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459B1 - 댐퍼장치 - Google Patents

댐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459B1
KR100643459B1 KR1020050062814A KR20050062814A KR100643459B1 KR 100643459 B1 KR100643459 B1 KR 100643459B1 KR 1020050062814 A KR1020050062814 A KR 1020050062814A KR 20050062814 A KR20050062814 A KR 20050062814A KR 100643459 B1 KR100643459 B1 KR 100643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body
string
holding
ree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0093A (ko
Inventor
šœ스케 오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60050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36Arrangements for yieldably braking the reel or the material for moderating speed of winding or unwinding
    • B65H75/4442Arrangements for yieldably braking the reel or the material for moderating speed of winding or unwinding acting on the re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83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leaf or similar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4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double-acting springs, e.g. for closing and opening or checking and closing no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relatively-rotatable friction surfaces that are press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6Type of motion, e.g. braking ro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원웨이 댐퍼를 사용하는 일 없이 끈형상체(W)가 인출될 때에만 제동을 부여하도록 한다.
(해결수단) 릴체(1)와, 릴체(1)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베이스체(2)와, 릴체(1)의 역회전에 의해서 당해 릴체(1)를 정회전시키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축적하는 나선형 스프링(3)과, 제동부재(4)를 가지고 있다. 끈형상체(W)의 인출조작에 의해서 유지 오목부(20)의 장축(y)방향에 있어서 나선형 스프링(3)을 탄성변형시키면서 릴체(1)가 유지 오목부(20)의 단축(x)을 사이에 둔 일방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이 이동에 의해서 릴체(1)의 기어부(11)가 제동부재(4)의 기어부(40a)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댐퍼장치{DAMPER DEVICE}
도 1은 댐퍼장치(D)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댐퍼장치(D)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댐퍼장치(D)의 정면도
도 4는 상기 댐퍼장치(D)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5는 상기 댐퍼장치(D)의 정면도
도 6은 상기 댐퍼장치(D)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7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베이스체(2)의 정면도
도 9는 댐퍼장치(D)의 배면도{끈형상체(W)생략}
도 10은 릴체(1)의 도 11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 11은 릴체(1)의 도 10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릴체 10 - 스풀(spool)부
11 - 기어부 2 - 베이스체
20 - 유지 오목부 x - 단축
y - 장축 3 - 나선형 스프링
4 - 제동부재 40 - 회전축체
40a - 기어부 W - 끈형상체
본 발명은 끈형상체가 인출 가능하게 감겨진 상태로 구비되고, 감겨져 있는 상기 끈형상체가 인출될 때에만 이 인출에 제동을 부여하는 댐퍼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 기어와, 이 기어의 중심체에 감겨진 스트링(string)과, 스트링이 인출될 때에 탄성력이 축적되는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과, 상기 기어에 맞물리는 원웨이 댐퍼를 가지며, 스트링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기어가 회전될 경우에만 이 기어의 회전에 제동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댐퍼 유닛으로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낸 것이 있다.
이러한 댐퍼 유닛에 의하면, 예를 들어 스트링의 인출단부에 글러브 박스 본체를 접속하고 또한 케이스를 차량 본체에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글러브 박스 본체의 개방동작시에만 이 글러브 박스 본체의 동작에 제동을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글러브 박스 본체의 폐쇄동작시에는 스트링이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 복귀에 의해서 기어의 중심체에 감겨지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기어의 회전에 제동이 부여되지 않기 때문에 스트링이 기어의 중심체에 부드럽게 감겨지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2004-175151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문제점은,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댐퍼 유닛과 같은 기능을 상기 원웨이 댐퍼를 사용하지 않고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댐퍼장치가 다음의 ①∼⑧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① 릴체와, 상기 릴체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베이스체와, 상기 릴체의 역회전에 의해서 당해 릴체를 정회전시키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축적하는 나선형 스프링과, 제동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② 릴체는 끈형상체가 감겨지는 스풀부와 기어부를 가지고 있고,
③ 베이스체는 단축과 장축을 가진 타원형상을 이루는 릴체의 유지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④ 나선형 스프링은 그 중심단부를 유지 오목부의 대략 중심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그 외측단부를 릴체에 고정시키고 있고,
⑤ 제동부재는 점성유체가 봉입된 케이스체에 내측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시킴과 아울러 외측단부에 기어부를 구비한 회전축체를 가지고 있고,
⑥ 베이스체의 유지 오목부의 단축을 사이에 둔 일방측에서 릴체를 역회전시키면서 끈형상체가 인출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⑦ 상기 유지 오목부의 단축을 사이에 둔 일방측에 형성된 절결부에 제동부재의 기어부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고,
⑧ 끈형상체의 인출조작에 의해서 유지 오목부의 장축방향에 있어서 나선형 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면서 릴체가 유지 오목부의 단축을 사이에 둔 일방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이 이동에 의해서 상기 릴체의 기어부가 제동부재의 기어부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릴체에서 끈형상체가 인출될 때에는 이 인출에 제동을 부여하는 반면, 이 끈형상체에 대한 인출력의 작용이 해제된 경우에는 제동부재에 의한 제동을 받는 일 없이 나선형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서 릴체를 정회전시켜서 인출되었던 끈형상체를 부드럽게 감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체의 유지 오목부의 바닥측에, 상기 유지 오목부에 대한 릴체의 삽입에 의해서 상기 릴체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외주 플랜지에 맞닿아서 일단 외측으로 탄성변형되고, 상기 유지 오목부에 상기 릴체를 완전히 삽입한 위치에서의 탄성복귀에 의해서 상기 외주 플랜지의 상면에 걸리는 걸어맞춤돌조를 형성하여 두는 것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체의 유지 오목부에 릴체를 삽입함으로써, 상 기 베이스체에 원터치로 회전 가능하게 릴체를 조립할 수 있다.
상기 릴체의 외측단부에 조립되는 커버에 상기 끈형상체의 일단부를 인서트성형에 의해서 고착함과 아울러, 상기 릴체의 외측단부와 내측단부의 사이에 기어부와 스풀부를 형성하되 상기 기어부가 외측에 놓여지도록 하고, 상기 기어부에 이 기어부를 구성하는 톱니의 이뿌리에 있어서 외측으로 개방되는 끈형상체의 관통용 분할홈을 형성하여 두는 것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릴체에 커버를 조립함으로써, 상기 릴체에 끈형상체의 일단부를 확실하게 접합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커버에 고정된 끈형상체를 상기 관통용 분할홈을 통해서 스풀부에 적절하게 감아 둘 수 있다.
상기 끈형상체의 타단부에, 피제동부여 대상물에 대한 고정부를 구비한 클립을 인서트성형에 의해서 고착하여 두는 것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클립을 통해서 상기 피제동부여 대상물에 원터치로 확실하게 끈형상체의 타단부를 접합시킬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 도 3, 도 5, 도 7, 도 9는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장치(D)를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도 3은 끈형상체(W)가 잡아 당겨지지 않은 때의 상태를, 도 5는 끈형상체(W)가 잡아 당겨져 있는 때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의 댐퍼장치(D)의 요부를,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의 댐퍼장치(D) 의 요부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는 댐퍼장치(D)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8은 도 3의 상태에서의 베이스체(2)의 내부상태를 이해하기 쉽도록 릴체(1)의 기재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0 및 도 11은 릴체(1)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장치(D)는 끈형상체(W)가 인출 가능하게 감겨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감겨져 있는 끈형상체(W)가 인출될 때에만 이 인출에 제동을 부여하는 것이다.
끈형상체(W)로서는 둥근 끈, 평끈, 코드, 강선, 피아노선 등이 예정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장치(D)는, 전형적으로는 상기 끈형상체(W)의 인출단부{타단부(Wb)}에 접속되어 이동에 의해서 이 끈형상체(W)를 인출시키는 덮개나 도어나 서랍 등의 피제동부여 대상물의 그 이동에 대해서, 상기 끈형상체(W)의 인출에 대한 제동의 부여를 통해서 제동을 부여하도록 사용된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수납체측에 구비한 댐퍼장치(D)에서 인출되는 끈형상체(W)의 인출단부를 이 수납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체에 접속하고, 이 덮개체가 개방동작될 때에 끈형상체(W)가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이 덮개체의 개방동작에 제동을 부여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댐퍼장치(D)는 릴체(1)와, 이 릴체(1)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베이스체(2)와, 상기 릴체(1)의 역회전에 의해서 당해 릴체(1)를 정회전시키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축적하는 나선형 스프링(3)과, 제동부재(4)를 구비하고 있다.
〈릴체(1)〉
릴체(1)는 끈형상체(W)가 감겨지는 스풀부(10)와 기어부(11)를 가지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릴체(1)는 짧은 치수의 원통형상부(12)와 이 원통형상부(12)의 일단부가 타측면에 일체로 연접된 원반형상부(13)를 가지고 있다. 이 원반형상부(13)의 일측면이 릴체(1)의 외측단부(1')로 되어 있다. 원반형상부(13)의 외경은 원통형상부(12)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이 원반형상부(13)의 외연부와 원통형상부(1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외벽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원반형상부(13)의 일측면{외측단부(1')}의 중앙부에는, 이 일측면에 타단부가 일체로 연접되고 또한 이 일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슬리브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리브부(14)는 양 단부를 개방시키고 있으며, 그 내부를 원통형상부(12)의 내부에 연이어 통하게 하고 있다.
또, 원통형상부(12)의 타단부에는, 이 타단부를 둘러싸는 외주 플랜지(1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이 외주 플랜지(12a)와 상기 원반형상부(13)의 외벽부(13a)의 사이가 스풀부(10)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원반형상부(13)의 외연부에는 전 둘레에 걸쳐서 복수의 톱니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원반형상부(13)의 외연부가 기어부(11)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베이스체(2)의 유지 오목부에 끼워지는 릴체(1)의 외측단부(1')에 커버(15)가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커버(15)는 그 중앙에 상기 릴체(1)의 슬리브부(14)가 끼워지는 관통구멍(15a)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 관통구멍(15a)을 중심으로 한 가상의 원호를 따르는 긴 만곡 외연부를 가진 제 1 부분(15b)과, 이 제 1 부분(15b)의 반대측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원호를 따르는 짧은 만곡 외연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 1 부분(15b)보다 폭이 좁은 제 2 부분(15c)을 가지고 있다. 또, 이들 제 1 부분(15b)과 제 2 부분(15c)의 만곡 외연부에는, 이 만곡 외연부를 따르는 기립부(15d,15d)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 1 부분(15b)의 기립부(15d)의 외단부와 제 2 부분(15c)의 기립부(15d)의 외단부에는, 이들 외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15e)를 각각 가지고 있다.
상기 커버(15)에는 끈형상체(W)의 일단부(Wa)가 인서트성형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예에서는, 관통구멍(15a)과 제 2 부분(15c)의 만곡 외연부의 사이에 있어서, 이 제 2 부분(15c)의 두께 내에 끈형상체(W)의 일단부(Wa)를 매립하는 형태로 통과시킨 상태에서 커버(15)를 플라스틱의 인서트성형에 의해서 형성하고 있다. 매립된 끈형상체(W)의 말단은 제 2 부분(15c)의 만곡 외연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스트레이트 외연부(15f,15f) 중 일측의 스트레이트 외연부(15f)의 단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또 끈형상체(W)는 상기 일측의 스트레이트 외연부(15f)의 단면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 2 부분(15c)의 두께 내를 통과하여 타측의 스트레이트 외연부(15f)의 단면에서 돌출되어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릴체(1)의 원반형상부(13)의 일측면에는 상기 슬리브부(14)를 중심으로 한 가상원의 원호를 따라서 이 일측면에서 돌출되는 4개의 원호형상 리브(13b)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원호형상 리브(13b)의 선단부에는 이 원호형상 리브(13b)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걸어맞춤돌조(13c)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릴체(1)의 기어부(11)에, 이 기어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톱니 중 어느 인접한 2개의 톱니의 이뿌리에 있어서 외측으로 개방되고, 이 릴체(1)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끈형상체(W)의 관통용 분할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릴체(1)의 원반형상부(13)에 있어서의 상기 원통형상부(1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외벽부(13a)}을 분할하도록 잘라냄으로써 상기 관통용 분할홈(11a)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커버(15)의 기립부(15d)를 릴체(1)의 원호형상 리브(13b) 사이에 끼워 넣음에 의해서, 상기 원호형상 리브(13b)에 형성된 걸어맞춤돌조(13c)에 대한 상기 기립부(15d)에 형성된 플랜지부(15e)의 맞닿음에 의해서 주로 상기 원호형상 리브(13b)측이 일단 외측으로 휘어짐과 아울러, 상기 걸어맞춤돌조(13c)의 하측으로 플랜지부(15e)가 끼워 넣어진 위치에서의 상기 원호형상 리브(13b)측의 탄성복귀에 의해서 상기 플랜지부(15e)에 걸어맞춤돌조(13c)가 상측에서 걸리고, 이것에 의해서 릴체(1)의 외측단부(1')에 원터치로 커버(15)를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한 예에서는, 릴체(1)에 커버(15)를 조립함으로써, 릴체(1)에 끈형상체(W)의 일단부(Wa)를 확실하게 접합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커버(15)에 고착된 끈형상체(W)를 상기 관통용 분할홈(11a)을 통해서 스풀부(10)에 적절하게 감아 둘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커버(15)의 제 1 부분(15b)의 만곡 외연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부분(15c)의 타측의 스트레이트 외연부(15f)에 근접한 개소에, 관통용 분할홈(11a)에 끈형상체(W)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이 관통용 분할홈(11a)에 끼워 맞춰지는 돌출부(15g)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릴체(1)의 원통형상부(12)의 내부에 있어서, 그 내주면에 근접한 개소에, 일단이 원반형상부(13)의 타측면에 일체로 연접됨과 아울러 타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며 후술하는 나선형 스프링(3)의 외측단부(30)가 고정되는 고정편(12b)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끈형상체(W)의 타단부(Wb)에, 피제동부여 대상물에 대한 고정부(51)를 구비한 클립(5)이 인서트성형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예에서는, 끈형상체(W)의 중간부가 원통형상부(12)의 스풀부(10)에 감겨져 있는 릴체(1)로부터 인출되게 되는 끈형상체(W)의 타단부(Wb)를 대략 장방형의 판상을 이루는 클립(5)의 일측 장변부의 측방에 형성된 연장부(50)의 두께 내에 매립하는 형태로 통과시킨 상태에서 이 클립(5)을 플라스틱의 인서트성형에 의해서 형성하고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클립(5)에 있어서의 끈형상체(W)의 중간부측을 향하는 일측 단변부의 양 모서리에 상기한 고정부(51)로서의 돌출편(51a)이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피제동부여 대상물에 형성된 부착용 구멍 등에 이 1쌍의 돌출편(51a,51a)을 각각 끼워 고정함으로써, 이 클립(5)을 통해서 상기 피제동부여 대상물에 원터치로 확실하게 끈형상체(W)의 타단부(Wb)를 접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체(2)〉
베이스체(2)는 단축(x)과 장축(y)을 가진 타원형상을 이루는 릴체(1)의 유지 오목부(20)를 가지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유지 오목부(20)는 부착용 기판(21)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향해서 오목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유지 오목부(20)는 오목부의 입구측을 넓은 지름으로 하고{이하, 광경부(廣徑部)(20a)라 한다}, 오목부의 바닥측을 좁은 지름으로 하고{이하, 협경부(狹徑部)(20b)라 한다} 있다. 이 광경부(20a)와 협경부(20b)의 사이에는 단차면(20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릴체(1)의 스풀부(10)가 상기 협경부(20b)에 수납되도록 또 원반형상부(13)가 상기 광경부(20a)에 수납되도록 하여, 이 유지 오목부(20)에 릴체(1)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부착용 기판(21)에는 베이스체(2)를, 즉 댐퍼장치(D)를 부착하기 위한 나사 등의 삽입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수납체의 내벽면 등에 상기 삽입구멍(21a)을 이용하여 댐퍼장치(D)를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베이스체(2)의 유지 오목부(20)의 바닥측에, 이 유지 오목부(20)에 대한 릴체(1)의 삽입에 의해서 이 릴체(1)의 내측단부(1"){즉, 릴체(1)의 원통형상부(12)의 타단부}에 형성된 외주 플랜지(12a)에 맞닿아서 일단 외측으로 탄성변형되고, 그 후 상기 유지 오목부(20)에 릴체(1)를 완전히 삽입한 위치에서의 탄성복귀에 의해서 상기 외주 플랜지(12a)의 상면에 걸리는 걸어맞춤돌조(2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유지 오목부(20)의 단축(x)방향의 양측에, 이 유지 오목부(20)의 바닥측을 향해서 걸어맞춤면(22a)을 구비한 걸어맞춤돌조(22)가 각각 형성 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한 예에서는, 베이스체(2)의 유지 오목부(20)에 릴체(1)를 삽입함으로써, 이 베이스체(2)에 원터치로 회전 가능하게 릴체(1)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유지 오목부(20)의 협경부(20b)의 단축(x)방향의 치수는 상기 릴체(1)의 외주 플랜지(12a)의 직경과 거의 같게 되어 있으나, 이 협경부(20b)의 장축(y)방향의 치수는 상기 외주 플랜지(12a)의 직경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릴체(1)는 유지 오목부(2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면서, 그 장축(y)방향에 있어서 릴체(1)의 약간의 이동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베이스체(2)의 유지 오목부(20)의 단축(x)을 사이에 둔 일방측에서 릴체(1)를 역회전시키면서 끈형상체(W)가 인출되도록 하고 있음과 아울러, 이 유지 오목부(20)의 단축(x)을 사이에 둔 일방측에 형성된 절결부(23)에 후술하는 제동부재(4)의 기어부(40a)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단축(x)을 사이에 둔 일방측에 있어서, 유지 오목부(20)를 구성하는 협경부(20b)의 측벽을 일부 잘라내어 인출창(24)을 형성하고 있으며, 릴체(1)의 스풀부(10)에 감겨져 있는 끈형상체(W)의 타단부(Wb)가 이 인출창(24)을 통해서 부착용 기판(21)의 타측면측으로 인출되고(도 1), 또한 이 인출창(24)의 전방측에 형성된 대략 장방형상을 이루는 가이드 창구멍(21b)을 통해서 부착용 기판(21)의 일측면측으로 끼워진 후, 그 전방측으로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가이드 창구멍(21b)의 측방에, 유지 오목부(20) 를 구성하는 광경부(20a) 및 협경부(20b)의 측벽의 일부를 함께 잘라낸 절결부(23)를 통해서 유지 오목부(20)에 연이어 통함과 아울러 부착용 기판(21)을 관통하는 제동부재(4)의 수납구멍(21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납구멍(21c)에 대해서 부착용 기판(21)의 타측면측에서 조립되는 제동부재(4)의 기어부(40a)의 일부가 상기 절결부(23)를 통해서 유지 오목부(20)의 광경부(20a) 내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유지 오목부(20)의 대략 중심에는, 이 유지 오목부(20)의 바닥에서 입구를 향해서 돌출되는 원주상 돌출부(25)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원주상 돌출부(25)는 그 돌출단부에서 기단부에 이르는 깊이를 가지며, 또한 이 원주상 돌출부(25)의 중심을 통과하는 분할홈(25a)에 의해서 2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원주상 돌출부(25)의 분할홈(25a)에 나선형 스프링(3)의 중심단부(31)를 삽입함에 의해서 그 중심단부(31)가 유지 오목부(20)의 대략 중심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나선형 스프링(3)〉
나선형 스프링(3)은 그 중심단부(31)를 유지 오목부(20)의 대략 중심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그 외측단부(30)를 릴체(1)에 고정시키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나선형 스프링(3)은 릴체(1)의 원통형상부(12)의 내부에 수납되는 외경과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나선형 스프링(3)은, 릴체(1)가 이 릴체(1)에 감겨져 있는 끈형상체(W)의 인출조작에 의해서 역회전(도 3에 있어서의 시계방향)되면 죄어짐으로써 이 릴체(1)를 정회전시키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축적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나선형 스프링(3)은, 끈형상체(W)의 인출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유지 오목부(20)의 중심을 통과하는 장축(y) 상에 있어서, 그 중심단부(31)로부터의 유지 오목부(20)의 단축(x)을 사이에 둔 일방측의 반경(z1)과 이 단축(x)을 사이에 둔 타방측의 반경(z2)이 거의 같도록 되어 있다(도 8).
〈제동부재(4)〉
제동부재(4)는 점성유체가 봉입된 케이스체(41)에 내측단부(도시생략)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함과 아울러 외측단부에 기어부(40a)를 구비한 회전축체(4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회전축체(40)의 회전에 대해서 케이스체(41)에 봉입된 점성유체에 의해서 제동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회전축체(40)의 회전축선은 상기 베이스체(2)의 유지 오목부(20)에 유지된 릴체(1)의 회전축선과 거의 평행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점성유체로서는, 전형적으로는 실리콘 오일이나 그리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끈형상체(W)를 인출조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릴체(1)의 기어부(11)가 제동부재(4)의 기어부(40a)에 맞물리지 않으나, 상기 끈형상체(W)를 인출조작하면, 이 인출력에 의해서 유지 오목부(20)의 장축(y)방향에 있어서 나선형 스프링(3)을 탄성변형시키면서 릴체(1)가 유지 오목부(20)의 단축(x)을 사이에 둔 일방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이동에 의해서 상기 릴체(1)의 기어부(11)가 제동부재(4)의 기어부(40a)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예에서는, 끈형상체(W)에 인출력이 작용하면, 유지 오목 부(20) 내에 유지되어 있는 릴체(1)가 그 스풀부(10)에 감겨져 있는 끈형상체(W)를 풀어내는 방향으로 역회전하면서 상기 단축(x)을 사이에 둔 일방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나선형 스프링(3)은 이 역회전에 의해서 죄어지면서, 유지 오목부(20)의 중심을 통과하는 장축(y) 상에 있어서 그 중심단부(31)로부터의 유지 오목부(20)의 단축(x)을 사이에 둔 일방측의 반경(z1)이 길어지도록 탄성변형되게 하고 있다(도 5). 끈형상체(W)에 대한 인출력의 작용이 해제되면, 나선형 스프링(3)은 그 중심단부(31)로부터의 유지 오목부(20)의 단축(x)을 사이에 둔 일방측의 반경(z1)과 이 단축(x)을 사이에 둔 타방측의 반경(z2)이 거의 같게 되도록 복귀하기 때문에, 릴체(1)는 상기 이동전의 위치로 되돌아 간 기어부(11)를 제동부재(4)의 기어부(40a)에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 나선형 스프링(3)의 작용에 의해서 정회전함으로써, 인출되었던 끈형상체(W)가 감겨지게 된다.
〈기능〉
본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장치(D)는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릴체(1)에서 끈형상체(W)가 인출될 때에는 이 인출에 제동을 부여하는 반면, 이 끈형상체(W)에 대한 인출력의 작용이 해제된 경우에는 제동부재(4)에 의한 제동을 받는 일 없이 나선형 스프링(3)의 작용에 의해서 릴체(1)를 정회전시켜서 인출되었던 끈형상체(W)를 감도록 기능한다.
예를 들면, 댐퍼장치(D)를 수납체측에 구비하고, 끈형상체(W)의 인출단부{타단부(Wb)}를 이 수납체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체(피제동부여 대상물)에 접합하도록 한 경우에는 덮개체의 개방동작에 대해서만 제동을 부여할 수 있다. 개방된 덮개체를 폐쇄할 경우에는 끈형상체(W)에 인출력, 즉 장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댐퍼장치(D)는 끈형상체(W)의 완화된 장력만큼 이 끈형상체(W)를 원활하게 감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댐퍼장치에 의하면, 기어부를 구비한 제동부재는 정ㆍ역회전의 어느 방향으로의 기어부의 회전에 대해서도 이 기어부의 회전에 제동을 발생시키도록 하면서, 끈형상체의 인출조작시의 릴체의 역회전에만 제동을 부여할 수 있다.

Claims (5)

  1. 릴체(1)와, 상기 릴체(1)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베이스체(2)와, 상기 릴체(1)의 역회전에 의해서 당해 릴체(1)를 정회전시키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축적하는 나선형 스프링(3)과, 제동부재(4)를 가지고 있으며,
    릴체(1)는 끈형상체(W)가 감겨지는 스풀부(10)와 기어부(11)를 가지고 있고,
    베이스체(2)는 단축(x)과 장축(y)을 가진 타원형상을 이루는 릴체(1)의 유지 오목부(20)를 가지고 있고,
    나선형 스프링(3)은 그 중심단부(31)를 유지 오목부(20)의 중심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그 외측단부(30)를 릴체(1)에 고정시키고 있고,
    제동부재(4)는 점성유체가 봉입된 케이스체(41)에 내측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시킴과 아울러 외측단부에 기어부(40a)를 구비한 회전축체(40)를 가지고 있고,
    베이스체(2)의 유지 오목부(20)의 단축(x)을 사이에 둔 일방측에서 릴체(1)를 역회전시키면서 끈형상체(W)가 인출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유지 오목부(20)의 단축(x)을 사이에 둔 일방측에 형성된 절결부(23)에 제동부재(4)의 기어부(40a)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고,
    끈형상체(W)의 인출조작에 의해서 유지 오목부(20)의 장축(y)방향에 있어서 나선형 스프링(3)을 탄성변형시키면서 릴체(1)가 유지 오목부(20)의 단축(x)을 사이에 둔 일방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이 이동에 의해서 상기 릴체(1)의 기어부(11)가 제동부재(4)의 기어부(40a)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2)의 유지 오목부(20)의 바닥측에, 상기 유지 오목부(20)에 대한 릴체(1)의 삽입에 의해서 상기 릴체(1)의 내측단부(1")에 형성된 외주 플랜지(12a)에 맞닿아서 일단 외측으로 탄성변형되고, 상기 유지 오목부(20)에 상기 릴체(1)를 완전히 삽입한 위치에서의 탄성복귀에 의해서 상기 외주 플랜지(12a)의 상면에 걸리는 걸어맞춤돌조(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릴체(1)의 외측단부(1')에 조립되는 커버(15)에 상기 끈형상체(W)의 일단부(Wa)가 인서트성형에 의해서 고착됨과 아울러,
    상기 릴체(1)의 외측단부(1')와 내측단부(1")의 사이에 기어부(11)와 스풀부(10)가 형성되되 상기 기어부(11)가 외측에 놓여지도록 하고,
    상기 기어부(11)에, 이 기어부(11)를 구성하는 톱니의 이뿌리에 있어서 외측으로 개방되는 끈형상체(W)의 관통용 분할홈(1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끈형상체(W)의 타단부(Wb)에, 피제동부여 대상물에 대한 고정부(51)를 구비한 클립(5)이 인서트성형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끈형상체(W)의 타단부(Wb)에, 피제동부여 대상물에 대한 고정부(51)를 구비한 클립(5)이 인서트성형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KR1020050062814A 2004-08-04 2005-07-12 댐퍼장치 KR100643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28286 2004-08-04
JP2004228286A JP2006046490A (ja) 2004-08-04 2004-08-04 ダンパ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093A KR20060050093A (ko) 2006-05-19
KR100643459B1 true KR100643459B1 (ko) 2006-11-10

Family

ID=3575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814A KR100643459B1 (ko) 2004-08-04 2005-07-12 댐퍼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027696A1 (ko)
JP (1) JP2006046490A (ko)
KR (1) KR100643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3557A1 (en) * 2005-07-26 2007-02-01 Vulcan Spring & Manufacturing, Company Retractor having rotary damper and product display utilizing same
US20080118336A1 (en) * 2006-11-16 2008-05-22 Mcilvaine Howard Picking assist mechanism
ITPN20120056A1 (it) * 2012-09-28 2014-03-29 Livenza Ferramenta Srl Dispositivo di controllo della apertura/chiusura di ante a ribalta per mobili e simili
US9562599B2 (en) * 2015-01-05 2017-02-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am mechanism for tuning of string-dampers on hinged compartments
CN111115388B (zh) 2018-10-30 2021-11-19 陈金柱 紧固装置
US11503909B2 (en) * 2020-06-11 2022-11-22 Cis Global Llc Self closing drawer assembly with dual-cam closing mechanis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7317A (ja) * 1996-05-29 1997-12-09 Kanto Auto Works Ltd グラブボックスのリール式ドア開閉機構
KR20010065453A (ko) * 1999-12-29 2001-07-11 이계안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KR20030018412A (ko) * 2001-08-28 2003-03-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JP2004175151A (ja) * 2002-11-25 2004-06-24 Nifco Inc ダンパユニット及びこのダンパユニットを用いたクローブボック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2993A1 (de) * 1992-07-13 1994-01-20 Trw Repa Gmbh Gurtaufroller mit einem an der Gurtspule angreifenden Gurtstraffer
US6185868B1 (en) * 1996-09-26 2001-02-13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Automatic closer of pop-up door of vehicle
US6648260B2 (en) * 2001-07-25 2003-11-18 Delphi Technologies, Inc. Selectable load limiting seat restraint retractor
CN1579835A (zh) * 2003-07-31 2005-02-16 株式会社利富高 阻尼器装置
US20050224622A1 (en) * 2004-03-30 2005-10-13 Zolkower Jeffry N Dual level load limiting belt retractor with improved load switch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7317A (ja) * 1996-05-29 1997-12-09 Kanto Auto Works Ltd グラブボックスのリール式ドア開閉機構
KR20010065453A (ko) * 1999-12-29 2001-07-11 이계안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KR20030018412A (ko) * 2001-08-28 2003-03-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JP2004175151A (ja) * 2002-11-25 2004-06-24 Nifco Inc ダンパユニット及びこのダンパユニットを用いたクローブボックス装置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1-0065453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184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17515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317317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46490A (ja) 2006-02-16
KR20060050093A (ko) 2006-05-19
US20060027696A1 (en)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459B1 (ko) 댐퍼장치
US6857675B2 (en) Damper unit and glove box device using the same
US8166947B2 (en) Recoil starter
JPH0250275B2 (ko)
US20200256405A1 (en) One-way clutch and rotary damper device equipped with one-way clutch
JP2786999B2 (ja) ワイヤ式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3314681B2 (ja) 跳ね上げ式車両ドアの自動閉鎖装置
US2226721A (en) Means for balancing window sashes
JPH0442197Y2 (ko)
JP3750142B2 (ja) 蓋体のクリック機構及び電子機器
JP3609135B2 (ja) 車載用機器の扉開閉機構
JP3049270B2 (ja) 車両用収納体装置
JPH0242526Y2 (ko)
JP2011127648A (ja) ダンパー装置
JPH08213767A (ja) 車載用機器の扉機構
JPH083336Y2 (ja) チェーン駆動式カーテン開閉装置の消音構造
KR100387051B1 (ko) 메모지 케이스
JP2917493B2 (ja) テープカセット
JPS6327330Y2 (ko)
CN114364873A (zh) 反冲起动器
KR940008130Y1 (ko) 카셋트의 도어 개방장치
JPH0447809Y2 (ko)
JP5416262B2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H0514383Y2 (ko)
JPH0999783A (ja) 車両用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