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967B1 - 데이터수신장치및데이터수신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수신장치및데이터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967B1
KR100642967B1 KR1019980008433A KR19980008433A KR100642967B1 KR 100642967 B1 KR100642967 B1 KR 100642967B1 KR 1019980008433 A KR1019980008433 A KR 1019980008433A KR 19980008433 A KR19980008433 A KR 19980008433A KR 100642967 B1 KR100642967 B1 KR 100642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ogram
download
value
b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217A (ko
Inventor
게이지 유자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80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Conversion between an interlaced and a progressiv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프로그램 데이터를 방송파를 통해 다운로드하는 경우, 수신 상황이 나쁘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불안전한 상태가 계속되는 것을 방지한다.
새로운 프로그램 정보를 검출하면 C/N 값을 관측한다(단계 S4). 관측된 C/N 값이 규정값 이상인지의 여부가 결정되며(단계 S5), 규정값 이상이면 다운로드 제어용 프로그램이 실행된다(단계 S6). 다운로드 처리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가 결정되어(단계 S7), 다운로드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다운로드 처리가 행해진다. C/N이 양호한 것을 확인하고 나서 다운로드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다운로드 처리 도중에 수신 상황이 악화되어 다운로드가 중단될 우려를 회피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수신 방법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디지털 위성 방송을 이용해서 복수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의 데이터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위성을 이용해서 화상 신호, 오디오 신호 등을 전송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이 실용화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대해서 적용할 수가 있다. 도 7은 전형적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프로그램을 송출하는 측은 업링크국, 프로그램 제공자, 관리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프로그램 제공자(101)로부터의 영상·음성 데이터는 업링크국(102)의 MPEG(Moving Pictures Expert Group)2의 인코더, 멀티플렉서(103)에 공급된다. MPEG2 인코더, 멀티플렉서(103)에 있어서, 영상·음성 데이터가 압축되고 압축된 영상·음성 데이터가 188 바이트 길이의 패킷에 채워진다. 복수의 프로그램과 각각 대응하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패킷이 다중화되어 MPEG2의 트랜스포트·패킷이 형성된다. 트랜스포트·패킷이 연속되어서 트랜스포트·스트림이 형성된다. 트랜스포트·스트림의 수는 통신 위성에 탑재되어 있는 트랜스폰더의 수에 대응하고 있다.
MPEG2 트랜스포트·스트림이 송신 시스템(104)에 공급된다. 송신 시스템(104)에서는 패킷마다의 스크램블 처리, 패킷마다의 에러 정정 부호화, 변조 등의 처리가 되어 변조 출력이 송신 안테나(105)에 공급된다. 스크램블 처리는 시청자 마다 시청의 여부를 제어하는 데에 이용하는 조건부 액세스를 실현하기 위해서 필요로 된다. 예를 들어, 어떤 프로그램만을 그때마다 유료로 시청하는 페이·퍼·뷰의 계약이 가능해진다. 스크램블을 푸는 열쇠는 열쇠 관리 시스템(106)에서 MPEG2 인코더, 멀티플렉서(103)에 공급되고 영상·음성 정보와 같이 패킷의 하나로서 트랜스포트·스트림 중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107)에 의해, MPEG2 패킷의 통합적 관리가 행해진다.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107)과 열쇠 관리 시스템(106)이 결합되어 스크램블을 푸는 열쇠를 암호화하도록 된다. 또한, 고객 관리 시스템(108)이 설치되고, 시청 계약에 관련하는 사항 등의 관리가 행해진다. 시청자의 가정과의 사이에서, 전화 회선(109)을 통해서 과금 정보가 전송된다.
송신 안테나(105)에서 송출되어 통신 위성(110)을 통해서 각 가정의 수신 안테나(111)에 의해 방송 전파가 수신된다. 수신 안테나(111)에 대해서 수신기(112)가 접속된다. 수신기(112)는 수신 트랜스폰더를 지정하는 튜너, 복조부, 스크램블을 푸는 디스크램블부, 분리하는 패킷을 지정하는 디멀티플렉서, 영상 복호부, 음성 복호부 등에 의해 구성된다. 복호된 영상·음성 신호가 텔레비전 수상기(113)에 공급된다.
스크램블을 푸는 열쇠는 암호화되어 관련 정보로서 영상·음성과 함께 전송된다. 이 암호를 푸는 열쇠는 수신기(112)에 삽입되어 있는 IC 카드(114)중에 격납되어 있다. 어느 프로그램의 스크램블을 풀 수 있는지는, 각 수신 시스템의 계약 정보를 기초로 송신측에서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조건부 액세스 기능을 갖춘 수신기는 통상, IRD(Integrated Receiver/Decoder)라 칭해진다.
상술한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은 실용화가 이제 시작되었으며, 수신측에 대해서 현행의 수신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 각종 변경이 가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 변경은 고객에 대해서 새로운 서비스, 부가가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의 변경이 이루어질 때의 대책으로서는 몇 가지의 방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신기에 내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ROM을 교환하거나, 수신기 전체를 교환함으로써 프로그램 변경에 대처할 수가 있다. 또 수신기에 설치되어 있는 IC 카드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새로운 수신 프로그램이 격납된 IC 카드를 고객에게 배부해서 이 IC 카드에서 새로운 프로그램을 로드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미 설치되어 있는 수신기의 대수가 많은 경우에는 수신기의 ROM의 교환, 수신기의 회수는 곤란하다. 또, IC 카드를 배부하는 방법도 비용면의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IC 카드가 비교적 작은 메모리 용량을 갖기 때문에 거기에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는 방법으로서, 송신측에서 최신의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파로서 송신하고, 수신측에 있어서 이 프로그램을 수신기에 로드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즉, 위성 방송에 의해, 예를 들어, MPEG2 방식으로 전송되는 스트림중에 프로그램 데이터를 삽입하고, 수신기측에 있어서 이 프로그램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행한다. 다운로드된 프로그램 데이터는 예를 들어, 수신기가 내장하는 RAM에 일단 기입되어, 이 RAM에서 플래시 메모리에 대해서 프로그램 데이터가 전송되고 프로그램의 재기록이 행해진다.
기입해야 할 프로그램 데이터를 작은 단위(예를 들어, 64K 바이트)로 구분하여, 이 단위마다 기입 처리를 행함으로써 일시 기억을 위한 RAM의 용량의 삭감이 행해진다. 또, 플래시 메모리에 대해서는, 구 프로그램 데이터를 일단 소거하여 소거된 부분에 새로운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입함으로써 플래시 메모리의 용량을 삭감하도록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데이터의 재기록 처리의 방법은, 재기록 처리를 개시하면, 재기록의 대상인 플래시 메모리의 기억 영역 모두가 정확히 재기록될 때까지 신구 양편의 프로그램이 불완전한 상태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프로그램 데이터를 큰 폭으로(예를 들어, 수 M 바이트) 재기록 처리에서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많아져 재기록 처리를 위해 수분에서 수십분 정도의 긴 수신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프로그램 데이터의 다운로드 중에서의 강우 등에 의한 전파 상황의 악화에 의해 프로그램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취득할 수 없는 위험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전파 상황이 회복될 때까지 다운로드 처리가 중단된다.
이와 같이, 전파 상황이 불안정한 때에 프로그램의 재기록 동작을 개시하면, 재기록 동작중에서의 전파 상황의 악화에 의해 재기록 동작의 속행이 곤란해지고 전파 상황이 회복될 때까지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완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프로그램이 불완전한 상태에서는 수신기를 정상으로 동작시키는 일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기록 중단에 의해 프로그램이 불완전한 상태가 계속되는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중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한 데이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 중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해서 기억하는 수단과,
기억한 데이터를 기기 제어의 프로그램으로서 실행하는 수단과,
수신 상태가 좋은지 나쁜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수단을 갖고,
수신 상태가 나쁜 경우는, 데이터의 기억 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다중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한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 중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해서 기억하는 단계와,
기억한 데이터를 기기 제어의 프로그램으로서 실행하는 단계와,
수신 상태가 좋은지 나쁜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갖고,
수신 상태가 나쁜 경우는, 데이터의 기억 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이다.
수신 상태가 나쁜 경우에는, 프로그램의 재기록 처리를 행하지 않기 때문에, 재기록 처리가 중단되어 프로그램의 불완전한 상태가 계속되고, 그 사이 수신기가 동작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이 실시의 한 형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수신 안테나는 통신 위성(또는 방송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한다. 안테나(1)에 부속된 컨버터는 수신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의 제1IF(중간 주파) 신호로 다운 변환하여 튜너(2)에 출력한다.
튜너(2)에서는 이용자가 설정한 수신 채널(즉, 수신트랜스폰더)이 선국되어 제 2IF 신호가 생성된다. 제 2IF 신호가 복조부(3)에 공급되어 예를 들어, QPSK의 복조가 행해진다. 복조부(3)로부터의 복조 출력은 에러 정정부(4)에 공급된다. 에러 정정부(4)는 에러 정정 부호, 예를 들어, 리드·솔로몬 부호(Read-Solomon code)나 비터비 복호(Viterbi decode)에 의해 전송중에 생긴 에러를 정정한다. 에러 정정부(4)의 출력(트랜스포트·스트림)은 분리화부(5)에 공급된다. 스크램블을 해제하는 디스크램블은 에러 정정부(4)와 분리화부(5) 사이에서 행해진다.
분리화부(5)에서는 트랜스포트·스트림에서 희망하는 채널의 패킷이 분리되고, 또, 헤더부의 정보에 기초해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프로그램 정보가 포함됨)로 분리된다. 영상 데이터는 영상 복호부(6V)에 의해 복호되어 수신 영상 신호가 발생한다. 음성 데이터는 음성 복호부(6A)에 의해 복호되어 수신 음성 신호가 발생한다. 분리화부(5)에 의해 분리된 부가 데이터는 기기 제어부(10)에 공급된다. 복호된 영상 신호는 가산기(15)에 있어서 표시용 신호가 가산되어, 가산기(15)의 출력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도시안함)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복호된 음성 신호는 예를 들어, 앰프에서 증폭되어 스피커(도시안함)에서 출력된다.
기기 제어부(10)는 수신기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다. 기기 제어부(10)에 대해서 튜너(2), ROM(11), 플래시 메모리(12), RAM(13) 및 화면 표시 생성부(14)가 결합된다. 또한, 기기 제어부(패)에는 에러 정정부(4)로부터 비트 에러율 정보가 공급된다. 비트 에러율은 C/N과 상관을 갖기 때문에, 기기 제어부(10)는 비트 에러율 정보로부터 전파 상황(C/N)을 알 수가 있다. 기기 제어부(10)와 화면 표시 생성부(14)에 의해 C/N의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가 디스플레이의 관면 위에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가 생략되어 있으나, 기기 제어부(10)에 대해서 모뎀이 접속되어 전화 회선을 통해서 관리 시스템에 과금 정보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기 제어부(10)에는 이용자의 조작부(프론트 패널 위의 키, 관면 표시 및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 원격 제어 시스템 등)도 결합되어 있다. 이 조작부에서는 다운로드를 행할 때에 조작되는 키, 단추가 포함되어 있다.
ROM(11)에는 다운로드 제어용의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기기 제어부(10)가 행하는 다운로드의 제어는 이 ROM(11)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플래시 메모리(12)에는 통상 동작 제어용의 프로그램이 격납된다. 기기 제어부(10)에 의해 행해지는 통상 동작의 제어(즉, 다운로드의 제어 이외)는 플래시 메모리(1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RAM(13)은 플래시 메모리(12)를 재기록 할 때의 일시적인 기억부로서 이용된다. 화면 표시 생성부(14)는 기기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각종 표시 신호를 생성한다. 이 표시 신호에는 상술한 C/N의 표시를 행하기 위한 신호가 포함된다. 표시 신호는 가산기(15)에 공급되어 복호된 영상 신호에 중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기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데이터가 방송파로서 송신되어 프로그램·데이터를 수신하고, RAM(13)을 경유해서 플래시 메모리(12)에 다운로드함으로써 수신기의 제어용의 프로그램을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운로드가 행해지는 경우, 분리화부(5)에 분리된 프로그램 데이터가 기기 제어부(10)에 의해 1 재기록 단위(예를 들어, 64K 바이트)마다 RAM(13)에 기입된다. RAM(13)은 플래시 메모리(12)의 1 재기록 단위의 재기록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이 데이터를 유지한다. 1 재기록 단위의 프로그램·데이터가 RAM(13)에서 판독된 후 플래시 메모리(12)에 기입된다. 다운로드의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의 재기록 처리가 완료할 때까지 1 재기록 단위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MPEG2에 있어서는 데이터·스트림은 패킷이라 칭해지는 단위로 분할되어 전송된다. 1 개의 패킷은 4 바이트의 헤더부 및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부로 형성되고 188 바이트의 사이트를 갖는다. 헤더부에는 각각의 패킷의 정보나 패킷끼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 등이 격납된다. 이 헤더부에는 이 패킷의 식별 정보인 PID가 설치된다. 즉, 동일한 데이터·스트림에서 생성된 트랜스포트·패킷에는 동일한 PID가 붙여진다. 이 PID에 의해 그 패킷의 송출선(영상 복호부(6V), 음성 복호부(6A), 또는 기기 제어부(10))이 지시된다.
한 예로서, 프로그램·데이터는 MPEG2 Systems(ISO 13818-1)에 규정되어 있는 프라이비트·섹션의 형식에 따라 전송된다. 이 프로그램 데이터가 격납되는 섹션은 로드·섹션이라고 불린다. 이 프로그램 전송용의 섹션 중에는 프로그램·데이터 외에 수신기의 메이커, 기종을 식별하는 정보, 프로그램·데이터의 버전을 표시하는 ID, 필요한 프로그램·데이터가 송신되는 트랜스폰더를 표시하는 정보, 프로그램·데이터의 길이의 정보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수신기에서는 이들의 정보로부터 필요한 프로그램·데이터를 선택해서 로드할 수가 있다. 즉, 적절한 프로그램·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는 트랜스폰더를 지정하여, 그 트랜스폰더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데이터가 적절한 것인지의 여부가 메이커, 기종의 ID, 버전 ID 등으로부터 판단된다. 적절한 것이면, 다운·로드의 대상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운·로드 처리를 개시하기 전에 수신 상황이 적절한지의 여부에 의해 다운로드를 행하는가 아닌가를 결정한다. 도 2 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해서 이와 같은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최초로 전원을 온 하면(단계 S1) 통상 동작 제어용의 프로그램이 실행된다(단계 S2). 통상 동작의 한 예는 수신 채널의 전환이다.
단계 S3에 있어서 수신 신호 중에서 새로운 프로그램 정보를 검출하였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송신측은 수신기의 메이커, 기종, 버전에 의한 복수의 프로그램을 반복해서 송신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랜스포트·스트림에 포함되는 트랜스폰더의 지시, 메이커, 기종의 ID, 버전 ID를 참조해서 단계 S3의 결정이 행해진다. 검출한 경우에는,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 초 정도) C/N을 관측하여, 이 사이의 C/N의 평균값을 구한다(단계 S4).
구해진 C/N의 평균값이 규정값 이상인가 아닌가가 결정된다(단계 S5). 그렇다면, 단계 S6으로 처리가 이동하여, 다운로드 제어용의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처리가 단계 S2로 되돌아간다. 예를 들어, 수신 한계의 C/N이 6dB인 경우, C/N의 평균값이 10dB 보다 작게되면 다운로드를 행하지 않게 된다.
다운로드의 처리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가 단계 S7에서 결정된다. 재기록의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을 모두 재기록하면 다운로드가 종료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부트 루틴 등의 기본적인 처리를 행하는 루틴을 갖는 기본 프로그램과, 실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있으나 이들 중 어느 한편을 다운로드하는 경우와 양자를 다운로드하는 경우가 있다. 단계 S7에서 다운로드의 처리가 종료하였다고 결정되면 처리가 단계 S2로 되돌아간다. 종료되지 않았다고 결정되면, 다운로드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단계 S6 및 S7이 반복된다.
도 2 에 도시하는 처리는 C/N값, 예를 들어, 평균값 이상인 경우에는, 다운로드의 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하고 있으나, C/N값을 디스플레이의 관면에 표시해서 시청자가 이 표시를 보아서 시청자가 다운로드를 개시하는가 아닌가를 선택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3 의 흐름도는 그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3 에 있어서 단계 S11(전원 온), S12(통상 동작 제어용의 프로그램의 실행), S13(새로운 프로그램 정보를 검출하였는가 아닌가의 결정)은 도 2 중의 단계 Sl, S2, S3과 같은 처리이다.
단계 S14에 있어서 시청자가 C/N값 표시 단추를 눌렀는가 아닌가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C/N값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단추, 다운로드의 실행을 지시하기 위한 단추, C/N값을 숫자로 표시하는 C/N값 표시, 다운로드의 처리 도중 경과를 %로 표시하는 경과 표시가 디스플레이의 관면 위에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실제로 단추를 누르는 조작은 커서의 이동과 마우스의 클릭에 의해 행해진다. 물론, 관면 표시의 단추 대신에 원격 제어의 명령 단추 등을 조작해도 된다. C/N값 표시 단추가 눌려지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가 단계 S12로 되돌아간다. 이 단추가 눌러지면 C/N값을 관측해서 표시한다(단계 S15).
C/N값의 표시도 관면 위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2자리의 숫자로서 C/N값이 표시된다. 이 경우, 비트 에러율에서 구해진 C/N값을 그대로 표시하거나, 또는 시청자가 전파 상황을 알기 쉽게 고쳐 놓여진 숫자가 표시된다. 또한, C/N값의 관측 및 그 표시는 안테나의 방향을 조정할 때의 안테나 레벨로도 이용된다.
시청자는 C/N값의 표시를 보아, 다운로드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다운로드를 행하는 경우에는 다운로드 실행 단추가 눌려진다. 수신기의 취급 설명서 혹은 관면의 표시중에 표시되는 C/N값과 다운로드의 처리 완료의 확실성과의 관계가 설명되어 있고, 시청자는 이것을 참고로 해서 다운로드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적인 여유가 있고, 전파 상황의 악화에 의한 다운로드의 중단을 허용할 때에는, C/N값의 표시가 그만큼 양호하지 않아도 다운로드 실행 단추가 눌려진다. 한편, 다운로드 처리의 중단에 의해 다운로드 처리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피하고 싶은 때에는, C/N값의 표시가 양호한 것을 확인하고 나서 실행단추가 눌려진다. 또한, 다운로드가 중단된 경우에도, 그후, 전파 상황이 개선되면, 이전에 다운로드된 프로그램 데이터의 다음부터 다운로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단계 S16에 있어서, 다운로드 실행 단추가 눌러졌는지의 여부가 결정되어 단추가 눌려졌을 때에는 다운로드 제어용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단계 Sl7), 다운로드 처리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의 판단이 행해진다(단계 S18). 단계 S17 및 S18은도 2 중의 단계 S6 및 S7과 같은 처리이다.
도 3 의 흐름도에 도시되는 제어 방법은 시청자에게 다운로드 처리를 중단하는 위험성의 정도를 알림으로써, 다운로드 처리를 개시하는지의 여부를 시청자가 선택하도록 한다. 더욱이 도 2에 도시하는 제어 방법과 도 3 에 도시하는 제어 방법 중 하나만 있으면 되나, 양자를 가능하게 해서 시청자가 제어 방법을 선택 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에러 정정부(4)의 비트 에러율을 이용해서 C/N을 구하는 방법의 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 방법으로서는, 복조 출력에 있어서 검출된 에러수를 계산하여 그 값을 표시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단, 이 방법에서는, C/N이 양호한 경우에 1 개의 에러를 관측할 수 있는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진다. 예를 들어, C/N이 16dB 에서는 비트 에러율(이론값)이 1× 10-8로 되고, 1 개의 에러를 관측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이 2.5 초로 되며, 또 C/N이 17dB 에서는 비트 에러율(이론값)이 1.4× 10-10 으로 되고, 1 개의 에러를 관측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179 초로 되고 또한, C/N이 18dB 에서는 비트 에러율(이론값)이 8× 10-13 으로 되어 1 개의 에러를 관측할 수 있는데 필요한 시간이 8.7 시간으로 된다.
본원 출원인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C/N값의 표시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하에 이 표시 장치에 대해서 도 4 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 과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붙인다. 도 4 에 있어서, 21로 표시하는 입력 단자에 튜너로부터의 IF 신호가 공급되어 AGC 앰프(22)에서 이득이 제어된다. AGC 앰프에 대한 이득 제어 신호가 D/A 변환기(29)의 출력에 발생한다.
AGC 앰프(22)의 출력 신호는 직교 검파기(23)에 공급된다. 직교 검파기(23)는 AGC 앰프(22)의 출력 신호를 직교 검파해서 I 축과 Q 축의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신호(I 신호, Q 신호라 칭함)를 발생한다. I 신호 및 Q 신호는 A/D 변환기(24)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화된 I 신호 및 Q 신호는 QPSK 복조기(3)에서 복조된다. 복조 신호가 에러 정정부(4)에 공급되어 에러 정정이 행해진다.
A/D 변환기(24)로부터의 디지털화된 I 신호 및 Q 신호가 2승연산기(25 및 26)에 각각 공급된다. 가산기(27)는 2승 연산기(25 및 26)의 출력을 가산한다. 가산기(27)의 출력이 감산기(28)에 공급되어 기기 제어부(10)로부터의 AGC 기준 전압(AGC_REF)에서 감산된다. 감산기(28)의 출력 신호는 D/A 변환기(29)에 공급된다. D/A 변환기(29)로부터의 이득 제어 신호는 AGC 앰프(22)에 공급된다.
AGC 앰프(22)의 이득은 A/D 변환기(24)의 출력(아날로그 입력)의 I 신호 및 Q 신호의 각각의 2승 곱이 AGC 기준 전압과 같도록 피드백 제어된다. 따라서 AGC 기준 전압을 바꾸면 A/D 변환기(24)의 입력의 진폭이 적정값에 대해서 대 또는 소로 된다. 한 예로서, AGC 기준전압을 작게 하면, A/D 변환기(24)의 입력의 진폭이 적정값 보다 소로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에러 정정부(4)에서 출력되는 에러 정정 후의 데이터가 에러 정정 부호화부(30)에 공급된다. 에러 정정 부호화부(30)는 에러 정정 부호화를 다시 행하는 것으로, 그 출력이 조회를 위해 비교기(31)에 공급된다. 한편, 비교기(31)에는 에러 정정되기 전의 데이터가 공급된다. 따라서, 비교기(31)는 조회에 의해 불일치한 비트를 에러 비트로서 검출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검출한 에러 비트를 비트 에러율로서 비교기(31)로부터 기기 제어부(10)에 대하여 공급한다.
도 5 에 있어서 실선의 커브는 C/N과 비트 에러율의 관계(이론값)를 나타낸다. 상기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자는 상관을 갖는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율을 R(bps)로 하고 비트 에러율을 E 라 하면, 에러 1 개를 검출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이 1/(R·E)[초]로 되어 C/N이 양호한 경우에는 그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기기 제어부(10)가 내장한 비트 에러율의 값에 의해, 도 5 에 있어서 파선을 도시하는 바와 같이, (AGC_REF)를 가변함으로써 특성을 변화시킨다. 즉, C/N이 높은 경우에는 등가적으로 노이즈를 더해 눈짐작상의 C/N을 저하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비트 에러율이 작아짐에 따라서 AGC_REF 의 레벨을 작게하여 AGC 앰프(22)의 이득을 낮추어 (A/D 변환기(24)의 입력 진폭값을 적정값보다 작게 하여), 양자화 노이즈를 증가시켜 눈짐작상 C/N을 낮게 한다.
도 6은 기기 제어부(10)가 비트 에러율에 의해 AGC_REF를 변화시키는 1개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에 있어서 ①은 이론 커브이고 ②∼⑥ 각각은 이론커브 ①을 도면을 향해서 우방향으로 시프트시킨 커브이다. 우방향의 시프트는 AGC_REF를 작게 해서 눈 짐삭상 C/N을 낮게 하는 조작이다. 그래서, C/N이 커짐에 따라서 선택하는 커브를 ②,③,④,⑤,⑥으로 차례로 바꾼다. 이 처리에 의해, 도 5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0-1∼10-7 의 비트 에러율에 대응하는 C/N을 (3.4dB∼15.4dB)(이론값)에서 (3.4dB∼l8dB)로 변환한다. 또한 비트 에러율이 10-7 로 포화하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하면, 비트 에러율에 의해 C/N를 표시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할 수가 있다.
또한, 비트 에러율에 의한 C/N의 관측은 수신 상황의 양부를 판정하는 1개의 방법이며, 이것 이외에 AGC 앰프의 이득 제어 신호의 레벨을 참조하는 방법 등 다른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강우 등에 의한 전파 상황의 악화에 의해 다운로드 처리가 중단됨으로써 프로그램의 불완전한 상태가 계속될 우려를 회피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프로그램의 불완전한 상태가 계속될 우려를 시청자에게 알리는 것 외에, 시청자가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처리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동작의 한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 상황의 관측과 관련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비트 에러율과 C/N의 대응 관계의 이론 커브 및 AGC 기준 전압에 의해 변화된 커브를 도시하는 약선도.
도 6은 비트 에러율에 따라 AGC 기준 전압을 변화시키는 상태의 한 예를 도시하는 약선도.
도 7은 전형적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약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복조기 4 : 에러 정정부
5 : 분리화부 10 : 기기 제어부
11 : ROM 12 : 플래시 메모리
13 : RAM

Claims (6)

  1. 다중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한 데이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 중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기억한 데이터를 기기 제어의 프로그램으로서 실행하는 수단과,
    수신 상태가 좋은지 나쁜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상태가 나쁜 경우에는, 데이터의 기억 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하고,
    수신 상태가 좋은지 나쁜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기억 동작을 행할지 행하지 않을지를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 수단의 지시에 응답하여 데이터의 기억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 상태가 양호한 것을 검출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데이터의 기억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에 의해 송신되는 다중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4. 다중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한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 중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억하는 단계와,
    기억한 데이터를 기기 제어의 프로그램으로서 실행하는 단계와,
    수신 상태가 좋은지 나쁜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상태가 나쁜 경우에는, 데이터의 기억 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하고,
    수신 상태가 좋은지 나쁜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기억 동작을 행할지 행하지 않을지를 지시하는 지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 단계의 지시에 응답하여 데이터의 기억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수신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데이터의 기억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에 의해 송신되는 다중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KR1019980008433A 1997-03-13 1998-03-13 데이터수신장치및데이터수신방법 KR100642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59155 1997-03-13
JP05915597A JP3372018B2 (ja) 1997-03-13 1997-03-13 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受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217A KR19980080217A (ko) 1998-11-25
KR100642967B1 true KR100642967B1 (ko) 2006-12-22

Family

ID=1310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433A KR100642967B1 (ko) 1997-03-13 1998-03-13 데이터수신장치및데이터수신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073945A1 (ko)
EP (1) EP0865203B1 (ko)
JP (2) JP3372018B2 (ko)
KR (1) KR100642967B1 (ko)
DE (1) DE6983859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7849A (ja) * 2000-09-04 2002-03-15 Sony Corp 情報配信仲介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仲介装置
JP3591455B2 (ja) * 2000-11-28 2004-11-17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ジタル衛星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4563607B2 (ja) * 2001-03-30 2010-10-1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JP4622174B2 (ja) * 2001-07-04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
JP4264254B2 (ja) * 2002-12-19 2009-05-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車載プログラムの書き換え制御システム
US7895615B1 (en) * 2003-05-08 2011-02-22 The Directv Group, Inc. Media delivery assurance in broadcast distribution services
KR100548207B1 (ko) * 2003-11-18 200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안정화된 업그레이드 방법
JPWO2005096512A1 (ja) * 2004-03-31 2008-07-3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
US20070157270A1 (en) * 2005-12-28 2007-07-05 Lee Sean S Receiving apparatus using non-volatile memor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4487007B2 (ja) * 2008-11-14 2010-06-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車載プログラムの書き換え制御システム
JP5531566B2 (ja) * 2009-11-10 2014-06-2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10268482A (ja) * 2010-06-21 2010-11-25 Kyocera Corp 携帯通信端末
US11677500B2 (en) * 2020-09-30 2023-06-13 Polaran Haberlesme Teknolojileri Anonim Sirketi Methods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of data using concatenated polarization adjusted convolutional cod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9446A (en) * 1987-08-20 1989-02-23 Japan Broadcasting Corp Decoder control system
JPH07283798A (ja) * 1994-04-08 199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星放送移動体受信装置
WO1996017473A1 (en) * 1994-11-29 1996-06-06 News America Publications, Inc.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schedule system and method with display and search of program with alphabetical title listing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4514B2 (ja) * 1993-11-26 1999-0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装置
JP3729529B2 (ja) * 1994-10-28 2005-12-21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ジタル信号送受信システム
JPH08331519A (ja) * 1995-06-02 1996-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表示装置
US5671253A (en) * 1995-07-12 1997-09-23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video signals encoded in different formats
GB9516813D0 (en) * 1995-08-16 1995-10-18 Plessey Telecomm Data delivery ser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9446A (en) * 1987-08-20 1989-02-23 Japan Broadcasting Corp Decoder control system
JPH07283798A (ja) * 1994-04-08 199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星放送移動体受信装置
WO1996017473A1 (en) * 1994-11-29 1996-06-06 News America Publications, Inc.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schedule system and method with display and search of program with alphabetical title list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17089A (ja) 2000-08-04
EP0865203B1 (en) 2007-10-24
JP3372018B2 (ja) 2003-01-27
KR19980080217A (ko) 1998-11-25
DE69838599D1 (de) 2007-12-06
DE69838599T2 (de) 2008-07-31
JPH10257453A (ja) 1998-09-25
JP3978966B2 (ja) 2007-09-19
EP0865203A3 (en) 2000-01-26
EP0865203A2 (en) 1998-09-16
US20040073945A1 (en) 200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6625B2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データ受信方法
KR100642967B1 (ko) 데이터수신장치및데이터수신방법
US7061542B1 (en) Television receiving method and television receiver
EP0828386A2 (en) Data tranmission and reception device and system,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parameter setting method for data reception device
KR10052683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KR100586137B1 (ko) 디지털방송 수신장치
JP5110661B2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3968793B2 (ja) 放送受信装置、放送受信方法、放送送信装置、放送送信方法、放送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送受信方法
JP4419099B2 (ja) 放送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放送装置および放送方法、並びに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3460474B2 (ja) Catvにおけるnit情報取得方法
KR100551346B1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시간 정보 처리 방법
JPH1132318A (ja) 有線系伝送システム装置
JP2007089210A (ja) データ受信装置
JP2003153113A (ja) 放送受信装置
JP2000165268A (ja) データ受信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KR19990056477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신호 측정 방법
KR0185948B1 (ko) 디지탈 위성방송수신기의 rsms메세지 처리방법
JPH07222132A (ja) スクランブル信号受信装置
KR19990081001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예약 녹화 제어 방법
KR19980023750A (ko) 디지탈 dbs 수신기의 초기 채널 선택 방법
KR19990056470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9990081005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변경된 프로그램 정보 표시 방법
JP2004056349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9980023751A (ko) 디지탈 dbs 수신기의 초기 중계기 선택 방법
JP2002077846A (ja) 有料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