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163B1 -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 - Google Patents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163B1
KR100643163B1 KR1020040019406A KR20040019406A KR100643163B1 KR 100643163 B1 KR100643163 B1 KR 100643163B1 KR 1020040019406 A KR1020040019406 A KR 1020040019406A KR 20040019406 A KR20040019406 A KR 20040019406A KR 100643163 B1 KR100643163 B1 KR 100643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intake
row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4236A (ko
Inventor
최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리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리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리콤
Priority to KR1020040019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163B1/ko
Publication of KR20050094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된 수납실을 갖는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공기를 본체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에 접촉시켜 냉각하며, 냉각된 공기를 본체 상부 전측에서 토출하고 하부 전측에서 흡입하여 수납실 전면을 차단하는 제 1열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제 1열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공기와는 별도로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본체 상부 전측에서 흡입하여 제 1열 에어커튼 전측으로 제 2열 에어커튼 및 제 3열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덕트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되어, 모든 겹의 에어커튼이 재활용되어 순환하는 공기에 의해 안정적으로 형성되는 관계로, 주, 야간 모든 시간에 냉기의 이탈이나 외기의 침입이 철저히 봉쇄되고 증발기 표면에 과도하게 성에가 끼지 않아 냉각효율은 높아지면서도 구성요소의 효과적인 배치에 의해 수납실 공간은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쇼케이스

Description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Open type freezing showcase}
도 1은 종래의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개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의 절개된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측면을 절개한 측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팬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증발기
3 : 제 1덕트 4 : 제 2덕트
5 : 제 3덕트 11 : 수납실
11a : 수납실 패널 34a,34b,34c,44a,44b,44c,44d,44e,44f : 판재
31 : 제 1흡배기팬 33a : 제 1토출구
33b : 제 1흡입구 41 : 제 2흡배기팬
43a : 제 2토출구 43b : 제 2흡입팬
51 : 제 3흡배기팬 53a : 제 3토출구
53b : 제 3흡입구
본 발명은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든 겹의 에어커튼이 재활용되어 순환하는 공기에 의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주, 야간 모든 시간에 냉기의 이탈이나 외기의 침입이 철저히 봉쇄되면서 증발기 표면에는 다량의 성에가 끼지 않아 냉각효율은 높아지면서도 구성요소의 효과적인 배치에 의해 수납실 공간은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픈형 쇼케이스는 편의점이나 백화점 등지에 설치되고, 전면이 개방된 내부에 다양한 상품을 수납하여 이를 냉각된 저온의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신선하게 냉장보관하는 한편 수납된 상품의 전시효과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오픈형 쇼케이스는 개방된 전면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냉각공기를 토출하여 에어커튼을 형성시킨다. 이는 상품이 진열된 수납실로부터 냉기의 이탈을 막고 아울러 미세 불순물을 포함한 상온의 외기가 침입하는 것을 봉쇄하기 위함이다. 즉, 에어커튼은 위에서 아래로 압축공기를 분출시키고 흡입구를 아래쪽에 설치하여 공기유막을 만들어 바깥쪽과 안쪽을 차단하는 설비이다. 온도 및 습도등을 조정한 공기의 분류(噴流)에 의해 다른 공기의 흐름을 차단 분리하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보다 저온의 냉기를 필요로 하는 상품들을 보관 및 전시하기 위하여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가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는 일반 오픈형 쇼케이스에 비해 더 저온으로 냉각된 공기를 사용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관계로 냉기의 유출을 철저히 막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냉각공기에 의한 에어커튼의 전측으로 두겹의 에어커튼을 별도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에, 도 1은 종래의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개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는 개방된 수납실(103) 전면에 세 겹의 에어커튼(A1,A2,A3)을 형성할 수 있도록 흡배기팬(105,109)의 토출력으로 본체(101) 상부 전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였다.
이 중에 제 1열 에어커튼(A1)은 증발기(107)를 거쳐 냉각된 공기가 순환하면서 형성되고, 제 2열 에어커튼(A2) 및 제 3열 에어커튼(A3)은 냉각되지 않은 공기에 의해 제 1열 에어커튼(A1)의 전측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제 2열 에어커튼(A2)은 상기 제 1열 에어커튼(A1)의 냉기가 순환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막고, 상온인 외기 및 불순물이 수납실(103)로 침투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였으며, 제 3열 에어커튼(A3)은 상기 제 2열 에어커튼(A2)과 더불어 전술된 역할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본체(101) 상부에 설치된 흡배기팬(109)이 외부에서 새로운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방식으로 제 3열 에어커튼(A3)을 형성시켰던 관계로 많은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즉, 제 3열 에어커튼 형성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본체(101) 상부에별도의 흡배기팬(109)을 설치하는 관계로 제품의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 3열 에어커튼(A3)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새로운 공기는 상대적으로 고온이므로 제 1열 에어커튼(A1) 및 제 1열 에어커튼(A2)을 구성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수납실(103)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야간에는 수납실(103)의 냉기를 효과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에어커튼(A1,A2,A3)의 외측으로 나이트커튼(111)을 내려서 개방된 수납실(103)의 전면을 완전 차단하는 것이 통상적이지만, 이 경우 제 3열 에어커튼(A3)을 형성시키기 위해 외부에서 공급받는 상온의 공기가 나이트커튼(111)에 의해 차단되면서 외부로 토출되지 못하고 제 1열 에어커튼(A1) 및 제 2열 에어커튼(A2)의 공기 흐름을 교란하면서 수납실(103)에 침입하게 되어 수납실(103) 내부 온도를 상승시켰다.
또한, 외부에서 새롭게 공급되어 미처 냉각되지 않은 공기가 다량으로 증발기(107) 표면에 접촉하게 되어 성에가 두껍게 끼면서 쇼케이스의 냉각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해결을 위해 세 겹의 에어커튼(A1,A2,A3)을 형성시키는 공기 모두를 본체(101) 내부를 통해 순환시키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을지라도, 이 경우 각각의 에어커튼(A1,A2,A3)을 형성시키는 공기를 격리 순환시키는 덕트구 조로 인해 쇼케이스의 후벽 및 바닥의 두께가 대폭 증가하면서 수납실(103) 공간이 줄어들거나 제품 전체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로 인해 더욱 곤란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증발기(107) 표면에서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응결되면서 자연스럽게 성에가 끼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지만, 증발기(107)에 냉매가 최초 유입되는 구간에서는 다른 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온인 냉매가 공기와 급격히 열교환되면서 과도하게 성에가 발생되면서 결국, 두껍게 낀 성에로 인해 공기의 흐름이 급격히 저하되고 온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 겹의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공기 모두를 재활용하면서 각각 격리시켜 원활하게 순환시키면서도, 수납실 공간은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는, 전면이 개방된 수납실을 갖는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에 있어서, 공기를 본체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에 접촉시켜 냉각하며, 냉각된 공기를 본체 상부 전측에서 토출하고 하부 전측에서 흡입하여 수납실 전면을 차단하는 공기유막인 제 1열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열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공기와는 별도로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본체 상부 전측에서 토출하고 하부 전측에서 흡입하여 상기 제 1열 에어커튼 전측으로 별도의 공기유막인 제 2열 에어커튼 및 제 3열 에어커튼을 각각 형성하는 덕트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덕트구조는, 상기 본체 하부의 전측으로부터 수납실의 하측, 후측 및 상측과 증발기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 상부의 전측으로 연통되고, 제 1열 에어커튼을 형성시키는 제 1덕트와, 상기 제 1덕트의 하측, 후측 및 상측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 하부의 전측으로부터 상기 본체 상부의 전측으로 연통되고, 제 2열 에어커튼을 형성시키는 제 2덕트와, 상기 제 2덕트와 함께 상기 제 1덕트의 하측 같은 층과 후측 같은 열을 분할하여 경유하고, 이어 상기 제 2덕트의 상측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 하부의 전측으로부터 상기 본체 상부의 전측으로 연통되고, 제 3열 에어커튼을 형성시키는 제 3덕트와, 상기 제 1덕트에 설치되어 제 1덕트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제 1열 에어커튼을 형성시키기 위한 토출력과 흡입력을 제공하는 제 1흡배기팬과, 상기 제 2덕트에 설치되어 제 2덕트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제 2열 에어커튼을 형성시키기 위한 토출력과 흡입력을 제공하는 제 2흡배기팬과, 상기 제 3덕트에 설치되어 제 3덕트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제 3열 에어커튼을 형성시키기 위한 토출력과 흡입력을 제공하는 제 3흡배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흡배기팬 및 제 2흡배기팬은 상기 본체 하부 중앙부에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 3흡배기팬은 상기 본체 하부 전측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수납실의 후측을 경유하는 제 1덕트 내부에 설치되고, 냉매가 이동하는 냉매 이동관과, 상기 냉매 이동관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배 열 결합되어 상기 제 1덕트 내를 흐르는 공기와 접촉되는 열교환핀으로 구성되되, 상기 냉매 이동관은 유입되는 냉매가 분기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다단 분기된 병렬구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핀은 상기 냉매 이동관의 병렬구간 각 단에 각각 분할되어 결합되고, 각 단에서 냉매가 최초로 유입되는 첫번째 열의 냉매 이동관에서는 열교환핀의 배열 간격이 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상하폭이 크고 작은 2종류 이상의 열교환핀이 구비되어 교대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매 이동관은 3단 또는 4단 분기되고, 상기 열교환핀은 상하폭이 크고 작은 2종류가 하나 건너 교대로 배열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의 절개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는 수납실(11) 전면에 형성되는 세 겹의 에어커튼(C1,C2,C3) 모두가 계속 순환되면서 재활용되는 공기에 의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세 겹의 에어커튼(C1,C2,C3)을 형성시키기 위한 공기 모두를 본체(1) 내부에서 격리되게 순환시키지만 수납실(11)의 수납공간이 줄어들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측면을 절개한 측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팬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 및 증발기(2)와, 덕트구조를 이루는 제 1덕트(3), 제 2덕트(4), 제 3덕트(5), 제 1흡배기팬(31), 제 2흡배기팬(41) 및 제 3흡배기팬(5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는 상품의 수납을 위한 수납실(11)이 수납실 패널(11a)에 의해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납실(11) 외측으로 본체(1) 내부에 상기 덕트들(3,4,5)이 구비되기 위한 설치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본체(1)의 상부 전측부 및 하부 전측부에는 상기 설치공간과 통하면서 각각 하측과 상측을 향하여 개방된 출구부 및 입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덕트들(3,4,5)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제1,2,3토출구(33a,43a,53a) 및 상기 각 토출구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제1,2,3흡입구(33b,43b,53b)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2)는 수납실(11)의 후측 설치공간인 제 1덕트(3)상에 설치되어 그 표면에 접촉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면서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덕트구조는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에어커튼(C1,C2,C3)을 수납실(11) 전면에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제 1덕트(3)와 제 1흡배기팬(31), 상기 제 2덕트(4)와 제 2흡배기팬(41), 상기 제 3덕트(5)와 제 3흡배기팬(51)이 각각 한조를 이루면서 제 1열 에어커튼(C1), 제 2열 에어커튼(C2), 제 3열 에어커튼(C3)을 각각 형성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덕트들(3,4,5)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관체인 기존의 덕트들을 설치하여 마련할 수 있지만, 설치 공간이 제한된 본체(1) 내부에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여러 형태의 판재들(34a,34b,34c,44a,44b,44c,44d,44e,44f)을 본체(1) 내부에 직접 조립하여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판재들(34a,34b,34c,44a,44b,44c,44d,44e,44f)에 의해 공기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게 되는데, 이를 덕트로 간주하여 설명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판재들(34a,34b,34c,44a,44b,44c,44d,44e,44f)에 의해 상기 제 1덕트(3), 제 2덕트(4) 및 제 3덕트(5)가 상기 수납실(11)의 하측, 후측 및 상측을 경유하면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수납실(11)의 하측 및 상측에서는 덕트들(3,4,5)이 상하 적층된 다층구조를 이루고, 후측에서는 전후로 다열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단 여기서, 상기 제 2덕트(4) 및 제 3덕트(5)는 상기 수납실(11)의 상측에서는 서로 다른 층으로 형성되지만, 상기 수납실(11)의 하측에는 서로 같은 층에, 수납실(11)의 후측에서는 서로 같은 열에 부분 할당되는 독특한 배치를 갖는다.
이같이 독특한 배치 형태에 의하여 상기 제 2덕트(4) 및 제 3덕트(5)의 설치를 위해 소요되는 설치폭은 수납실의 하측과 후측에서 반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덕트(4)와 제 3덕트(5)는 제 1덕트(3)와는 서로 다른 층과 다른 열에 배치되어 구분되지만, 서로 간에는 좌우를 가르는 격리용 판재들(44a,44b,44c,44d)에 의해 설치영역이 구분된다.
상기 격리용 판재들(44a,44b,44c,44d)은 하측과 후측에서 공기흐름을 위한 하나의 통로만을 형성하던 하나의 덕트 내에 격판으로 설치되어 서로 격리된 제 2덕트(4) 및 제 3덕트(5)를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덕트구조에 대해서는 차후에 단계적으로 더욱 설명하기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본체(1) 내부의 설치공간에서 판재들(34a,34b,34c,44a,44b,44c,44d,44e,44f)에 의해 서로 격리된 제 1덕트(3), 제 2덕트(4) 및 제 3덕트(5)가 마련되어 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게 순환하면서 수납실(11) 전면으로 세 겹의 에어커튼(C1,C2,C3)이 형성된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공기의 흐름이 화살표로 표시되었는데, 제 1열 에어커튼(C1)을 형성하기 위해 제 1덕트(3)를 순환하는 공기는 화살표 상에 "○" 표기를 부가하였고, 제 2열 에어커튼(C2)을 형성하기 위해 제 2덕트(4)를 순환하는 공기는 화살표 상에 "X" 표기를 부가하였으며, 제 3열 에어커튼(C3)을 형성하기 위해 제 3덕트(5)를 순환하는 공기는 화살표 상에 "▽" 표기를 부가하여 구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단, 도 3을 참조하면 수납실(11) 하측과 후측에서는 제 2덕트(4)를 흐르는 공기와 제 3덕트(5)를 흐르는 공기가 서로 섞인 상태로 흐르는 것처럼 도시되었지만, 상기 제 2덕트(4)와 제 3덕트(5)가 수납실(11) 하측에서는 같은 층에, 수납실(11) 후측에서는 같은 열에 배치되기 때문에 편의상 그렇게 도시된 것이지 제 2덕트(4)와 제 3덕트(5)는 격리용 판재(44a,44b,44c,44d)에 의해 서로 엄격하게 격리되어 공기흐름을 위한 다른 통로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 1흡배기팬(31), 제 2흡배기팬(41) 및 제 3흡배기팬(51)은 각각 제 1덕트(3), 제 2덕트(4), 제 3덕트(5)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흡배기팬(31)과 제 2흡배기팬(41)은 전후 중앙부에서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어 설치되고, 제 3흡배기팬(51)은 상기 제 1흡배기팬(31) 및 제 2 흡배기팬(41)의 설치영역을 피해 작지만 유휴공간으로 남아 있는 본체(1) 하부 전측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3흡배기팬(51)은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 1흡배기팬(31) 및 제 2흡배기팬(41)보다 작은 크기의 것으로 설치된다.
이때, 공기의 흐름속도는 제 1열 에어커튼(C1), 제 2열 에어커튼(C2), 제 3열 에어커튼(C3) 순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제 3흡배기팬(51)이 적은 용량을 갖는 것으로 설치되더라도 공기흐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 3흡배기팬(51)이 본체(1) 하부 전측부의 유휴공간을 활용하게 되면 수납실(11)의 수납공간은 줄어들지 않으면서도 종래와 같이 본체(1) 상측에 흡배기팬을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설치공간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어 제품 전체의 부피 증가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덕트구조를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덕트(3)는 본체(1) 하부의 전측으로부터 수납실(11)의 하측, 후측 및 상측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1) 상부의 전측으로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덕트(3)는 상기 수납실(11)의 외측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감싸는 판재들(34a,34b,34c)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판재들(34a,34b,34c)에 의해 상기 본체(1) 상부 전측부와 하부 전측부에 각각 공기가 토출되고 흡입되는 제 1토 출구(33a) 및 제 1흡입구(33b) 또한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2) 및 제 1흡배기팬(31)이 상기 제 1덕트(3)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 1흡배기팬(31)은 본 발명의 전체 좌우폭에 맞게 일정간격을 두고 적절한 수량 설치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1흡배기팬(31)의 흡입 및 토출력에 의해 공기가 제 1덕트(3)를 따라 증발기(2)와 접촉되면서 원활하게 흘러 순환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제 1토출구(33a)로부터 토출되어 제 1흡입구(33b)에 흡입될 때 수납실(11) 전면에 제 1열 에어커튼(C1)이 형성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덕트(4)는 수납실(11)을 감싸고 있는 제 1덕트(3) 외측의 하측, 후측 및 상측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1) 하부의 전측으로부터 상기 본체(1) 상부의 전측으로 연통된다.
상기 제 2덕트(4)는 상기 제 1덕트(3)와는 다른 층과 열에 배치되고, 상기 제 3덕트(5)와는 하측과 후측에서 각각 같은 층과 같은 열에 배치된다.
이같이 상기 제 2덕트(4)와 제 3덕트(5)가 하측 같은 층에 배치되기 위해서는 격리용 판재(44c,44d)가 제 1덕트(3) 외측의 하측공간에서 좌우를 가르면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후측 같은 열에 배치되기 위해서는 역시 격리용 판재(44c,44d)가 하측에 설치된 격리용 판재(44c,44d)를 이어 제 1덕트(3) 외측의 후측공간에 좌우를 가르면서 상하방향 길게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제 1덕트(3) 외측의 하측과 후측공간 중앙부를 따라 제 2덕트(4)가 형성된다.
또한, 상측에서는 상기 제 2덕트(4)가 상기 제 1덕트(3) 외측의 상측공간인 2층 전부를 할당받아 넓게 형성되며, 이로써 하측과 후측에서 좌우 좁은 폭으로 제 2덕트(4)를 흐르던 공기가 상측에서는 넓게 퍼지면서 좌우로 넓은 폭을 갖는 제 2열 에어커튼(C2)을 형성할 준비를 갖추게 된다.
또한, 제 1덕트(3)와 마찬가지로 제 2덕트(4)를 이루는 판재들(44e,44f)에 의해 상기 본체(1) 상부 전측과 하부 전측에 각각 공기가 토출되고 흡입되는 제 2토출구(43a) 및 제 2흡입구(43b)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상기 제 2흡배기팬(41)은 상기 제 2덕트(4) 내부 공간에 적절한 수량이 설치되며, 제 1흡배기팬(31)과 같은 높이로 설치되지만 팬커버(45)에 의해 제 1덕트(3)의 공간과는 격리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여, 공기가 제 2흡배기팬(41)의 흡입 및 토출력에 의해 제 2덕트(4)를 따라 원활하게 순환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공기가 제 2토출구(43a)로부터 토출되어 제 2흡입구(43b)에 흡입되면서 제 1열 에어커튼(C1) 전측에 제 2열 에어커튼(C2)이 형성된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덕트(5)는 제 1덕트(3)의 하측, 후측과 제 2덕트(4)의 상측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1) 하부의 전측으로부터 상기 본체(1) 상부의 전측으로 연통된다.
상기 제 3덕트(5)는 상기 제 1덕트(3)와는 다른 층과 열에 배치된다. 하지만 상기 제 2덕트(4)와는 하측과 후측에서 각각 같은 층과 같은 열에 배치되며, 이를 위해 제 3덕트(5)는 상기 제 1덕트(3) 외측의 하측과 후측공간에서 중앙부 영역을 할당받아 형성된 제 2덕트(4) 외측의 좌우측으로 다른 영역을 할당받아 구분 형성된다.
또한, 상측에서는 상기 제 3덕트(5)가 상기 제 2덕트(4) 외측의 상측인 3층 전부를 할당받아 넓게 형성되며, 이로써 좌우 좁은 폭으로 제 3덕트(5)를 흐르던 공기가 상측에서는 다시 넓게 퍼지면서 좌우 폭이 넓은 제 3열 에어커튼(C3)을 형성할 준비를 갖추게 된다.
또한, 제 1덕트(3)나 제 2덕트(4)와 마찬가지로 제 3덕트(5)를 흐르는 공기가 상기 본체(1) 상부 전측과 하부 전측에 각각 공기가 토출되고 흡입되는 제 3토출구(53a) 및 제 3흡입구(53b)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상기 제 3흡배기팬(51)은 상기 제 3덕트(5) 내부 공간에 적절한 수량으로 설치되며, 제 1흡배기팬(31) 및 제 2흡배기팬(41)이 설치된 영역을 피해 본체(1) 하부 전측부에 배치된다.
이로써, 공기가 제 3흡배기팬(51)의 흡입 및 토출력에 의해 제 3덕트(5)를 따라 원활하게 흘러 순환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공기가 제 3토출구(53a)로부터 토출되어 제 3흡입구(53b)에 흡입되면서 제 2열 에어커튼(C2) 전측으로 제 3열 에어커튼(C3)이 매우 안정되게 형성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2)는 상기 수납실(11)의 후측을 경유하는 제 1덕트(3) 내부에 설치되고, 냉매가 이동하는 냉매 이동관(21a,21b,21c)과, 상기 냉매 이동관(21a,21b,21c)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결합되어 상기 제 1덕트(3) 내를 흐르는 공기와 접촉되는 열교환핀(23a,23b)으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 이동관(21a,21b,21c)은 냉매가 여러 경로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분기되어 병렬구간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냉매 이동관(21a,21b,21c)은 설치되는 증발기(2) 높이에 적절한 수로 분기되어 분기된 수 만큼의 단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매 이동관(21a,21b,21c)이 3단으로 분기되었다.
또한, 상기 열교환핀(23a,23b)은 다단으로 분기된 상기 냉매 이동관(21a,21b,21c)에 적절하게 역시 다단으로 분할되어 각 단의 냉매 이동관(21a,21b,21c)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핀(23a,23b)은 각 단마다 냉매가 최초로 유입되는 첫번째 열의 냉매 이동관(21a,21b,21c)에서는 열교환핀(23a,23b)의 간격이 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상하폭이 큰 제 1열교환(23a)와 상하폭이 작은 제 2열교환핀(23b)의 2종류가 구비되어 각 단에서 하나 건너 교대로 배열된다.
이로써, 저온의 냉매가 최초로 유입되는 각 단의 냉매 이동관(21a,21b,21c) 첫번째 열에서는 열교환핀(23a,23b) 서로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상하폭이 큰 열교환핀(23a)의 간격으로 넓게 형성되므로 표면마찰에 의해 공기가 정체되는 현상이 줄어들고 열교환핀(23a,23b)과 공기와의 열교환 면적도 줄어들게 되어 급격한 열교환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매 이동관(21a,21b,21c)의 첫번째 열에서 상하폭이 큰 열교환핀(23a)에 의해 형성되는 넓은 간격은 어느 정도의 성에가 낄 경우에도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는 틈새를 허용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증발기(2)의 다른 구간에 비해 저온인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의 최초 유입구간에서 과도하게 성에가 끼는 현상을 예방함과 동시에, 성에가 어느 정도 끼더라도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는 틈새를 허용할 수 있게 되어, 온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냉매 이동관(21a,21b,21c)은 설치되는 증발기(2)의 높이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폭이 큰 열교환핀(23a)과 상하폭이 작은 열교환핀(23b)이 교대되는 순서를 조절하여 냉매가 최초 유입되는 구간에서 상하폭이 큰 열교환핀(23a)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의 동작을 공기흐름을 중심으로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전원이 인가되어 제 1흡배기팬(31)이 회전하게 되면 흡입력이 발생하여 수납실(11) 전면 주변의 공기가 제 1흡입구(33b)를 통해 흡입된다. 그러면, 흡입된 공기는 제 1덕트(3)를 따라 안내를 받으면서 본체(1) 내부를 흐르는 가운데 제 1흡배기팬(31)에 흡입 및 토출되고 토출된 이후에 상기 제 1흡배기팬(31)의 토출력에 의해 제 1덕트(3) 내부를 계속 흐르게 된다.
이후, 상기 제 1덕트(3) 내부를 흐르는 공기는 증발기(2) 표면에 접촉되면서 저온의 공기로 냉각되고, 제 1덕트(3) 내부를 계속 흘러 본체(1) 상부 전측에 형성된 제 1토출구(33a)를 통해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20)는 다단으로 병렬 분기된 냉매 이동관(21a,21b,21c) 및 이에 적절하게 다단으로 분할되고 냉매가 최초 유입되는 구간에서는 부분적으로 넓게 배열되는 열교환핀(23a,23b)에 의해 공기가 급격하게 냉각되는 것을 억제하여 성에가 과도하게 끼는 현상을 예방함은 물론, 상하폭이 큰 열교환핀(23a)의 넓은 간격으로 성에가 끼더라도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는 최소한의 틈을 보장받게 된다.
이후,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 1흡배기팬(31)에 의한 흡입력의 영향을 받아 상기 제 1 흡입구(33b)측으로 흡입되면서 상기 수납실(11) 전면에 제 1열 에어커튼(C1)이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제 1열 에어커튼(C1)이 형성된 이후로는 냉각된 공기가 계속해서 상기 제 1덕트(3)를 따라 순환하면서 제 1열 에어커튼(C1)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제 1열 에어커튼(C1)에 의해서 수납실(11) 내부에서 냉기가 이탈하거나 상온의 외기가 수납실(11)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2흡배기팬(41) 역시 제 1흡배기팬(31)과 마찬가지로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작동하여 제 2흡입구(43b)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며, 이로써 공기가 제 2덕트(4)를 따라 안내되어 계속 흐르면서 본체(1) 상부 전측에 형성된 제 2토출구(43a)를 통해 토출된다.
이렇게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 2흡배기팬(41)에 의한 흡입력으로 다시 제 2흡입구(43b)로 흡입되며, 이에 따라 제 2열 에어커튼(C2)이 제 1열 에어커튼(C1) 전측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제 2열 에어커튼(C2)이 형성된 이후로는 공기가 상기 제 2덕트(4)를 따라 순환하면서 지속적으로 제 2열 에어커튼(C2)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써 수납실(11) 내부에서 냉기가 이탈하거나 상온의 외기가 수납실(11)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더욱 방지하게 된다.
이때, 제 2열 에어커튼(C2)은 증발기(2)에 직접 접촉되지는 않지만 제 1열 에어커튼(C1)을 형성하는 공기와 일부 접촉되면서 약간 정도 온도가 내려가며 가볍게 냉각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 3흡배기팬(51) 역시 제 1흡배기팬(31) 및 제 2흡배기팬(41)과 마찬가지로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작동하여 제 3흡입구(53b)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며, 이로써 흡입된 공기가 제 3덕트(5)를 따라 안내되어 계속 흐르면서 본체(1) 상부 전측에 형성된 제 3토출구(53a)를 통해 토출된다.
이렇게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 3흡배기팬(51)에 의한 흡입력의 영향을 받고 다시 제 3흡입구(53b)로 흡입되며 제 2열 에어커튼(C1) 전측으로 제 3열 에어커튼(C3)이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제 3열 에어커튼(C3)이 형성된 이후로는 사용된 공기가 상기 제 3덕트(5)를 따라 순환하여 계속 재활용되면서 제 3열 에어커튼(C3)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제 1열 에어커튼(C1) 및 제 2열 에어커튼(C2)과 함께 수납실(11) 내부에서 냉기가 이탈하거나 상온의 외기가 수납실(11)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본 발명에서는 모든 공기가 순환하면서 재활용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매우 안정된 상태로 에어커튼(C1,C2,C3)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냉기의 이탈이나 외기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미 일정 이상으로 냉각된 상태의 공기를 그대로 순환시켜 재활용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냉각되지 않은 상온의 공기가 대거 새로 포함되면서 상온의 공기가 증발기(2) 표면에 그대로 접촉하여 다량의 성에가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성에가 끼는 현상은 특히 종래 야간에 수납실(11) 전면을 완전 차단하기 위해 나이트커튼(C4, 도 2 참조)이 내려질 경우 공기흐름의 교란과 더불어 심하게 나타났었다.
한편, 상기한 설명에서 제 1토출구(33a)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제 1 흡입구(33b)측으로 흡입되고, 제 2토출구(43a)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제 2 흡입구(43b)측으로 흡입되며, 제 3토출구(53a)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제 3 흡입구(53b)측으로 흡입될 때, 각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해당 흡입구와 이웃하는 다른 흡입구로 부분적으로 유입될 수 있음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는, 세 겹 의 에어커튼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온인 외부 공기를 유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납실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나이트커튼을 내려 수납부 전면을 완전 차단하는 경우에도 공기의 흐름이 교란되거나 외부 공기가 침입하지 않고 이미 냉각된 상태인 저온의 공기만이 지속적으로 순환하여 증발기에 접촉되기 때문에 갑작스런 냉각으로 증발기 표면에 두꺼운 성에가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냉각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세 겹의 에어커튼을 각각 격리된 상태로 순환시킬 수 있는 덕트구조를 가지면서도 구성요소들의 효과적인 배치에 의해 전체 부피가 증가하거나 수납실의 수납공간이 줄어들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와 급격하게 열교환되는 구간을 없앤 증발기 자체의 구성으로 성에 발생을 보다 철저히 억제 및 예방함으로서 성에 발생으로 인한 공기흐름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공기에 대한 냉각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5)

  1. 전면이 개방된 수납실을 갖는 냉동 쇼케이스 본체와;
    상기 본체 하부 전측의 제1흡입구로부터 수납실의 하측, 후측 및 상측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 상부 전측의 제1토출구로 연통되어, 전면이 개방된 수납실 전면을 차단하는 공기 유막인 제 1열 에어커튼을 형성시키는 제 1덕트와;
    상기 제 1덕트의 하측, 후측 및 상측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 하부 전측의 제2흡입구으로부터 상기 본체 상부의 전측의 제2흡입구로 연통되어, 제 1열 에어커튼외측에 별도의 공기유막인 제 2열 에어커튼을 형성시키는 제 2덕트와;
    상기 제 2덕트와 함께 상기 제 1덕트의 하측 같은 층과 후측 같은 열을 분할하여 경유하고, 이어 상기 제 2덕트의 상측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 하부 전측의 제3흡입구로부터 상기 본체 상부 전측의 제3토출구로 연통되어, 상기 제 2열 에어커튼 외측에 또 다른 공기유막인 제 3열 에어커튼을 형성시키는 제 3덕트와;
    상기 제 1덕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 1덕트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제 1덕트에 설치되어 제 1덕트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제 1열 에어커튼을 형성시키기 위한 토출력과 흡입력을 제공하는 제 1흡배기팬과;
    상기 제 2덕트에 설치되어 제 2덕트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제 2열 에어커튼을 형성시키기 위한 토출력과 흡입력을 제공하는 제 2흡배기팬과;
    상기 제 3덕트에 설치되어 제 3덕트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제 3열 에어커튼을 형성시키기 위한 토출력과 흡입력을 제공하는 제 3흡배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흡배기팬 및 제 2흡배기팬은 상기 본체 하부 중앙부에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 3흡배기팬은 상기 본체 하부 전측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수납실의 후측을 경유하는 제 1덕트 내부에 설치되고, 냉매가 이동하는 냉매 이동관과, 상기 냉매 이동관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결합되어 상기 제 1덕트 내를 흐르는 공기와 접촉되는 열교환핀으로 구성되되,
    상기 냉매 이동관은 유입되는 냉매가 분기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다단 분기된 병렬구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핀은 상기 냉매 이동관의 병렬구간 각 단에 각각 분할되어 결합되고, 각 단에서 냉매가 최초로 유입되는 첫번째 열의 냉매 이동관에서는 열교환핀의 배열 간격이 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상하폭이 크고 작은 2종류 이상의 열교환핀이 구비되어 교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냉동 케이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이동관은 3단 또는 4단 분기되고, 상기 열교환핀은 상하폭이 크고 작은 2종류가 하나 건너 교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냉동 케이스.
KR1020040019406A 2004-03-22 2004-03-22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 KR100643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406A KR100643163B1 (ko) 2004-03-22 2004-03-22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406A KR100643163B1 (ko) 2004-03-22 2004-03-22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236A KR20050094236A (ko) 2005-09-27
KR100643163B1 true KR100643163B1 (ko) 2006-11-10

Family

ID=37275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406A KR100643163B1 (ko) 2004-03-22 2004-03-22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1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766Y1 (ko) 2014-05-09 2014-07-28 곽보신 절전형 냉동 쇼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766Y1 (ko) 2014-05-09 2014-07-28 곽보신 절전형 냉동 쇼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236A (ko) 2005-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84717B2 (en) Cooling air supplying device in refrigerator
KR20000008994U (ko) 냉장고의 에어커텐 장치
CN1935060A (zh) 陈列柜
KR100643163B1 (ko) 오픈형 냉동 쇼케이스
JP6741912B2 (ja) 冷蔵庫
JP2006258323A (ja) ショーケース
JP2880464B2 (ja) アラウンドショーケース
TWI722397B (zh) 冰箱
CN111947368B (zh) 冰箱
JP2006078053A (ja) 冷蔵庫
JPH085213A (ja) 連続急速凍結装置
JPH06265255A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の通風路構造
KR100833850B1 (ko) 천장 덕트형 공기조화기
JP3726756B2 (ja) 冷蔵庫
WO2023095537A1 (ja) 冷蔵庫
JP3345187B2 (ja) 冷蔵庫
JP3730463B2 (ja) 冷凍機
CN211601289U (zh) 蒸发器设置方式改进的冰箱
JP4203662B2 (ja) 冷蔵庫
JP2002340465A (ja) 冷蔵庫
JP3695885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2003329359A (ja) 冷蔵庫
CN112762650A (zh) 蒸发器设置方式改进的冰箱
JPH06341753A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2007232333A (ja) ショ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