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379Y1 -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379Y1
KR200373379Y1 KR20-2004-0029854U KR20040029854U KR200373379Y1 KR 200373379 Y1 KR200373379 Y1 KR 200373379Y1 KR 20040029854 U KR20040029854 U KR 20040029854U KR 200373379 Y1 KR200373379 Y1 KR 200373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frame
winding drum
threa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관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브라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브라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브라인드
Priority to KR20-2004-0029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3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3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0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out ladder-tape, e.g. with lazy-tongs, with screw spi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0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positioned outside the 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06B2009/3222Cordless, i.e. user interface without cor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빛차폐판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되 상기 빛차폐판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판연결줄이 권취 및 권취해제되는 나사산을 갖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드럼의 회전시 상기 나사산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이동스위치와; 상기 모터와 연계하되, 상기 권취드럼에 인접한 상기 프레임에 상호 이격배치되어 상기 이동스위치의 왕복이동시 선택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모터를 온오프(ON/OFF)시키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빛차폐판들의 최고상승위치와 최저하강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모터의 동작을 온오프(ON/OFF) 제어함으로써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라인드{Blind}
본 고안은,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빛차폐판들의 최고상승위치와 최저하강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모터의 동작을 온오프(ON/OFF) 제어함으로써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창문에 장착되어 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커튼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창문을 개폐하는 것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개폐하는 것이 존재한다. 전자의 것에는 커튼천을 일체로 제조한 일반 커튼과, 커튼천을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리시킨 후 로프로 연결한 소위 버티컬 블라인드라 하는 것이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것에는 소위, 로만쉐이드, 롤스크린 및 라인 블라인드라 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로만쉐이드란 최하단의 커튼천이 점차 포개지면서 상측으로 말아 올려지는 것을 일컫는다. 그리고 롤스크린이란 회전가능한 회전축에 커튼천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에 커튼천을 권취하거나 권취해제함으로서 창문을 개폐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반해, 소위 라인 블라인드라고도 하는 블라인드는, 그 재질에 따라 플라스틱으로 된 것과 나무(Wood)로 된 것 등이 존재하는데, 소위 우드 블라인드의 형태로써 제조되기도 한다.
이러한 블라인드에는 사용자가 직접 줄을 당김으로서 빛차폐판들을 승강시키는 소위, 수동식과 컨트롤부의 조작에 의한 모터의 회전에 의해 빛차폐판들을 자동으로 승강시키는 소위, 전동식이 존재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 모터의 회전에 의해 빛차폐판들을 자동으로 승강시키는 블라인드의 경우, 빛차폐판들의 최고상승위치와 최저하강위치의 감지가 제대로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빛차폐판들이 최고상승위치로 완전히 상승하거나 최저하강위치로 완전히 하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모터가 계속 동작하는 등의 폐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빛차폐판들의 최고상승위치와 최저하강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모터의 동작을 온오프(ON/OFF) 제어함으로써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블라인드의 요부확대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2 : 커버플레이트
12a : 장공 14 : 회전축
16 : 모터 18 : 컨트롤부
20 : 빛차폐판 22 : 판연결줄
24 : 권취드럼 26 : 이동스위치
28a,28b : 리미트스위치
상기 목적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빛차폐판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되 상기 빛차폐판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판연결줄이 권취 및 권취해제되는 나사산을 갖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드럼의 회전시 상기 나사산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이동스위치와; 상기 모터와 연계하되, 상기 권취드럼에 인접한 상기 프레임에 상호 이격배치되어 상기 이동스위치의 왕복이동시 선택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모터를 온오프(ON/OFF)시키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블라인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 개구에 부분적으로 착탈되는 커버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장공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블라인드의 요부확대 분해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 내에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14)과, 회전축(14)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16)와, 모터(16)를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컨트롤부(18)와, 프레임(1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빛차폐판(20)과, 회전축(14)에 결합되어 회전축(14)과 함께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되 빛차폐판(20)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판연결줄(22)이 권취 및 권취해제되는 나사산(24a)을 갖는 권취드럼(24)과, 권취드럼(24)의 나사산(24a)에 결합되어 권취드럼(24)의 회전시 나사산(24a)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이동스위치(26)와, 모터(16)와 연계하되, 권취드럼(24)에 인접한 프레임(10)에 상호 이격배치되어 이동스위치(26)의 왕복이동시 선택적으로 접촉됨으로써 모터(16)를 온오프(ON/OFF)시키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28a,28b)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천장 등에 고정되어 본 블라인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프레임(10)은 그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데, 개구된 상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커버플레이트(12)가 배치된다.
이 때, 커버플레이트(12)에는 복수개의 장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공(12a)으로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28a,28b)가 위치조절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28a,28b)는 권취드럼(24)의 나사산(24a) 영역의 양단에 각각 위치해야만 빛차폐판(20)의 최고상승위치와 최저상승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28a,28b)의 위치를 보다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방편으로 커버플레이트(12)를 마련하고 이에 복수개의 장공(12a)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즉,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28a,28b)에 형성된 돌출나사(29)를 복수개의 장공(12a)에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장공(12a)을 통해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28a,28b)의 위치를 조절한다. 그런 다음, 돌출나사(29)에 너트(30)를 체결함으로써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28a,28b)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고 쉽게 조절할 수 있다.
회전축(14)은 그 일단이 모터(16)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16)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축(14) 역시 모터(16)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14)은 권취드럼(24)을 관통하게 배치되는데, 권취드럼(24)이 회전축(14)에 대해 헛도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회전축(14)은 비원형 단면을 갖는다.
모터(16)는 프레임(10)의 양단에 각각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모터(16)는 회전축(14)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컨트롤부(18)의 제어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어떠한 모터가 적용되어도 좋다.
권취드럼(24)은 별도의 브래킷(B)에 의해 프레임(10) 내에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권취드럼(24)에는 판연결줄(22)이 권취 및 권취해제된다. 판연결줄(22)은 빛차폐판(20)을 일체로 연결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모터(16)가 동작하여 회전축(14)을 회전시키면 회전축(14)에 일체로 결합된 권취드럼(24)이 회전하면서 판연결줄(22)이 권취드럼(24)에 권취되거나 권취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빛차폐판(20)들은 권취드럼(24)과 판연결줄(22)에 의해 도 1과 같이 하강하거나 도 2와 같이 상승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권취드럼(24)의 나사산(24a)에는 이동스위치(26)가 결합되어 있다. 이동스위치(26)는 모터(16)에 의해 권취드럼(24)이 회전할 경우, 권취드럼(24)의 나사산(24a)을 따라 좌우로 왕복이동하면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28a,28b)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한다. 이 때, 이동스위치(26)가 접촉하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28a,28b)는 모터(16)의 동작을 온오프(ON/OFF) 제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블라인드의 동작을 일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창문 등에 설치되어 있는 블라인드에서 빛차폐판(20)들을 하강시켜 햇볕을 차단하고자 하면, 컨트롤부(18)를 동작시킨다. 컨트롤부(18)의 동작에 의해 모터(16)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모터(16)에 결합된 회전축(14) 역시 일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회전축(14)이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14)에 일체로 결합된 권취드럼(24) 역시 회전하게 된다. 권취드럼(24)이 일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권취드럼(24)의 나사산(24a)에 결합된 이동스위치(26)는 권취드럼(24)의 나사산(24a)을 따라 이동하다가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나사산(24a)의 일측(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우측의 리미트스위치(28a)에 접촉한다.
그러면 우측의 리미트스위치(28a)의 신호에 의해 모터(16)의 회전이 중지되는데 이 때가 도 1과 같이 빛차폐판(20)들이 최저로 하강한 최저하강위치가 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빛차폐판(20)들을 상승시키고자 하면, 다시 컨트롤부(18)를 동작시킨다. 컨트롤부(18)의 동작에 의해 모터(16)가 전술한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모터(16)에 결합된 회전축(14) 역시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회전축(14)이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14)에 일체로 결합된 권취드럼(24) 역시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권취드럼(24)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권취드럼(24)의 나사산(24a)에 결합된 이동스위치(26)는 권취드럼(24)의 나사산(24a)을 따라 이동하다가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나사산(24a)의 타측(왼쪽)으로 이동하여 좌측의 리미트스위치(28b)에 접촉한다.
그러면 좌측의 리미트스위치(28b)의 신호에 의해 모터(16)의 회전이 중지되는데 이 때가 도 2와 같이 빛차폐판(20)들이 최고로 상승한 최고상승위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빛차폐판(20)들이 최고승강위치로 완전히 상승하거나 최저하강위치로완전히 하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모터(16)가 계속 동작하는 등의 폐단을 적절하게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블라인드에 따르면, 빛차폐판(20)들의 최고상승위치와 최저하강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모터(16)의 동작을 온오프(ON/OFF) 제어함으로써 모터(16)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블라인드에 따르면, 빛차폐판들의 최고상승위치와 최저하강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모터의 동작을 온오프(ON/OFF) 제어함으로써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빛차폐판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되 상기 빛차폐판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판연결줄이 권취 및 권취해제되는 나사산을 갖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드럼의 회전시 상기 나사산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이동스위치와;
    상기 모터와 연계하되, 상기 권취드럼에 인접한 상기 프레임에 상호 이격배치되어 상기 이동스위치의 왕복이동시 선택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모터를 온오프(ON/OFF)시키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 개구에 부분적으로 착탈되는 커버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장공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KR20-2004-0029854U 2004-10-22 2004-10-22 블라인드 KR200373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854U KR200373379Y1 (ko) 2004-10-22 2004-10-22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854U KR200373379Y1 (ko) 2004-10-22 2004-10-22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379Y1 true KR200373379Y1 (ko) 2005-01-21

Family

ID=49353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854U KR200373379Y1 (ko) 2004-10-22 2004-10-22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3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4674B1 (en) An end stop devic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window screening arrangement
JPH02161092A (ja) 電動式日よけ
US20050155720A1 (en) Roman shade capable of adjusting light transmittance
KR200469122Y1 (ko)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KR200373379Y1 (ko) 블라인드
KR101983745B1 (ko) 스크린 교체가 용이한 승하강식 롤블라인드
US5316066A (en) Cord-lock mechanism
KR101957651B1 (ko) 승강 이동형 블라인드
KR101572522B1 (ko) 수평조절이 용이한 블라인드장치
KR20110011573U (ko) 허니컴 쉐이드
US7089988B2 (en) Window blinds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3261100B2 (ja) 日射遮蔽装置の操作装置及び横型ブラインドの操作装置
JP5135053B2 (ja) 電動横型ブラインドの制御装置及び電動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回動方法
KR200403058Y1 (ko) 전동식 커텐장치
KR100643117B1 (ko) 전동식 블라인드
CA2299030C (en) Cord control device for a venetian blind to control raising and lowering of the slats
KR200363365Y1 (ko) 블라인드
JP3695697B2 (ja) 天窓用ブラインドのヘッドボックス取付装置
KR200278469Y1 (ko) 커튼
US20090223643A1 (en) Transverse Moving Apparatus For Double-Layer Window Covering
KR20040040006A (ko) 음성인식및무선으로 작동되는 자동접이식 창문차양막
KR20170112138A (ko) 조도 및 습도 자동감지를 통해 작동되는 다기능 블라인드
JP2577138B2 (ja) 水平窓または傾斜窓用電動ブラインド
KR20170112162A (ko) 실내용 자동 차양장치
JP2005230289A (ja) 日射遮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