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721B1 - 공작물 바이스 - Google Patents

공작물 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721B1
KR100643721B1 KR1020037001666A KR20037001666A KR100643721B1 KR 100643721 B1 KR100643721 B1 KR 100643721B1 KR 1020037001666 A KR1020037001666 A KR 1020037001666A KR 20037001666 A KR20037001666 A KR 20037001666A KR 100643721 B1 KR100643721 B1 KR 100643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ovable
semi
groov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4832A (ko
Inventor
야스다요시카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테크.야스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테크.야스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테크.야스다
Publication of KR20030024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1/10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1/10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 B25B1/12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with provision for dis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1/10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 B25B1/12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with provision for disengagement
    • B25B1/125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with provision for disengagement with one screw perpendicular to the jaw 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바이스의 가동턱(15)의 대략의 위치를 공작물의 치수에 맞추어 설정하기 위해서, 가동턱(15)에 나사봉(7)으로 연결된 이동대(3)를 노크핀(29)으로 바이스의 베이스(1)에 고정한다. 이 이동대(4)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노크핀(29)의 회동 조작으로 행한다. 노크핀(29)은 선단부, 중간부 또는 전체가 반원통 형태이다. 이동대(4)는 베이스(1)를 향하는 면에 이동대(4)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반원통 홈(28)을 구비하고, 베이스(1)는 이동대(4)의 반원통 홈(28)에 대향하여,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반원통 홈(21)을 구비하고 있다. 노크핀(29)의 반원통부(31)를 이동대(4)측의 반원통 홈(28)에 회동시키면, 이동대(4)가 베이스(1)에 고정된다.

Description

공작물 바이스{WORK VICE}
본 발명은, 공작 기계의 테이블에 공작물을 고정할 때에 이용하는 공작물 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턱에 대향하여 진퇴하는 가동턱이 베이스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대에 연결되고, 이 이동대를 베이스에 고정하는 노크핀을 구비하고, 평면에서 볼 때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베이스를 구비한 공작물 바이스에 있어서의 이동대와 베이스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작 기계에서 가공되는 공작물을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공작물 바이스는, 공작 기계의 테이블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턱과, 고정턱에 대향하여 진퇴하는 가동턱을 구비하고 있다. 범용적인 공작물 바이스는 가동턱을 나사 기구에 의해 진퇴시켜서 강한 힘으로 공작물을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나사 기구를 이용한 공작물 바이스는 공작물의 크기에 맞추어 가동턱을 크게 이동시킬 때, 나사를 몇회나 회전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런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서, 베이스 상에 이동대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이동대에 가동턱을 연결하고, 공작물의 치수에 맞춘 위치에서 이동대를 노크핀으로 베이스에 고정하는 구조의 공작물 바이스가 제공되고 있다.
각각의 공작 기계에 의해서 가공 가능한 공작물의 치수는, 테이블과 공구의 간격에 의해 제한된다. 공작물 바이스는 테이블에 고정하여 공작물을 파지(把持)하기 위해서, 공작물의 가공 치수를 희생하지 않도록 소형인 것이 요구된다. 또 다수의 공작물 바이스를 나열하여 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공작물 바이스로 1개의 공작물을 파지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폭이 좁고 가동턱의 이동 스트로크가 큰 것이 요구된다. 또한 공작물의 착탈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나, 테이블에 장착하였을 때에 노크핀이 누락하지 않는 구조인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하는 공작물 바이스로서, 본 출원의 출원인은 이동대와 베이스를 고정하는 노크핀의 핀 구멍을 이동대에 설치한 1개의 반원통 홈과, 베이스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한 다수 개의 반원통 홈의 1개를 대향시켜서 형성하는 공작물 바이스를 제창하고 있다(일본국 공개 실용 신안 공보 평성 7년 제15264호, 일본국 공개 실용 신안 공보 평성 제7년 27756호,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평성 7년 제171769호, 일본국 공개 특허 공개 평성 9년 제29571호 공보). 이 구조의 공작물 바이스는, 노크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 노크핀을 이동대의 양측에 설치함으로써, 공작물의 파지 반력이 노크핀에 편하중이 되어 작용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동대와 베이스를 고정하는 노크핀의 핀 구멍을 반원통 홈으로 형성하는 공작물 바이스에 있어서, 이동대의 고정과 고정 해제를 노크핀의 회동 조작에 의해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노크핀의 빼고 꽂음에 요하는 공간이 불필요하고, 다수의 공작물 바이스를 나열하여 배치할 때의 공작물 바이스 상 호의 간격을 보다 좁게 할 수 있다. 또 공작물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행할 때의 조작성에도 우수한 공작물 바이스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공작물 바이스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베이스(1)와, 이 베이스(1)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한 슬라이드 가이드(5)를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대(4)를 구비하고 있다. 공작물을 파지하는 가동턱(15)은 이동대(4)에 나사봉(7)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동대(4)를 베이스(1)에 고정하는 노크핀(29)의 핀 구멍(26)은 이동대(4)에 설치한 반원통 홈(28)과, 이동대(4)의 이동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한 베이스(1)측의 반원통 홈(21···)의 1개를 대향시킴으로써, 그 전체가 형성된다.
청구의 범위 제1항의 발명에 관한 공작물 바이스의 노크핀(29)은, 선단측에 반원 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대(4)는 베이스(1)를 향하는 면(25)에 이동대(4)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반원통 홈(28)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반원통 홈(28)의 외측단에 위치하는 측벽(20)에는 상기 반원통 홈과 연속적으로 접하는 원구멍(27)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1)는 이동대의 상기 반원통 홈(28)을 설치한 면과 대향하는 가늘고 긴 면(24)을 구비하고, 이 면(24)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반원통 홈(21···)을 구비하고 있다. 이동대(4)의 반원통 홈(28)과 베이스(1)의 반원통 홈(21···)의 각각은 양자가 대향하였을 때에 상기 원구멍(27)과 원심의 원통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노크핀(29)은 원구멍(27)에 적어도 180도 회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2항의 발명에 관한 공작물 바이스의 노크핀(29)은, 중간부에 반원 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대(4)는 그 이동 방향과 평행한 측벽(20) 및 내벽(38)의 사이에 끼워진 홈(4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동대(4)는 상기 측벽(20)을 관통하여 내벽(38)에 도달하는 원구멍(27, 44)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베이스(1)는 정상면(39)이 상기 원구멍(27, 44)의 중심을 넘지 않는 치수로 이동대의 홈(4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늘고 긴 돌기(36)와, 이 돌기의 정상면(39)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반원통 홈(21···)을 구비하고 있다. 이동대의 홈(42)의 저면과 베이스의 돌기(36)의 정상면의 사이에 상기 노크핀(29)의 반원통부가 이동 가능한 공극(43)이 형성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3항의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의 발명에 관한 공작물 바이스에 있어서, 핀(29)이 이동대의 측벽(20)의 원구멍(27)에 삽입 통과되는 부분에 원주홈(32)을 구비하고, 이동대(4)에는 이 원주홈에 끼워 맞추어 핀(29)의 축방향 이동에 저항하는 돌출단(34)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4항의 발명에 있어서는, 베이스(1)측의 반원통 홈(21···)과 이동대(4)측의 반원통 홈(28) 및 양자로 형성되는 핀 구멍(26)이 하기의 치수 관계를 구비하고 있다. 즉, 이동대(4)측의 반원통 홈(28)은 핀 구멍(26)의 반경(R)보다 깊은 홈 깊이(S)를 구비하고 있고, 따라서, 베이스측의 반원통 홈(21)은 이동대측의 것을 깊게 한 부분만큼 얕은 홈 깊이(T)의 반원통 홈으로 되어 있다. 노크핀(29)은 전체 또는 일부에 반원통부를 구비하고, 그 반원통부는 베이스측의 반원통 홈(21)의 홈 깊이(T)보다 두껍고 이동대측의 반원통 홈(28)의 홈 깊이(S)를 넘지 않는 두께(U)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의 범위 제5항의 발명은, 제4항 기재의 공작물 바이스에 있어서, 노크핀(29)은 그 아랫 부분에 원주홈(32)을 구비하고, 이동대(4)는 이 원주홈에 끼워 맞추어 노크핀의 축 방향 이동에 저항하는 돌출단(34)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공작물 바이스에 의하면, 노크핀(29)을 대략 180도 회동함으로써, 이동대(4)와 베이스(1)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행할 수 있다. 즉, 노크핀의 반원통부(31)를 이동대측의 반원통 홈(28)에 회동한 상태에서 이동대(4)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이동대와 베이스의 반원통 홈(28, 21) 상호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노크핀의 반원통부(31)를 베이스측의 반원통 홈(21)으로 회동시키면, 이동대(4)가 베이스(1)에 고정된다.
청구의 범위 제2항의 발명에서는, 노크핀(29)의 양단이 원구멍(27과 44)으로 지지되고, 이동대에 작용하는 공작물의 파지 반력이 측벽(20)과 내벽(38)의 양측에서 노크핀(29)에 작용한다. 따라서, 노크핀을 경사지게 하는 힘이 발생하지 않고, 이동대(4)의 고정이 안정적이고 확실하다. 또, 측벽(20)의 두께도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대(4)의 폭도 좁게 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4항의 공작물 바이스는, 노크핀의 반원통부(31)를 이동대측의 반원통 홈(28)측으로 회동하였을 때에는, 베이스측의 반원통 홈(21)에 핀이 남지 않기 때문에, 이동대(4)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측의 반원통 홈(21)의 1개와 이동대측이 반원통 홈(28)을 대향시켜서 노크핀(29)을 대략 180도 회동하면,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측의 반원통 홈(21)에 끼워 맞춘 노크핀의 반원통부(31)의 단면의 일부가 이동대측의 반원통 홈(28)측에 남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동대(4)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동대에 작용하는 공작물의 파지 반력은 이동대의 반원통 홈(28)측에 남은 원주면으로부터 노크핀(29)에 전달되고, 베이스측의 반원통 홈(21)에 끼워 맞춰져 있는 핀의 원주면에서 베이스(1)에 전달된다.
청구의 범위 제3항 및 제5항의 구조는, 노크핀의 원주홈(32)에 끼워 맞추는 돌출단(34)이 노크핀(29)의 축방향 이동을 저지하기 때문에, 공작물 바이스를 수직인 테이블 면에 수평으로 장착한 경우에 생기는 노크핀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원주홈(32)을 반원호로 함으로써, 이동대의 고정 및 고정 해제시의 노크핀의 회동 위치를 규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공작물 바이스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공작물 바이스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공작물 바이스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공작물 바이스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공작물 바이스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공작물 바이스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공작물 바이스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공작물 바이스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공작물 바이스의 측면도,
도 10은 제3 실시예의 공작물 바이스의 노크핀의 작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공작물 바이스의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공작물 바이스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공작물 바이스의 측면도이다.
도면 중, 부호 1은 베이스, 4는 이동대, 5는 슬라이드 가이드, 7은 나사봉, 15는 가동턱, 20은 이동대의 측벽, 21은 베이스에 설치한 반원통 홈, 23은 이동대에 설치한 내향 턱, 24는 내향 턱의 하면, 25는 내향 턱의 하면에 대향하고 있는 베이스측의 면, 26은 핀 구멍, 27은 이동대의 측벽의 원구멍, 28은 이동대의 반원통 홈, 29는 노크핀, 31은 노크핀의 반원통부, 32는 노크핀에 설치한 원주홈, 34는 볼, 38은 이동대에 설치한 내벽, 42는 하향 홈, R은 핀 구멍의 반경, S는 이동대측의 반원통 홈의 깊이, T는 베이스측의 반원통 홈의 깊이, U는 노크핀의 반원통부의 두께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청구의 범위 제1항의 발명의 실시예이다. 도 3에 있어서, 베이스(1)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가늘고 긴 직사각형이다. 베이스(1)의 일단에 고정턱(2)이 키(3)로 위치 결정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동대(4)는 베이스(1)의 길이 방향의 슬라이드 가이드(5)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이동대(4)는 상부 중앙에 슬라이드 가이드와 평행한 관통구멍(6)을 갖고, 이 관통구멍에 나사봉(7)의 원통부(8)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나사봉(7)의 원통부(8)와 나사부(9)의 사이에는, 중간턱(11)이 일체로 형성 되어 있고, 원통부의 선단(12)은 육각 단면으로 되어 있다. 나사봉(7)은 원통부(8)를 이동대의 관통구멍(6)에 삽입 통과한 후, 선단측에 손잡이(13)를 고정 나사(14)로 고정함으로써, 이동대(4)에 회동 가능하고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동대(4)의 고정턱측에는, 가동턱(15)이 이동대와 동일 슬라이드 가이드(5)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가동턱(15)에 설치한 나사 구멍(16)에 나사봉의 나사부(9)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동대(4)는 측면에서 볼 때 L형, 가동턱(15)은 측면에서 볼 때 역 L형을 하고 있고, 가동턱(15)의 배면(이동대측)에 차양 형상으로 연장된 부분의 하면(17)이 이동대(4)의 전면에 받침대 형상으로 연장된 부분의 상면(18)에 미끄러져 접하고 있다. 이 구조는 가동턱(15)에 걸리는 공작물의 파지 반력에 의해서 가동턱(15)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유효하다.
베이스(1)의 양측에 슬라이드 가이드(5)와 직교하는 수평 방향의 다수의 반원통 홈(21)이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5)의 단면은 상단 양측에 외향 턱(22)을 갖는 T형 단면이고, 이동대(4)의 하부의 단면은 하단 양측에 내향 턱(23)을 갖는 하향의 C형 단면이다. 베이스측의 반원통 홈(21)은 외향 턱(22)의 하면(24)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이동대(4)의 내향 턱(23)의 상면(25)에는 반원통 홈(28)이 형성되고, 이 반원통 홈(28)의 연장 상에 이동대(4)의 측벽(20)을 관통하는 원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반원통 홈(28)과 원구멍(27)은 내향 턱의 상면(25)에 축선을 갖는 핀 구멍(26)을 형성하고 있다.
핀 구멍(26)에는, 아랫 부분이 원통 형상이고 선단 부분이 반원통 형상인 노크핀(29)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된다. 노크핀의 반원통부(31)가 이동대측의 반원통 홈(28) 내에 위치할 때에는, 이동대(4)는 베이스(1)의 슬라이드 가이드(5)를 따라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이동대의 반원통 홈(28)을 베이스의 반원통 홈(21···)의 1개와 대향시키고, 노크핀(29)을 180도 회동시키면, 노크핀의 반원통부(31)가 베이스측의 반원통 홈(21)에 끼워 맞춰지고, 이동대(4)가 베이스(1)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노크핀(29) 아랫측 원통 부분에는, 그 원주면의 180도의 범위에 원주 홈(32)이 설치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33)으로 힘이 가해져서 원구멍(27)의 내주의 1개소로 돌출하고 있는 볼(34)이 이 원주홈(32)에 끼워 맞춰지고 있다. 볼(34)은 180도의 원주 홈(32)과 끼워 맞춰짐으로써, 노크핀(29)의 축방향 이동을 저지하는 동시에, 노크핀의 반원통부(31)가 이동대의 반원통 홈(28)에 들어가는 각도와, 베이스의 반원통 홈(21)에 끼워 맞춰지는 각도로 노크핀(29)의 회동 위치를 규정한다. 노크핀(29)은 이것을 회동시키는 손잡이(35)가 설치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청구의 범위 제2항의 발명의 실시예이다. 도 6에 도시하는 고정턱(2)의 구조나 이동대(4)와 가동턱(15)의 연결 구조는,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고, 동일한 부재가 도 3과 동일 부호를 붙여서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측의 반원통 홈(21)은 제1 실시예의 것이 하향인 것에 반해서, 이 제2 실시예의 것은 상향이다. 베이스의 슬라이드 가이드(5)의 단면 형상은 상단 양측에 상향 턱(36)을 갖고, 측면 하부에 외향 홈(37)을 갖는 크라운 형태이다. 이동대(4)의 하부의 단면 형상은 천장면으로부터 수직 하강하는 내벽(38)을 갖고, 하단 양측에 내향 턱(23)을 갖는 도어 형태이다. 베이스측의 반원통 홈(21)은 상향 턱(36)의 정상면(39)에 배치되어 있다. 이동대의 내벽(38)과 측벽(20)의 사이에는 하향 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향 홈(42)의 홈 깊이는 베이스의 상향 턱(36)의 정상면(39)의 사이에 노크핀(29)의 반경을 넘는 상하 치수의 공극(43)이 형성되는 깊이이다. 이동대(4)가 베이스(1)에 장착된 상태에서, 내벽(38)은 베이스의 양측의 상향 턱(36)의 사이에 삽입되고, 내향 턱(23)은 베이스의 외향 홈(37)에 끼워져 삽입된다.
이동대의 양측에는, 측벽(20)을 관통하여 안쪽단이 내벽(38)에 도달하는 원구멍(27, 4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원구멍(27, 44)의 중심축은 베이스의 상향 턱의 정상면(39) 상에 있다. 이 원구멍(27, 44)은 중간부를 반원통부(31)로 한 노크핀(29)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노크핀의 반원통부(31)가 위쪽으로 회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반원통부(31)는 베이스의 상향 턱의 정상면(39)과 이동대의 하향 홈의 저면(45) 사이의 공극(43) 내에 위치하고, 이동대(4)는 자유 이동 가능하다. 이동대의 반원통 홈(28)을 베이스의 반원통 홈(21)의 1개와 대향시키고, 원구멍(27, 44) 내에서 노크핀(29)을 회동하여 그 반원통부(31)를 아래쪽으로 회동시키면, 반원통부(31)는 베이스의 반원통 홈(21)에 끼워 맞추어 이동대(4)를 고정한다.
이 청구의 범위 제2항의 구조의 것에서도, 노크핀(29) 아랫측 원통 부분에 180도의 원주홈(32)을 설치하고, 코일 스프링(33)으로 힘이 가해져서 원구멍(27)의 원주면으로 돌출하는 볼(34)을 설치하고, 상기 볼(34)을 이 원주홈에 끼워 맞춤으로써, 노크핀(29)의 탈락을 방지하고, 또한 노크핀(29)의 회동을 반원통부(31)가 베이스측의 반원통 홈(21)에 끼워 맞추는 상태와 공극(43)으로 후퇴하는 상태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청구의 범위 제4항의 발명의 실시예이다. 베이스(1)의 슬라이드 가이드(5)의 단면은, 상단 양측에 외향 턱(22)을 갖는 T형이고, 이동대(4)의 하부의 단면은 내측 상단에 베이스의 외향 턱(22)의 아래에 삽입되는 내향 턱(23)을 갖는 하향 C형이다. 베이스의 반원통 홈(21···)은 베이스의 하단의 턱(46)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동대(4)의 하단면(41)에는 베이스의 반원통 홈(21)과 대향하여 원통형상의 핀 구멍(26)을 형성하는 1개의 반원통 홈(28)이 설치되어 있다. 이동대의 반원통 홈(28)은 상하의 반원통 홈(21, 28)에 의해서 형성되는 핀 구멍(26)의 반경(R)보다 깊은 깊이(S)를 갖고 있다. 따라서, 베이스측의 반원통 홈(21···)의 홈 깊이(T)는 핀 구멍(26)의 반경(R)보다도 얕다.
핀 구멍(26)에는, 이동대측의 반원통 홈(28)의 홈 깊이(S)와 동일 두께(실제로는 끼워 맞춤 공차에 상당하는 공극분만큼 얇다)(U)의 반원통형의 노크핀(29)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 노크핀(29)은 이동대측의 반원통 홈(28)측으로 회동하였을 때,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반원통의 전부가 반원통 홈(28) 내에 들어간다. 따라서 노크핀(29)과 베이스측의 반원통 홈(21)은 걸어 맞춰지지 않고, 이동대(4)는 자 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대의 반원통 홈(28)과 베이스의 반원통 홈(21)의 1개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노크핀(29)을 대략 180도 회동시키면, 노크핀(29)은 베이스의 반원통 홈(21)에 수용된 상태가 되지만, 그 두께(U)가 반원통 홈(21)의 홈 깊이(T)보다 두껍기 때문에, 노크핀(29)의 원주면의 일부가 이동대의 반원통 홈(28) 내에 남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이동대(4)와 베이스(1)는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공작물을 파지하였을 때에 이동대(4)에 작용하는 파지 반력은 이동대의 반원통 홈(28) 내에 남은 부분의 핀의 원주면으로부터 베이스(1)에 전달되게 된다.
노크핀(29)에는, 그 아랫측의 원주면에 180도의 원주 홈(32)을 설치하고, 이동대의 반원통 홈(28)의 원주면의 1개소(이동대의 하단면에 가까운 위치)에 코일 스프링으로 힘이 가해진 볼(34)을 돌출시키고, 상기 볼을 원주 홈(32)에 끼워 맞춤으로써, 노크핀(29)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노크핀(29)의 이동대측으로의 회동단과 베이스측으로의 회동단을 규제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청구의 범위 제4항의 발명의 실시예이다. 이 제4 실시예의 것에서는 베이스의 상단의 외향 턱(22)의 하면(24)에 반원통 홈(21···)이 배치되고, 이동대의 내향 턱(23)의 상면(25)에 이동대측의 반원통 홈(2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대의 반원통 홈(28)에 연접하는 원구멍(27)이 이동대의 측벽(20)을 관통하고 있다. 노크핀(29)은 기단측에 짧은 원통부(49)를 갖고 있고, 선단측에 제3 실시예의 핀과 동일한 단면 형상의 반원통부(31)를 갖고 있다. 그 외의 구조 및 작용은 제3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이 제4 실시예의 구조는 베이스측의 반원통 홈(21)이 하향이 되기 때문에, 공작물을 가공할 때의 절단 가루 등의 반원통 홈(21)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공작물 바이스는, 고정턱과 가동턱의 간격을 설정하는 이동대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노크핀의 회동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노크핀은 베이스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공작물의 파지 반력이 이동대를 기울이지 않고, 청구의 범위 제2항 및 제4항의 구성에 의하면, 공작물의 파지 반력이 노크핀을 기울이지도 않는다. 이것은, 안정적이고 강고하며 정확한 공작물의 파지를 가능하게 한다. 이동대의 고정 및 고정 해제시에 노크핀의 빼고 꽂음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바이스를 좁은 간격으로 나열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특히 형상이 복잡한 공작물을 다수의 바이스를 이용하여 파지할 때에 유리하다. 또, 공작물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행할 때의 조작성에도 우수하고, 공작물의 착탈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이스는 공작 기계로 가공되는 공작물을 공작 기계의 테이블에 고정하기 위한 바이스로서 특히 적합하다.

Claims (4)

  1. 가늘고 긴 베이스(1)와, 이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한 슬라이드 가이드(5)를 따라서 이동 가능한 이동대(4)와, 이 이동대(4)에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와 평행하게 설치한 나사봉(7)으로 연결되어 있는 가동턱(19)과, 소정의 다수 위치에서 상기 이동대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는 노크핀(29)을 구비한 공작물 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노크핀(29)은 중간부에 반원통부를 구비하고, 이동대(4)는 그 이동 방향과 평행한 측벽(20)과 내벽(38)의 사이에 끼워진 홈(42)과, 상기 측벽(20)을 관통하여 내벽(38)에 도달하는 원구멍(27, 44)을 구비하고, 베이스(1)는 정상면(39)이 상기 원구멍(27, 44)의 중심을 넘지 않는 치수로 이동대의 상기 홈(4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삽입되는 돌기(36)와, 상기 돌기의 상기 정상면(39)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반원통 홈(21)을 구비하고, 이동대의 상기 홈(42)의 저면과 베이스의 돌기(36)의 정상면의 사이에 상기 핀(29)의 반원통부가 이동 가능한 공극(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핀(29)이 이동대의 측벽(20)의 원구멍(27)에 삽입 통과되는 부분에 원주 홈(32)을 구비하고, 이동대(4)는 이 원주 홈에 끼워 맞춰져 핀(29)의 축방향 이동에 저항하는 돌출단(34)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바이스.
  3. 가늘고 긴 베이스(1)와, 이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한 슬라이드 가이드(5)를 따라서 이동 가능한 이동대(4)와, 이 이동대(4)에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와 평행하게 설치한 나사봉(7)으로 연결되어 있는 가동턱(19)과, 소정의 다수 위치에서 상기 이동대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는 노크핀(29)을 구비하고, 상기 노크핀(29)을 삽입하는 핀 구멍(26)이 이동대(4)에 설치한 반원통 홈(28)과,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한 베이스측의 반원통 홈(21)···의 1개를 대향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공작물 바이스에 있어서,
    이동대측의 반원통 홈(28)은 핀 구멍(26)의 반경(R)보다 깊은 홈 깊이(S)를 구비하고, 노크핀(29)은 상기 홈 깊이(S)를 넘지 않고 또한 핀 구멍(26)의 직경으로부터 상기 홈 깊이(S)를 제외한 치수보다 두꺼운 두께(U)를 갖는 반원통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노크핀(29)은 그 아랫 부분에 원주홈(32)을 구비하고, 이동대(4)는 이 원주 홈에 끼워 맞춰져 노크핀의 축방향 이동에 저항하는 돌출단(34)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바이스.
KR1020037001666A 2000-08-08 2000-08-08 공작물 바이스 KR100643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0/005312 WO2002011949A1 (fr) 2000-08-08 2000-08-08 Eta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832A KR20030024832A (ko) 2003-03-26
KR100643721B1 true KR100643721B1 (ko) 2006-11-10

Family

ID=1173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666A KR100643721B1 (ko) 2000-08-08 2000-08-08 공작물 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643721B1 (ko)
CN (1) CN1253288C (ko)
WO (1) WO20020119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9065B (zh) * 2012-06-11 2014-10-01 苏州市职业大学 一种快速定位夹紧机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8230Y2 (ja) * 1993-08-06 1998-08-06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バイス
JP3207687B2 (ja) * 1993-10-29 2001-09-10 株式会社テック・ヤスダ ワークバイス
JPH0727756U (ja) * 1993-10-29 1995-05-23 有限会社安田製作所 速送りワークバイス
JP3100316B2 (ja) * 1995-07-24 2000-10-16 株式会社テック・ヤスダ ワークバイス及び可動爪
JP2989590B1 (ja) * 1998-09-21 1999-12-13 株式会社ナベヤ 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11949A1 (fr) 2002-02-14
CN1253288C (zh) 2006-04-26
KR20030024832A (ko) 2003-03-26
CN1454132A (zh) 200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3519A (en) Vise with selectable jaw faces
US7810817B1 (en) Holder for replaceable tools
US4002328A (en) Vise
KR101008853B1 (ko) 유압척
US9095958B2 (en) Self centering dual direction clamping vise
US20100219573A1 (en) Work Holder
CN100531985C (zh) 往复式锯和滑动支座锁定机构
JP3765810B2 (ja) バイス用締付力調節装置
JP6674805B2 (ja) センタリング調整機能付きマシンバイス
US6446485B1 (en) Modular tool support element in sheet metal bending brakes
EP1880786A2 (en) Vise mechanism incorporated in cutting machine
KR20170091205A (ko) 원 웨지 센터링 유압척
KR100643721B1 (ko) 공작물 바이스
JP4388156B2 (ja) ワークバイス
JP4757304B2 (ja) チャック及び回転式方向合わせ装置
CN214024236U (zh) 一种钣金件夹具装置
KR20160011307A (ko) 원 웨지 센터링 유압척
JP2989590B1 (ja) バイス
KR100621752B1 (ko) 보링머신의 슬라이딩 타입 바이트 홀더
AU2019200014B2 (en) Pipe Pliers
JP4063923B2 (ja) ワークバイスの中間爪ブロック
US20210354206A1 (en) Improvements to jig apparatus
CN220331058U (zh) 一种手动双轴虎钳结构
US7152855B1 (en) Vise jaw with work stop
WO2000053361A1 (en) Tool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