면 구동모터(25)는 정지하게 된다.
상기한 작용으로 출선구면 하부 이물제거가 완료되면 이물제거 장치는 역순에 의해 내열 내화물원판 장치는 정위치로 돌아오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출선구면 하부 이물제거를 하게 된다.
모든 작업이 종료되면 이물제거 장치는 대기상태로 이동하게 되는데 후진시는 전단에 설치된 대기위치 리미트(36)가 동작되면 모든장치가 정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용광로의 용융물 배출설비인 출선구면 하부에 고착된 이물질 제거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되므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제거함으로써 조업에 악영향을 줄이고 작업부하를 현저히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고열의 출선구에 진입하지 않고 출선구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므로 고온의 복사열과 다량의 비산융융물에 작업자가 노출되지 않게되어 작업자의 안전사고와 보호구 훼손 및 작업지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 한 발명이다.

Claims (1)

  1. 용광로의 출선구 하부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출선구에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서 일면에는 내열내화물이 부착되며 타면에는 복수개의 완충바(12)가 설치된 원판(10)과, 상기 원판(10)의 일면에 설치된 고정플레이트(20)에 지지되고 타측에는 구동모터(25)가 구비된 지지프레임(26)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4)과, 상기 구동모터(25)의 회전축 단부에 결합되는 정리바(27)와, 상기 지지프레임(26)에 설치된 유동프레임(43)이 이동되도록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원격제어부(30)와, 상기 원격제어부(30)에 의해서 작동되어 주행레일(33)을 따라 이동시키는 주행모터(32)와, 상기 주행모터(32)의 사이에 수직형태로 설치되어 위치센서(41)에 의해서 감지되는 위치에 따라서 회전되는 선회모터(40)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하는 용광로의 출선구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19990064542A 1999-12-29 1999-12-29 용광로의 출선구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0644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542A KR100644909B1 (ko) 1999-12-29 1999-12-29 용광로의 출선구용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542A KR100644909B1 (ko) 1999-12-29 1999-12-29 용광로의 출선구용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364A KR20010064364A (ko) 2001-07-09
KR100644909B1 true KR100644909B1 (ko) 2006-11-13

Family

ID=1963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542A KR100644909B1 (ko) 1999-12-29 1999-12-29 용광로의 출선구용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9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658B1 (ko) 2002-12-23 2009-12-14 주식회사 포스코 용광로용 경주통 지금 용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411A (ko) * 2001-10-11 2003-04-18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출선구면의 이물질 자동제거장치
KR20030034960A (ko) * 2001-10-29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용광로 출선구 지금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658B1 (ko) 2002-12-23 2009-12-14 주식회사 포스코 용광로용 경주통 지금 용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364A (ko)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4909B1 (ko) 용광로의 출선구용 이물질 제거장치
FI86009B (fi) Foerfarande foer istaondsaettning av eldfasta fodringar.
KR101031081B1 (ko) 에지히터 보호용 냉각수 차단 장치
CA1177644A (en) Pyrometallurgical furnace installation, more particularly for the melting of ore-concentrate and the after treatment of the melt
CN101889185B (zh) 熔炉以及用于熔炉的清洁装置
JPH06172832A (ja) 溶滓樋先端部の付着滓除去装置
KR100829815B1 (ko) 전기로의 노각 클리닝장치
KR100779716B1 (ko) 용강 래들 탕면부 지금막 제거장치
RU2775977C1 (ru) Укрывающий аспирационный комплекс главного желоба доменной печи
KR950007181Y1 (ko) 용광로 잔선공의 이동식 집진후드(Hood)장치
KR101495425B1 (ko) 슬래그 이동경로 변경이 가능한 슬래그탕도
KR101065842B1 (ko) 고로의 분진 포집장치
JP2572187B2 (ja) 出銑樋残銑抜き装置およびそのストッパ操作装置
KR20010035573A (ko) 고로 출선구의 용선부착 방지장치
KR100406436B1 (ko) 출선구에서 분출되는 유해물질 차단장치
JPH06145744A (ja) 高炉大樋残鉄解体装置及び高炉大樋残鉄解体方法
KR100338377B1 (ko) 고로용 크로스존대 교환장치
KR200297351Y1 (ko) 출선구 굴착장치
Gass et al. Reduction of Breakouts at Ispat Inland Inc
KR100931658B1 (ko) 용광로용 경주통 지금 용해장치
KR20010065264A (ko) 슬래그 배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배재방법
KR200295252Y1 (ko) 수강래들의용강회송장치
KR200224566Y1 (ko) 고로의 슬래그 유도장치
SU72295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JPH0277532A (ja) 溶融スラグ連続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