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733B1 - 단자대 위치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단자대 위치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733B1
KR100642733B1 KR1020050012696A KR20050012696A KR100642733B1 KR 100642733 B1 KR100642733 B1 KR 100642733B1 KR 1020050012696 A KR1020050012696 A KR 1020050012696A KR 20050012696 A KR20050012696 A KR 20050012696A KR 100642733 B1 KR100642733 B1 KR 100642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fitting
position fixing
slide rail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1923A (ko
Inventor
윤건상
Original Assignee
서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2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733B1/ko
Publication of KR20060091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2009/0278Casings containing special noise reduction means, e.g. elastic foam between inner and outer casing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레일에 설치되는 단자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단자대 위치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위치고정브라켓트(40)를 사용하는 종래의 단자대 위치고정구조는 별도의 위치고정브라켓트(40)에 대한 제작이 번거롭게 되고 슬라이드레일(20)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에서 위치고정브라켓트(40)의 이동편(41)을 끼워 넣는 작업 및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승강조임나사(43)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 등 위치고정브라켓트(40)의 설치작업 및 고정작업, 고정해제작업 등이 매우 힘들게 될 뿐 아니라 슬라이드레일(20)을 통해 위치고정브라켓트(40)에 진동이 가해질 경우 승강조임나사(43)가 이완되어 위치고정브라켓트(40) 및 각 단자대(10')의 위치 고정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많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던 바, 슬라이드레일(20)의 끼움절곡부(21) 상단면에 접촉되는 탄성가압절곡부(31)가 양측 하부에 마련된 가압고정 스프링편(30)을 최전방과 최후방에 설치되는 단자대(10a)의 하단 중앙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위치고정브라켓트나 고정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각 단자대(10)(10a)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슬라이드레일(20)을 통한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가압고정 스프링편(30)의 탄성가압절곡부(31)에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단자대 위치고정구조 { a terminal block fixing structure }
도 1은 종래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구조의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5a는 동 실시예의 최전방 단자대 체결전의 일부 절제 정면도
도 5b는 동 실시예의 최전방 단자대 체결후의 일부 절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10a : 단자대 11 : 끼움홈
12 : 돌출부 13 : 끼움구멍
20 : 슬라이드레일 21 : 끼움절곡부
30 : 가압고정 스프링편 31 : 탄성가압절곡부
33 : 끼움돌기 34 : 반원형 요입홈
본 발명은 슬라이드레일에 설치되는 단자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단자대 위치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슬라이드레일에 별도의 위치고정브라켓트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단자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 쌍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단자대는 고정판넬에 고정 설치되기도 하지만 상부 양측에 끼움절곡부가 마련된 슬라이드레일에 길이방향으로 이송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예도 많은 바, 본 발명은 특히 하단 양측에 끼움홈이 마련된 다수개의 단자대가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전후방향으로 이송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에 관계하는 것이다.
상기 단자대를 슬라이드레일에 설치할 때는 단자대를 비스듬하게 기울여 단자대 하단 일측의 끼움홈을 슬라이드레일의 일측 끼움절곡부에 먼저 결합한 다음 단자대의 타측 상부를 하부로 눌러 단자대 하단 타측의 끼움홈을 슬라이드레일의 타측 끼움절곡부에 결합하게 되는데, 슬라이드레일에 결합된 상태의 각 단자대는 하부 양측의 끼움홈이 슬라이드레일 상부 양측의 끼움절곡부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는 전혀 움직일 수 없게 되지만 전후방향으로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레일에 삽입 결합한 각 단자대의 위치를 고정하여 전후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필요가 있게 되는 바, 종래에 있어서 이러한 단자대 위치고정구조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부 양측에 관통구멍(41a)이 형성되는 동시에 하부 양측에 마련된 끼움홈(41b)을 통해 슬라이드레일(2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이동편(41); 상기 이동편(21)의 관통구멍(41a)을 통과하여 슬라이드레 일(20)의 끼움절곡부(21) 상단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절곡부(42a)가 양측 하부에 마련되고 상부 후방에 단자대 받침판(42b)이 마련되는 고정편(42); 그리고 상기 고정편(42)과 상기 이동편(41)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고정편(42)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조임나사(43);로 이루어지는 위치고정브라켓트(40)를 사용하는 것이 주로 사용되었다.
상기 위치고정브라켓트(40)를 사용하는 종래의 단자대 위치고정구조는 고정편(42)과 이동편(41)을 결합하는 승강조임나사(43)를 풀어서 고정편(42)의 양 가압절곡부(42a)가 슬라이드레일(20)의 끼움절곡부(21) 상단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는 이동편(41) 및 그에 결합된 고정편(42)이 슬라이드레일(20)의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지만 승강조임나사(43)를 조여 고정편(42)을 하강시키게 되면 이동편(41)의 관통구멍(41a)을 통과한 고정편(42)의 양 가압절곡부(42a)가 슬라이드레일(20)의 끼움절곡부(21) 상단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이동편(41) 및 그에 결합된 고정편(42)이 슬라이드레일(20)의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 종래의 단자대 위치고정구조는 한 쌍의 위치고정브라켓트(40) 사이에 일정 개수의 단자대(10')를 위치시킨 다음 양 위치고정브라켓트(40)를 고정하게 되면 그들 사이의 각 단자대(10')가 전후방향으로 유동될 수 없게 되므로 각 단자대(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지만 별도의 위치고정브라켓트(40)에 대한 제작이 번거롭게 되고 슬라이드레일(20)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에서 위치고정브라켓트(40)의 이동편(41)을 끼워 넣는 작업 및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승강조임나사 (43)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 등 위치고정브라켓트(40)의 설치작업 및 고정작업, 고정해제작업 등이 매우 힘들게 될 뿐 아니라 슬라이드레일(20)을 통해 위치고정브라켓트(40)에 진동이 가해질 경우 승강조임나사(43)가 이완되어 위치고정브라켓트(40) 및 각 단자대(10')의 위치 고정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많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단자대 위치고정구조의 제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별도의 위치고정브라켓트나 고정공구 없이도 간편하게 단자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자대 위치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슬라이드레일의 끼움절곡부 상단면에 접촉되는 탄성가압절곡부가 양측 하부에 마련된 가압고정 스프링편을 최전방 단자대 및 최후방 단자대의 하단 중앙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동 실시예의 결합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a 및 도 5b에는 동 실시예의 최전방 단자대 체결전, 후의 일부 절제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은 하단 양측에 끼움홈(11)이 마련된 다수개의 단자대(10a)(10)가 상부 양측에 끼움절곡부(21)가 마련된 슬라이드레일(20)에 전후방향으로 이송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 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레일(20)의 끼움절곡부(21) 상단면에 접촉되는 탄성가압절곡부(31)가 양측 하부에 마련된 가압고정 스프링편(30)을 최전방과 최후방에 설치되는 단자대(10a)의 하단 중앙에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가압고정 스프링편(30)의 전방 중앙 및 후방 중앙에 각각 끼움돌기(33)를 마련하고 최전방과 최후방에 설치되는 단자대(10a)의 하단 중앙 전, 후방에 각각 끼움구멍(13)을 갖는 돌출부(12)를 마련하여 가압고정 스프링편(30)의 각 끼움돌기(33)를 최전방과 최후방에 설치되는 단자대(10a)의 각 끼움구멍(13)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가압고정 스프링(30)을 지지하는 형태를 갖는 바, 본 발명에 있어서 가압고정 스프링편(30)의 지지형태는 도시된 것에만 국한되지 않고 예측 가능한 다른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는 가압고정 스프링편(30)의 양 탄성가압절곡부(31)의 가압선단부에 반원형 요입부(34)를 형성하여 4점 탄성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한 형태를 갖는 바, 이 또한 예측 가능한 다른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최전방과 최후방에 설치되는 단자대(10a)를 슬라이드레일(20)에 결합하게 되면 가압고정 스프링편(30)의 양 탄성가압절곡부(31)가 슬라이드레일(20)의 끼움절곡부(21) 상단면을 탄성가압하게 되어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최전방과 최후방에 설치되는 단자대(10a)를 슬라이드레일(20)에 결합할 때는 그들 사이에 설치되는 다른 단자대(10)들을 결합할 때와 마찬가지로 도 5a와 같이 비스듬하게 기울여 일측 끼움홈(11)을 슬라이드레일(20)의 일 측 끼움절곡부(21)에 결합한 다음 타측 상부를 눌러 타측 끼움홈(11)을 슬라이드레일(20)의 타측 끼움절곡부(21)를 결합하면 되며, 도 5b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가압고정 스프링편(30)의 각 탄성가압절곡부(31)가 슬라이드레일(20)의 끼움절곡부(21)의 상단면을 탄성가압하게 되므로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최전방과 최후방에 설치되는 단자대(10a) 사이에 설치되는 다른 단자대(10)들도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드레일(20)의 끼움절곡부(21) 상단면에 접촉되는 탄성가압절곡부(31)가 양측 하부에 마련된 가압고정 스프링편(30)을 최전방 및 최후방에 설치되는 단자대(10a)의 하단 중앙에 설치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위치고정브라켓트나 고정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각 단자대(10)(10a)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슬라이드레일(20)을 통한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가압고정 스프링편(30)의 탄성가압절곡부(31)에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하단 양측에 끼움홈(11)이 마련된 다수개의 단자대(10a)(10)가 상부 양측에 끼움절곡부(21)가 마련된 슬라이드레일(20)에 전후방향으로 이송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레일(20)의 끼움절곡부(21) 상단면에 접촉되는 탄성가압절곡부(31)가 양측 하부에 마련된 가압고정 스프링편(30)을 최전방과 최후방에 설치되는 단자대(10a)의 하단 중앙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위치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 스프링편(30)의 전방 중앙 및 후방 중앙에 각각 끼움돌기(33)를 마련하고 최전방과 최후방에 설치되는 단자대(10a)의 하단 중앙 전, 후방에 각각 끼움구멍(13)을 갖는 돌출부(12)를 마련하여 가압고정 스프링편(30)의 각 끼움돌기(33)를 최전방과 최후방에 설치되는 단자대(10a)의 각 끼움구멍(13)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가압고정 스프링(30)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위치고정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압고정 스프링편(30)의 양 탄성가압절곡부(31)의 가압선단부에 반원형 요입부(34)를 형성하여 4점 탄성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위치고정구조.
KR1020050012696A 2005-02-16 2005-02-16 단자대 위치고정구조 KR100642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696A KR100642733B1 (ko) 2005-02-16 2005-02-16 단자대 위치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696A KR100642733B1 (ko) 2005-02-16 2005-02-16 단자대 위치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923A KR20060091923A (ko) 2006-08-22
KR100642733B1 true KR100642733B1 (ko) 2006-11-03

Family

ID=3759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696A KR100642733B1 (ko) 2005-02-16 2005-02-16 단자대 위치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7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979B1 (ko) 2009-02-11 2009-06-04 명재을 세퍼레이터형 스토퍼
KR200471154Y1 (ko) 2013-11-05 2014-02-06 박정원 조립식 단자대
KR200490324Y1 (ko) 2019-01-11 2019-10-28 안호완 단자대 레일용 스토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488B1 (ko) * 2006-10-18 2008-09-04 이용돈 채널형 브라켓 구조
KR100924567B1 (ko) * 2007-09-10 2009-10-30 이원재 채널형 브라켓 구조
DE102011001069B4 (de) 2011-03-03 2018-03-22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Verfahren zum Verriegeln eines ersten Systems von Steckverbindern mit einem zweiten System von Steckverbindern
KR200489755Y1 (ko) * 2018-06-04 2019-08-05 주식회사 정광테크 터미날 블록을 위한 스토퍼
KR200494973Y1 (ko) * 2020-10-08 2022-02-08 신현우 단자대 고정용 스토퍼
KR102333636B1 (ko) * 2020-10-08 2021-12-01 신현우 단자대 고정용 스토퍼
KR102275148B1 (ko) * 2020-11-05 2021-07-09 (주)인우이엔씨 조립식 단자대
KR102547242B1 (ko) * 2022-12-28 2023-07-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프로브 장치 및 조절 가능한 확장식 프로브 장치 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581A (ko) * 1998-04-28 1998-07-25 오석춘 터미널블럭 고정브라켓트
KR20000019649A (ko) * 1998-09-14 2000-04-15 이찬열 나사 없는 단자대
KR20010073653A (ko) * 2000-01-19 2001-08-01 윤흥식 단자대의 링크스트립
JP2002164097A (ja) 2000-11-22 2002-06-07 Kimura Denki Kk 弛止装置付のカバー体および弛止装置付端子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581A (ko) * 1998-04-28 1998-07-25 오석춘 터미널블럭 고정브라켓트
KR20000019649A (ko) * 1998-09-14 2000-04-15 이찬열 나사 없는 단자대
KR20010073653A (ko) * 2000-01-19 2001-08-01 윤흥식 단자대의 링크스트립
JP2002164097A (ja) 2000-11-22 2002-06-07 Kimura Denki Kk 弛止装置付のカバー体および弛止装置付端子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979B1 (ko) 2009-02-11 2009-06-04 명재을 세퍼레이터형 스토퍼
KR200471154Y1 (ko) 2013-11-05 2014-02-06 박정원 조립식 단자대
KR200490324Y1 (ko) 2019-01-11 2019-10-28 안호완 단자대 레일용 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923A (ko) 2006-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733B1 (ko) 단자대 위치고정구조
US20100105232A1 (en) Power supply and retention bar for a power supply
CA2631112C (en) An apparatus for fastening a cover profile for the transition between two surfaces which are perpendicular with respect to each other
JP2012533839A (ja) 導体用の接続装置
TWI712382B (zh) 連接裝置
US20040097140A1 (en) Electrical contact
US20090311885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clip mechanism
US20190252813A1 (en) Connector equipped with spring retention mechanism
JP2013050124A (ja) 流体制御装置
CN2929809Y (zh) 电脑壳体
CN101547585A (zh) 散热装置
JP2004531095A5 (ko)
KR100684650B1 (ko) 탄성부재를 갖는 송·배전 전주용 완금밴드
JP5165480B2 (ja) フローティングナット
CN213484927U (zh) 一种方便组装拆卸的手机夹
TW201328516A (zh) 夾持機構
JP4079567B2 (ja) 配線固定具
CN201075883Y (zh) 电路板辅助定位装置及其与电路板的组合
JP2006210443A (ja) プリント基板の取付構造
JPH06236781A (ja) コネクタ装置
CN217647277U (zh) 一种折弯把手异型型材用冲压模具
JP4293705B2 (ja) 電子部品固定構造及び電子部品固定具
KR102141481B1 (ko) 프로파일용 스프링 너트
CN114961039B (zh) 一种室内装饰用隔断结构
JP5447891B1 (ja) 手工具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