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5264A - 슬래그 배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배재방법 - Google Patents

슬래그 배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배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5264A
KR20010065264A KR1019990065136A KR19990065136A KR20010065264A KR 20010065264 A KR20010065264 A KR 20010065264A KR 1019990065136 A KR1019990065136 A KR 1019990065136A KR 19990065136 A KR19990065136 A KR 19990065136A KR 20010065264 A KR20010065264 A KR 20010065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ladle
boom
electric furnace
molten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필
김길범
우경회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90065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5264A/ko
Publication of KR20010065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26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그 배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배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배재장치는, 전기로 출탕룸의 내부에서 래들 상부에 설치된 2개의 평행한 레일 상에서 전후진하는 배재기 전후진 이동장치; 배재기 전후진 이동장치에 결합되어 2개의 레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배재기 좌우 이동장치; 및 배재기 좌우 이동장치의 수직하방으로 설치되고, 와이어로프에 의해 모터와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붐 및 붐의 말단에 설치된 패들을 포함하는 배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용탕을 전기로에서 래들로 출탕한 직후에 전기로 출탕룸의 내부에서 래들의 상부에 부상되어 있는 슬래그를 배재하여 슬래그 배재작업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래그 배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배재방법{Slag skimmer and skimming method using the slag skimmer}
본 발명은 슬래그 배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배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탕을 전기로에서부터 래들로 출탕하는 과정에서 용탕에 함유되어 있는 제강성 용융 슬래그를 배재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배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 출탕룸 내에서, 전기로에서 스테인레스 스크랩을 용융시킨 용탕을 래들에 출탕한 다음, 용탕이 담겨져 있는 래들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슬래그 배재장으로 이동시킨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1) 및 패들(2) 등으로 이루어진 배재기가 설치된 슬래그 배재장치(3)를 이용하여 래들(4) 내의 용탕 상부에 부상되어 있는 제강성 슬래그를 슬래그 포트(5)에 배재한다.
그러나, 용탕을 전기로에서 래들(4)로 출탕하는 과정에서 제강성 슬래그 내의 일산화탄소 기체로 인해 용탕이 래들(4) 상부에서 범람하여 래들의 경동장치(6)를 용손시키는 등 경동장치(6)를 파손시키거나 또는 경동장치(6)에 다량의 제강성 슬래그가 고착되어 설비의 정상작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크레인을 이용하여 래들을 슬래그 배재장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슬래그가 응고되어버려 배재되지 않아서 작업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용탕을 전기로에서 래들로 출탕한 직후 신속하고 간단하게 제강성 슬래그를 배재하여, 설비를 보호하고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슬래그 배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배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전기로 출탕룸 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배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배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배재장치의 절개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슬래그 배재장치를 이용한 슬래그 배재작업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배재장치는, 전기로 출탕룸의 내부에서 래들 상부에 설치된 2개의 평행한 레일 상에서 전후진하는 배재기 전후진 이동장치; 배재기 전후진 이동장치에 결합되어 2개의 레일을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배재기 좌우 이동장치; 및 배재기 좌우 이동장치의 수직하방으로 설치되고, 와이어로프에 의해 모터와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붐 및 붐의 말단에 설치된 패들을 포함하는 배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용탕을 전기로에서 래들로 출탕한 직후에 전기로 출탕룸의 내부에서 래들의 상부에 부상되어 있는 슬래그를 배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배재장치의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전기로 출탕룸(10) 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배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배재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배재장치의 절개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배재장치는 전기로 출탕룸(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로 출탕룸 내부에서 슬래그 배재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다.
전기로(11)로부터 출탕되는 용탕을 받는 래들(12)의 상단에는 전기로(11) 쪽으로 용탕이 장입되는 장입구(13)와 그 반대편의 슬래그 포트(14) 쪽으로 슬래그가 배출되는 배재구(15)가 일렬로 배열되어 있으며, 용탕대차(16)는 래들(12) 뿐만 아니라 슬래그 포트(14)를 실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일반적인 용탕대차의 길이보다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슬래그 배재작업시 래들(12)을 배재구(15) 쪽으로 경동시킬 수 있도록 용탕대차(16)의 하부에는 래들 틸팅설비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배재장치는, 크게 배재기 전후진 이동장치(21), 배재기 좌우 이동장치(22),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패들(23)을 포함하는 배재기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전기로 출탕룸(10)은 인클로즈에 의해 밀폐되는데, 전기로(11) 하부의 인클로즈(17) 라인에 2개의 평행한 전후진 레일(25)이 설치되고 이 레일(25)을 따라 전후진되도록 배재기 전후진 이동장치(21)가 설치된다.
배재기 전후진 이동장치(21)는 각각의 전후진 레일(25)에 대해 2개의 기어(26)와 1개의 체인(27)을 구비하여 전후진 구동모터에 의해 레일(25)을 따라 전후진되는 내부가 개방된 사각프레임 형태이다. 사각프레임에서 전후진 레일(25)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두 프레임은 배재기 좌우 이동장치(22)의 이동시 레일과 유사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배재기 좌우 이동장치(22)는 전후진 레일(25)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두 프레임 상에서 그 두 프레임을 따라서 좌우로 이동되는 판 형상으로서, 전후진 레일(25)과 평행한 방향의 프레임 측면에 좌우이동모터(28)를 설치하고 이를 스크류(29)를 이용하여 판 하부의 연결부재(30)와 연결하고 판 하부의 연결부재(30) 내에는 스크류(29)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스크류홀이 형성되어 있다.
배재기 좌우 이동장치(22)의 판 하부의 연결부재(30) 하부에는 붐 가이드(31), 붐(32) 및 패들(23)로 이루어진 배재기가 설치되고, 판 상부에는 배재기를 상하로 구동하는 모터(34)가 설치된다. 즉, 배재기 좌우 이동장치(22)의 판 상부에는 상하이동모터(34) 및 와이어로프(35)가 설치되고, 판의 하부에는 붐 가이드(31)가 설치되고, 붐 가이드(31)의 하부에는 와이어로프(35)와 연결되고 붐 가이드(3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이동되는 붐(32)이 설치되며, 붐(32)의 말단에는 패들(23)이 연결설치되어 있다.
한편, 전기로(11) 하부의 인클로즈(17) 라인 상부에는 전기로(11)를 작동하는 콘트롤 세트(37)가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슬래그 배재장치의 작동도 그 콘트롤 세트(37)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배재장치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기로(11) 내에서 스테인레스 스크랩이 용융된 용탕을 용탕대차(16)에 안착된 상태의 래들(12)로 대략 70% 정도 출탕한 후, 용탕대차(16)의 하부에 설치된 래들(12) 틸팅설비를 작동하여 래들(12)을 슬래그 배재구(15) 쪽으로 경동시킨 다음 전기로(11) 내의 용탕을 모두 래들(12)로 출탕한다. 그러면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슬래그가 용탕의 상부로 부상하여 자연스럽게 슬래그가 래들(12)의 슬래그 배재구(15)를 통해 배재된다.
출탕작업이 완료되면 래들(12) 내에 잔류되어 있는 제강성 슬래그를 배재하기 위해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배재장치를 작동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배재장치는 전기로 출탕룸(10)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슬래그 배재작업은 용탕의 출탕작업 직후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전후진이동모터를 작동하여 배재기 전후진 이동장치(21)를 래들(12)의 상부로 이동시킨 후, 좌우이동모터(28)를 작동하여 배재기 좌우 이동장치(22)를 래들(12)의 장입구(13) 위치에 둔다.
다음, 상하이동모터(34)를 작동하여 배재기 붐(32)을 하강하여 배재기 붐(32) 말단의 패들(23)이 슬래그에 닿으면, 배재기 전후진 이동장치(21)와 배재기 좌우 이동장치(22)를 동시에 작동하면서 슬래그를 슬래그 포트(14)쪽으로 배출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래들의 상단에 장입구와 180°반대 위치에서 장입구와 일렬로 배열되도록 배재구가 형성되어 출탕작업 중에 슬래그가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하여 슬래그 내의 일산화탄소 기체로 인한 용탕의 범람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설비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배재장치는 전기로 출탕룸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집진장치가 설치된 밀폐된 전기로 출탕룸 내에서 슬래그 배재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일산화탄소 기체에 의한 환경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탕직후에 슬래그 배재작업을 수행하여 슬래그가 응고되지 전에 용이하게 배재할 수 있으므로 슬래그 배재작업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래들 내에 담겨있는 용탕의 상부에 부상되어 있는 슬래그를 배재하기 위해 붐 및 패들로 이루어진 배재기가 설치된 슬래그 배재장치에 있어서,
    전기로 출탕룸의 내부에서 래들 상부에 설치된 2개의 평행한 레일 상에서 전후진하는 배재기 전후진 이동장치;
    상기 배재기 전후진 이동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2개의 레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배재기 좌우 이동장치; 및
    상기 배재기 좌우 이동장치의 수직하방으로 설치되고, 와이어로프에 의해 모터와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붐 및 상기 붐의 말단에 설치된 패들을 포함하는 배재기를 포함하는 슬래그 배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들의 상단에는 장입구와 180°반대 위치에서 장입구와 일렬로 배열되도록 배재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배재장치.
  3. 제 1 항의 슬래그 배재장치를 이용하여 용탕을 전기로에서 래들로 출탕한 직후에 전기로 출탕룸의 내부에서 래들의 상부에 부상되어 있는 슬래그를 배재하는 방법.
KR1019990065136A 1999-12-29 1999-12-29 슬래그 배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배재방법 KR20010065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136A KR20010065264A (ko) 1999-12-29 1999-12-29 슬래그 배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배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136A KR20010065264A (ko) 1999-12-29 1999-12-29 슬래그 배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배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264A true KR20010065264A (ko) 2001-07-11

Family

ID=19632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5136A KR20010065264A (ko) 1999-12-29 1999-12-29 슬래그 배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배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52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141B1 (ko) * 2005-11-25 2007-05-22 주식회사 포스코 탕면 파쇄 장치
KR100797820B1 (ko) * 2001-09-28 2008-01-24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스키머의 붐대 분리장치
KR100816990B1 (ko) * 2006-10-24 2008-03-27 주식회사 포스코 임펠러를 구비한 슬래그 배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820B1 (ko) * 2001-09-28 2008-01-24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스키머의 붐대 분리장치
KR100721141B1 (ko) * 2005-11-25 2007-05-22 주식회사 포스코 탕면 파쇄 장치
KR100816990B1 (ko) * 2006-10-24 2008-03-27 주식회사 포스코 임펠러를 구비한 슬래그 배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797380Y (zh) 一种扒渣装置
EP0717115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Doppelgefäss-Lichtbogenofens
EP0227681B1 (en) Manipulator at furnaces and the like
KR20010065264A (ko) 슬래그 배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배재방법
US6389054B1 (en) Scrap charger
KR101510286B1 (ko) 슬래그 제거장치
CN216073885U (zh) 出铁口的砌筑固定装置
CN113667787A (zh) 电炉操作组合机器人系统及操作方法
CN219440786U (zh) 一种具备双流槽的高炉煤气洗涤水高架流槽系统
KR100417628B1 (ko) 턴디쉬 다기능 열간보수 장치
JPH06172832A (ja) 溶滓樋先端部の付着滓除去装置
CN219766772U (zh) 一种钢包内衬除渣收集装置
CN220959625U (zh) 一种矿热炉开炉眼用防护装置
KR950007181Y1 (ko) 용광로 잔선공의 이동식 집진후드(Hood)장치
CN209840678U (zh) 一种直流电弧炉融渣设备
CN220867453U (zh) 钢渣风淬技术除尘、倾翻、轨道车和收集联动装置
WO2003095685A9 (en) Scrap charger
JPH04354811A (ja) 走行,昇降および傾動自在な出銑樋
KR200286761Y1 (ko) 더스트집진장치가 구비된 슬래그 배재장치
CN214488772U (zh) 一种铸锭双模刮渣生产线
CN112176149B (zh) 液态金属精炼装置、液态金属冶炼系统及精炼方法
KR200278686Y1 (ko) 슬래그포트 이동용 대차의 운전장치
GB2343242A (en) Electroslag melting plant
JP2507866Y2 (ja) 炉頂部分離式液体金属用固定炉
KR101008054B1 (ko) 턴디쉬내의 응고된 잔탕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