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187B1 - 버스바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버스바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187B1
KR100644187B1 KR1020050067238A KR20050067238A KR100644187B1 KR 100644187 B1 KR100644187 B1 KR 100644187B1 KR 1020050067238 A KR1020050067238 A KR 1020050067238A KR 20050067238 A KR20050067238 A KR 20050067238A KR 100644187 B1 KR100644187 B1 KR 100644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unch
ridge
stat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6736A (ko
Inventor
히데키 고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6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절약화를 도모한 버스바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
커트용 펀치(31)가 구비된 펀치 홀더 플레이트(27)에 스트리퍼 플레이트(28)가 지지됨과 동시에, 스트리퍼 플레이트(28)와 펀치 홀더 플레이트(27)의 상호간에 스페이서 플레이트(29)가 그 플레이트 면방향으로 나오고 들어가게 조작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스페이서 플레이트(29)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상호간에서의 한 쪽의 대향면에 융기부(29a)가 형성되고, 다른 쪽의 대향면에 융기부(29a)를 자유자재로 끼우고 뺄 수 있도록 끼워 맞춰지는 요홈부(28a)가 형성된다. 브릿지 절단 공정 시에는, 융기부(29a)와 요홈부(28a)가 합치 상태로 되어 상형(12)과 하형(13)이 접근 조작된 경우에, 커트용 펀치(31)가 돌출 상태로 되고, 코오킹 공정 시에는 융기부(29a)와 요홈부(28a)가 비합치 상태로 되어 상형(12)과 하형(13)이 접근 조작된 경우에, 커트용 펀치(31)가 비돌출 상태로 된다.

Description

버스바 장착 장치{BUSBAR MOUN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브릿지 절단 공정 시의 프레스 스테이션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브릿지 절단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코오킹 공정 시의 프레스 스테이션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코오킹 가공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브릿지 절단 공정 시의 하이 스토퍼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코오킹 공정 시의 하이 스토퍼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버스바 장착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9는 버스바 플레이트와 절연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버스바 플레이트
2a : 버스바
2b : 브릿지
3 : 절연판
3a : 코오킹용 돌기부
11 : 버스바 장착 장치
12 : 상형
13 : 하형
14 : 프레스 장치
17 : 워크 세트 테이블
20 : 워크 세트 스테이션
21 : 프레스 스테이션
25 : 커트용 다이
26 : 코오킹용 펀치
27 : 펀치 홀더 플레이트
28 : 스트리퍼 플레이트
28a : 요홈부
29 : 스페이서 플레이트
29a : 융기부
30 : 에어 실린더
31 : 커트용 펀치
33 : 하이 스토퍼
36 : 슬라이더 플레이트
37 : 에어 실린더
본 발명은 절연판에 버스바를 장착하기 위한 버스바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차의 배선에 사용되는 접합 박스의 내부에는 절연판에 버스바를 장착하여 절연판 상에 회로를 구성한 것이 내장되어 있고, 종래에는 이러한 버스바를 절연판에 장착하는 장치로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버스바 장착 장치(1)가 있었다.
이 버스바 장착 장치(1)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복수 편의 버스바(2a)가 분단 가능한 브릿지(2b)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버스바 플레이트(2)나 절연판(3)이 위치 결정 형상으로 세트되는 워크 세트 스테이션(4)과, 서로 접근 이격 조작 가능하게 된 상형과 하형을 갖는 프레스 스테이션(5)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워크 세트 스테이션(4)에 있어서 워크 세트 테이블(6)에서의 워크 세트 영역(6a)의 소정 위치에 버스바 플레이트(2)를 세트하고, 이 버스바 플레이트(2)가 세트된 워크 세트 테이블(6)을 에어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7)의 작동에 의해, 레일(8)을 따라서 프레스 스테이션(5)의 상형과 하형 사이에서의 브릿지 커트 영역(5a)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스토퍼(9)가 워크 세트 테이블(6)의 이동 경로 상에 출몰 가능하게 돌출되어 있고, 이 스토퍼(9)에 워크 세트 테이블(6)이 접촉하여 브릿지 커트 영역(5a) 위치에서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프레스 장치를 작동시키고, 상형의 하강 조작에 의해 상형에 구비된 커트용 펀치와 하형에 구비된 커트용 다이의 협동에 의해 상기 버스바 플레이트(2)의 브릿지(2b)를 절단하고 복수 편의 버스바(2a)로 분단한다.
그 후, 워크 세트 테이블(6)은 초기 위치의 워크 세트 스테이션(4) 위치로 복귀되고, 워크 세트 스테이션(4) 위치에서 분단된 각 버스바(2a) 상의 소정 위치에 절연판(3)을 위치 결정 형상으로 세트하여 다시 워크 세트 테이블(6)을 이동시키며, 이로 인해 프레스 스테이션(5)의 상형과 하형 사이의 절연판 코오킹 영역(5b)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에, 상기 스토퍼(9)는 하강 조작되고, 워크 세트 테이블(6)의 이동 경로 상에서 아래쪽으로 후퇴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프레스 장치를 작동시키고, 상형의 하강 조작에 의해 각 버스바(2a)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절연판(3)의 각 코오킹용 돌기부(3a)를 하형에 구비된 코오킹용 펀치로 눌러 코오킹 고정하고, 이로 인해 절연판(3)과 각 버스바(2a)가 일체화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후, 워크 세트 테이블(6)은 워크 세트 스테이션(4) 위치로 복귀되고, 워크 세트 테이블(6)상에서 일체화된 절연판(3)을 취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워크 세트 스테이션 위치에서 버스바 플레이트와 절연판을 병렬로 세트 가능한 워크 세트 테이블을 배치하고, 프레스 스테이션 위치에서의 제1 프레스 공정으로 버스바 플레이트의 브릿지를 절단하고 있는 동안에 절연판을 들어 올리고, 그 후, 분단된 각 버스바 상에 절연판을 세트하고 다음의 제2 프레스 공정으로 절연판에 각 버스바를 코오킹 고정한 후, 워크 세트 테이블을 워크 세트 스테이션 위치로 복귀시켜 일체화된 절연판을 취출하는 구성인 것도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6-188060호 참조).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브릿지 커트 영역(5a)과 절연판 코오킹 영역(5b)을 워크 세트 테이블(6)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각각 상이한 위치에 배치하는 구조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프레스 장치에서의 금형 사이즈가 대형화되어 버스바 장착 장치(1)의 설치를 위해 보다 넓은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6-188060호에 개시된 장치에 따르면, 워크 세트 테이블 상에 버스바 플레이트와 절연판을 병렬로 각각 세트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워크 세트 테이블이 대형화되고, 따라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프레스 장치에서의 금형 사이즈가 대형화되어 버스바 장착 장치(1) 설치를 위해 넓은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간 절약화를 도모한 버스바 장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은, 복수 편의 버스바가 분단 가능한 브릿지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버스바 플레이트나 절연판을 세트하는 워크 세트 스테이션과, 서로 접근 이격 조작 가능하게 된 상형과 하형을 갖고, 상형측 및 하형측에 각각 구비된 커트용 펀치와 커트용 다이의 협동에 의해 상기 버스바 플레이트의 브릿지를 절단함과 동시에, 상기 커트용 다이가 구비된 상형측 혹은 하형측 에 구비된 코오킹용 펀치에 의해 분단된 각 버스바를 상기 절연판에 코오킹 고정하는 프레스 스테이션을 구비한 버스바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트용 펀치가 구비된 펀치 홀더 플레이트에, 이격 방향으로 가압 상태로 하여 스트리퍼 플레이트가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와 펀치 홀더 플레이트 상호간에 스페이서 플레이트가 그 플레이트 면방향으로 나오고 들어가게 조작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상기 스페이서 플레이트와 펀치 홀더 플레이트의 상호간 혹은 스페이서 플레이트와 스트리퍼 플레이트의 상호간에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대향면에 상기 스페이서 플레이트의 나오고 들어가는 조작 방향과 교차하는 융기부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다른쪽의 대향면에 상기 융기부를 자유자재로 끼우고 뺄 수 있도록 끼워 맞춰지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의 절단 시에는 상기 융기부와 상기 요홈부가 합치 상태가 되고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이 서로 접근 조작된 경우에, 상기 커트용 펀치가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보다 돌출된 상태로 되고, 상기 절연판에 대한 코오킹 고정 시에는 융기부와 요홈부가 비합치 상태로 되어 상형과 하형이 서로 접근 조작된 경우에, 커트용 펀치가 스트리퍼 플레이트보다 비돌출 상태로 되어 이루어지는 점에 있다.
또한, 상기 융기부와 상기 요홈부의 합치 상태와, 융기부와 요홈부의 비합치 상태에서,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의 상호 접근 거리를 상이하게 한 접근 높이 조정 기구가 구비되고 있는 구조로 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와 마찬가지로 버스바 장착 장치(11)는 서로 접근 이격 조작 가능해진 상형(상부 금형 : 12)과 하형(하부 금형 : 13)을 구비한 프레스 장치(14)로 주로 구성되고 있고, 하형(13)에서 일측방으로 한 쌍의 레일 지지 플레이트(15)가 돌출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레일 지지 플레이트(15) 상에 레일(16)이 각각 설치되고, 양 레일(16)에 걸쳐 워크 세트 테이블(17)이 구비되며, 에어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18)의 작동에 의해, 레일(16)을 따라서 워크 세트 테이블(17)이 이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워크 세트 테이블(17)은 적절한 수의 코일 용수철에 의해 상방향 가압형으로 하측의 테이블 베이스부에 지지되어 있고, 각 코일 용수철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하강 조작 가능하게 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워크 세트 테이블(17)은 복수 편의 버스바(2a)가 분단 가능한 브릿지(2b)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버스바 플레이트(2)나 절연판(3)이 위치 결정 형상으로 세트되는 워크 세트 스테이션(20) 위치와, 버스바 플레이트(2)에서의 브릿지(2b)의 절단이나 각 버스바(2a)를 절연판(3)에 코오킹 고정하기 위한 상형(12)과 하형(13)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스 스테이션(21) 위치에서 이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스 장치(14)에서의 하형(13)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고, 하형(13)의 네 구석에 세워 배치된 가이드 포스트(22)에 의한 안내 하에서, 상형(12)이 승강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형(13)에서의 프레스 스테이션(21) 위치에 대응한 상면측에는 다이홀더 플레이트(24)가 고정 배치되어 있고, 그 다이홀더 플레이트(24)에는 버스바 플레이트 (2)의 각 브릿지(2b)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 위치에 각각 커트용 다이(25)가 설치됨과 동시에, 절연판(3)의 코오킹용 돌기부(3a)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 위치에 각각 코오킹용 펀치(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각 커트용 다이(25)나 각 코오킹용 펀치(26)는 대략 동일 높이를 갖고 상향 돌출형으로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형(12)에서의 프레스 스테이션(21)에 대응한 하면측에는 펀치 홀더 플레이트(27)가 고정 배치되어 있고, 상기 펀치 홀더 플레이트(27)에는 이격 방향, 즉 하측 방향으로 적절한 수의 코일 용수철에 의해 가압 상태로 하여 스트리퍼 플레이트(28)가 현수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트리퍼 플레이트(28)와 펀치 홀더 플레이트(27)의 상호간의 간극에 스페이서 플레이트(29)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형(12)측에 부착 지지된 액추에이터로서의 에어 실린더(30)의 신축 동작에 의해, 스페이서 플레이트(29)는 그 플레이트(29)의 면 방향, 즉 수평 방향(도 2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나오고 들어가게 조작될 수 있도록 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 플레이트(29)에서의 스트리퍼 플레이트(28)와 대향하는 하면의 대향면에는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상기 나오고 들어가는 조작 방향과 교차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직교 방향의 융기부(29a)가 나오고 들어가는 조작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고, 이 각 융기부(29a)에 대향하는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상면의 대향면에는 각 융기부(29a)를 자유자재로 끼우고 뺄 수 있도록 끼워 맞춰지는 요홈부(28a)가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고 있다.
또한, 펀치 홀더 플레이트(27)에는 버스바 플레이트(2)의 각 브릿지(2b) 위 치에 대응하는 소정 위치, 즉 다이홀더 플레이트(24)의 각 커트용 다이(25)에 대응한 소정 위치에 각각 커트용 펀치(31)가 하향 돌출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이 각 커트용 펀치(31)의 펀치 홀더 플레이트(27)부터의 돌출 길이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각 융기부(29a)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요홈부(28a)가 합치하여 서로 끼워맞춰져 맞물린 상태에서,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하면보다 돌출되어 커트용 다이(25)와 협동 가능한 길이이고,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각 융기부(29a)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각 요홈부(28a)가 비합치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하면보다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트리퍼 플레이트(28)에서의 각 커트용 펀치(31) 위치에 대응한 부분에는 커트용 펀치(3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구멍(28b)이 각각 형성되고, 스페이서 플레이트(29)에서의 각 커트용 펀치(31) 위치에 대응한 부분에는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나오고 들어가는 이동에 지장이 없도록 커트용 펀치(31)가 헐겁게 삽입되고 나오고 들어가는 조작 방향으로 긴 구멍 형상의 헐겁게 끼워지는 구멍(29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각 가이드 포스트(22)의 상호간에 위치하여 상형(12)과 하형(13)의 상호 접근 거리를 규제하는 접근 높이 조정 기구로서의 하이 스토퍼(33)가 구비되고 있다.
각 하이 스토퍼(33)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형(13)에서 3개의 스토퍼 지주(34a, 34b, 34c)가 상향 돌출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중앙의 스토퍼 지주(34b)가 그 양측의 스토퍼 지주(34a, 34c)보다도 높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형(12)에는 하강 조작시에 각 스토퍼 지주(34a, 34b, 34c)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접촉하는 접촉부(35a, 35b, 35c)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일측의 접촉부(35c)는 슬라이더 플레이트(36)에 장착되고, 상형(12)에 장착된 액추에이터로서의 에어 실린더(37)의 신축 동작에 의해 중앙의 스토퍼 지주(34b) 방향으로 나오고 들어가게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에어 실린더(37)의 신장 상태에서 슬라이더 플레이트(36)의 받침부(36a)가 스토퍼 지주(34b)의 위쪽 위치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30)의 단축 상태에서의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각 융기부(29a)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각 요홈부(28a)가 서로 대향하는 합치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37)는 단축 상태가 되어 각 스토퍼 지주(34a, 34b, 34c)와 각 접촉부(35a, 35b, 35c)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30)의 신장 상태에서의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각 융기부(29a)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각 요홈부(28a)가 서로 위치가 어긋난 비합치 상태에 있어서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37)가 신장 상태가 되고, 슬라이더 플레이트(36)의 받침부(36a)가 스토퍼 지주(34b)의 상측 위치에 대향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융기부(29a)와 각 요홈부(28a)가 서로 위치가 어긋난 비합치 상태에서는, 합치 상태의 경우와 비교하여 상형(12)의 하강 한도 위치가 약간 위쪽으 로 정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각 스토퍼 지주(34a, 34b, 34c)와 각 접촉부(35a, 35b, 35c)의 접촉 시의 소음을 완화하도록 각 접촉부(35a, 35b, 35c)를 경질 우레탄 고무로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절연판(3)에 각 버스바(2a)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워크 세트 스테이션(20)에 위치되는 워크 세트 테이블(17)에서의 워크 세트 영역(17a)의 소정 위치에 버스바 플레이트(2)를 세트하고, 이 버스바 플레이트(2)가 세트된 워크 세트 테이블(17)을 액추에이터(18)의 작동에 의해 각 레일(16)을 따라 프레스 스테이션(21)의 상형(12)과 하형(13) 사이의 워크 프레스 영역(21a)으로 이동시킨다.
이 워크 프레스 영역(21a) 위치에 워크 세트 테이블(17)이 도착한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30)는 단축 상태로 되어 있고,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각 융기부(29a)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각 요홈부(28a)는 상하 방향으로 대향한 합치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에어 실린더(37)도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축 상태로 되어 있고, 하이 스토퍼(33)에서의 각 스토퍼 지주(34a, 34b, 34c)와 각 접촉부(35a, 35b, 35c)가 서로 대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프레스 장치(14)가 작동하여 상형(12)이 하강 조작되면, 스트리퍼 플레이트(28) 하면이 버스바 플레이트(2)에 맞닿고, 그 후 다시 하강 조작되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각 융기부(29a)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각 요홈부(28a)가 서로 끼워 맞춰진 맞물림 상태로 되는 동시에 워 크 세트 테이블(17)도 초기 높이보다 하강 조작되고, 이로 인해 커트용 펀치(31)가 스트리퍼 플레이트(28)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대향하는 커트용 다이(25)와의 협동에 의해 버스바 플레이트(2)의 각 브릿지(2b)를 절단한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 스토퍼(33)에서의 각 스토퍼 지주(34a, 34b, 34c)와 각 접촉부(35a, 35b, 35c)가 서로 접촉 분리 가능하게 맞닿아 상형(12)의 하강이 규제된다.
그리고, 각 브릿지(2b)의 절단 후, 상형(12)은 초기의 상승 위치에 복귀된다. 이 때, 스트리퍼 플레이트(28)는 펀치 홀더 플레이트(27)로부터 떨어지는 아래 방향으로 이격되고, 이로 인하여, 각 융기부(29a)와 각 요홈부(28a)의 끼워 맞춰진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밀려 내려갔던 워크 세트 테이블(17)도 초기의 높이로 복귀된다.
그 후, 워크 세트 테이블(17)은 초기 위치의 워크 세트 스테이션(20) 위치로 복귀되고, 워크 세트 스테이션(20) 위치에서 분단된 각 버스바(2a) 상의 소정 위치에 절연판(3)을 위치 결정 형상으로 세트하고, 다시 워크 세트 테이블(17)을 워크 프레스 영역(21a)으로 이동시킨다.
이 절연판(3) 세트 후의 2번째의 워크 프레스 영역(21a) 위치에 워크 세트 테이블(17)이 도착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30)는 신장 상태로 되어 있고,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각 융기부(29a)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각 요홈부(28a)는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난 비합치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에어 실린더(37)도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신장 상태로 되어 있고, 하이 스토퍼(33)에서의 중앙의 스토퍼 지주(34b)와 슬라이더 플레이트(36)의 받침부(36a)가 서로 대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프레스 장치(14)가 작동하여 상형(12)이 하강 조작되면, 스트리퍼 플레이트(28) 하면이 버스바 플레이트(2)에 맞닿고, 그 후 다시 하강 조작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각 융기부(29a)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각 요홈부(28a)가 서로 위치 어긋나고 있기 때문에, 펀치 홀더 플레이트(27)의 하면과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하면의 거리가 줄어들지 않고, 커트용 펀치(31)가 스트리퍼 플레이트(28)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지 않는 비돌출 상태에서 하강하며. 이 하강에 수반하는 워크 세트 테이블(17)의 하강에 의해, 각 버스바(2a)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절연판(3)의 각 코오킹용 돌기부(3a)가,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대향하는 코오킹용 펀치(26)로 눌리며, 이로 인하여 코오킹 고정되어 절연판(3)과 각 버스바(2a)가 일체화된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 스토퍼(33)에서의 스토퍼 지주(34b)와 슬라이더 플레이트(36)의 받침부(36a)가 서로 접촉 분리 가능하게 맞닿아 상형(12)의 하강이 규제된다.
그리고, 절연판(3)에 대한 각 버스바(2a)의 코오킹 고정 후, 상형(12)은 초기의 상승 위치로 복귀된다. 이 때, 에어 실린더(30)도 단축 상태로 복귀되고, 각 융기부(29a)와 각 요홈부(28a)가 서로 대향하는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하이 스토퍼(33)에서의 에어 실린더(37)도 단축 상태로 복귀되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밀어 내려져 있던 워크 세트 테이블(17)도 초기의 높이로 복귀된다.
그 후, 워크 세트 테이블(17)은 워크 세트 스테이션(20) 위치로 복귀되고, 워크 세트 테이블(17) 상에서 일체화된 절연판(3)을 취출하면 버스바(2a)가 장착된 절연판(3)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버스바 플레이트(2)의 브릿지(2b)를 절단하는 브릿지 커트 영역과, 분단된 각 버스바(2a)와 절연판(3)을 코오킹 고정하는 절연판 코오킹 영역이 단일의 워크 프레스 영역(21a)으로 겸용된 구조이며, 영역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상형(12) 및 하형(13)의 전체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어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버스바 장착 장치(11)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스페이스도 적어도 되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브릿지 커트 영역과 절연판 코오킹 영역을 워크 프레스 영역(21a)에서 공통화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 구조에서의 스토퍼 등이 불필요해져 각종 부품 개수의 삭감이나, 금형의 단순화 및 금형 사이즈의 컴팩트화에 의한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브릿지 커트 영역과 절연판 코오킹 영역이 동일한 위치의 워크 프레스 영역(21a)으로 공통화되어 있기 때문에, 워크 세트 스테이션(20)에서 세트된 버스바 플레이트(2)나 절연판(3)을 프레스 스테이션(21)으로 이동시킬 때에 있어서 이동 스트로크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어 사이클 타임이 향상된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상형(12)과 하형(13)의 상호 접근 거리를 상이하게 한 하이 스토퍼(33)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버스바 플레이트(2)의 브릿지(2b) 절단 공정과, 절연판(3)의 코오킹용 돌기부(3a) 코오킹 공정으로 상형(12)의 하강 정지 위치를 보 다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브릿지 커트 영역과 절연판 코오킹 영역을 워크 프레스 영역(21a)에서 공통화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마찬가지의 크기의 상형과 하형을 이용한 경우에는, 워크 프레스 영역(21a)을 2개소 확보할 수 있고, 절단 공정이나 코오킹 공정을 복수 동시에 행할 수 있는 버스바 장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도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 플레이트(29)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상호간에 자유자재로 끼우고 뺄 수 있도록 끼워 맞춰지는 융기부(29a)와 요홈부(28a)가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지만, 펀치 홀더 플레이트(27)와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 사이에 각각 융기부와 요홈부를 설치하는 구조로 해도 되며, 상기 실시예로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형(12)측에 커트용 펀치(31)를 배치하고, 하형(13)측에 커트용 다이(25)나 코오킹용 펀치(26)를 배치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지만, 상형(12)측에 커트용 다이(25)나 코오킹용 펀치(26)를 배치하고, 하형(13)측에 커트용 펀치(31)를 배치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버스바 장착 장치에 따르면, 커트용 펀치가 구비된 펀치 홀더 플레이트에 이격 방향으로 가압 상태로 하여 스트리퍼 플레이트가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와 펀치 홀더 플레이트 상호간에 스페이서 플레이트가 그 플레이트 면방향으로 나오고 들어가게 조작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상기 스페이서 플레이트와 펀치 홀더 플레이트의 상호간 혹은 스페이서 플레이트와 스트리퍼 플레이트의 상호간에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대향면에, 스페이서 플레이트의 나오고 들어가는 조작 방향과 교차하는 융기부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다른쪽의 대향면에 융기부를 자유자재로 끼우고 뺄 수 있도록 끼워 맞춰지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브릿지의 절단 시에는 융기부와 요홈부가 합치 상태로 되어 상형과 하형이 서로 접근 조작된 경우에, 커트용 펀치가 스트리퍼 플레이트보다 돌출 상태가 되고, 절연판에 대한 코오킹 고정 시에는, 융기부와 요홈부가 비합치 상태로 되어 상형과 하형이 서로 접근 조작된 경우에, 커트용 펀치가 스트리퍼 플레이트보다 비돌출 상태로 되어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버스바 플레이트의 브릿지를 절단하는 브릿지 커트 영역과, 분단된 각 버스바와 절연판을 코오킹 고정하는 절연판 코오킹 영역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상형 및 하형의 컴팩트화가 도모되고, 이로 인하여 버스바 장착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스페이스도 적어도 되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브릿지 커트 영역과 절연판 코오킹 영역의 공통화에 의해, 종래 구조에서의 스토퍼 등이 불필요해지고 각종 부품 개수의 삭감이나 금형의 단순화 및 금형 사이즈의 컴팩트화에 의한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브릿지 커트 영역과 절연판 코오킹 영역이 공통화되어 있기 때문에, 워크 세트 스테이션으로 세트된 버스바 플레이트나 절연판을 프레스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킴에 있어서 이동 스트로크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어 사이클 타임이 향상되는 이점도 있다.
또한, 융기부와 요홈부의 합치 상태와, 융기부와 요홈부의 비합치 상태에서, 상형과 하형의 상호 접근 거리를 상이하게 한 접근 높이 조정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로 하면, 상형과 하형의 접근 위치를 보다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복수 편의 버스바가 분단 가능한 브릿지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버스바 플레이트나 절연판을 세트하는 워크 세트 스테이션과,
    서로 접근 이격 조작 가능하게 된 상형과 하형을 가지고, 상형측 및 하형측에 각각 구비된 커트용 펀치와 커트용 다이의 협동에 의해 상기 버스바 플레이트의 브릿지를 절단하는 동시에, 상기 커트용 다이가 구비된 상형측 혹은 하형측에 구비된 코오킹용 펀치에 의해 분단된 각 버스바를 상기 절연판에 코오킹 고정하는 프레스 스테이션을 구비한 버스바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트용 펀치가 구비된 펀치 홀더 플레이트에, 이격 방향으로 가압 상태로 하여 스트리퍼 플레이트가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와 펀치 홀더 플레이트의 상호간에 스페이서 플레이트가 그 플레이트 면방향으로 나오고 들어가게 조작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상기 스페이서 플레이트와 펀치 홀더 플레이트의 상호간 혹은 스페이서 플레이트와 스트리퍼 플레이트의 상호간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의 대향면에 상기 스페이서 플레이트의 나오고 들어가는 조작 방향과 교차하는 융기부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다른쪽의 대향면에 상기 융기부를 자유자재로 끼우고 뺄 수 있도록 끼워 맞춰지는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의 절단 시에는 상기 융기부와 상기 요홈부가 합치 상태가 되어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이 서로 접근 조작된 경우에, 상기 커트용 펀치가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보다 돌출 상태로 되고, 상기 절연판에 대한 코오킹 고정 시에는 융 기부와 요홈부가 비합치 상태가 되어 상형과 하형이 서로 접근 조작된 경우에, 커트용 펀치가 스트리퍼 플레이트보다 비돌출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장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와 상기 요홈부의 합치 상태와, 융기부와 요홈부의 비합치 상태에서,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의 상호 접근 거리를 상이하게 한 접근 높이 조정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장착 장치.
KR1020050067238A 2004-08-04 2005-07-25 버스바 장착 장치 KR100644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28094 2004-08-04
JP2004228094A JP4385888B2 (ja) 2004-08-04 2004-08-04 バスバー装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736A KR20060046736A (ko) 2006-05-17
KR100644187B1 true KR100644187B1 (ko) 2006-11-10

Family

ID=36028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238A KR100644187B1 (ko) 2004-08-04 2005-07-25 버스바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85888B2 (ko)
KR (1) KR100644187B1 (ko)
CN (1) CN10044448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G20060035A1 (it) * 2006-07-06 2008-01-07 Abb Service Srl Elemento di isolamento di barre conduttrici e dispositivo di isolamento e supporto di barre conduttrici comprendente tale elemento.
CN102360641B (zh) * 2011-10-21 2013-06-26 成方泳 用于母线自冲铆接装置的支撑设备和母线自冲铆接装置
CN108767613A (zh) * 2018-04-28 2018-11-06 温州中邦知识产权有限公司 一种连续加工连接器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3428A (ja) * 1992-09-25 1994-04-22 Yazaki Corp バスバーの固定方法
JPH06253437A (ja) * 1993-02-25 1994-09-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気接続箱
JPH0757843A (ja) * 1993-08-09 1995-03-03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スバーの自動装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747A (ja) * 1996-07-01 1998-01-23 Hino Kogyo Kk バスバー及びバスバーの製造方法
JP2000032629A (ja) * 1998-07-13 2000-01-28 Sumitomo Wiring Syst Ltd 配線板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359221A (ja) * 2000-06-13 2001-12-26 Yazaki Corp バスバー回路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3428A (ja) * 1992-09-25 1994-04-22 Yazaki Corp バスバーの固定方法
JPH06253437A (ja) * 1993-02-25 1994-09-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気接続箱
JPH0757843A (ja) * 1993-08-09 1995-03-03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スバーの自動装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85888B2 (ja) 2009-12-16
CN1734869A (zh) 2006-02-15
CN100444486C (zh) 2008-12-17
KR20060046736A (ko) 2006-05-17
JP2006050782A (ja)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4187B1 (ko) 버스바 장착 장치
CN104368681A (zh) 斜楔机构
CN104959469A (zh) 落料冲孔模及落料冲孔工艺
KR101080154B1 (ko) 펀칭금형 기구
US20090293324A1 (en) Ironing apparatus
KR20130043719A (ko) 열교환핀 제조용 프레스 금형 장치
CN213530466U (zh) 滑轨挡点的冲压模具
CN104174771A (zh) 一种双层斜楔结构及冲压方法
JPH07299527A (ja) プレス成形装置
JP2707937B2 (ja) バスバーと絶縁板の自動装着装置
JPH0757843A (ja) バスバーの自動装着装置
JPH0747137Y2 (ja) プレス装置
JP4333414B2 (ja) バスバーアッセンブリの自動加工装置
JPH0515381Y2 (ko)
CN219746128U (zh) 一种高成型脱料冲压模具
JPH0736929B2 (ja) 金型移動穴抜き装置
JP4050506B2 (ja) 鍛造プレス
CN215431144U (zh) 一种侧翻边模具及其下模组件
CN116557391B (zh) 一种卡扣及冲压设备
JPS6350033Y2 (ko)
CN217775234U (zh) 一种带自锁滑块的弯折模具
CN214866726U (zh) 一种电机端盖的铆压装置
CN215786014U (zh) 一种用于汽车天窗导轨l型缺口的冲切机构
CN103191982B (zh) 一种模具共用支撑装置
CN220387701U (zh) 一种电子元件端子连续冲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