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567B1 - 채널형 브라켓 구조 - Google Patents

채널형 브라켓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567B1
KR100924567B1 KR1020070091444A KR20070091444A KR100924567B1 KR 100924567 B1 KR100924567 B1 KR 100924567B1 KR 1020070091444 A KR1020070091444 A KR 1020070091444A KR 20070091444 A KR20070091444 A KR 20070091444A KR 100924567 B1 KR100924567 B1 KR 100924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ase bracket
coupling rail
locking
c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6462A (ko
Inventor
이원재
이문재
Original Assignee
이원재
이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재, 이문재 filed Critical 이원재
Priority to KR1020070091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5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26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4Mounting through openings
    • H02B1/048Snap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설비의 컨트롤박스나 배전반과 같은 부속설비의 내부에 단자대 등의 박스형 부속유닛을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채널형 브라켓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배면에 결합레일(2)의 양단 걸림턱(2a,2b)에 걸려지는 제1걸림부(12)와 제2걸림부(14)가 구비되고 상기 제2걸림부(14)와 인접된 위치에는 수용홈(16)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박스형 부품이 장착되는 베이스 브라켓(10)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수용홈(16)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제1걸림부(12)가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일단 걸림턱(2a)에 걸려지고 상기 제2걸림부(14)가 결합레일(2)의 타단 걸림턱(2b)에 걸려질 때 상기 결합레일(2)에 밀착되어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제1걸림부(12)와 제2걸림부(14)를 상기 결합레일(2)에 가압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탄성고정편(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 효과는 컨트롤박스나 배전반 등에 설치된 결합레일에 부속유닛을 취부하여 고정한 다음에는 브라켓과 결합레일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결합레일에 견고하게 밀착 결합되어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취부하고자 하는 부속유닛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아울러, 부속유닛이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브라켓에 취부된 부속유닛의 성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합레일, 취부, 가압, 밀착, 틈새 발생 방지, 흔들림 방지

Description

채널형 브라켓 구조{Channel type bracket sutructure}
본 발명은 채널형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형 부속유닛을 흔들림없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아울러, 박스형 부속유닛의 흔들림으로 인한 성능 저하 등을 방지하도록 된 채널형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전자설비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박스나 배전반의 내부에는 단자대와 같은 부속유닛이 내장된다. 이러한 부속유닛은 컨트롤박스나 배전반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결합레일에 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브라켓의 후방에 한 쌍의 상하 걸림부가 구비되어, 결합레일의 상하단에 구비된 걸림턱에 브라켓 후방의 상하 걸림부가 걸려져 설치되며, 이 브라켓의 전면에는 터미널이나 스위치와 같은 부속유닛이 장착되므로, 결국, 결합레일에 결합된 브라켓을 통해 부속유닛이 컨트롤박스나 배전반과 같은 부속설비의 내부에 내장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브라켓에 의해 결합레일에 단자대와 같은 부속유닛을 취부하여 고정한다 하더라도, 브라켓과 결합레일의 결합부 사이의 틈새에 의해 브라켓이 결합레일에 견고하게 밀착 결합되지 못하고, 브라켓이 흔들리기 때문에, 브라켓 및 취부하고자 하는 부속유닛이 안정적으로 설치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아울러, 이처럼 브라켓과 설치 부속유닛이 흔들리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설치된 부속유닛의 성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트롤박스나 배전반 등에 설치된 결합레일에 부속유닛을 취부하여 고정한 다음에는 브라켓과 결합레일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결합레일에 견고하게 밀착 결합되어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취부하고자 하는 부속유닛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아울러, 부속유닛이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설치된 부속유닛의 성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새로운 구성의 채널형 브라켓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면에 결합레일(2)의 양단 걸림턱(2a,2b)에 걸려지는 제1걸림부(12)와 제2걸림부(14)가 구비되고 상기 제2걸림부(14)와 인접된 위치에는 수용홈(16)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박스형 부품이 장착되는 베이스 브라켓(10)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수용홈(16)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제1걸림부(12)가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일단 걸림턱(2a)에 걸려지고 상기 제2걸림부(14)가 결합레일(2)의 타단 걸림턱(2b)에 걸려질 때 상기 결합레일(2)에 밀착되어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제1걸림부(12)와 제2걸림부(14)를 상기 결합레일(2)에 가압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탄성고정편(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브라켓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박스나 배전반 등에 설치된 결합레일에 부속유닛을 취부하여 고정한 다음에는 탄성고정편에 의해 결합레일과 베이스 브라켓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서, 결합레일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취부하고자 하는 부속유닛(즉, 스위치나 단자대 등)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아울러, 부속유닛이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설치된 부속유닛의 성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브라켓을 결합레일에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결합레일에 취부하여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결합레일이 취부하여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배면에 결합레일(2)의 양단 걸림턱(2a,2b)에 걸려지는 제1걸림부(12)와 제2걸림부(14)가 구비되고 상기 제2걸림부(14)와 인접된 위치에는 수용홈(16)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박스형 부품이 장착되는 베이스 브라켓(10)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제1걸림부(12)와 제2걸림부(14)를 결합레 일(2)에 가압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탄성고정편(20)을 포함하여 구성된 채널형 브라켓 구조이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은 직사각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배면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제1걸림부(12)와 제2걸림부(14)가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브라켓(10)의 전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부속설비(1)(예를 들어, 스위치 박스 등)가 장착된다.
제1걸림부(12)와 제2걸림부(14)는 각각 결합레일(2) 상하단의 결합부에 걸려지도록 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제1걸림부(12)는 승강 가능한 걸림부재(13)에 의해 형성된다. 즉, 걸림부재(13)는 베이스 브라켓(10)의 배면 일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좌우승강편(13a)과, 이 좌우 승강편을 연결하는 연결편(13b)과, 이 연결편(13b)에 일체화되며 좌우 승강편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거리가 좁혀지고 멀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한 쌍의 중간걸림편(13c)을 갖는 형상을 이룬다.
또한,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배면 일측에는 걸림부재(13)의 한 쌍의 중간걸림편(13c)이 걸려지는 한 쌍의 돌기(19)가 구비되며, 중간걸림편(13c)의 선단부에는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원호형 걸림편(13d)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걸림부재(13)의 각 부분은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므로, 중간걸림편(13c) 선단부의 원호형 걸림편(13d)이 탄성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 수 있다. 즉, 걸림부재(13)를 상측을 당겨주면, 한 쌍의 중간걸림편(13c) 선단부의 각 원호형 걸림편(13d)이 베이스 브라켓(10)의 좌우 돌기(19)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도록 오므라들고, 다시 걸림부재(13)를 놓으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한 쌍의 중간걸림 편(13c)이 벌어지면서 걸림부재(13)를 하강시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배면 타측에는 한 쌍의 제2걸림부(14)가 형성된다. 이 제2걸림부(14)는 결합레일(2)의 상측 걸림턱(2b)에 걸려지는 돌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브라켓(10)과 제2걸림부(14)는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고정편(20)은 고무에 의해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블록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베이스 브라켓(10)의 제2걸림부(14)와 인접된 위치에 형성된 수용홈(16)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탄성고정편(20)의 좌우 너비는 베이스 브라켓(10)의 수용홈(16)의 좌우 너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도록 구성되며, 상기 탄성고정편(20)이 수용홈(16)에 수용되었을 때 탄성고정편(20)의 좌우측이 압축된다. 그러면, 베이스 브라켓(10)의 수용홈(16)에 인접된 제2걸림부(14)의 방향으로 탄성고정편(20) 확장되어 베이스 브라켓(10)의 제2걸림부(14)가 결합레일(2)의 상단 걸림턱(2b)과의 사이에 틈새없이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제1걸림부(12), 즉, 걸림부재(13)의 좌우승강편(13a)과 제2걸림부(14)를 결합레일(2)의 상하단에 끼우면 베이스 브라켓(10)의 탄성고정편(20)에 의해 베이스 브라켓(10)이 결합레일(2)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즉, 탄성고정편(20)이 고무에 의해 제작되어, 좌우측에서 누르는 힘이 작용할 때 다른 부분은 부풀어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탄성고정편(20)이 결 합레일(2)의 상측 걸림턱(2b)에 가압 밀착되고, 동시에 베이스 브라켓(10)의 제1걸림부(12)도 결합레일(2)의 하측 걸림턱(2a)에 가압 밀착되므로, 베이스 브라켓(10)이 결합레일(2)과의 사이에 틈새없이 견고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고정편(20)은 중앙부에 원호형 홈부(22)가 형성된다. 이러한 홈부(22)에 의해 탄성고정편(20)을 보다 쉽게 오므려서 베이스 브라켓(10)의 수용홈(16)에 집어 넣을 수 있다. 즉, 탄성고정편(20)의 좌우측을 누른 상태에서 탄성고정편(20)을 베이스 브라켓(10)의 수용홈(16)에 삽입하는데, 중앙부의 원형형 홈부(22)에 의해 탄성고정편(20)을 보다 쉽게 오므릴 수 있으므로, 탄성고정편(20)을 베이스 브라켓(10)의 수용홈(16)에 더 쉽게 집어넣을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브라켓을 결합레일에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결합레일에 취부하여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결합레일이 취부하여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단면도

Claims (7)

  1. 배면에 결합레일(2)의 양단 걸림턱(2a,2b)에 걸려지는 제1걸림부(12)와 제2걸림부(14)가 구비되고 상기 제2걸림부(14)와 인접된 위치에는 수용홈(16)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박스형 부품이 장착되는 베이스 브라켓(10)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수용홈(16)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제1걸림부(12)가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일단 걸림턱(2a)에 걸려지고 상기 제2걸림부(14)가 결합레일(2)의 타단 걸림턱(2b)에 걸려질 때 상기 결합레일(2)에 밀착되어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제1걸림부(12)와 제2걸림부(14)를 상기 결합레일(2)에 가압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탄성고정편(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브라켓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편(20)은 고무에 의해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제작되고, 상기 탄성고정편(20)의 좌우 너비는 상기 수용홈(16)의 좌우 너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도록 구성되며, 상기 탄성고정편(20)이 상기 수용홈(16)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탄성고정편(20)의 좌우측이 압축되면서 상기 수용홈(16)에 인접된 제2걸림부(14)의 방향으로 확대되어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제2걸림부(14)가 상기 결합레일(2)의 걸림턱(2b)에 가압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브라켓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제2걸림부(14)를 상기 결합레일(2)의 걸림턱(2b)에 결합시킬 때, 상기 탄성고정편(20)이 하측으로 밀려났다가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제2걸림부(14)가 상기 결합레일(2)의 걸림턱(2b)에 결합 완료시 상기 탄성고정편(20)이 탄성적으로 가압 밀착되어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제2걸림부(14)가 상기 결합레일(2)의 걸림턱(2b)에 가압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브라켓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편(20)은 중앙부에 원호형 홈부(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브라켓 구조.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일단 배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걸림부재(13)에 의해 상기 제1걸림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13)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일단 배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좌우승강편(13a)과, 상기 좌우 승강편을 연결하는 연결편(13b)과, 상기 연결편(13b)에 일체화되며 상기 좌우승강편(13a)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거리가 좁혀지고 멀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한 쌍의 중간걸림편(13c)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브라켓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일단 배면에는 상기 걸림부재(13)의 한 쌍의 중간걸림편(13c)이 걸려지는 한 쌍의 돌기(19)가 구비되며, 상기 중간걸림편(13c)의 선단부에는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원호형 걸림편(13d)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브라켓 구조.
KR1020070091444A 2007-09-10 2007-09-10 채널형 브라켓 구조 KR100924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444A KR100924567B1 (ko) 2007-09-10 2007-09-10 채널형 브라켓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444A KR100924567B1 (ko) 2007-09-10 2007-09-10 채널형 브라켓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462A KR20090026462A (ko) 2009-03-13
KR100924567B1 true KR100924567B1 (ko) 2009-10-30

Family

ID=40694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444A KR100924567B1 (ko) 2007-09-10 2007-09-10 채널형 브라켓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45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79609A1 (en) 2012-06-28 2014-01-01 Lummus Novolen Technology Gmbh Sterically demanding dialkoxydialkylsilanes as external donors for ziegler catalysts for the polymerization of propyle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166U (ja) * 1992-10-28 1994-05-20 株式会社中村電機製作所 電気機器の取付構造
KR19980033581A (ko) * 1998-04-28 1998-07-25 오석춘 터미널블럭 고정브라켓트
KR20060091923A (ko) * 2005-02-16 2006-08-22 서일전자 주식회사 단자대 위치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166U (ja) * 1992-10-28 1994-05-20 株式会社中村電機製作所 電気機器の取付構造
KR19980033581A (ko) * 1998-04-28 1998-07-25 오석춘 터미널블럭 고정브라켓트
KR20060091923A (ko) * 2005-02-16 2006-08-22 서일전자 주식회사 단자대 위치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462A (ko) 200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3010B2 (ja) 電気端子、モジユール、設置装置等を支持レール上に係止取付けするためのロツク解除装置
CN108598791B (zh) 插塞连接器装置和用于该插塞连接器装置的分离元件
US7667146B2 (en) Attachment device for attaching an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 to a top-hat rail
KR101780959B1 (ko) 플렉시블 케이블 차체고정장치
KR100924567B1 (ko) 채널형 브라켓 구조
KR200308088Y1 (ko) 차단기의 딘-레일 결합장치
EP2020718A1 (en) Holding device for coupling an electrical apparatus to an apparatus mounting rail
JPWO2006137374A1 (ja) 長尺物の取付機構
KR102204446B1 (ko) 커넥터의 고정장치
US10574034B2 (en) Locking mechanism for an electrical assembly, and assembly comprising a locking mechanism
JPS6343769Y2 (ko)
KR101830413B1 (ko) 플렉시블 케이블 차체고정장치
KR102109018B1 (ko) 탄성프레임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JP6686203B1 (ja) ブラケット装置
KR101820155B1 (ko) 플렉시블 케이블 차체고정장치
KR200320759Y1 (ko) 자동차의 커넥터 고정클립
KR102098760B1 (ko) 링크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00874729B1 (ko) 케이스 착탈 장치 및 이에 사용하는 분리용 지그
KR101062424B1 (ko) 간판용 프레임
KR20060134587A (ko) 케이블 커넥터의 먼지커버
JP5152978B2 (ja) 部品取付構造
KR102121846B1 (ko)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20000004220U (ko) 휴대폰의 이어폰 커버장치
KR100568682B1 (ko) 루프랙 크로스 바아의 오장착 방지 구조
US20080218982A1 (en) Surge Protector with a Mounting 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