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117B1 - 전동식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전동식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117B1
KR100643117B1 KR1020040035034A KR20040035034A KR100643117B1 KR 100643117 B1 KR100643117 B1 KR 100643117B1 KR 1020040035034 A KR1020040035034 A KR 1020040035034A KR 20040035034 A KR20040035034 A KR 20040035034A KR 100643117 B1 KR100643117 B1 KR 100643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line
plate connecting
limit switch
light shielding
shielding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0142A (ko
Inventor
이계원
Original Assignee
(주) 코인씨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인씨앤엠 filed Critical (주) 코인씨앤엠
Priority to KR1020040035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117B1/ko
Publication of KR20050110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빛차폐판과; 상기 빛차폐판들을 일체로 연결지지하는 판연결줄과; 상기 판연결줄과 연계하여 스위치 조작에 의해 상기 판연결줄을 승강시키는 전동장치와; 상기 전동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하는 리미트스위치와; 소정의 하강저지물체에 의해 상기 빛차폐판들의 하강이 강제로 저지될 경우,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동작시켜 상기 전동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OFF)하는 기계식 스위칭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별도의 하강저지물체에 의해 빛차폐판들이 하강하지 못할 경우, 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해 전동모터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발생가능한 전동모터의 과부하를 확실히 예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블라인드{Electric bli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블라인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전동식 블라인드의 작동상태도,
도 4a는 도 3a에 대응하는 전동식 블라인드의 요부확대도,
도 4b는 도 3b의 동작시 빛차폐판이 하강저지물체에 걸려 하향하지 않을 때, 자연적으로 전동식 블라인드의 동작이 멈추는 것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5 : 스위치
20 : 빛차폐판 22 : 판연결줄
30 : 전동장치 32 : 전동모터
40 : 리미트스위치 41 : 스위치본체
42 : 가동바아 50 : 기계적 스위칭리더
51 : 리더몸체 52 : 플런저
53 : 지지부 54 : 압축스프링
본 발명은, 전동식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하강저지물체에 의해 빛차폐판들이 하강하지 못할 경우, 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해 전동모터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발생가능한 전동모터의 과부하를 확실히 예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동식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창문에 장착되어 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커튼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창문을 개폐하는 것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개폐하는 것이 존재한다.
전자의 것에는 커튼천을 일체로 제조한 일반 커튼과, 커튼천을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리시킨 후 로프로 연결한 소위 버티컬 블라인드라 하는 것이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것에는 소위, 로만쉐이드, 롤스크린 및 라인 블라인드라 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로만쉐이드란 최하단의 커튼천이 점차 포개지면서 상측으로 말아 올려지는 것을 일컫는다. 그리고 롤스크린이란 회전가능한 회전축에 커튼천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에 커튼천을 권취하거나 권취해제함으로서 창문을 개폐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반해, 소위 라인 블라인드라고도 하는 블라인드는, 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빛차폐판을 회전시켜 빛이 통과하도록 하든지, 아니면 빛차폐판들을 승강시키면서 창문을 통한 빛을 차폐하는 것이다.
이러한 블라인드는 그 동작 방식에 따라 수동식과 전동식으로 구분된다. 저렴한 비용으로 일반 회사나 가정집의 창문에 설치되는 수동식은 사용자가 직접 승 강이동줄을 잡아당김으로써 빛차폐판들을 승강시키는 것이고, 전동식은 후술하는 것처럼 내부에 장치된 전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빛차폐판들을 승강시키는 것이다.
전동식 블라인드의 경우에는 스위치 조작을 통해서 빛차폐판들을 승강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스위치 조작으로 전동모터가 동작하여 빛차폐판들이 하강할 경우에 있어, 별도의 하강저지물체에 의해 빛차폐판들의 하강이 강제로 저지된다면 전동모터에 과부하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럴 경우, 빛차폐판들의 하부에 위치한 하강저지물체를 치우거나 혹은 전동모터의 동작을 강제로 차단해야 한다.
이에, 기존에는 빛차폐판들 중 최하단에 위치한 빛차폐판에 별도의 감지센서를 두어 하강저지물체가 존재할 경우, 전자식으로 이를 감지하여 전동모터의 동작을 중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을 적용할 경우, 감지센서라는 비교적 고가의 구성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일련의 동작이 전자식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동작에 오류가 발생하기 쉬워 전동모터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등의 폐단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별도의 하강저지물체에 의해 빛차폐판들이 하강하지 못할 경우, 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해 전동모터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발생가능한 전동모터의 과부하를 확실히 예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동식 블라인드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하강저지물체에 의해 빛차폐판들이 하강하지 못할 경우, 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해 전동모터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발생가능한 전동모터의 과부하를 확실히 예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동식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빛차폐판과; 상기 빛차폐판들을 일체로 연결지지하는 판연결줄과; 상기 판연결줄과 연계하여 스위치 조작에 의해 상기 판연결줄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전동장치와; 상기 전동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하는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판연결줄의 하강에 의해 상기 복수의 빛차폐판이 하강하는 도중, 소정의 하강저지물체에 의해 상기 빛차폐판들의 하강이 강제로 저지되어 상기 판연결줄의 텐션이 소정의 기준텐션보다 작아지면, 압축 스프링이 팽창되고, 이에 따라 상기 리미트스위치와의 기계적 접촉을 오프시켜 상기 전동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시키는 기계식 스위칭리더를 포함하는 전동식 블라인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계식 스위칭리더는 상기 판연결줄의 텐션에 기초하여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동작시킨다.
상기 기계식 스위칭리더는, 상기 리미트스위치에 접촉하여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온오프(ON/OFF)시키는 리더몸체와; 상기 리더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동장치가 장치된 프레임의 관통공을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플런저와; 상기 리더몸체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판연결줄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플런저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리더몸체와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판연결줄에 소정의 기준테션 이상이 부가될 경우 압축하여 상기 리더몸체가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온(ON)시키도록 하고 상기 기준텐 션 이하가 될 경우 팽창하여 상기 리더몸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압축스프링를 포함하다.
이 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판연결줄을 구름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로울러로 채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블라인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블라인드는, 천장 등에 고정되되 각종 장치들이 내장되어 있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하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선택적으로 빛을 차폐하는 한편 승강가능한 복수의 빛차폐판(20)과, 빛차폐판(20)들을 일체로 연결지지하는 판연결줄(22)과, 판연결줄(22)과 연계하여 스위치(15) 조작에 의해 판연결줄(22)을 승강시키는 전동장치(30)를 갖는다.
도 1의 보면 본 전동식 블라인드의 외곽에 별도의 외곽틀(12)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창문이나 문 등의 틀을 가리키는 것일 뿐 별도의 의미는 없다. 다만, 도 1과 같은 형상으로 일체로 제조된다면, 제품으로써의 가치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시공에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외곽틀(12)의 일측에는 전동장치(30)를 동작시키는 스위치(15)가 마련되어 있다.
전동장치(30)는 스위치(15)에 의해 인가된 전원에 기초하여 판연결줄(22)을 끌어당기거나 내려 빛차폐판(20)들을 승강시킨다.
이러한 전동장치(30)는,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 내에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31)과, 전술한 스위치(15)의 동작으로 인해 회전축(31)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동모터(32)와, 회전축(31)에 일체로 결합되어 판연결줄(22)을 권취 및 권취해제하는 메인권취드럼(33)과, 빛차폐판(20)들의 전후방을 지지하는 전후방지지줄(24)이 권취 및 권취해제되는 보조권취드럼(34)을 포함한다. 도 2를 보면, 전동모터(32), 메인권취드럼(33) 및 보조권취드럼(34)들은 별도의 브래킷(B)에 의해 프레임(10)에 고정된다.
메인권취드럼(33) 및 보조권취드럼(34)에 인접한 브래킷(B)에는 리미트스위치(40)가 장착되어 있다. 리미트스위치(40)는 접점단자(41a)를 가지고 브래킷(B)에 고정되어 있는 스위치본체(41)와, 스위치본체(41)에 대해 회동하면서 접점단자(41a)와 접촉 및 접촉해제하여 전동장치(30)의 전동모터(32)로 인가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하는 가동바아(42)를 갖는다. 가동바아(42)의 단부에는 후술할 기계식 스위칭리더(50)의 리더몸체(51)와의 원활한 기계적 동작을 위해 로울러(42a)가 갖춰져 있다.
참고로, 도 4a와 같이, 가동바아(42)가 스위치본체(41)의 접점단자(41a)에 접촉하고 있을 경우라면 전동모터(32)로의 전원공급이 계속 온(ON)되어 전동모터(32)에 의해 회전축(31)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도 4b 와 같이, 기계식 스위칭리더(50)의 동작에 의해 가동바아(42)가 접점단자(41a)로부터 떨어질 경우라면 스위치(15)의 조작과 무관하게 전동모터(32)로의 전원공급이 오프(OFF)되는 상태를 말한다.
한편, 리미트스위치(40)의 주변에는 리미트스위치(40)와 연계하여 리미트스위치(40)를 조작하는 기계식 스위칭리더(50)가 마련되어 있다. 기계식 스위칭리더(50)는 도 3b와 같이 빛차폐판(20)들이 하강할 경우 별도의 하강저지물체(16)에 의해 빛차폐판(20)들의 하강이 강제로 저지될 경우, 리미트스위치(40)를 동작시켜 전동장치(30)의 전동모터(32)로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OFF)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계식 스위칭리더(50)는 기계식으로 동작하되 빛차폐판(20)들을 일체로 매달아 지지하는 한편 빛차폐판(20)들을 승강시키는 주요소인 판연결줄(22)의 텐션(팽팽하거나 느슨한 정도)에 기초하여 리미트스위치(40)를 동작시킨다.
이를 위해, 기계식 스위칭리더(50)는 리미트스위치(40)의 가동바아(42)에 접촉하여 가동바아(42)를 통해 접점단자(41a)에 신호를 부여함으로서 리미트스위치(40)를 온오프(ON/OFF)시키는 리더몸체(51)와, 리더몸체(51)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프레임(10)의 관통공(10a, 도 4a,4b 참조)을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플런저(52)와, 리더몸체(51)의 타면에 형성되어 판연결줄(22)을 지지하는 지지부(53)와, 플런저(52)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이 리더몸체(51)와 프레임(10)의 일면에 각각 배치되되 지지부(53)에 지지된 판연결줄(22)에 소정의 기준테션 이상이 부가될 경우 압축하여 리미트스위치(40)를 온(ON)시키도록 하고(도 4a 참조), 기준텐션 이하가 될 경우 팽창하여 리더몸체(51)를 이동시킴으로써 리미트스위치(40)를 오프(OFF)시키는(도 4b 참조) 압축스프링(54)를 포함한다. 지지부(53)는 판연결줄(22)을 구름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로울러로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동식 블라인드의 동작에 대해 도 3a,도 3b 및 도 4a,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와 같은 상태에서 스위치(15)를 조작하여 전동장치(30)로 전원을 인가함으로서 전동모터(32)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전동모터(32)가 동작함에 따라 회전축(31)이 회전하기 시작한다. 회전축(31)이 회전함으로써 메인권취드럼(33) 및 보조권취드럼(34)에 각각 권취되어 있던 판연결줄(22) 및 전후방지지줄(24)이 권취해제되면서 빛차폐판(20)들의 자중에 힘입어 도 3b와 같이 빛차폐판(20)들이 하강하기 시작한다.
이 때, 리미트스위치(40)와 기계식 스위칭리더(50)와의 관계는 도 4a와 같다. 즉, 하강하는 빛차폐판(20)들의 자체하중이 존재하기 때문에 빛차폐판(20)들을 지지하는 판연결줄(22)에는 소정의 기준테션 이상이 부가되어 팽팽한 상태를 취한다. 판연결줄(22)이 팽팽한 상태를 취하면 지지부(53)를 압축스프링(54) 측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압축스프링(54)은 압축되고 리더몸체(51)가 가동바아(42)를 가압하여 가동바아(42)가 스위치본체(41)의 접점단자(41a)에 접촉한 상태를 취한다. 따라서 전동모터(32)로의 전원공급이 계속 온(ON)되어 전동모터(32)에 의해 회전축(31)이 계속 회전함으로써 빛차폐판(20)들은 계속 하강한다.
전동모터(32)의 동작에 의해서 빛차폐판(20)들이 계속 하강하는 과정에서 도 3b와 같이, 빛차폐판(20)들의 하부에 별도의 하강저지물체(16)가 나타나면 하강저지물체(16)에 의해 빛차폐판(20)들은 원하는 위치로 하강하지 못하고 그 위치에서 적체된다. 이 때, 빛차폐판(20)들을 일체로 지지하는 판연결줄(22)은 기준텐션 이하가 되어 늘어진 상태가 된다.
이처럼 판연결줄(22)이 팽팽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늘어지면(도 4b의 점선에서 실선으로), 압축스프링(54)을 향해 지지부(53)를 가압하는 힘이 떨어지기 때문에 도 4a와 같이, 압축되었던 압축스프링(54)은 탄성복원되면서 팽창한다.
그러면서 리더몸체(51)를 미는데, 이동하는 리더몸체(51)에 의해 가동바아(42)는 스위치본체(41)의 접점단자(41a)로부터 떨어진다. 따라서 전동모터(32)로의 전원공급이 자연적으로 오프(OFF)됨에 따라 전동모터(32)에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식 블라인드에 의하면, 별도의 하강저지물체(16)에 의해 빛차폐판(20)들이 하강하지 못할 경우, 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해 전동모터(32)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발생가능한 전동모터(32)의 과부하를 확실히 예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를 보면 스위치(15)가 외곽틀(12)에 고정된 방식을 취하고 있 으나 이는 리모콘방식으로도 충분히 대체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라인드에 따르면, 별도의 하강저지물체에 의해 빛차폐판들이 하강하지 못할 경우, 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해 전동모터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발생가능한 전동모터의 과부하를 확실히 예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복수의 빛차폐판과;
    상기 빛차폐판들을 일체로 연결지지하는 판연결줄과;
    상기 판연결줄과 연계하여 스위치 조작에 의해 상기 판연결줄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전동장치와;
    상기 전동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하는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판연결줄의 하강에 의해 상기 복수의 빛차폐판이 하강하는 도중, 소정의 하강저지물체에 의해 상기 빛차폐판들의 하강이 강제로 저지되어 상기 판연결줄의 텐션이 소정의 기준텐션보다 작아지면, 압축 스프링이 팽창되고, 이에 따라 상기 리미트스위치와의 기계적 접촉을 오프시켜 상기 전동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시키는 기계식 스위칭리더;를 포함하되,
    상기 기계식 스위칭리더는, 상기 판연결줄의 텐션에 기초하여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상기 리미트스위치에 접촉하여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온오프(ON/OFF)시키는 리더몸체와, 상기 리더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동장치가 장치된 프레임의 관통공을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플런저와, 상기 리더몸체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판연결줄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플런저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리더몸체와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판연결줄에 소정의 기준테션 이상이 부가될 경우 압축하여 상기 리더몸체가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온(ON)시키도록 하고 상기 기준텐션 이하가 될 경우 팽창하여 상기 리더몸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블라인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판연결줄을 구름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로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블라인드.
KR1020040035034A 2004-05-18 2004-05-18 전동식 블라인드 KR100643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034A KR100643117B1 (ko) 2004-05-18 2004-05-18 전동식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034A KR100643117B1 (ko) 2004-05-18 2004-05-18 전동식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142A KR20050110142A (ko) 2005-11-23
KR100643117B1 true KR100643117B1 (ko) 2006-11-10

Family

ID=3728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034A KR100643117B1 (ko) 2004-05-18 2004-05-18 전동식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1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287B1 (ko) * 2022-02-04 2022-06-22 차경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공급장치
KR20220143793A (ko) 2022-10-07 2022-10-25 주식회사 에스앤케이차양시스템 슬랫 블라인드
KR102531853B1 (ko) 2022-10-07 2023-05-12 주식회사 에스엔케이차양시스템 슬랫 블라인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5889A (ja) * 1990-03-23 1991-12-06 Tokyo Electric Co Ltd 電動ブラインド
KR920010268B1 (ko) * 1986-12-29 1992-11-21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전동 브라인드 장치
JPH0518168A (ja) * 1991-07-11 1993-01-26 Tachikawa Blind Mfg Co Ltd ブラインド等の障害物検知停止装置
JPH06101387A (ja) * 1992-09-16 1994-04-12 Toso Co Ltd 電動ブラインドの弛み検出装置
JP2000179259A (ja) 1998-12-18 2000-06-27 Tachikawa Blind Mfg Co Ltd 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KR20040000158A (ko) * 2002-06-24 2004-01-03 김화순 전동 브라인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0268B1 (ko) * 1986-12-29 1992-11-21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전동 브라인드 장치
JPH03275889A (ja) * 1990-03-23 1991-12-06 Tokyo Electric Co Ltd 電動ブラインド
JPH0518168A (ja) * 1991-07-11 1993-01-26 Tachikawa Blind Mfg Co Ltd ブラインド等の障害物検知停止装置
JPH06101387A (ja) * 1992-09-16 1994-04-12 Toso Co Ltd 電動ブラインドの弛み検出装置
JP2000179259A (ja) 1998-12-18 2000-06-27 Tachikawa Blind Mfg Co Ltd 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KR20040000158A (ko) * 2002-06-24 2004-01-03 김화순 전동 브라인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327588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142A (ko)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4674B1 (en) An end stop devic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window screening arrangement
KR101871621B1 (ko) 코드리스 창문 가리개 및 이의 스프링 구동 시스템
KR200477536Y1 (ko) 상하 개폐가 가능한 블라인드
KR200469501Y1 (ko)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KR100643117B1 (ko) 전동식 블라인드
KR200469122Y1 (ko)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JPH11504688A (ja) 安全装置を備える有用なドア
JP2008184853A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EP0935048B1 (en) Dual window covering with single operating means
JP2002115474A (ja) ブラインド
JP6151486B2 (ja) 横型ブラインド
JP2003097167A (ja) ロールブラインド
KR200363365Y1 (ko) 블라인드
JP3220380B2 (ja) 電動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駆動装置
KR200373379Y1 (ko) 블라인드
JP2007063937A (ja) 幕体開閉装置及び幕体開閉制御方法
KR101182603B1 (ko) 경사창의 롤스크린 복귀장치
KR200278469Y1 (ko) 커튼
JP3695697B2 (ja) 天窓用ブラインドのヘッドボックス取付装置
JP4928783B2 (ja) 電動ブラインドの障害物検知停止装置
JP2005230289A (ja) 日射遮蔽装置
KR20020033684A (ko) 커튼
JP2003259962A (ja) 二重昇降カーテン装置
KR20040040006A (ko) 음성인식및무선으로 작동되는 자동접이식 창문차양막
JPH0725428Y2 (ja) 建物用シャッタのシャッタカーテン落下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