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846B1 -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 Google Patents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846B1
KR102121846B1 KR1020200004096A KR20200004096A KR102121846B1 KR 102121846 B1 KR102121846 B1 KR 102121846B1 KR 1020200004096 A KR1020200004096 A KR 1020200004096A KR 20200004096 A KR20200004096 A KR 20200004096A KR 102121846 B1 KR102121846 B1 KR 102121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ree end
protrusion
insertion space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찬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4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14Housing or casing lateral walls containing guiding grooves or special mounting facilitie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작동신뢰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기설정값을 초과한 과전류 발생시 전류흐름을 차단하도록 전기선로의 연결을 절환하는 차단기의 하부에 연결되며, 하부 일측 테두리에 한쌍의 제1단턱부 및 제2단턱부가 각각 하향 연장 돌설되되,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의 사이에 폭방향으로 개구된 고정격자삽입공간이 형성되며, 하부 타측에 제3단턱부가 하향 연장 돌설되되,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와 상기 제3단턱부 사이에 길이방향 양측이 개구된 딘레일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격자삽입공간 및 상기 딘레인삽입공간을 가로지르는 바닥면에 안내홈이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의 후방부에 탄성 재질의 라운드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단턱부의 내벽면 하단으로부터 제1걸림돌기부가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설되는 결합케이스부; 길게 연장된 판재로 구비되어 상기 딘레일삽입공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삽입되되, 폭방향 양측에 일체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부에 걸림 구속되는 걸림테두리가 형성되는 딘레일; 및 상기 고정격자삽입공간에 상기 결합케이스부의 내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기설정된 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되, 후단부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케이스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1걸림돌기부와 대향되는 전단부에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걸림테두리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제2걸림돌기부가 형성되며, 전방부에 형성된 제1고정단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자유단이 상기 라운드돌기부의 단부에 탄성 접촉되는 탄성 재질의 탄성부가 구비되는 고정격자를 포함하는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circuit breaker having elastic pressure type joint device}
본 발명은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신뢰성이 개선되는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설정값을 초과한 과전류가 흐르거나 회로 내에 누전이 발생하는 경우 전기선로의 개폐조작을 신속하게 전환시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부하측에 연결된 전기제품 및 선로의 파손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차단기는 수동 또는 자동 조작에 의해 구동되며, 바람직하게는 과전류가 발생시 자동으로 전류가 단락되도록 조작될 수 있다.
그리고, 분전함이나 배전반 내에서 전자 접촉기, 배선용 차단기, 회로 보호차단기, 통신기기 등과 같은 전기전자장비에는 다수의 전기전자부품들을 배열 및 장착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기는 배전반 내에 설치되고 배전반에 고정된 딘레일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되며, 상기 차단기에는 상기 딘레일과의 결합을 위한 구조물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딘레일은 긴 길이로 이루어진 앵글 형상의 부재로서, 양측에 플랜지가 벌어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바닥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차단기의 하부에는 잠금레버가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차단기의 외측으로 이동되되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기 차단기의 내측으로 탄발 복원되도록 구비되었다. 또한, 차단기의 하부와 상기 잠금레버의 사이에는 상기 딘레일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딘레일이 삽입되되, 상기 홈의 내벽면과 상기 잠금레버의 전단에는 상기 딘레일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가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었다.
여기서, 상기 차단기를 상기 딘레일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의 일측이 상기 홈의 내벽면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의 타측이 상기 잠금레버에 형성된 걸림돌기의 경사면에 가압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차단기의 외측으로 일시적으로 후퇴되어 상기 홈에 상기 딘레일이 결합되었다.
그리고, 상기 차단기를 상기 딘레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잠금레버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차단기의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별도의 고정격자가 구비되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고정격자를 통해 상기 잠금레버를 상기 차단기의 외측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상기 딘레일이 각 걸림돌기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격자는 딘레일로부터 상기 차단기를 분리시킨 후 상기 잠금레버가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차단기의 내측으로 재복원되어야 하나, 상기 코일스프링이 이탈되는 경우 위치가 복원되지 않고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차단기의 외측에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거나 심지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기를 상기 딘레일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잠금레버의 걸림돌기가 상기 딘레일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에 걸림되지 않아 상기 차단기가 상기 딘레일에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808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동신뢰성이 개선되는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설정값을 초과한 과전류 발생시 전류흐름을 차단하도록 전기선로의 연결을 절환하는 차단기의 하부에 연결되며, 하부 일측 테두리에 한쌍의 제1단턱부 및 제2단턱부가 각각 하향 연장 돌설되되,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의 사이에 폭방향으로 개구된 고정격자삽입공간이 형성되며, 하부 타측에 제3단턱부가 하향 연장 돌설되되,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와 상기 제3단턱부 사이에 길이방향 양측이 개구된 딘레일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격자삽입공간 및 상기 딘레인삽입공간을 가로지르는 바닥면에 안내홈이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의 후방부에 탄성 재질의 라운드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단턱부의 내벽면 하단으로부터 제1걸림돌기부가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설되는 결합케이스부; 길게 연장된 판재로 구비되어 상기 딘레일삽입공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삽입되되, 폭방향 양측에 일체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부에 걸림 구속되는 걸림테두리가 형성되는 딘레일; 및 상기 고정격자삽입공간에 상기 결합케이스부의 내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기설정된 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되, 후단부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케이스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1걸림돌기부와 대향되는 전단부에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걸림테두리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제2걸림돌기부가 형성되며, 전방부에 형성된 제1고정단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자유단이 상기 라운드돌기부의 단부에 탄성 접촉되는 탄성 재질의 탄성부가 구비되는 고정격자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고정격자가 후퇴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자동 슬라이드 복원되도록 상기 제1고정단으로부터 상기 제1자유단이 라운드지게 후향 연장되며 상기 제1자유단의 끝단이 상기 라운드돌기부를 향하여 배치되되, 상기 라운드돌기부는 상기 안내홈의 후방부에 형성된 제2고정단으로부터 제2자유단이 라운드지게 전향 연장되어 상기 제1자유단에 탄성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고정격자의 전방부에 형성된 제1고정단으로부터 라운드지게 후향 연장되는 탄성부의 제1자유단이 안내홈의 후방부에 형성된 제2고정단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전향 연장되는 라운드돌기부의 제2자유단에 탄성 접촉되므로 고정격자의 후퇴시 부드럽고 연속적인 탄발 변형이 가능하여 사용감이 고급화되며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고정격자가 결합케이스부의 내측으로부터 고정격자삽입공간으로 삽입시 고정격자로부터 상향 연장 돌설되는 스토퍼돌기부의 경사진 상면이 안내홈의 후방부에 하향 연장 돌설된 구속돌기부의 하단부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며 장착되는 것만으로 조립이 완료되므로 생산성 및 조립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스토퍼돌기부의 경사진 상면이 구속돌기부에 최종 조립된 후에는 스토퍼돌기부가 구속돌기부에 걸림되어 고정격자의 탄발복원 이동거리가 제한되는 컴팩트한 구조로 제품이 소형화되며 생산성 및 조립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제1자유단 및 제2자유단 중 어느 하나의 끝단에 제1자유단 및 제2자유단 중 다른 하나의 끝단 외면을 감싸며 상호간 걸림 구속되도록 연장되는 커버연장돌기가 형성되어 탄성변형시에도 안정적인 접촉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다섯째, 제1단턱부 및 제2단턱부 사이의 고정격자삽입공간에서 고정격자 및 그의 탄발지지구조가 걸림단턱부에 의해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보호됨으로써 내구성 및 작동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의 하부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의 하부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에서 하부 조립방향을 나타낸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에서 고정격자의 상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의 하부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의 하부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에서 하부 조립방향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에서 고정격자의 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때, 도 3 및 도 5a 내지 도 7은 결합케이스부(1210)를 하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므로, 도면상 상측이 하측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1200)는 결합케이스부(1210), 딘레일(120), 그리고 고정격자(1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는 기설정값을 초과한 과전류 발생시 전류흐름을 차단하도록 전기선로의 연결을 절환하는 차단기(1)의 하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는 상기 차단기(1)와 상기 딘레일(120) 간의 연결을 매개하도록 구비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차단기(1)에는 복수개의 제1체결홀(1b)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에는 제1체결홀(1b)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체결홀(1215)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체결홀(1b)과 상기 제2체결홀(1215)의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정렬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나사(1a)가 삽입 체결됨에 따라 상기 차단기(1)와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가 상호간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의 하부에는 홈 형태의 딘레일삽입공간(s2)이 형성되며, 이러한 딘레일삽입공간(s2)은 상기 배전반(미도시)의 내벽면에 대향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세부적으로, 상기 딘레일(120)은 절곡된 양측에 길이방향(m)을 따라 걸림테두리(121)가 절곡형성되며,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 하부에 형성된 딘레일삽입공간(s2)에 양측 걸림테두리(121)가 각각 걸림 체결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딘레일(120)은 배전반(미도시) 내에 장착되어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는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고, 상기 딘레일(120)은 금속 재질로서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딘레일(120)에는 길이방향(m)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통공홀(12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가 상기 딘레일(120)에 걸림 연결된 상태에서 별도의 홀더(미도시)가 상기 통공홀(12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차단기(1) 및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가 상기 딘레일(120)의 길이방향(m)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의 하부 일측 테두리에 한쌍의 제1단턱부(1211) 및 제2단턱부(1212)가 각각 하향 연장 돌설된다. 그리고, 상기 제1단턱부(1211) 및 상기 제2단턱부(1212)의 사이에는 폭방향(n)으로 개구되는 고정격자삽입공간(s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단턱부(1211) 및 상기 제2단턱부(1212)의 각 내벽면 하단에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돌설되어 상기 고정격자(1230)의 하면 테두리가 걸림 구속되는 걸림단턱부(1211a,1012a)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단턱부(1211a,1012a)는 제1단턱부(1211)의 내벽면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2단턱부(1212)를 향하여 상기 고정격자삽입공간(s1)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제1걸림단턱부(1211a)와, 상기 제2단턱부(1211)의 내벽면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1단턱부(1211)를 향하여 상기 고정격자삽입공간(s1)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제2걸림단턱부(1212a)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의 하부 타측에는 제3단턱부(1213)가 하향 연장 돌설된다. 따라서, 상기 제1단턱부(1211) 및 상기 제2단턱부(1212)와 상기 제3단턱부(1213) 사이에 길이방향(m) 양측이 개구되어 상기 딘레일(120)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딘레일삽입공간(s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단턱부(1213)의 내벽면 하단으로부터 제1걸림돌기부(1214)가 상기 제1단턱부(1211) 및 상기 제2단턱부(12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설된다. 여기서, 상기 딘레일(120)은 길게 연장된 판재로 구비되어 상기 딘레일삽입공간(s2)에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의 폭방향(n)을 따라 장착되며, 폭방향(n) 양측에 길이방향(m)을 따라 걸림테두리(121)가 일체로 절곡 연장된다. 이때, 폭방향(n) 일측의 걸림테두리(121)는 상기 제1걸림돌기부(1214)에 걸림 구속된다.
또한,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에는 상기 고정격자삽입공간(s1) 및 상기 딘레인삽입공간(s2)을 가로지르는 하부 바닥면에 안내홈(1216)이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의 폭방향(n)으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내홈(1216)의 길이는 상기 고정격자(1230)의 길이를 초과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내홈(1216)의 후방부에는 후술되는 라운드돌기부(1217)의 끝단 상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사출금형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격자(1230)는 상기 고정격자삽입공간(s1)에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의 내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기설정된 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딘레일(120)을 선택적으로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1단턱부(1211) 및 제2단턱부(1212) 사이의 고정격자삽입공간(s1)에서 상기 고정격자(1230) 및 그의 탄발지지구조가 상기 걸림단턱부(1211a,1012a)에 의해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보호됨으로써 내구성 및 작동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격자(1230)는 아세탈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격자(1230)의 후방부(1231)는 당겨지는 방식으로 취부 가능한 걸림부 내지 걸림고리로 기능하도록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 후방 외측으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제1걸림돌기부(1214)와 대향 배치되는 상기 고정격자(1230)의 전단부에는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걸림테두리(121)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제2걸림돌기부(1232)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격자(1230)가 후방으로 당겨지면 상기 제2걸림돌기부(1232)에 의한 상기 딘레일(120)의 걸림테두리(121) 구속상태가 해제되어 상호 분리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딘레일(120)의 일측 걸림테두리(121)를 상기 제1걸림돌기부(1214) 내측으로 밀어넣고 타측 걸림테두리(121)에 의해 상기 제2걸림돌기부(1232)의 외면이 가압되면 상기 제2걸림돌기부(1232)가 탄발적으로 후퇴 및 복원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타측 걸림테두리는(121)는 상기 제2걸림테두리(1232) 내측에 고정되고, 복원 후 타측 걸림테두리(121)는 상기 제2걸림돌기부(1232)에 구속되면서 상기 딘레일(120)이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에 장착 및 고정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격자(1230)는 전방부, 양측면부, 후방부를 포함하여 내부가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사각형 형태의 격자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격자(1230)의 개구된 내부를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연결지지부(1234)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지지부(1234)의 양단부가 상기 고정격자(1230)의 전방 후벽면과 후방 전벽면에 각각 연결된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또한, 상기 고정격자(1230)에는 상기 고정격자(1230)의 전방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지지부(1234)의 전방부에 형성된 제1고정단(1233a)으로부터 제1자유단(1233b)이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상기 안내홈(1216)의 후방부에 형성된 탄성 재질의 라운드돌기부(1217)의 단부를 감싸며 탄성 접촉되는 탄성 재질의 탄성부(123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고정단(1233a)이 상기 연결지지부(1234)의 전방부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1233)는 상기 고정격자(1230)가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의 외측방향으로 후퇴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자동 슬라이드 복원되도록 상기 제1고정단(1233a)으로부터 상기 제1자유단(1233b)이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후향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자유단(1233b)의 끝단이 상기 라운드돌기부(1217)를 향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라운드돌기부(1217)는 상기 안내홈(1216)의 후방부에 형성된 제2고정단(1217a)으로부터 제2자유단(1217b)이 하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전향 연장되어 상기 제1자유단(1233b)에 탄성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자유단(1233b) 및 상기 제2자유단(1217b) 중 어느 하나의 끝단에는 상기 제1자유단(1233b) 및 상기 제2자유단(1217b) 중 다른 하나의 끝단 외면을 감싸며 상호간 걸림 구속되도록 연장되는 커버연장돌기(1233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연장돌기(1233c)가 상기 제1자유단(1233b)의 끝단에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자유단(1217b)의 끝단 외면을 감싸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이때, 상기 제1자유단(1233b) 및 상기 제2자유단(1217b)은 상호 접촉되며 상기 제1고정단(1233a) 및 상기 제2고정단(1217a)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탄성 변형되며 기설정범위 내에서 자유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격자(1230)는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의 내측, 즉 상기 딘레일삽입공간(s2)으로부터 상기 고정격자삽입공간(s1)으로 삽입시켜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1233)의 제1자유단(1233b)이 상기 딘레일삽입공간(s2)측 안내홈(1216)의 단부에 1차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내홈(1216)의 함몰 깊이가 상기 고정격자(123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자유단(1233b)의 단부 사이의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고정격자(1230)의 상면 테두리가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탄성부(1233)의 제1자유단(1233b)이 상기 안내홈(121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격자(1230)를 딘레일삽입공간(s2)으로부터 상기 고정격자삽입공간(s1)으로 삽입시켜 최종 조립된다.
이때, 상기 고정격자(130)의 슬라이딩 삽입을 통한 조립 후 상기 걸림단턱부(1211a,1012a)를 통해 상기 고정격자(130)가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의 하측으로 이탈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홈(1216)의 후방부에는 상기 라운드돌기부(1217)로부터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의 외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바닥면으로부터 하향 연장 돌설되는 구속돌기부(1218)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속돌기부(1218)의 길이는 상기 안내홈(1216)의 함몰 깊이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속돌기부(1218)의 하단부에는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안내면(1218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지지부(1234)에는 상기 고정격자(1230)의 탄발복원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구속돌기부(1218)의 외벽면에 걸림되는 스토퍼돌기부(1235)가 상향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돌기부(1235)는 상기 경사안내면(1218a)을 따라 안내되며 상기 딘레일삽입공간(s2)으로부터 상기 고정격자삽입공간(s1)으로 삽입되도록 상면이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의 외측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고정격자(1230)의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1233)의 제1자유단(1233b)이 상기 안내홈(121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격자(1230)를 딘레일삽입공간(s2)으로부터 상기 고정격자삽입공간(s1)으로 삽입시, 상기 스토퍼돌기부(1235)가 상기 경사안내면(1218)을 따라 안내되어 탄발 가압된 후 상기 구속돌기부(1218)의 외벽면에 걸림될 수 있다.
또한,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격자(1230)가 상기 고정격자삽입공간(s1)으로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돌기부(1235)가 상기 구속돌기부(1218)의 외벽면에 걸림되면 상기 제1자유단(1233b)의 끝단이 상기 제2자유단(1217b)에 걸림 구속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스토퍼돌기부(1235)가 상기 구속돌기부(1218)의 외벽면에 걸림되어 상기 고정격자(1230)가 전방으로의 전진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제2걸림돌기부(1232)가 상기 딘레일삽입공간(s2)으로 노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에는 상기 고정격자삽입공간(s1)의 외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 돌설되는 제한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지지부(1234)의 후방부 상면에는 상기 제한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제한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고정격자(1230)의 후방부(1231)를 당기면 상기 고정격자(1230)가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의 외측으로 후퇴됨에 따라 상기 제2걸림돌기부(132)가 상기 딘레일삽입공간(s2)으로부터 이탈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격자(1230)가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의 외측방향으로 후퇴시 상기 제1자유단(1233b) 및 상기 제2자유단(1217b)이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이때, 상기 고정격자(1230)가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의 외측방향으로 후퇴시 상기 제한돌기부가 상기 제한홈의 전벽면에 걸림됨에 따라 상기 고정격자(1230)의 후퇴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스토퍼돌기부(1235)가 상기 안내홈(1216)의 후벽면에 걸림됨에 따라 상기 고정격자(1230)의 후퇴범위가 제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격자(1230)가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의 외측으로 후퇴될수록 상기 탄성부(1233)가 탄성 변형되어 탄성복원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격자(1230)가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의 외측으로 당겨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12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격자(1230)가 상기 딘레일삽입공간(s2)을 향하여 전방으로 전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고정격자(1230)의 전방부에 형성된 제1고정단(1233a)으로부터 라운드지게 후향 연장되는 탄성부(1233)의 제1자유단(1233b)이 안내홈(1216)의 후방부에 형성된 제2고정단(1217a)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전향 연장되는 라운드돌기부(1217)의 제2자유단(1217b)에 탄성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격자(1230)의 후퇴시 부드럽고 연속적인 탄발 변형이 가능하여 사용감이 고급화되며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격자(1230)가 후퇴된 상태에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자동 슬라이드 복원되므로 차단기(1)와 딘레일(120) 간의 착탈이 신속 편리하게 수행되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자유단(1233b) 및 상기 제2자유단(1217b) 중 어느 하나의 끝단에 상기 제1자유단(1233b) 및 상기 제2자유단(1217b) 중 다른 하나의 끝단 외면을 감싸며 상호간 걸림 구속되도록 연장되는 커버연장돌기(1233c)가 형성되어 탄성변형시에도 안정적인 접촉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격자(1230)가 상기 결합케이스부(1210)의 내측으로부터 고정격자삽입공간(s1)으로 삽입시 상기 고정격자(1230)로부터 상향 연장 돌설되는 스토퍼돌기부(1235)의 경사진 상면이 상기 안내홈(1216)의 후방부에 하향 연장 돌설된 구속돌기부(1218)의 하단부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며 장착되는 것만으로 조립이 완료되므로 생산성 및 조립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스토퍼돌기부(1235)의 경사진 상면이 상기 구속돌기부(1218)에 최종 조립된 후에는 상기 스토퍼돌기부(1235)가 상기 구속돌기부(1218)에 걸림되어 고정격자(1230)의 탄발복원 이동거리가 제한되는 컴팩트한 구조로 제품이 소형화되며 생산성 및 조립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200: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1210: 결합케이스부
1211: 제1단턱부 1211a: 제1걸림단턱부
1212: 제2단턱부 1212a: 제2걸림단턱부
1213: 제3단턱부 1214: 제1걸림돌기부
1216: 안내홈 1217: 라운드돌기부
1118: 구속돌기부 120: 딘레일
121: 걸림테두리 1230: 고정격자
1232: 제2걸림돌기부 1233: 탄성부
1234: 연결지지부

Claims (5)

  1. 기설정값을 초과한 과전류 발생시 전류흐름을 차단하도록 전기선로의 연결을 절환하는 차단기의 하부에 연결되며, 하부 일측 테두리에 한쌍의 제1단턱부 및 제2단턱부가 각각 하향 연장 돌설되되,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의 사이에 폭방향으로 개구된 고정격자삽입공간이 형성되며, 하부 타측에 제3단턱부가 하향 연장 돌설되되,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와 상기 제3단턱부 사이에 길이방향 양측이 개구된 딘레일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격자삽입공간 및 상기 딘레일삽입공간을 가로지르는 바닥면에 안내홈이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의 후방부에 탄성 재질의 라운드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단턱부의 내벽면 하단으로부터 제1걸림돌기부가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설되는 결합케이스부;
    길게 연장된 판재로 구비되어 상기 딘레일삽입공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삽입되되, 폭방향 양측에 일체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부에 걸림 구속되는 걸림테두리가 형성되는 딘레일; 및
    상기 고정격자삽입공간에 상기 결합케이스부의 내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기설정된 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되, 후단부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케이스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1걸림돌기부와 대향되는 전단부에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걸림테두리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제2걸림돌기부가 형성되며, 전방부에 형성된 제1고정단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자유단이 상기 라운드돌기부의 단부에 탄성 접촉되는 탄성 재질의 탄성부가 구비되는 고정격자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고정격자가 후퇴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자동 슬라이드 복원되도록 상기 제1고정단으로부터 상기 제1자유단이 라운드지게 후향 연장되며 상기 제1자유단의 끝단이 상기 라운드돌기부를 향하여 배치되되,
    상기 라운드돌기부는 상기 안내홈의 후방부에 형성된 제2고정단으로부터 제2자유단이 라운드지게 전향 연장되어 상기 제1자유단에 탄성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유단 및 상기 제2자유단 중 어느 하나의 끝단에는 상기 제1자유단 및 상기 제2자유단 중 다른 하나의 끝단 외면을 감싸며 상호간 걸림 구속되도록 연장되는 커버연장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후방부에는 상기 라운드돌기부로부터 상기 결합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바닥면으로부터 하향 연장 돌설되는 구속돌기부가 형성되되, 상기 구속돌기부의 하단부는 상기 결합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격자에는 개구된 내부를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연결지지부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지지부에는 상기 고정격자의 탄발복원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구속돌기부의 외벽면에 걸림되는 스토퍼돌기부가 상향 연장 돌설되되,
    상기 스토퍼돌기부는 상기 결합케이스부의 외측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고정격자의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턱부 및 상기 제2단턱부의 각 내벽면 하단에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돌설되어 상기 고정격자의 하면 테두리가 걸림 구속되는 걸림단턱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020200004096A 2020-01-13 2020-01-13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02121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096A KR102121846B1 (ko) 2020-01-13 2020-01-13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096A KR102121846B1 (ko) 2020-01-13 2020-01-13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846B1 true KR102121846B1 (ko) 2020-06-26

Family

ID=7113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096A KR102121846B1 (ko) 2020-01-13 2020-01-13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8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088Y1 (ko) 2002-12-09 2003-03-20 엘지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딘-레일 결합장치
JP3759063B2 (ja) * 2002-04-02 2006-03-22 理化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の取付構造
JP2013215031A (ja) * 2012-04-02 2013-10-17 Sankosha Corp 保安器のdinレールへの取付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9063B2 (ja) * 2002-04-02 2006-03-22 理化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の取付構造
KR200308088Y1 (ko) 2002-12-09 2003-03-20 엘지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딘-레일 결합장치
JP2013215031A (ja) * 2012-04-02 2013-10-17 Sankosha Corp 保安器のdinレールへの取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912B1 (ko) 자기 버클링 어셈블리
CN109306828B (zh) 安全闩锁
EP2953212B1 (de) Steckverbinderanordnung und löseelement hierzu
US4754105A (en) Seat belt buckle with switch
US6452125B1 (en) Switch with an override interruption structure
US6602081B1 (en) Shielding cap and electric socket arrangement
EP0425208A2 (en) A receptacle for receiving a small article
KR102098749B1 (ko) 탄성걸림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02121846B1 (ko) 탄성가압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US3952175A (en) Pushbutton switch mechanism having block out members with common mounting and discrete latch bar
CN100999965B (zh) 锁定解除操作装置
KR19980042151A (ko) 소형 푸쉬버튼 스위치
KR102109012B1 (ko) 보우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02109018B1 (ko) 탄성프레임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02121844B1 (ko) 바운스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02121845B1 (ko) 밴드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02121843B1 (ko) 교차절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9980080919A (ko) 자동 정지장치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102109014B1 (ko) 굴곡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US4095059A (en) Interlocked push-lock push-button switch assembly having conductive muting spring
KR102098752B1 (ko) 고정격자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20160063560A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2105153B1 (ko) 다중 안전장치를 갖는 멀티 콘센트
KR102098760B1 (ko) 링크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02530388B1 (ko) 전기콘센트 겸용 안전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